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상고대 | 고대 | 힘야르 왕국 | 6 ~ 7세기 | |||||||||||
사바 왕국 | 사바 | 사바 왕국 | 사바 왕국 | 사바 왕국 | 힘야르 | 사바 - 함단 왕조 | 힘야르 | 히미아르 왕국 | 힘야르 왕국 | 히미아르 왕국 | 유대교 - 야타르 왕조 | 기독교 왕조 - 악숨 속국 | 킨다 왕조 | 사산 왕조 | |
악숨 | 사바 | ||||||||||||||
카타반 왕국 | 마인 | 카타반 왕국 | 악숨 | ||||||||||||
카타반 | 카타반 | 카타반 | 카타반 | ||||||||||||
하드라마우트 | 하드라마우트 |
중세 | ||||||||||||||
무함마드 시대 | 라쉬둔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압 바 스 | 유피르 왕조 | 카르마트 | 유피르 왕조 | 술라이히 왕조 | 술라이히 왕조 | 함단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라술 왕조 | 예멘 타히르 왕조 | 맘루크 왕조 | |
유피르 왕조 | 주라이 왕조 | |||||||||||||
지야드 왕조 (아덴) | 노예 | 나자흐 왕조 | 마흐디 왕조 | 타히르 | ||||||||||
이바디 운동 | 자이디 이맘국 (남해안) |
근현대 | ||||||||||||||
오스만 제국 | 오스만 | 오스만 제국 | 오스만 | 자이디 이맘 - 하심 왕조 | 하심 왕조 | 오스만 | <colbgcolor=#080> 이드리드 | 무타와킬 왕국 | 북예멘 | 예멘 공화국 | 예멘 공화국 | 예멘 공화국 | 후티 | |
예멘 대반란 | 무타와킬 | |||||||||||||
하심 왕조 | ||||||||||||||
라헤즈 술탄 | 라헤즈 술탄 | 영국령 아덴 | 남아라비아 | 남예멘 | 예멘 민주 공화국 | 예멘 내전 | 남부 | |||||||
이맘 | 알루아키 술탄국 | 예멘 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0921 15%, #FFF 15%, #FFF 85%, #000 8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사바 왕국 · 힘야르 왕국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예멘 왕국 · 북예멘 / 남예멘 · 예멘 내전(1994년) / 예멘 통일 · 예멘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예멘 리알 | |
국방 | 예멘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예멘 방언) · 잠비야 | |
인물 | 아르와 앗 술라이히 · 알리 압둘라 살레 | |
지리 | 하드라마우트 · 홍해 · 소코트라 섬 · 마리브 | |
민족 | 예멘인 · 하드라미인 · 아크담족 · 소코트라인 · 예멘 흑인 |
{{{#ffffff 예멘 인민민주공화국 جمهورية اليمن الديمقراطية الشعبية Yemen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
국기 | 국장[1] | |
1967년~1990년 | ||
독립 이전 | 통일 이후 | |
'''영국 [[남아라비아 연방| 남아라비아 연방 ]]''' | 예멘 공화국 | |
면적 | 360,133km² | |
인구 | 2,585,484명(1990)[2] | |
수도 | 아덴 | |
정치체제 | 단일국가, 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 | |
국가원수 | 대통령 | |
정부수반 | 총리 | |
주요 지도자 | 알리 살렘 알 베이드(1986~1990) | |
언어 | 아랍어 | |
종교 | 수니파 | |
민족 | 예멘 아랍인 | |
통화 | 남예멘 디나르 | |
1인당 GDP | 268$(1990)[3] |
위치 | |
[clearfix]
1. 개요
아라비아 반도 남쪽 현 예멘 공화국의 동남쪽 지역에 존속하였던, 중동 유일의 공산주의 국가로[4], 보통 남예멘(اليمن الجنوبي)으로 알려져 있다. 1967년에 건국되어 1990년까지 존속하였으며 당시 수도는 유구한 항구도시인 아덴이다. 집권당은 예멘 사회당이었다.2. 역사
2.1. 독립 과정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이후 남예멘 지역은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영국은 아덴 일대는 직접 통치하였으나 내륙 지방에서는 각 지역의 셰이크들의 통치권을 인정하는 간접통치를 유지하였다. 일부 부족들이 반영 폭동을 일으켜도 영국을 지지하는 다른 부족들의 손으로 진압되었으므로 한동안 영국령 예멘은 아덴을 중심으로 경제적 번영을 구가하며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다. 허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반영 아랍 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영국의 통치도 종식을 고하게 되었다.1947년, 아덴의 노동자들이 영국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저항하는 파업을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반영 노동운동이 확산되었다. 이에 영국은 입법평의회를 설립하여 예멘인들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예멘인들의 불만을 달래려 했지만 1949년에 선포된 선거법이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 이상에게만 선거권을 부여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예멘인들의 불만은 가중되었다. 1952년, 부족의 유지들과 자유주의 지식인들이 남아라비아 연맹을 창설하고 영국과의 타협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는데 이들의 보수적 성향 때문에 대중적 기반을 확보하는 것은 실패했다. 이에 반해 압둘라 알아스낙이 지휘하는 아덴 노동조합의회는 강력한 반영 노동운동을 전개하면서 주도권을 잡았다.
