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1 12:08:25

금영엔터테인먼트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노래방 반주기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한국 노래방 반주기 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 TJ미디어
한국 노래방 관련 회사 메이트엠박스 · 엔터미디어(ASSA노래방) · 오성미디컴 · 현대미디어
일본 노래방 반주기 회사 DAM · JOYSOUND(UGA) · E-bo
노래방 사업에서 철수한 회사 달콤파티 · 대흥전자 아리랑 · 디어유(SM브라보) · 스킷토 · 엘프 · 제이더블유 }}}}}}}}}
<colbgcolor=#8270db><colcolor=#fff> 금영엔터테인먼트
金永엔터테인먼트
Keumyoung Entertainment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국문 로고.svg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영문 로고.svg

The Sound Innovation, Keumyoung
정식명칭 (주)금영엔터테인먼트
영문명칭 Keumyoung Entertainment Co., Ltd
설립일 1983년 8월 (남경실업)[1]
1989년 8월 31일 ((주)금영)
2016년 2월 12일 ((주)금영그룹)[2]
업종명 기타 음향기기 제조업
대표이사 이석현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기업 규모 중소기업
소재지 본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43 (가산동, 가산어반워크 2차) 1702호
공장: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산단5로 36-19 (달산리)
링크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 파일:KYSing.png | 가방 | 쥬크5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1. 개요2. 특징
2.1. 팝송2.2. 일본곡2.3. 기타 외국곡2.4. 월드컵 3D댄스영상2.5. 기타
3. 특수곡4. MIDI 음원 모듈
4.1. 지원 중4.2. 지원 종료
5. 가사책6. 인터넷 연결 여부 확인 방법7. 사가 - 금영(琴映)의 노래8. 노래방 수록 목록9. 인증장치
9.1. 인증장치 종류
10. 곡 신청 게시판11. 제품 종류
11.1. 출시 연도별 분류11.2. 시리즈가 있는 노래반주기 목록11.3. 시리즈가 없는 노래반주기 목록
12. 노래방 서비스13. 가동 업소14. 로고 변천사15. 비판 및 문제점16. 사건사고 및 논란
16.1. 이적표현물 논란16.2. 노래방 사업 매각16.3. 김진갑 회장의 횡령과 탈세 및 해외도피
17. 여담18. 같이 보기

1. 개요


구 회사소개영상 (영어)


CF (SKY 시리즈 후기형에서 볼 수 있다.)
The Sound Innovation, Keumyoung
대한민국노래방 노래반주기 및 노래 반주 콘텐츠 제작을 주로 하는 회사로, TJ미디어와 함께 한국 노래방 산업의 양대 산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작업을 받아 음악 콘텐츠를 만들거나 음반 제작을 위한 녹음 스튜디오도 운영하며, 소프트웨어 미디 사운드 모듈인 KG-LiVEN에 대한 연구도 하고 있다.

경쟁사인 TJ미디어인천광역시의 카오디오 업체로 시작하여 수도권충청권을 중심으로 성장한 것과 달리, 금영은 부산광역시에서 업소용 게임기(아케이드 케이스) 및 관련 부품[4]을 만들며 성장한 업체다. 2024년 기준으로는 잔존 기체가 거의 없으나 폐업한 부산 두꺼비 오락실에서 금영제 아케이드 기통이 현역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개인이 소장 중인 경우도 있다. 제작, 아케이드 게임 유통[5] 이후 노래방 기기를 만들어 성공한 업체이기 때문에 영남권, 특히 동남권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했다.[6] 현재 금영 반주기만 설치된 코인 노래방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7]

1990년대 말부터 2010년 중순까지 한국 노래방 시장에서 꾸준히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던 회사였으나,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노래방 영업권이 CCMT에 매각된 다음, 신설 법인을 설립하여 오늘날의 금영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전의 금영을 구 금영이라 따로 칭하기도 한다.

2018년 중순부터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으나 하지 못했다. 2019년 당시 상장을 시도한 많은 회사들이 상장 미승인 낙인을 피하기 위해서 자진철회를 한 것인데 금영엔터테인먼트도 그렇게 자진철회를 해서 상장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

2. 특징

초창기에는 고성능/고품질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다른 경쟁사에 비해 반주의 품질이 좋은 편에 속했다. 그러다가 고성능 미디 음원(SC-88)을 처음 탑재하고 코러스 기능을 가진 기기를 출시했는데 이 기기가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이후 선두주자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부터 TJ미디어가 약진하기 시작하면서 그렇다 할 차별점들이 점점 사라지게 되었고, 2016년 1월에는 매각 사건까지 겹쳐 결국 TJ미디어에게 1위 자리를 내주었다. 금영 업소용 반주기 중 음원이 괜찮은 제품이라고 한다면 필통 600, KMS-A300, KMS-K70R(II), KMS-Q500R 정도이다. 2010년대 후반 이후의 최신곡 기준으로는 TJ미디어가 빠르게 업데이트되어 많은 곡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1990년대~2000년대 중반까지는 TJ미디어보다 엄청났던 신곡 업데이트 분량과 누적 곡들이 훨씬 많았다.[8]

