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14:13:23

유전체

게놈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절연체'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誘電體에 대한 내용은 전도체 문서
2.1.2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분자생물학·생화학
Molecular Biology · Biochemistry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17845> 기반 생물물리학 · 물리화학 (둘러보기) · 분자화학 (유기화학 · 무기화학 · 고분자화학) · 수학 (미분방정식 · 이산수학 · 매듭이론)
기본 물질 아미노산 (카복실산) · 리간드
유전체 유전체 기본 구조 아데닌 · 타이민 · 구아닌 · 사이토신 · 유라실 · 리보스 · 디옥시리보스 · 뉴클레오타이드 (핵산)
유전체 혼합 구성 인트론 · 엑손 · 오페론 · 프로모터
유전체 세부 종류 RNA MRNA · TRNA · RRNA(리보솜) · 리보자임 · miRNA · siRNA · RDDM
DNA A형 구조 · B형 구조 · Z형 구조 · Alu · 게놈 · 텔로미어 · 유전자 · 유전자 목록
관련 물질 효소 보조인자 · 조효소 (NADH · NADPH · FAD) · 뉴클레이스 · 디하이드록실레이스 · 레닌 · 루비스코 · 루시페레이스 · 라이소자임 · 라이페이스 · 말테이스 · 셀룰레이스 · 아데닐산고리화효소 · 아밀레이스(디아스타아제) · 역전사효소 · 트립신 · 펩신 · 유전체 중합 효소 · 리보자임 · 미카엘리스 멘텐 방정식
제어 물질 사이토카인 · 신경전달물질 (ATP) · 수용체 (GPCR)
기타 뉴클레오솜 · 히스톤 · 프리온 · 호르몬 · 샤페론
현상 및 응용 물질대사 · 펩타이드 결합 (알파 헬릭스 구조 · 베타병풍) · 센트럴 도그마 · 전사 (전사 인자) · 번역 · 복제 · 유전 알고리즘 · 유전 부호 · 대사경로 · TCA 회로 · 산화적 인산화 · 기질 수준 인산화 · 해당과정 · 오탄당 인산경로 · 포도당 신생합성 · 글리코겐 대사 · 아미노산 대사 · 단백질 대사회전 · 지방산 대사 · 베타 산화 · RNA 이어맞추기 · 신호전달 · DNA 메틸화 (인핸서) · 세포분열 (감수분열 · 체세포분열) · 능동수송 · 수동수송 · 페토의 역설 · 하플로그룹
기법 ELISA · PCR · 돌연변이유도 · 전기영동 (SDS-PAGE · 서던 블로팅 · 웨스턴 블롯) · 유전체 편집 (CRISPR) · DNA 수선 · 바이오 컴퓨팅 (DNA 컴퓨터) · DNA 시퀀싱 · STR · SNP · SSCP
기타 문서 일반생물학 · 분자유전학 · 생리학 · 유전학 · 진화생물학 · 면역학 · 약학 (약리학 둘러보기) · 세포학 · 구조생물학 · 기초의학 둘러보기 · 식품 관련 정보 · 영양소 · 네른스트 식 · 샤가프의 법칙 · 전구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ff, #9966ff)"
'''[[집단유전학|집단유전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 기반 학문
유기화학 · 생물학(분자생물학 · 유전학 · 계통 생물학) · 수학​(선형대수학 · 미분적분학 · 수치 해석학 · 자료구조) · 통계학
<colcolor=#000,#fff> 기반 및 법칙
멘델 유전 법칙 · 자연 선택 · 유전적 부동(유전자 병목현상 · 창시자 효과) · 유전자 흐름(종분화 · 고리종) · 하디-바인베르크 법칙(멘델 집단) · 집단구조 · F-통계량(FST · FIS ·FIT) · 발룬드 효과 · 할데인의 딜레마 · 베르그만 법칙 · 알렌 법칙 · 볼프의 법칙 · 로지스틱 방정식 · 먹이사슬 · PCR · SNP(SSCP · AFLP · RFLP · RAPD ·) · STR · 인간 게놈 · 인간 게놈 프로젝트 · Fitness landscape · 피셔의 자연선택의 기본정리 · 무한 대립유전자 모델 · Ewens의 추출 공식 · Watterson 추정량 · 타이포스트로피 변형 · 힐-로버슨 간섭
현상 & 연구
진화(수렴적 진화 생태적 지위 · 지위의 미세분화 · 공동진화 · 포괄 적합도) · 고고학(고대인류 · ANE · 아나톨리아 수렵채집인 · ANS · WSHG · EHG · WHG) · 종분화-생식적 격리( ) · 인류 분산 경로 · 어족(우랄-알타이어족 · 알타이 제어 · 우랄어족) · 생활양식(수렵채집인 · 반농반목 · 유목민 · 농경민) · 문화(말타-뷰렛 문화) 상 염색체 다양성 · 베스터마르크 효과 · 형질(어깨너비 · · 피부색 · 두형) · 질병(바이러스 · · 정신질환 · 유전병) · 하플로그룹(하플로그룹/집단 · 하플로그룹 지도)
하플로그룹
Y-DNA (부계) <colcolor=#000,#fff>하플로그룹 A · 하플로그룹 BT(하플로그룹 B · 하플로그룹 C · 하플로그룹 D · 하플로그룹 E · 하플로그룹 F · 하플로그룹 G · 하플로그룹 H · 하플로그룹 I · 하플로그룹 J · 하플로그룹 K (Y-DNA) · 하플로그룹 L) · 하플로그룹 M · 하플로그룹 NO(하플로그룹 N · 하플로그룹 O) · 하플로그룹 P · 하플로그룹 Q · 하플로그룹 R
mt-DNA (모계) 하플로그룹 D (mt-DNA)
관련 문서 & 개념
유전자(유전체 · 성염색체) · 유전자 검사(23And me, 유후) · 인종(북유럽인 · 북아시아인 · 동남아시아인 · 동유럽인 · 동아시아인 · 서유럽인 · 서아시아인 · 남유럽인 · 남아시아인 · 북아프리카인 · 아프리카인) · 민족(에스니시티) · ISOGG
}}}}}}}}}}}} ||

