옛 지명이 당은군인 도시에 대한 내용은 화성시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2642B, #397431 20%, #397431 80%, #32642B);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덕흥대원군 | 하원군 | 당은군 | 응천군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 ||
이정한 | 이홍일 | 이세정 | 이명좌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이명회 | 이형종 | 이풍 | 진안군 |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완성군 | 완창군 | 경원군 | 창산군 | ||
제16대 | - | (제17대) | |||
이덕주 | (이우갑) | (이영기) | |||
}}}}}}}}} |
도정궁 제3대 궁주 | ||
조선 중종의 증손 당은군 | 唐恩君 | ||
작호 | 당은정(唐恩正) → 당은도정(唐恩都正) → 당은군(唐恩君)[1] | |
본관 | 전주 이씨 | |
이름 | 인령(引齡) | |
자 | 자장(子長) | |
생부 | 하원군 | |
생모 |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南陽 洪氏) | |
부인 | 밀양군부인 밀양 박씨(密陽 朴氏) 풍양군부인 풍양 조씨(豊壤 趙氏) | |
자녀 | 9남 6녀 | |
생몰 기간 | 음력 | 1562년 9월 24일 ~ 1615년 9월 27일 |
양력 | 1562년 10월 21일 ~ 1615년 11월 17일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왕족. 덕흥대원군의 적장손이자 하원군의 적장남이며 도정궁 제2대 사손이자 제3대 주인이다.2. 생애
작은할아버지 명종[2] 치세이던 1562년(명종 17년) 9월 24일에 한성부 서부 인달방 하원군 사저에서 하원군과 남양군부인 홍씨 사이의 적장자로 태어났다. 6세 되던 1567년(선조 즉위년) 작은삼촌 하성군이 조선 제14대 왕 선조로 즉위했다.처음에는 당은정(唐恩正)에 봉해졌다가 1591년(선조 24년) 당은도정(唐恩都正)이 되었다. 그해 무려 200년 간 왕실의 숙원이던 종계변무가 성사되자 광국원종공신 1등이 되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피난갈 때 아버지 하원군과 함께 모셨다. 1597년(선조 30년) 하원군이 사망한 후 덕흥대원군의 제사를 받들었다. 전쟁이 끝난 뒤인 1606년(선조 39년) 1월에 선조의 명으로 품계가 올라가면서 당은군(唐恩君)으로 다시 봉해졌다. 이후 1615년(광해군 7년)에 소덕대부(昭德大夫)로 다시 급이 올라갔다.
3. 사망과 이후
1615년(광해군 7년) 10월 7일 향년 54세로 별세했다.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증직되었고 경기도 양주군 수락산 건좌, 덕흥대원군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4. 대중매체에서
- 작가 슈타인호프가 문피아, 리디 등에 연재 중인 대체역사 웹소설 《명군이 되어보세!》에 등장했다. 저 세계관에서는 숙부 하성군이 즉위하지 못했기 때문에, 왕의 조카가 아닌 그냥 종친 1 정도의 위치이다. 평소 사이 안 좋던 사촌동생 임해군이 차차에게 작업을 걸려하자 그를 훈계하는 모습으로 나왔다. 물론 임해군은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5. 여담