2.1. 팝송

2.2. 일본곡

2000년대 초반에는 TJ미디어에 일본곡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되어 있던 관계로 많은 오덕들이 TJ미디어 반주기를 사용하는 노래방을 주로 이용했지만 이것이 자극이 되었는지 2006년 말부터 폭발적으로 일본곡 업데이트를 늘리기 시작해서 유명한 곡들은 물론이고 인기도가 높지 않은 곡들 역시 두 반주기에서 모두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따라잡게 되었다. TJ미디어는 2011년을 기준으로 애니송, 보컬로이드 곡의 수록을 평균 수준으로 줄여나가는 추세였고, 그 틈을 타 금영은 계속해서 일본 애니송을 수록했다. 2015~16년경만 해도 애니송이 TJ미디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심지어 사이트에 애니송 목록 책자를 업로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60시리즈 이상 적용곡이라는 방식으로 TJ미디어에서도 2016년을 기점으로 애니송 및 보컬로이드 곡을 대거 올리면서 그 차이가 꽤나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TJ미디어의 노력이 있는 상황에서 금영엔터테인먼트의 선곡 품질이 어느 시점을 기점으로 대폭 낮아지고 TJ에서는 금영의 선곡 정책을 벗어나는 신곡이 늘어나다 보니 TJ에는 있는데 금영에는 없는 곡들이 조금씩 늘어나는 상황이다. 하지만 2022년 후반부터는 TJ보다 먼저 수록되는 곡들이 늘어나고 있고 애니/보컬로이드/우타이테 등 어느 정도 수록하고 있는 편이다. 또 SC-8820(SSC 포함) 음원 한정으로 이펙터를 추가한 반주가 추가되고 있다.

대다수의 일본곡의 반주와 코러스, 가이드 보컬을 일본 JOYSOUND에서 가져온다.[13] 2010년 4월 금영의 신곡 포스터에 "국내(한국) 최초 일본곡 신곡 연습 서비스 개시!"라고 쓰인 것을 보았을 때, XING[14]과 계약한 듯 하며, 이때부터 일부 곡의 코러스와 가이드 보컬(가수)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덕분에 일본곡에서는 거의 코러스를 찾아보기 힘든 TJ미디어와 비교하면 확연히 코러스가 많이 들어가 있으며, 가수 모드가 지원되는 곡도 일부 있다. 특히 옛날 일본곡의 경우 두 회사에 모두 수록되어 있을 경우 TJ미디어의 초창기 수록곡[15]과 금영의 초창기 수록곡[16]을 비교하면 금영의 반주 퀄리티가 대체적으로 높은 경우가 많다.[17] 또한 TJ의 경우 공식 가사를 채택하지 않아 독음과 후리가나의 오표기 및 누락이 잦고, 가타카나 가사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등 전반적인 일본곡의 가사 표기가 뒤죽박죽인 TJ미디어에 비해서는 훨씬 정확한 편이다.

오래된 곡들 중 일부 반주는 예전 UGA와 반주가 비슷하고, UGA의 반주가 기본적으로 키가 내려가 있거나 심지어 BPM을 UGA 측에서 틀려놓은 것까지 똑같이 틀려 놓는 등 UGA에서 반주를 받아 온 듯한 흔적도 있다.[18][19] 이러한 현상은 UGA가 XING에 인수되면서, 자연스럽게 금영의 거래처가 XING에서 운영하는 JOYSOUND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주로 사용하던 SAM9708, 대부분의 가정용 반주기와 차량용 반주기에서만 사용하는 SAM2533 음원은 낮은 성능 탓에 다운그레이드된 반주가 주로 사용되며, KG-LiVEN(PRO) 음원에서는 사운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롤랜드 사운드 캔버스 SC-88은 그나마 낫고, SC-8820(SSC 포함) 음원은 괜찮은 소리가 난다.

일본곡은 2주마다 목요일에 수록하고 있다. 금영엔터테인먼트 반주기에서 일본곡을 자주 부를 경우 목요일에 신곡 목록을 체크한다면 유용하게 일본곡 신곡을 파악할 수 있다. 신곡 목록 체크는 구 모바일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편하다. 수록되는 곡 수가 유동적이고 60시리즈 이상 모델 적용곡까지 있는 TJ미디어에 비해 일본곡이 적게 수록된다. 2019년 7월 이전까지는 10곡씩 수록됐었다가 이후 13곡으로 늘었던 기간도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10곡으로 롤백되었다. 지금은 5곡씩 수록 중이다.

곡 제목이나 가수명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편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기는 μ’s를 제대로 표기하지 않고 u's로 표기한다.

일본어 가사 발음 표기는 TJ미디어와는 다르게 국립국어원 일본어 외래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약간 개량하여 사용한다. 기존의 국립국어원 일본어 외래어 표기법와 차이가 있다면 "つ" 를 "츠" 나 "쯔" 라고 적는 정도. 그리고 폰트상의 문제로 춋이나 캿 같은 완성형 이외의 문자는 촛이나 캣[20]처럼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장음을 표기할 때는 한음절 더 사용하여 표기하고, 외래어의 경우에는 원어 발음 그대로 적거나 -로 표기한다. 예)どうして -> 도오시테, ピンボール -> 핀보-루, フィロソフィー -> 필로소피

