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젠다리움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아이눌린달레 | |||||||||||||||||
발라들의 시대 | 등불의 시대 | 아르다 최초의 전쟁 | ||||||||||||||||
나무의 시대 | 쿠이비에냐르나 | 권능들의 전쟁 | 대여정 | 벨레리안드의 첫 전투 | 놀도르의 망명 (페아노르의 맹세 | 만도스의 저주) | 제1차 동족살상 | 다고르 누인길리아스 | |||||||||||||||||
태양의 시대 | 태양의 제1시대 | 다고르 아글라레브 | 다고르 브라골라크 |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 | 제2차 동족살상 | 곤돌린의 몰락 | 제3차 동족살상 | 분노의 전쟁 | ||||||||||||||||
제2시대 | 요정-사우론 전쟁 (과슬로 강의 전투) | 세상의 개변 | 최후의 동맹 전쟁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 |||||||||||||||||
제3시대 | 앙마르 전쟁 (포르노스트 전투) | 친족분쟁 | 대역병 | 전차몰이족 전쟁 | 에오를의 맹세 |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 (아자눌비자르 전투) | 다섯 군대 전투 | 엘론드 회의 | 반지전쟁 (오스길리아스 전투 | 아이센 여울목 전투 | 나무 밑의 전투 | 나팔산성 전투 | 아이센가드 전투 | 너른골 전투 |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 모란논 전투 | 강변마을 전투) | |||||||||||||||||
제4시대 이후 | 다고르 다고라스 | }}}}}}}}} |
<colbgcolor=#556B2F><colcolor=#fff> 레젠다리움의 전쟁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Battle of the Dagorlad | ||
최후의 동맹 전쟁의 일부 | ||
<nopad> | ||
시기 | ||
S.A. 3434 | ||
장소 | ||
다고를라드 평원 | ||
교전세력 | 요정과 인간의 마지막 동맹 | 사우론 세력 |
교전국 | 곤도르 아르노르 린돈 린도리난드 초록숲 크하잣둠 독수리 | 모르도르 칸드 하라드 룬 |
지휘관 | 길갈라드[1]† 엘렌딜[2]† 이실두르 키르단 엘론드[3] 아나리온† 오로페르[4]† 암디르[5]† 두린 4세[6] | 사우론 마술사왕 카물 나즈굴 |
병력 | 인간 군대 100,000명 요정 군대 100,000명 난쟁이 군대 50,000명 | 오르크 300,000명 와르그 10,000명 트롤 1,000명 기타 인간 군대 900명 |
피해 | 30,000명 | 200,000명 이상 |
결과 | 연합군의 승리 | |
영향 | 사우론의 일시적인 무력화 절대반지 파괴 실패 |
[clearfix]
1. 개요
제2시대 말기에 벌어진 최후의 동맹 전쟁 당시 최대 규모의 격전이었다.2. 전개
요정과 인간의 마지막 동맹의 목표는 아주 단순했는데, 사우론을 정공법으로 물리치는 것이었다. 반지전쟁의 주 무대인 제3시대 기준으로는 사우론을 어떻게 정공법으로 이기려 했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적어도 한 시대 이전의 두네다인과 요정의 국력은 거대한 전쟁을 치를 능력이 되었다. 게다가 그 시대의 누메노르인들은 자신들의 이전 왕이었던 아르파라존이 사우론을 직접 누메노르로 끌고 갔던 역사를 기억하고 있었을 것이다. 가운데땅에서 가장 강대한 국가였던 누메노르에 비하면 아르노르와 곤도르는 경제와 군사력 등에서 매우 뒤처졌으나, 그들에게 주어진 축복이 완전히 쇠퇴하진 않았다. 그러니 이제 막 돌아왔을 터인 사우론이 쉬게 할 틈을 주지 말고, 정공법으로 박살내자는 전략도 충분히 타당한 것이었다.대군은 모란논 앞에 펼쳐진 광활한 평야인 다고를라드까지 진군한 뒤 평원에서 살짝 솟아오른 언덕에 진을 쳤다. 이에 사우론은 적들의 수보다 더 많은 군대를 보내 대적하도록 했다. 하늘을 뒤덮는 화살의 비에 이어 사우론의 군대와 인간ㅡ요정 연합군은 다고를라드에서 전면전을 치렀다. 단순히 머릿수에서 불리하게 보였던 연합군이 적절한 전술과 병기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사우론의 군대를 격파했으며, 후대의 반지전쟁 시기와는 달리 누메노르에서 겨우 생환한 직후, 얼마 안 되어 숨 돌릴 틈이 없었던 사우론에 비해 높은 인구와 비옥한 토지,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요정들, 에리아도르 중북부와 남쪽의 주요 거점을 바탕으로 세워진 왕국을 통해 국력을 형성하고 있었던 인간 군대는 결정적으로 확실한 구심점이 있었다. 수는 매우 많았으나 반대로 이들의 선전을 예상하지 못한 사우론 측은 일방적으로 밀릴 수밖에 없었다.
