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555,#aaa | 초대 김의택 | 권한대행 김정두 | 2대 임채홍 |
권한대행·3대 최인영 | 권한대행 조기항 | 4대 김응조 | |
신한민주당 총재 ▶ | }}}}}}}}}}}}}}} |
강원도 제5대 민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계광순 | 박충모 | 김명윤 | 이찬우 | 이교선 | |
횡성 | 원성 | 영월 | 정선 | ||
양덕인 | 윤길중 | 태완선 | 장춘근 | 신인우 | |
철원 | 김화 | 인제 | |||
황학성 | 신기복 | 김준섭 | 김재순 | 김대중 | |
고성 | 양양 | 명주 | 삼척 | 울진 | |
김응조 | 함종빈 | 최준길 | 최경식 | 김광준 | |
* 홍천 이재학 자격 상실 (1961.2.21.) * 인제 전형산 자격 상실 (1961.3.8.) | |||||
◀ 제4대 제6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김석원 | 류광렬 | 백두진 | 김갑수 | 박상묵 |
서태원 | 이재형 | 박제환 | 윤재근 | 장익현 | |
이찬우 | 이교선 | 장춘근 | 황학성 | 김응조 | |
최준길 | 정인소 | 정상희 | 박병배 | 김영환 | |
전휴상 | 김성환 | 서민호 | 홍광표 | 김세영 | |
김시현 | 김종해 | 장택상 | 우돈규 | 신준원 | |
김기령 | 최영두 | 전석봉 | 이재현 | 임기태 | |
정해영 | 서정원 | 김봉재 | 김기용 | 윤종수 | }}} }}}}}} |
성명 | 김응조(金應祚) |
출생 | 1909년 10월 14일 |
강원도 고성군 | |
사망 | 1996년 9월 2일 |
학력 | 중앙고등보통학교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 (4기) 육군사관학교 (특7기)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 호는 위정(慰亭)이다.2. 생애, 활동
1909년 10월 14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태어났다. 중앙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1932년 만주 동북하얼빈교도학교 장교반을 졸업했다. 1936년 만주국 펑톈(현 중국 랴오닝 성 선양) 만주국육군군관학교를 제4기로 졸업하였다. 만주군 기병 소위로 임관하여 북지방면군사령부 공보처장 등을 지냈고, 1943년 중위로 화북흥아청향군 총사령관을 지냈다.[1]8.15 광복 후 귀국하여 전라북도 경찰국장으로 재직했고, 육군사관학교 특7기로 임관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6.25 전쟁 때 수도사단(현 수도기계화보병사단) 22연대장으로 참전하였고, 보병 제101사단장, 중부지구 정비사령관, 2군사령부(현 제2작전사령부) 정보처장 등을 역임했다.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1956년 김창룡 암살 사건과 관련하여 소환 조사를 받기도 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고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홍승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9년 자유당 나상근 국회의원의 국회의원직 상실(선거 무효 판결)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인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전형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고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도 고성군-속초시-양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종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에 강원도 고성군-속초시-양양군-인제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정일권에 밀려 탈락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강원도 고성군-속초시-양양군-인제군-양구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정재철 후보와 민주한국당 허경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5년 1월 민권당 대표최고위원이 되었으나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이 당선자를 내지 못하여 해산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1] 40년대 화북 지역 경력은 신뢰성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