2.3. 기타 외국곡

중국곡, 베트남곡, 필리핀곡, 연변곡, 러시아곡, 태국곡, 인도네시아곡 등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곡 수는 엄청나게 적은 편이다. 코러스 HDD와 SKY 시리즈는 중국곡, 베트남곡, 필리핀곡만 존재하며, 필통 이상부터는 앞에 언급된 종류의 곡들이 다수 업데이트되었고, LiVEN (Q500R 포함) 이상부터는 연변곡, 태국곡, 인도네시아곡[21]도 추가되었다. 하지만 신곡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초기화된 상태로 수록된 곡만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당 곡들은 필통 이상 기준으로 리모컨으로 반주기에 직접 검색하면 나오며, TJ미디어와는 달리 금영 홈페이지에서는 검색이 전혀 불가능하다. 또한, 해당 곡들만 수록해놓은 외국곡 전용 목록책이 존재하나, 대부분의 업소에는 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중국 사람들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찾는 노래방에 가야 접할 수 있다. 또한, 책자에 수록된 곡이라도 후속 반주기에서는 여러 사정으로 인해 삭제되어 연주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코러스는 극소수의 중국곡만 지원한다.

2.4. 월드컵 3D댄스영상





SKY 시리즈부터 추가되었으며 필통 시리즈까지 나온다. 필통 시리즈는 월드컵 관련 곡을 선곡하면 나온다.
===# 지원 종료 #===
====# 매직펜 #====
파일:금영 매직펜 포스터.png
파일:금영 매직펜 가사책.jpg
매직펜용 가사책

2007년 4월에 출시된 볼펜처럼 생긴 리모컨으로 필통 시리즈에 잠깐 있었다. 모델명은 KRP-100.

====# kiwi #====
파일:1000055288.jpg

2013년경에 나왔다가 서비스 종료한 디지털 포스터로 종이 포스터를 대체하는 TV형 포스터이다. 금영 계열사인 KY미디어에서 운영했다.

====# KPOP VRZON(부르존) #====
KYG-2121VR에 있는 기능으로 디지털 기술이 완벽하지 않던 1999년에 나온 TWINKLE 아케이드 기판이 생각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주 연주와 노래방 화면을 생성해 화면을 데스크탑(DM500T8A-A516B 모델)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데스크탑은 노래방 화면을 입력받고 VR 컨텐츠와 노래방 화면을 VR 그래픽으로 연산해 삼성 HMD 오디세이+로 송출한다. 반대로 VR 컨트롤러를 통한 컨트롤을 데스크탑이 받아 노래방 리모컨 다루듯이 컨트롤한다.

2.5. 기타

3. 특수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영엔터테인먼트/특수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특수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특수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MIDI 음원 모듈

역사적으로 미디 음원 종류가 많은 편이고, 음원에 따라 다른 반주를 사용해 성능 차이가 있다. 모든 음원이 똑같은 악기를 사용하는게 아니어서, 변환을 제대로 하지 않아 악기가 잘못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신곡 공급 중인 음원들 중에서는 SAM9708과 KG-LiVEN 음원에서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대표적으로 일본곡에 한해서 JOYSOUND의 고사양 미디 반주를 공급받고 제대로 된 다운그레이드 없이 대충 작업하여 발생한 문제이다. 또한 KG-LiVEN 음원은 bismark가 개발한 및 DLS 소프트웨어 음원 엔진인 bssynth를 베이스로 개발되어 있는데, 미디엔진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다양하지 않다. 상세 내용은 KG-LiVEN 문서 참조.[* Dream SAMxxxx 음원처럼 GS의 일부 규격만 지원한다. 이러한 음원은 GS와 제대로 호환되지 않는다.

아싸와 TJ미디어가 사용했던 야마하 FM음원을 사용한 반주기는 없다.

노래반주기의 음원 모듈 부분은 따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미디신호와 디지털 음원 신호를 사용하다 보니 2019년부터 여러 커뮤니티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그중 대한민국 레트로 커뮤니티에서 금영 코러스 SAM9703은 음원 보드가 작고 DAC가 내장되어 있어서 단순히 선만 연결할줄 알면 도터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해서 2020년 말부터 많이 손대고 있다.[64] 이후 SAM칩보다 난이도가 높은 사운드 캔버스 시리즈들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알맞는 구형 DAC칩이 필요하다보니 초창기에는 프로토타입만 만드는 정도였지만 지속적인 연구 끝에 SC-55와 SC-88 둘 다 구형 사운드카드에 연결하는 도터보드 컨버터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이렇게 되어 신곡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거나 밀려 반주기로서 가치가 낮지만 사운드 보드 부분에 개조가 용이한 기기들은 많이 분해가 되어 씨가 마르게 되었다. 이러한 성향은 일본에서도 있는건지 비슷한 노래방 기기용 SC-88 보드를 기반으로 완전한 제품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일본 옥션에서 판매된 적이 있었다.