1962년, 알아스낙이 인민사회당을 결성하고 독립운동을 본격화하였으며 예멘 왕국이 쿠데타로 붕괴되었다. 위기감을 느낀 영국은 아덴의 직할통치령과 내륙의 자치지역을 병합하여 남아라비아 연방을 형성함으로 예멘인들의 불만을 무마하고 보수적인 부족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인민사회당은 이에 격렬히 반발했으나 1963년 1월, 영국은 이를 묵살하고 남아라비아 연방을 형성하고 1968년에 독립시켜주겠다고 약속하였다. 한편 북예멘의 쿠데타에 영향을 받은 학생과 지식인들이 1963년 6월, 북예멘의 수도 사나에서 민족해방전선을 결성하고 무장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63년 10월, 민족해방전선은 남예멘 북부 산악지대인 라드판에 진입한 것을 시작으로 1964년에는 아덴까지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지지층 이탈로 쇠락을 겪게 된 인민사회당은 1965년 6월, 다른 단체들을 규합하여 남예멘 해방조직을 결성하고 역시 무장투쟁에 나서게 된다. 나세르가 지배하던 이집트는 남예멘 해방조직과 민족해방전선에게 통일전선을 구축하라고 조언하였고 이에 1966년 8월, 민족해방전선과 남예멘 해방조직이 남예멘 해방전선으로 통합하였다. 허나 이집트의 지지를 받던 아스낙이 남예멘 해방전선의 지도자로 추대된 것에 불만을 품은 민족해방전선은 1966년 10월 합작을 파기하였다.
1967년 9월에 이르러 아덴이 함락 직전에 이르렀고 남아라비아 연방은 사실상 사형선고를 받게 되었다. 그러자 독립단체들은 이번에는 서로를 향해 총구를 돌려 내전을 벌였다. 민족해방전선은 남예멘 해방전선을 붕괴시키고 독립전선을 자신들을 중심으로 통일시켰고, 영국도 민족해방전선을 협상대상으로 지목했다. 이후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게된 남예멘에서는 민족해방전선의 주도하에 11월 30일, 남예멘 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2.2. 독립 이후
196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예멘 국민 해방 전선의 주도로 남예멘 인민공화국(جمهورية اليمن الجنوبية الشعبية)이 세워졌으며 민족해방전선 서기장 카흐탄 알샤아비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민족해방전선은 민족전선으로 개칭하고 조직을 개편했는데 전국을 6개로 분할하고 인민위원회를 설치하였다. 민족해방전선은 남예멘 독립전쟁 시기까지만 해도 특정한 이념을 주장하진 않았으나 1967년 말의 주도권 싸움 끝에 사회주의자들이 주류세력이 된 상태였다. 이에 반발하는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의 대립이 이어졌고 1969년 6월, 루바이 알리를 중심으로 한 강경파가 알샤아비를 축출하고 대통령에 취임하였다.루바이 알리는 사회주의 노선을 강화하여 토지개혁과 국유화를 실시하였고 1970년 11월, 신헌법을 공포하여 국명을 예멘 인민민주공화국으로 변경하였다.[5]
북예멘과는 우리나라나 과거 독일과 같이 애증의 관계 속에서 공존하였다. 1972년 처음으로 카이로에서 남북이 정상회담을 가지며 향후 통일을 하겠다는 선언까지 했는데 남북의 내부 갈등 문제와 1977년~1978년에 발생한 이브라힘 알함디, 아흐마드 가쉬미 북예멘 대통령들의 암살사건, 1979년에 발생한 접경선 분쟁으로 통일 계획이 유보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의 개방정책과 공산권 국가들의 몰락으로 인해 북예멘이 점점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남측과 남북국경 지역의 유전개발이라는 현실적인 이익이 맞물리면서 다시 통일 분위기가 조성되어 2년 뒤인 1990년 남북 합의에 의해 통일을 이룬다. 그러나 1994년 오랫동안 지속되던 남북 갈등으로 인해 예멘 내전이 발발했고 남예멘이 '예멘 민주 공화국'으로[6] 다시 분리독립을 선언하였지만 결국 내전에서 패전한 남예멘이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이끄는 북예멘에 흡수통일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런 예멘의 조급한 통일 뒤에는 무력충돌→회담을 통한 합의→합의내용 파기→무력충돌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과정이 숨겨져 있었다.