3. 바랏두르 공성전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에서 승리한 연합군은 모란논을 넘어 진군하는데 성공했지만 모르도르 북쪽의 우둔 고원에서 벌어진 전투 도중 초록숲의 신다르 왕 오로페르의 독단으로 발생한 전술적인 실책으로 인하여 서로의 왕을 잃고 다수의 병력 손실을 입은 초록숲과 린도리난드군[7]은 길갈라드에 의해 다시 재편성되었다. 특히 이로 인한 큰 전략적 손실은 당장 메꾸기 어려웠다. 모란논과 바랏두르 사이의 고르고로스 고원에서도 병력을 계속 손실했으며, 연합군은 초기에 세웠던 계획과는 달리 바랏두르를 공격할 여력을 충분히 가지지 못했다. 다행스럽게도 아나리온이 이끄는 곤도르군의 증원에 힘입어 대군은 모르도르의 심장부인 바랏두르를 포위하고, 압박하기 시작했다.<nopad> |
비록 강대한 마이아인 사우론이었지만 놀도르 요정인 길갈라드와 두네다인인 엘렌딜이 2:1로 맞이해 힘겹게 싸워야 했다. 결국 둘 다 전사했지만 사우론과 공멸하는데 성공해 이실두르가 부왕 엘렌딜의 유해와, 마지막 일격을 가하고 쓰러진 사우론의 육체에 깔려 부러진 나르실, 그리고 절대반지를 수습했다.
<nopad> |
반지를 낀 손가락이 잘려나가 힘의 유지력을 상실한 사우론의 물리적인 몸은 완전히 붕괴되었으며, 바랏두르는 무너졌다.[8] 이것은 사우론이 그의 권능과 마법 전체를 반지 속에 우겨넣었기 때문이었으며, 그를 지탱하는 동력을 잃어버린 사우론은 형체없는 영이 되어 떠돌게 되었다. 누메노르의 멸망에서 반지 덕분에 살아돌아온 것이 불과 몇년 전이란 것을 잘 생각해보면 바랏두르 또한 반지의 힘을 토대로 세워진 것이었다. 엘론드와 키르단은 이실두르를 이끌고 운명의 산 심장부로 가 반지를 파괴하도록 설득했지만 이실두르는 부왕 엘렌딜과 동생 아나리온의 희생에 대한 대가로 반지를 자신의 것이라 선언했다. 이미 반지가 이실두르를 조종하여 자신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것이 무서운 대목인데 사우론에 홀린 아르파라존의 금기를 깨고, 님로스의 열매를 훔쳐온 것이 이실두르였고, 이후에도 매우 용맹하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영웅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반지의 힘에 간단히 굴복하게 된 것이다.
이실두르는 긴 전쟁이 끝난 후 곤도르의 미나스 아노르에 머물며 동생 아나리온의 아들인 메넬딜의 후계자 교육을 하고는 자신에게 계승될 아버지 엘렌딜의 왕좌를 물려받기 위해 북쪽으로 향했다. 그러기 전에 그는 미나스 아노르에서 반지에 대해 서술한 기록을 남겼는데 반지 소유자들이 흔히 하는 변명인
"이것은 나에게 주어진 선물"
이라는 말을 하면서도, 반지에 새겨진 읽을 수 없는 글씨가 점차 사라졌고, 오직 불 속에서만 그 형체를 드러내며, 불 속에서도 오히려 차가운 느낌을 갖는다고 기록해 두었다. 나중에 간달프가 그 기록을 토대로 빌보와 프로도의 반지가 이 반지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반지 최후의 발악은 욕심이 있든 없든 정신력이 강하든 약하든 그냥 무조건 저항할 수 없다고 하니 이실두르를 탓할 수는 없는 일이다. 톰 봄바딜처럼 반지를 흘려도 모를 정도로 강고하고 무심한 존재인 게 아니고서야 그 간달프도 저항할 수 없다고 했으니...4. 전투의 결과
이때 죽은 인간, 요정, 오르크의 수가 얼마나 많았는지 다고를라드 평원의 일부가 시체들이 썩은 물로 인해 그대로 늪지대가 되었고, 곧 죽음늪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3,000년이 지나도록 아직도 썩지 않은 채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시체가 흔하게 보였으며, 이 시체와 눈을 마주치면 홀려서 늪에 빠지게 되고, 그 일부가 된다는 음습한 전설이 전해져올 정도였다.[1] 놀도르의 대왕.[2] 곤도르(명목상)와 아르노르의 왕.[3] 당시 키르단의 전령이었다.[4] 초록숲의 요정왕.[5] 린도리난드의 요정왕.[6] 크하잣둠의 난쟁이 군주.[7] 암디르가 길갈라드의 지시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진격하다가 암디르 본인과 초록요정 군대의 2/3가 사망했다.[8] 하지만 반지가 남아있었기 때문에 그 토대는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