1. 개요2. 어원 · 표준표기법 논란3. 상세
3.1. 바이러스 유전체3.2. 인간 유전체
3.2.1. 최초의 한국인 유전체 해독 및 해석
3.3. 식물 유전체
4. 유전체 지도5. 같이 보기6. 외부 링크7. 관련 기사

1. 개요

유전체란 생명체의 핵 속에 들어있는 유전정보의 전체를 말하며 유전체를 주로 연구하는 학문을 유전체학이라고 한다. 포유동물의 경우 약 2만에서 3만개의 유전자와 그 유전자를 제어하는 다양한 서열과, 게놈을 구조적으로 유지하는 더 다양한 서열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는 원래 1개의 배우자에 존재하는 염색체 1쌍, 또는 이 1쌍의 염색체에 포함되는 유전자 전체를 가리키는 말. 오늘날에는 이 정의가 확대되어 각기의 유전자를 일괄적으로 포함하는 박테리아·바이러스·미토콘드리아 또는 DNARNA의 단일분자도 유전체라고 부른다.

게놈을 구성하는 염색체는 생물의 종(種)에 따라 일정한 숫자로 이루어지며, 게놈 속의 1개 염색체 또는 염색체의 일부만 상실해도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해서 생물의 게놈 구성을 밝혀내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DNA 속에 들어 있는 염기서열 중에서 생물의 유전적 특징을 결정짓는 염기서열을 밝혀내 지도로 만들고, 이를 연구·분석하는 것인데, 이를 게놈 계획이라 부른다. 게놈 계획은 난치 유전질환 등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는 반면, 생명윤리를 위태롭게 한다는 지적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세계 각국에서 게놈 계획이 진행되어 30여 종에 이르는 생물체의 게놈 정보가 밝혀졌고, 한국에서도 1996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인간 게놈 계획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고, 2008년 가천의대 암당뇨연구소의 김성진 박사팀과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의 박종화 박사팀이 공동으로 최초의 한국인 게놈을 분석했다.