- 1608년(선조 41년) 사간원 헌납 성시헌과 마찰이 있었다. 당은군이 직접 말썽을 피운 것은 아니고 그의 하인과 엮인 일이다. 조선의 예법 상 길을 가다가 왕족을 마주치면 의례 고개를 숙이고 길가로 피해야 했는데[3] 당은군을 마주친 성시헌이 미처 피하지 못했다. 그러자 당은군의 하인이 눈을 부릅뜨고 삿대짓을 하며 격하게 성시헌을 꾸짖었다고.(...) 이에 성시헌은 자신이 잘못한 것은 맞으나 이렇게까지 모욕을 당하니 못버티겠다면서 사직을 청했다. 선조는 처음에는 반려했으나 사간원에서 파직시키라 간언하자 할 수 없이 파직을 허락했다.[4]
6. 가족 관계
- 부 : 하원군 이정(河原君 李鋥, 1545 ~ 1597)
- 모 : 남양군부인 홍씨(南陽郡夫人 洪氏) - 홍섬(洪暹)의 딸
- 동생 : 익성군 이향령(益城正 李享齡, 1566 ~ 1614)
- 동생 :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李錫齡, 1568 ~ 1623) - 숙부 하릉군(河陵君)에게 출계
- 동생 : 이희령(李稀齡)
- 정부인 : 밀양군부인 밀양 박씨(密陽郡夫人 密陽 朴氏, 1562 ~ 1588) - 박계현(朴啓賢)의 3녀
- 적장남 : 응천군 이돈(凝川君 李潡)
- 적차남 : 밀성부정 이면(密城副正 李㴐, 1582 ~ 1606)
- 며느리 : 신인 하음 봉씨(愼人 河陰 奉氏, 1581 ~ 1656) - 현감 봉유함(縣監 奉惟涵)의 딸
- 손자 : 이진한(李振漢)
- 적3남 : 밀산군 이찬(密山君 李澯, 1585 ~ 1658)
- 며느리 : 현부인 전의 이씨(縣夫人 全義 李氏) - 군수 이유훈(郡守 李有訓)의 딸.
- 며느리(첩) : 옥섬(玉暹).
- 손자 : 이웅한(李雄漢)
- 계부인 : 풍양군부인 풍양 조씨(豊壤郡夫人 豊壤 趙氏, 1571 ~ 1629) - 현령 조희철(縣令 趙希轍)의 딸
- 적4남 : 풍래군 이번(豊萊君 李瀿, 1593 ~ 1647)
- 며느리 : 군부인 안동 김씨(郡夫人 安東 金氏, 1593 ~ 1670) - 현령 김광위(縣令 金光煒)의 딸.
- 손자 : 이준한(李俊漢)
- 손자 : 이인한(李仁漢)
- 손자 : 이신한(李信漢)
- 손자 : 이의한(李儀漢)
- 손녀 : 이희준(李喜俊)의 처
- 손녀 : 구문제(具文濟)의 처
- 손녀 : 한태유(韓泰兪)의 처
- 손녀 : 이서우(李瑞雨)의 처
- 적장녀 : 장령 최계훈(掌令 崔繼勳)의 처
- 적차녀 : 승지 임형백(承旨 任衡伯)의 처
- 첩부인 : 예란(禮蘭)
- 서장남 : 해성부정 이권(海城副正 李淃, 1595 ~ 1637)
- 며느리 : 신인 동래 정씨(愼人 東萊 鄭氏) - 목사 정용보(牧使 鄭龍輔)의 딸.
- 며느리 : 신인 신평 이씨(愼人 新平 李氏, ? ~ 1646) - 이원로(李元老)의 딸.
- 손자 : 이제한(李濟漢)
- 손자 : 이충한(李忠漢)
- 손자 : 이응한(李應漢)
- 손자 : 이민한(李敏漢)
- 손녀 : 이옥(李玉)
- 서장녀 : 이우백(李友白)의 처
- 서차녀 : 최숙(崔琡)의 처
- 첩부인 : 은금(銀今)
[1] 작호는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에 있던 남양군(南陽郡)의 옛 지명 당은군(唐恩郡)에서 따왔다. 당은군 지명은 삼국시대의 당항성에서 따온 듯 하다.[2] 할아버지 뻘이라지만 나이 차이는 28살이며, 참고로 친할아버지 덕흥대원군과는 32살 차이이다. 조선시대의 조혼 풍습을 생각하면 으레 있는 일이다.[3] 피마(避馬)라고 한다. 종로의 피맛골이 여기서 유래했다.[4] 《선조실록》 6권, 선조 5년 9월 14일 정유 5번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