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이란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민족 | 인도이란인 | |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 페르시아인(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 | |
누리스탄인 | ||
인도아리아인 | 다르드인(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사라이키인) | 벵골인(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라지푸트) | 힌두스탄인(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 | |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 ||
독립국 | 타지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이란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인도 | 스리랑카 | 네팔 | 몰디브 | 모리셔스 | 남오세티야(미승인국)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쿠르디스탄( 로자바 |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발루치스탄(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 |
사회문화 | ||
언어 | 인도이란어파 | |
사상 |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 |
신화 |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 |
남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인도인 | 파키스탄인 | 방글라데시인 | 스리랑카인 | 네팔인 | |
티베트인 | 파슈툰인 | 펀자브인 | 타밀인 | 벵골인 | ||
로힝야 | 카슈미르인 | 브라후이족 | 발루치인 | 신드인 | ||
펀자브인 | 누리스탄인 | 자트인 | 싱할라인 | 파샤이인 | ||
구자르인 | 구자라트인 | 라지푸트 | 마라티인 | 몰디브인 | ||
사라이키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인도 흑인 | 고안 가톨릭 | ||
콘칸인 | 파르시 | 셰르파 | 문파족 | 문다인 | ||
베다족 | 납파족 | 칼라쉬인 | 하자라인 | 아프가니스탄인 | ||
부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인도 유대인 | 파미르인 | 와키인 | ||
텔루구인 | 툴루족 | 부루쇼인 |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간 키질바시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1. 개요
고안 가톨릭은 인도의 서쪽에 있는 고아에 거주하는 천주교도 인도인들이다.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군 콘칸어를 사용하되 여타 콘칸인들과 구별되는 가톨릭 신도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2. 기원
콘칸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 중 하나인 고아는 16세기부로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고, 다른 포르투갈 식민지와 마찬가지로 반강제적인 가톨릭 개종 정책이 시행되었다. 당시 포르투갈은 체계적인 해외 식민지 주민 통치 노하우가 부족했고 현지인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킨 후 선원이나 군인 등 식민지 운영 인력으로 징집하는 방식으로 식민지를 운영하였다. 상당수의 포르투갈인들이 현지 고안 가톨릭 여성들과 결혼하였고 이러한 연유로 이들은 이름을 지을 때 포르투갈식으로 작명한다.남아시아에는 고아 이외에도 포르투갈인들이 건설한 해안 식민지가 적지 않았으나, 뭄바이의 경우 1661년 포르투갈의 카타리나 공주가 영국의 찰스 2세와 결혼하는 과정에서 지참금으로 넘겨주었고, 후술하는 말라바르(케랄라)의 식민지들의 경우 네덜란드가 현지 그리스도인(동방가톨릭, 오리엔트 정교회)들과 포르투갈 가톨릭 사이의 갈등을 조장하여 분리시켰으며, 스리랑카 역시 네덜란드가 집어삼켰다.[1] 포르투갈의 구자라트 지역 식민지들(다만, 디우, 다드라, 나가르하벨리)은 구자라트 내 다른 항구 도시들에 밀려서 비중이 적었고, 결국 남아시아에서 포르투갈이 전해준 가톨릭 정체성을 보존한 집단으로는 고아의 가톨릭 신도들이 남게 되었다.
3. 종교
비교하자면 인도 케랄라 지방의 그리스도인들은 포르투갈인들의 유입 이전 페르시아인이나 그리스인들에 의해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사람들로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나서도 오리엔트 정교회의 전례를 유지하는 동방 가톨릭 교회 혹은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해있다면,[2] 이들 고아의 가톨릭 신도들은 동방 가톨릭교회가 아닌 일반적인 가톨릭 신도로서 로마 전례를 공유하는 편이다.4. 해외 진출
비교하자면 스페인의 필리핀 도독령이 실질적으로 중국계 필리핀인들에 의해 운영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포르투갈의 아시아 식민지들 역시 고안 가톨릭 같은 인도 현지 그리스도인들이 식민지 운영 인력의 핵심이었다. 근세 포르투갈이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있던 것도 아니고, 포르투갈 식민제국 입장에서는 머나먼 인도양 식민지에서 믿을 사람들이라고는 유럽 본토에서 파견한 소수의 포르투갈인 병력과 현지인 가톨릭 신도들밖에 없었다.[3]고아는 포르투갈이 점령하기 이전부터 아라비아 반도에서 수입한 말을 남인도로 공급하는 창구 역할을 맡았고, 숙련된 뱃사람들이 적지 않았다.[4] 고아의 가톨릭 신도들은 선원 혹은 군인으로 징집되어 포르투갈의 아시아 식민지 각지로 파견되었고, 이 외에도 적지 않은 수가 아프리카 혹은 아소르스 제도나 마데이라 제도, 포르투갈 본토에 정착하였다.
5. 여담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이후 고아가 인도 공화국 영토로 귀속된 이후에는 힌두교도나 무슬림들도 고아에 많이 들어오고, 가톨릭교도들도 힌디어를 생활어로 많이 배우긴 한다. 현재 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부터 살던 노인들이나 쓰지 대다수의 가톨릭교도들도 영어나 힌디어를 더 많이 쓴다.에어아시아를 설립한 걸로 유명한 말레이시아의 기업인 토니 페르난데스(기업인)가 아버지로부터 고아인 혈통을 불려받았다.
6. 관련 문서
[1] 여담으로 네덜란드는 스리랑카를 점령한 이후 현지 불교도나 무슬림들과 힌두교도들은 관용하되, 상술한 이유로 친포르투갈파로 여겨지는 가톨릭교도들만 집중 탄압하였다.대항해시대 유럽인 맞나?[2] 자세한 내용은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등 문서 참조[3] 이를테면 1594년 7월에서 10월까지 스리랑카 중부 단투레(Danture) 전투에 소집된 포르투갈 병력 중에서 본토 출신 포르투갈인 병력과 아프리카 흑인 병사들은 다 합쳐서 1천여 명 전후 규모에 불과했고 나머지 병력 중 15,700여 명은 인도나 스리랑카의 가톨릭교도였다.[4] 케랄라의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인들 역시 남인도에서 향신료 무역을 하던 뱃사람들이었다. 문제는 대항해시대 당시 가톨릭 교조주의 성향이 강했던 포르투갈에서 네스토리우스파를 인정하지 않고 이들을 이단이라고 탄압함과 동시에 돈도 안주는 주제에 군인이나 선원으로 마구 징집했던 것. 결국 포르투갈의 압제에 분노한 케랄라의 그리스도인들은 (포르투갈을 견제하려는) 네덜란드의 주선 하에 이라크와 시리아의 다른 오리엔트 그리스도인들과 연락을 회복하고 포르투갈과 절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