4.1. 지원 중

4.2. 지원 종료

5. 가사책

6. 인터넷 연결 여부 확인 방법

나의 애창곡 버튼 조작 시

7. 사가 - 금영(琴映)의 노래

<nopad>
금영(琴映)의 노래

8. 노래방 수록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영엔터테인먼트/노래방 수록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노래방 수록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노래방 수록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금영엔터테인먼트 노래방 수록 목록
100~10000 101~ 1000 | 1001~ 2000 | 2001~ 3000 | 3001~ 4000 | 4001~ 5000 | 5001~ 6000 | 6001~ 7000 | 7001~ 8000 | 8001~9000 | 9001~10000
10001~20000 10001~11000 | 11001~12000 | 12001~13000 | 13001~14000 | 14001~15000 | 15001~16000 | 16001~17000 | 17001~18000 | 18001~19000 | 19001~20000
20001~30000 20001~ 30000
30001~40000
40001~50000
50001~60000
60001~70000 60001~ 61000
70001~80000
80001~90000
90001~99999

9. 인증장치

신곡을 받을 때 한달 이상을 갱신하지 않으면 새로 들어온 신곡의 연주를 거부하는 인증 시스템이다. 보통 이 인증을 갱신하는 것을 "인증을 넣는다", 반대로 갱신이 필요하지만 갱신되지 않는 것을 "인증이 밀린다"라고 한다. 기존에 있던 곡을 연주하기 위한거라면 꼭 인증을 갱신할 필요는 없지만 인증이 갱신되지 않는다는 것은 곧 신곡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것이고, 업소에서 신곡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영업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과금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나름 저작권 보호 장치로서 저작권료를 징수하는 시스템이기도 한데, 이것을 팔아서 일부 수입을 한국음악저작권협회로 넘기고,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선곡 횟수를 집계하여 횟수에 따라 작곡가 등 저작권자에게 분배한다고 한다.

금영의 인증장치는 흔히 리듬 게임 등지에서 말하는 해금과 비슷하게 작동된다. 미래에 사용될 예정인 신곡 번호를 인증장치를 통해서 미리 잠가둔 다음, 신곡인증이 진행되면 해당되는 일부분을 풀어주고 해금되지 않았다면 곡이 있어도 연주를 거부하는 원리이다. 다만 모든 신곡 번호를 잠가두지는 않고, 일부 곡 번호대역만 잠가둔다. 금영은 오프라인 신곡 파일이 출시와 동시에 인증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다보니 일정 기간 유예기간을 주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증장치가 이런 원리로 작동하다보니 가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거에 잠궈져 있던 대역이 불명의 이유로 잠금 해제되어 인증하지 않고 선곡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신곡이 공급 중인 금영의 노래반주기는 설정에서 데이타롬 넘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신곡 인증이 언제까지 되어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신곡 인증이 많이 밀리게 되면 반주기 가격보다 인증 갱신 비용이 더 비싸게 나올 수 있어서 그런 경우에는 인증 갱신을 포기하고 최신곡까지 인증이 되어 있는 다른 반주기를 새로 구매하는 편이 더 싸게 먹히는 경우도 있다. 1년 이상 인증이 밀린 경우에는 금영 서비스센터를 통해 갱신 및 신곡 업데이트 작업을 하게 되는데, 금영 공식으로는 현금가로 24만원을 받는다고 한다.[73]

9.1. 인증장치 종류

업소용 하드웨어 인증 방식 (단종)
전용 IC칩을 노래반주기에 장착하여 인증을 갱신하는 방식이다. 말 그대로 실물 IC칩을 노래방마다 돌아다니면서 갈아줄 필요가 있었고 그 일을 담당하는 노래방 딜러라는 직업이 존재한다.
업소용 토큰 인증 방식
스마트 인증이라 부른다. 더 이상 순서대로 물리적인 무언가를 구할 필요가 없어진 대신 이브온라인플렉스처럼 "토큰"이 필요하다. 토큰 1개당 1대의 데이타롬 넘버를 하나 올릴 수 있으며, 다른 딜러하고 주고받는 거래가 가능하다. 금영이 대리점으로 판매하는 도매가는 11,000원 이하이며, 대리점에서 토큰을 판매하는 가격은 대리점마다 조금 다르지만 보통 13,000원 정도 한다. 인증 난이도가 올라가면서 노래방 딜러라는 직업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딜러가 인증을 대행할 경우 20,000원 이상 받아서 좀 말이 많은 편.
가정용 하드웨어 인증 방식
가정용 기기는 업소용 기기와 다르게 신곡이 얼마나 밀리든지 상관없이 무조건 신곡팩 인증기간으로 올라간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if external != "o"
[[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uuid=7bbf9c6a-878a-443c-9374-8864361e4f3b|r3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uuid=7bbf9c6a-878a-443c-9374-8864361e4f3b#s-1.1|1.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from=34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if external != "o"
[[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uuid=7bbf9c6a-878a-443c-9374-8864361e4f3b|r3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uuid=7bbf9c6a-878a-443c-9374-8864361e4f3b#s-1.1|1.1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금영엔터테인먼트/SKY 시리즈?from=34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if external != "o"
[[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uuid=0b000109-1e37-4c81-8dd3-c568a5cd539a|r569]]}}}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uuid=0b000109-1e37-4c81-8dd3-c568a5cd539a#s-3|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금영엔터테인먼트/코러스 시리즈?from=569|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0. 곡 신청 게시판

TJ미디어와 마찬가지로 금영에도 곡 신청 게시판이 있고 추천 수를 받는 시스템이 있으며 금영 매거진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낮지만 참고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거의 한 달에 5곡만 정해서 수록되는 일본곡의 경우 유행이 끝나면 수록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팬들이 지속적으로 요청한 곡의 경우 같은 아티스트나 계열사 곡이 들어올 때 끼워팔이로 들어오는 경우가 간혹 있기는 하지만 1년에 한 두번 있을까 말까한 가뭄에 콩 나듯한 수준이라 큰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 좋다.

