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3:21:46

견용검

후백제의 왕자
[[틀:후백제의 왕자/견훤 ~ 견신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666, #008080 20%, #008080 80%, #00666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견신검 · 견양검 · 견용검 · 견금강 · 견종우 · 왕자 · 견능예 · 견청구 · 왕자
}}}}}}}}}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후백제 견훤의 왕자
견용검 | 甄龍劍
출생
(음력)
연대 미상
사망
(음력)
936년(?)[1]
묘소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본관 전주 견씨
용검(龍劍) / 용술(龍述)(?)
국적 백제(百濟)고려(?)
부모 부왕 견훤
모후 상원부인
형제자매 견신검, 견양검
남동생 견금강, 견능예
누이 견애복
품계 좌승(佐承)
직위 무주 도독(武州 都督) }}}}}}}}}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후삼국시대 후백제왕족으로 견훤의 셋째아들이자 아자개의 셋째손자. 이름은 삼국사기에 따르면 견용검으로 삼국유사에 인용된 "이제가기"에는 비슷한 이름인 용술(龍述)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술(述)이 쇠(金)의 음차기 때문에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기록에서는 형으로는 견신검, 견양검이 있고 아우로는 견금강, 여동생 애복(哀福), 막내동생 능예(能乂) 등이 있었다.

2. 생애

견훤이 넷째 아들인 견금강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이찬 벼슬인 능환의 말에 따라 견양검과 함께 견신검을 설득하여 견훤을 폐위금산사에 유폐시키고 견금강을 죽이고 견신검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으며 이후 무진주 도독으로 있었다. 그러나 견훤의 신변을 확보한 후 견훤을 앞세운 고려군의 공격으로 일리천 전투에서 패배하자 견신검, 견양검과 함께 고려에 항복하였으며 형인 견양검과 함께 진주(眞州)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되었다.

3. 기타

용검의 이름이 형 견신검, 견양검처럼 검(劍) 돌림이고, 견훤의 4남 견금강과 막내아들 견능예는 그렇지 않은 것을 보아 신검&양검&용검은 동복형제이고, 금강과 능예는 이복형제일 가능성이 높다. 사서에서 견훤은 왕건이 그러했듯이 여러 호족의 딸과 혼인하여 10명의 아들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제1차 왕자의 난신의왕후 한씨의 아들 대부분이 가담한 이유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4. 대중매체에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80, #008080 20%, #008080 80%, #008080)"{{{#!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8080><tablebgcolor=#008080> 파일:견훤비석음영.png견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be673><colcolor=#fbe673>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생애 · 일리천 전투
가족 부친 아자개
아내 상원부인
장남 견신검 · 차남 견양검 · 3남 견용검 · 4남 견금강 · 7남 견능예
관련 문서 후백제 · 검교태위 · 신라 서면도통
매체 대중매체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삼국사기에서는 왕건후백제멸망시킨 후에 용검을 살려주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일설에는 죽였다는 각주도 덧붙이고 있어 생몰년도가 확실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