단, 통일 예멘의 국가는 남예멘 국가를 그대로 사용하다 가사를 조금 바꿔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런 사태 후에도 바뀌지 않았다.
3. 외교 관계
3.1. 북예멘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북예멘-남예멘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3.2. 한국과의 관계
북한 단독수교국으로 일찍이 수교하였으며 대한민국과는 1990년 5월 17일, 통일 선포 닷새 전에 수교하였다가 통일 이후에는 통일 예멘공화국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4. 기타
공산주의 국가 중에서는 특이하게 국교를 채택하고 있었다. 사실 이는 공산주의기는 하지만, 본래 아랍권 국가이기도 했던 데다가 주변에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등 석유 부국들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국 국무부가 1979년에 최초로 지정한 테러지원국 원년 멤버 중 하나였다.
의외로 여권신장이 잘 이뤄지기도 했는데 1부1처제가 시행되고 있었으며 여성의 사회진출도 상당히 활발했다. 또 맥주와 위스키 등 술의 소비도 합법이었으며 주류공장도 있었다. 까트 씹는 관습은 북예멘과 동일했지만, 이슬람 세계의 주말인 목요일과 금요일에만 허가되었다.#
남예멘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알옘다 항공은 1996년 북예멘의 플래그 캐리어인 예메니아 항공에 흡수되었다.
5. 부활?
2010년대 들어 북예멘을 시아파 후티 반군이 장악하고 남예멘을 수니파가 장악하는 형국이 이어지면서 재건국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남예멘 분리주의세력은 2013년 1월 14일과 2016년 4월 18일에 아덴에서 분리주의 시위를 벌였다.## 2015년 2월 25일에 사회주의 민병계열인 민중저항위원회가 남예멘 대통령관저를 장악한 적이 있었다.# 2017년 5월부터 남부과도위원회를 구성해 예멘 정부를 대신해 독립 정부 수립절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구 남예멘의 집권당인 예멘 사회당은 정부측에 남아 있다.
자세한 사항은 예멘 내전과 남부과도위원회 문서 참고.
[1] 지금도 남부과도위원회가 이 당시의 국기와 국장을 사용하고 있다.[2] 북예멘은 당시 인구 716만 명이었다.[3] UN 통계. 참고로 당시 북예멘은 384$였다.[4] 그래서 일명 아랍의 쿠바라고 불렸다. 아랍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국가는 꽤 있었지만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내건 나라는 중동에서 남예멘 뿐이었다.[5] 아라비아 반도의 유일한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라고 알려져 있지만 미승인국까지 합치면 오만 남부지역에 존속했던 반정부계 사회주의 단체였던 도파르 해방 전선(DLF, جبهة تحرير ظفار)이 있다. 이 반왕정 조직은 당시 오만의 국왕이였던 사이드 국왕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오만에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우려 했는데 1970년 사이드 국왕의 아들이었던 카부스 왕자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즉위한 이후 무력 진압을 펼치면서 흔적도 없이 궤멸하였다.[6] 구 남예멘의 국호와는 조금 다르다. 국호에서 '인민'이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