==# 관련 앱 #==

11. 제품 종류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금영엔터테인먼트 제품 및 서비스 목록
{{{#fff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금영엔터테인먼트 반주기의 종류
가정용 수출용
뮤직파트너 코러스 SKY 필통 LiVEN
금영엔터테인먼트 주변기기의 종류
앰프 스피커 마이크 딤머
리모컨 모니터
금영엔터테인먼트 관련 문서
수록 목록 특수곡 서비스 JOYSOUND
}}}}}}}}}}}} ||



뮤직파트너 시리즈와 코러스 시리즈, SKY 시리즈, 필통 시리즈, LiVEN 시리즈, 마지막으로 외국으로 수출되는 수출용 반주기로 나뉜다.

11.1. 출시 연도별 분류

출시연도[75] 1991 1996 1997 2003 2006 2007 2015 2016 현재
뮤직파트너 시리즈
코러스 시리즈
SKY 시리즈
필통 시리즈
LiVEN 시리즈

11.2. 시리즈가 있는 노래반주기 목록

11.3. 시리즈가 없는 노래반주기 목록

12. 노래방 서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영엔터테인먼트/서비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서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서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가동 업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영엔터테인먼트/가동 업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가동 업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영엔터테인먼트/가동 업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로고 변천사

파일:kumyoung_before2003.jpg 파일:kumyoung_2003_2016.jpg
1989~2003 2003~2018[76]
파일:keumyoung_2016_2020.jpg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국문 로고.svg
2018~2020 현재 (2020년 말~)

15. 비판 및 문제점

===# 신곡 지원이 종료된 기기만의 문제점 #======# 해결된 문제점 #===

16. 사건사고 및 논란

16.1. 이적표현물 논란

중국 수출용 반주기에서 북한을 찬양하는 노래가 수록되어 대한민국에 등장한 것이 2015년 확인되었으며, 김일성, 김정일을 찬양하는 찬양가요와 북한 체제 선전 찬양가요가 일부 수록되어 있다.#

중국판 말고도 보통 노래방에 있는 한국의 금영 반주기에도 기러기떼 날으네, 반갑습니다, 휘파람 등 체제선전성이 없는 북한가요가 수록되어 있다. 남북정상회담 시기에 신곡으로 수록되었고, 금영 자체에서 올린 유튜브 동영상도 있었으나 상기된 내용이 보도된 후 동영상은 삭제되었다.

이에 대하여 금영 측에서는 북한 노래가 수록된 반주기는 금영에서 정상적으로 제작된 반주기가 아니며, 해당 반주기는 대한민국에서 불법이므로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밝혔다.

대다수의 금영 노래반주기 설정에 있지만 한국 내수용에서는 아무런 용도가 없는 MPEG 반주 볼륨 설정이라는 기능이 존재하며 수출용 노래반주기를 위한 기능이라고 설명서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실제로 중국 수출용 기기에 필요한 기능이다. 이적표현물은 MPEG 반주 기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기능이 있는 이유는 중국과 북한의 노래방 시스템에는 영상물 형태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금영 KMS 이상에서 연변가요 곡번호대역은 19000번대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중국 수출용 기기에서 이적표현물이 존재하는 곡번호 대역이다.

정리하자면 한국 금영의 도움을 받고 있는 금영의 중국 지사에서 본사가 있는 나라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수록했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 이후 공개적으로 중국 수출용 기기를 역수입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사라지게 되었다.

16.2. 노래방 사업 매각

2016년 1월 12일에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게 음원 저작권료 15억원을 미납한 관계로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측에서 음악 저작물 사용 계약을 해지해 버렸다. 하지만 금영 측에서 사실을 부인했으며, 그 해 2월까지 신곡을 업데이트하다가 결국 소송에서 패소했다.

결국 2016년 2월에 사업 다각화의 실패로 인한 적자를 만회 하고자 노래방 사업을 다른 곳으로 매각하고 말았다. 당시 체납된 저작권 사용료가 15억원에 이른다고 하며 그 밖의 부채와 세금, 저작권료까지 포함한 매각 가격은 약 1,000억여 원에 이른다.

금영 노래방 사업 총괄 책임자의 공식입장은 "당사는 매각을 통해 서비스 종료가 아닌 새 이름으로 이어 나갈 예정"이라 밝혔다. 이후 같은 해 2월 25일에 금영의 노래방 사업부를 셋톱박스 업체 CCMT가 인수한다고 밝혔고, 이후 4월 5일에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밀린 저작권료를 완납하면서 신곡 업데이트가 가능해졌다. [88]

앞에서는 사업 다각화라고 표현했으나 실제로는 경쟁사 인수합병 시도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2009년 7월, 회장이 변호사 이씨와 함께 경쟁사 태진미디어 인수를 시도했다. # 독과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퍼 컴퍼니를 세워 가계약을 진행하다가 코스닥 상장된 건설사를 인수해 본계약을 체결하려 하였으나, 막판에 태진 측의 계약 파기로 실패했다.

