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7 23:26:13

친족분쟁

레젠다리움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눌린달레
발라들의 시대 등불의 시대 아르다 최초의 전쟁
나무의 시대 쿠이비에냐르나 | 권능들의 전쟁 | 대여정 | 벨레리안드의 첫 전투 | 놀도르의 망명 (페아노르의 맹세 | 만도스의 저주) | 제1차 동족살상 | 다고르 누인길리아스
태양의 시대 태양의 제1시대 다고르 아글라레브 | 다고르 브라골라크 |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 | 제2차 동족살상 | 곤돌린의 몰락 | 제3차 동족살상 | 분노의 전쟁
제2시대 요정-사우론 전쟁 (과슬로 강의 전투) | 세상의 개변 | 최후의 동맹 전쟁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제3시대앙마르 전쟁 (포르노스트 전투) | 친족분쟁 | 대역병 | 전차몰이족 전쟁 | 에오를의 맹세 |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 (아자눌비자르 전투) | 다섯 군대 전투 | 엘론드 회의 | 반지전쟁 (오스길리아스 전투 | 아이센 여울목 전투 | 나무 밑의 전투 | 나팔산성 전투 | 아이센가드 전투 | 너른골 전투 |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 모란논 전투 | 강변마을 전투)
제4시대 이후 다고르 다고라스 }}}}}}}}}


Kin-Strife

1. 개요2. 진행3. 여파

1. 개요

레젠다리움의 제3시대 곤도르의 내전. 전성기에서 서서히 내려오던 곤도르의 국력을 크게 떨어트린 사건이다.

2. 진행

곤도르의 20대 왕 발라카르 의 아들인 21대 왕, 엘다카르순혈주의를 중시하는 반대파에게 약점을 잡히게 되는데 바로 그가 곤도르가 아닌 로바니온에서 태어난데다가 어머니인 비두마비 또한 두네다인이 아닌 북부인이었기 때문에 혼혈아로 간주되어 정통성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왕과 가장 가까운 왕족이며, 곤도르의 대함장으로서 펠라르기르움바르 해군의 큰 지지에 힘입은 작은할아버지의 손자(즉 6촌뻘인) 카스타미르가 내전을 일으키니, 엘다카르의 대관식은 열리지도 못하였다.

1437년, 결국 카스타미르가 이끄는 반란군은 엘다카르가 있는 수도 오스길리아스를 포위 공격하였다. 별다른 성벽도 없던 도시는 불타고, 그곳에 있던 팔란티르는 안두인 강에 빠져 사라졌다. 엘다카르는 로바니온으로 달아나고, 찬탈자 카스타미르는 스스로 곤도르의 왕위에 오른 뒤 엘다카르의 맏아들 오르넨딜을 처형해버리고 만다. 그의 잔인무도한 모습에 미나스 아노르미나스 이실의 주민들은 그에게서 등을 돌리게 되었다. 한편, 북부로 달아난 엘다카르는 로바니온에서 충성파와 부근의 북부인들을 모으며 때를 기다렸다.

1447년, 엘다카르가 근왕군을 이끌고 카스타미르를 응징하러 오니, 이미 오르넨딜의 처형과 그 뒤의 각종 실정으로 인해 카스타미르에 등을 돌린 지 오래인 이실리엔아노리엔, 칼레나르돈도 이에 호응하였다. 마침내 에루이 여울에서 양 세력의 결전이 벌어졌고, 여기에서 엘다카르가 카스타미르를 죽이고 승리해 왕권을 회복하였다. 카스타미르의 아들은 펠라르기르로 달아나고, 엘다카르는 이를 뒤쫒아 펠라르기르를 포위하게 된다.

그러나 1년 후, 남은 반란군은 모든 배들을 이끌고 다시 펠라르기르를 탈출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곤도르 해군이 반란군을 지지하였고, 그로인해 엘다카르는 해군이 없었기 때문이였다. 그렇게 탈출한 반란군은 움바르를 빼앗고 현지에서 독립하는 것으로 동족분쟁은 마무리 된다.

3. 여파

이 내전으로 카스타미르의 자식들이 곤도르의 해군 대부분을 이끌고 펠라르기르에서 탈출해 움바르로 도주하는 바람에, 곤도르에게 해군 함대와 움바르의 상실이라는 치명타를 2개씩이나 입힌다. 이후 카스타미르의 후손들은 움바르에서 분조를 세웠고, 28대 왕 텔루메흐타르에게 멸족당할 때까지 곤도르의 정통 왕실에 오랫동안 대항한다. 그러나 곤도르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움바르는 얼마 후 남부인들에게 다시 빼앗기고 만다. 결과적으로 곤도르는 움바르를 비롯한 남쪽 영토를 많이 잃고, 다시 해적과 하라드림의 위협을 받게 되었다는 것 뿐만 아니라, 과거 아르파라존이 사우론을 굴복시킨 상징적인 지역을 잃었다는 점에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 때 잃은 남쪽 영토는 먼 훗날 엘렛사르 텔콘타르때가 되어서야 되찾을 수 있었다.

비록 동족분쟁으로 곤도르의 두네다인 인구는 많이 줄었지만, 엘다카르와 함께 온 북부인들이 많이 이주해와 머물면서 어느 정도 보충이 되었다. 북부인들이 곤도르의 주민으로 편입되면서 누메노르와 북부인의 피는 점점 섞이기 시작했지만, 그렇다고 하여 누메노르인의 지혜와 수명이 당장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와는 상관없이 이미 누메노르인의 권능은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는데, 이는 축복의 땅이었던 옛 누메노르를 잃은 누메노르인에게서 발라의 축복이 서서히 떠나갔기 때문이었다.

한 가지 긍정적인 것이라면 누메노르 특유의 타 인간에 대한 오만함이 많이 누그러졌다는 것이다. 기존의 곤도르는 자신들이 누메노르에서 유래한 혈통이라는 자부심 때문에 일반 인간에 대해 몹시 오만했다. 이 때문에 로바니온 계열 국가들은 사우론의 휘하가 아니더라도 곤도르와 종종 분쟁을 일으킬 정도. 하지만 동족분쟁으로 왕실에도 북부인의 혈통이 흐르고, 이에 대한 비난을 하는 자들을 역적으로서 축출되면서 이런 오만한 태도가 사그라들게 되고, 이는 나중에 로한이라는 강력한 우방국을 얻게되는 계기가 된다. 참고로 순수혈통을 주장하며 그 오만함을 못 버린 자들은 역설적으로 사우론 밑으로 들어가고 그 오만함이 더더욱 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