이 변호사는 건설사 명의로 다른 코스닥 상장사인 휴대폰 부품업체를 인수하고 대표에 취임했는데, 부품업체에서 횡령을 일삼다 결국 상장폐지되고 말았다. 이로 인한 손해는 건설사를 거쳐 금영에까지 미쳤고, 결국 금영은 이 사건 이후 한국 노래방 시장에서 2위로 떨어져 예전의 명성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16.3. 김진갑 회장의 횡령과 탈세 및 해외도피




회사 자체 기술인데도 전현직 직원들이 세운 업체에 사용료를 낸 뒤 일부를 개인 계좌로 돌려받는 등 회삿돈을 빼돌린 정황이 드러났으며 회장 아들이 세 들어 있던 가게의 임대 계약을 회사가 이어받으면서 그 아들한테 권리금 1억을 줬다는 의혹도 있다.
게다가 회장은 경찰 수사 도중 소환에 불응하고 해외로 도피해[89][90] 외교부에 여권 무효화 조치와 인터폴에 적색 수배 요청을 한 상태이다. 회장은 두바이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금도 회사 급여를 받고있으며 생활비는 대부분 법인카드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도 회장과 회사측에 수십억 원 규모의 추징세금을 통보하고 조세포탈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17. 여담

18. 같이 보기


[1] 1986년 8월에 "금영산업"으로 사명 변경[2] 2018년에 "(주)금영엔터테인먼트"으로 사명 변경[3] 이전에는 다른 채널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새 계정이 만들어지고 2020년 3월 경에 채널이 삭제되었다.[4] 1983년에 "남경실업"으로 시작하여 아케이드 기통의 컴퓨터 게임기와 테이블 축구 게임기, 펀치 머신 등을 만들었다.[5] 계열사인 주식회사 에이티를 통해 퀴즈 365를 유통했으며 금영 공장에서 제조한 DYNAX 기판에 완전 한글화 및 현지화를 거쳐 유통했다.[6] 실제로 필통 시리즈 일부 기종(2021년 후반까지는 KMS-A/K/Q 이상도 포함됐다.)에서 영상을 자연으로 설정해 두고 곡을 오랫동안 재생했을 때 부산쪽 영상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구 해운대역사, 해동용궁사, BEXCO, 부평깡통시장, 금정산, 범어사,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등이 나온다.[7] TJ미디어가 1시리즈 이후 모델을 출시할 때, 저가형 모델에 코인노래방 기능을 넣지 않은 관계로, 금영을 설치한 코인 노래방이 조금이나마 늘었다고 한다. 양사 관련 문서의 가동 업소 하위 문서를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8] 지금은 신인들의 곡이 제작되기 많이 까다로운 편인데 당시의 금영은 무조건적으로 제작해줬다. 그래서 예전 수록곡 중에 TJ미디어엔 없고 금영에만 있는 곡들이 많은 편이다.[9] 일례로 투투의 '니가 내것이 되 갈수록'을 비교해보면 금영의 경우는 중간의 랩 가사가 모두 들어가 있는데 비해 TJ미디어의 경우는 가사가 없이 반주만 나온다. 금영 TJ[10] In-C 악보로써, 일반적인 밴드스코어 악보를 나타낸다.[11] 재 수록 이전[12] 재 수록 이전[13] 일본곡 코러스는 2006년 후반부터 지원이 시작되었다.[14] 엑싱이라 읽으며, JOYSOUND 브랜드를 사용한다.[15] 6000~6900번대 및 25000~29000번대(27000~29000번대의 경우 60시리즈 이상 적용곡 포함)[16] 40000~43000번대(필통곡 및 필통 히든곡 포함)[17] 두 회사가 각자 다른 버전으로 수록된 곡들은 예외.[18] # 해당 영상은 UGA 반주기를 녹화한 걸로 추정되는 영상이다. 유튜브에 올라와있던 영상이지만 삭제되었다. 영상의 UI가 UGA의 UI와 상당히 비슷하며, 삭제 전, 유튜브 채널 설명란에 30년 전의 노래방 반주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일단 이 영상의 금영 반주기의 음원이 아닌 이유는, 이 곡에서 ROOM 드럼을 금영에서는 쓴 적이 없다. 그런데도 BPM은 똑같이 틀려놓고 반주가 상당히 비슷하다. 금영 반주 그러나, 지금은 반주가 업데이트 되어, 반주도 바뀌고 BPM도 원곡과 같아졌다. 현 금영 반주[19] # 마찬가지로 같은 채널에 올라온 영상인데 이 곡은 반주 기본 키가 원곡 키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금영도 마찬가지이다. 금영 반주[20] 캿치보루 → 캣치보루[21] 태국곡, 인도네시아곡은 2025년 4월부터 추가[22] 뮤직파트너 내에서 중복곡 둘 다 선곡되고 같은 곡인데 반주 악기가 다르다.[23] 코러스 이후에 복각된 곡이다. 복각 전에 똑같은 번호를 받기고 하고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기도 한다.[24] 이 때문에 릴리 앨런이 노래(63161번 Fuck You)는 Xuck You로 등재되어 F가 아닌 X에서 찾아야 한다.[25] 85141번 곡 인생극장 B형의 경우, 영어로 된 욕은 필터링하지 않았다.[26] 일례로 슈퍼키드의 어쩌라고(85486)의 경우는 '씨발 좆도'라는 가사가 'X발X도'라 필터링되어 있다.[27] 해당 부분 가사는 통계학은 x 까이다.[28] 해당 부분 가사는 Fxxk you bxxxx다.[29] 특이하게도 코러스가 아니라 아예 비트 자체에 삐소리가 포함되어 있다. 원곡 자체에 해당 부분들이 검열되어 있어서 그런 듯.[30] 특이하게도 해당 부분 가사 십새는 X로 필터링이 안되어있는데도 삐소리가 난다. 그런데 정작 래원 파트 가사 중 촌시러워 x신아 부분은 삐소리 검열을 안했다.[31] 그런데 정작 훅 가사 중 Fxxx your thinking은 검열을 안했다.[32] 입실 멘트 중 하나는 영화 변산에 나온다.[33] 퇴실 멘트의 경우, 필통 시리즈는 4개로, KMS-A/K/Q /시리즈부터는 2개로 줄어들었다. 숨겨진 1개[(필통 시리즈에서 SKY 시리즈에 나오는 '회사 부도' 언급 퇴실멘트(후술)를 대체하는 퇴실멘트로 추정된다.)는 무궁화호 카페열차 미니콘서트룸에 있었던 KMS-K70(필통 150B 후기형 교체분)에서만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입실 멘트의 경우, 곡 시작 지연 등으로 인해 꺼두는 경우가 많다[34] 초기 코러스 100~300의 경우 코러스 1000~3000에서 모델명이 뜰 때의 폰트로 '코러스 *00'이라고 뜨지만 후기 코러스 100~300은 코러스 HD 시리즈의 폰트로 'CHORUS *00 NEW'라고 뜬다.[35] 부팅 시에도 '육성코러스'라는 문구와 함께 나온다.(하지만 코러스 ROM&CD형 반주기들은 로고로 뜬다.부팅)[36] 지금은 이 주소를 치면 금영 CUG 인트라넷 사이트로 접속된다.[37] 100(II), 200(II), 300(II, III, H)의 경우에는 "금영하면 코러스, 코러스는 역시금영"이라는 문구가 나왔으나, 2001년 ~ 2003년경에 변경되었다. 그리고 1000, 1500, 2000, 3000의 경우는 "노래를 부르면서 다이어트, 코러스 다이어트 반주기"라는 문구가 나온다.[38] 필통 시리즈는 금영 산업용조명 광고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39] 하지만 SC-88을 사용한 코러스 시리즈는 벨소리 광고 대신 구 금영로고만 나오는 경우도 있다. SKT 통신사만 지원되었다.[40] 2016년 하반기부터 ##80이 나오는 문구가 삭제되었다.[41] 필통 시리즈에서는 2021년 하반기에도 표출되었다.[42] 소문자 및 대문자 표기는 반주기에 따라 다르다.[43] 예전에는 코러스 100계열도 반주기에 '선곡해 주십시오'가 나왔으나, 2001년 ~ 2003년경에 '선곡하십시오'가 나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4] 예전에는 KMS-K70~KMS-Q300도 '선곡하십시오'가 나왔으나 연도 미상부터 '선곡해 주세요'가 나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5] 참고로 하나로 시리즈 이전의 아싸와 대흥은 공통적으로 남인수의 가거라 삼팔선이고, Dream 21(V)은 인사곡인 어서오십시요 1이며, DreamQ 시리즈와 TJ미디어는 경기도 아리랑이다. 엘프는 이광조의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다. SM브라보는 아싸 Dream 21(V)과 동일하다.[46] 공식적으로 이에 대해 이유를 밝힌 적은 없지만, 일부 수출용 기종에서는 이 대역에 시스템 사운드가 들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47] 801~999까지 또 다시 가나다순으로 배정되었다.[48] 하지만 남진의 님과 함께, 나훈아의 님 그리워(각각 648, 649번곡)는 초기 번호 대역 곡 중 하나지만 후술할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규칙을 따라갔을 경우 261, 262번 또는 851, 852번 곡으로 배정되었을 것이다.[49] 코러스 88(II, III), 코러스 99(II)에서는 '저작권 쟁의로 서비스가 중단됩니다' 라고 표출되었다.[50] 4만번대 대역 전체 소진으로 인해 지금은 2만번대를 사용 중이다.[51] 57831부터 해당되는 대역이며, 50000~57830까지는 공번이다.[52] 2002년~2006년에 사용되었으며, 지금은 67XXX번대가 67024를 제외하고 공번이다.[53] 76001부터 사용. 70000~76000는 공번이다.[54] 6만번대의 경우 2002년경 최초로 5자리 곡번호를 가진 노래가 등장했을 때 사용되었던 대역이기도 하다.[55] 40XXX~44XXX번대에 해당된다. 45XXX~49XXX번대는 한국가요 번호로 배정되었다.[56] 4만번대 대역 전체 소진으로 인해 2023년 11월 신곡부터는 7만번대를 사용중이다.[57] 85063~85074. 85066~85069, 85071은 제외.[58] 원래는 KMS-A/K/Q 시리즈 이상도 해당되었다.[59] LiVEN 시리즈 중/후기형은 출시 초기부터 나왔다.[60] 미디에서 동양 전통악기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경우는 일본곡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일례로, GARNiDELiA의 대표곡 중 하나인 桃源恋歌(도원연가)(곡번호 44296)를 보면 초반에 동양의 전통 현악기인 얼후(二胡)가 등장하는데, 이 부분이 반주기에서는 미디 환경상의 문제로 불가피하게 바이올린으로 대체되었다.[61] 서울 거리에서 촬영된 영상 중 현수막에 2005년이라는 연도가 써진 것이 있다.[62] 삼바페스티벌, 장래희망체험전, 발명왕 에디슨 등[63] 참고로 벡스코 영상은 KHK 시리즈에서도 등장한다.[64] 비슷하게 태진미디어의 WOW-7300 III 기종도 가능하다. D 모델은 사운드보드에 붙어있어서 소형화가 힘들다.[65] 원본 반주와 악기 구현에서 차이가 나다 보니 품질이 낮은 반주가 재생된다. KG-LiVEN(PRO)보다 한 수 아래라고 봐도 좋을 정도의 악기 재현률을 보여준다.[66] 롤랜드 음원칩 중에서 비교적 나중에 나온 칩셋으로 이 음원칩을 사용하면 보통 Roland SuperNATURAL 음원이라고 부른다. (LiVEN 반주기에 적혀있는 SUPER NATURAL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렇지만 이 모듈은 SC-8820 기능으로만 작동한다. 히타치 SH-3 기반이라는 이야기가 있다.[단종] [단종] [단종] [단종] [71] 다른 사가는 일본 브레이크 공업 사가.[72] '가수' 모드를 적용하면 육성 음원 재생이 가능하다.[73] 여담으로 TJ미디어의 경우에도 1년 이상 인증이 밀릴 경우 금영과 마찬가지로 24만원을 받는다. 카드 결제 시 265,000원.[74] 대리점 등을 통해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75] 각 라인업의 마지막 제품의 출시연도까지 표시했다.[76] 2016년 경에 영문 사명을 Keumyoung으로 개정하였다.[77] 예약된 곡 목록을 표시[78] 가사가 틀리게 적힌 경우도 있다. 예컨대 65816번 "내님은 예쁜새" 2절 끝에 "외로이 혼자 울며"가 내마음이 걱정돼도로 오표기 되어있는 것이다. 그리고, 1741번 멸공의 횃불의 경우, 3, 4절이 들어가야 할 자리에 1, 2절이 들어가 있다.[79] 특히 2002년에 제작된 반주들의 문제가 심각한데, 가사를 틀리게 표기한 경우가 상당히 많고 전주를 원곡과 다르게 만든 경우도 존재한다. 전자의 경우는 장나라의 'Sweet Dream'(9059)이나 보아의 'Valenti'(9099)에서, 후자의 경우는 이수영의 '빚'(9165)에서 그렇다. 전자의 경우는 뮤직뱅크에서 잘못 표기된 가사를 그대로 반영했기 때문에 생긴 문제점으로 추정된다.[80] 정확히는 배경영상 선택창 중 어린이 영상 선택창이 성인 영상 선택창으로 바뀐다.[81] 그래서인지 간혹 가사 자막 글꼴을 항상 아이리스체로 나오게 고정하는 업소도 있다.[82] 적은 용량(500GB)의 HDD(KMS-Q300, KMS-S90(N, B)) 혹은 128/256GB SSD(KMS-S70, KMS-S700(N))를 사용하는 기종이 많기에 용량이 부족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추정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83] 게다가 1TB 기종도 삭제 명령을 동일하게 받는다. 사실 배경영상 파일 삭제는 TJ미디어에도 있지만 그쪽은 기간이 만료될 때만 삭제된다. 금영의 경우에는 계약 만료 등의 이유로 추정된다.[84] 대부분의 영상이 자연영상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영상 왜곡 효과가 적용되어 있고, 매우 번쩍거린다. 그래서 일부는 사실상 모션그래픽에 가깝다.[85] 필통 시리즈는 영상설정을 자동/스타라이브로 해 두고 일부 곡을 선곡했을 때만 적용된다.[86] apk 파일로 다운로드하기만 가능하다.[예시] 곡번호 18177번의 啼笑姻缘(제소인연: ti xiao yin yuan)이라는 중국곡으로, 가수는 邓志驹(등지구: deng zhiju)이다.[88] 그러나, CCMT도 금영을 인수할 정도의 규모인 회사가 아니다. CCMT가 셋톱박스 회사이지만 CCMT에서 만든 셋톱박스에 대한 전파인증이나 안전인증 정보도 없고, 실물도 없다. 인수 이후 금영 부산 본사를 부산 외곽으로 이동했는데, 금영 부산 본사가 있는 해당 위치네이버 거리뷰로 보면 금영엔터테인먼트의 부산 본사에는 금영 상징이 하나도 없으며 옆에 공장 부지에만 금영 로고가 박혀있다. 이후 본사를 다시 서울의 금영빌딩으로 지정했다.[89]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수사를 시작했지만 모종의 이유로 출국금지 조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90] 체포영장을 신청했지만 2차례 기각 당한 뒤 3월 17일에 영장이 발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