모든 생물의 세포에는 핵이 있고 핵 속에는 일정한 수의 염색체가 있으며, 염색체 안에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 정보를 가진 DNA(핵산)가 있다. 이러한 DNA를 포함하는 유전자 또는 염색체군(群)을 일컬어 게놈이라 하는 것이다.

2. 어원 · 표준표기법 논란

유전자를 뜻하는 gene에 염색체 chromosome의 뒷부분을 잘라 붙인 말이다. 나중에 이 -ome 접미사는 각종 단위의 생명정보 총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생되어 전사총체(transcriptome), 단백질총체(proteome), 외유전체(epigenome), 미생물체(microbiome) 등의 무수한 파생어를 낳았다.

독일식 발음으로 음차하면 ‘게놈’, 영어식 발음으로 음차하면 ‘지놈’이다. 그래서인지 표준표기법 관련으로 ‘게놈 vs 지놈’ 논쟁이 끊임없이 이어지곤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게놈’으로 등록되어 있으므로 표준 표기법은 ‘게놈’이다.

독일어식은 염색체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단어는 1920년 함부르크 대학교의 식물학 교수 한스 빙클러가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어를 직역한 대부분의 과학용어들의 한자 번역어와는 다르게, genome의 한국어 번역어로 ‘유전체’라는 말을 만들어 낸 것은 한국생화학학회장이었던 한국과학기술원 강창원 명예교수다. 처음에 강창원 교수가 1990년대 후반에 이 용어를 만들어내기 전까지는 공식적으로 ‘게놈’이란 단어를 사용했으나(유독 중앙일보만은 영어 발음인 '지놈'을 끝까지 밀어붙였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법조문에는 모두 유전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일본어중국어로 genome은 완전히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일본어로는 genome의 독일어 발음을 음역한 ゲノム(게노무)이며, 중국어로는 유전자를 gene을 음역하면서 의미도 같이 부여한 基因(지인)이라 하기 때문에 基因组(지인즈)라 한다.

3. 상세

3.1. 바이러스 유전체

최초로 유전체가 해독된 생명체는 다름 아닌 박테리오파지이다.

1972년 벨기에의 월터 피어스 연구팀이 박테리오파지 MS2의 피막단백질 유전자를 해독했고, 1976년에는 MS2의 RNA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했다. (유전체 크기 : 3500 염기쌍)

1982년에는 프레드 생어가 DNA 바이러스인 람다파지의 유전체를 해독했다.

3.2. 인간 유전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간 유전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는 해당 유전체를 해독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3.2.1. 최초의 한국인 유전체 해독 및 해석

2008년 가천의대 암당뇨연구소의 김성진 박사팀과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의 박종화 박사팀이 공동으로 최초의 한국인 게놈을 분석했다. 김성진 박사팀은 일루미나 GA2를 이용하여 해독을 하였고, 박종화 박사팀은 생명정보학을 이용한 분석을 담당하였다. 이 해독/해석의 결과는 게놈리서치 2009년 5월호에 발표되었다.

2009년 12월에는 서울대의대의 서정선 박사팀이 두 번째 한국인 (무기명) AK1을 공개했다. AK1의 논문은 데이터 공개에 앞서 2009년 7월에 네이쳐에 발표되었다.
최초의 공개된 여성게놈 해독 (2010년 4월)
2010년 4월에 테라젠 바이오연구소와 미국 하버드의 PGP는 공동으로 최초의 인간 여성 게놈을 해독/분석하여 공개했다. 그 전에는 해독을 했다고 해독사실을 공개한 여성 게놈은 몇 개가 있었으나, 실제로 게놈 서열을 공개한 것을 로잘린 길 박사의 테라젠 바이오 연구소의 게놈이 유일했다.
2014년 게놈연구재단과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에서 지식경제부의 원천기술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인 표준 유전체로 KOREF를 만들었다. 2014년부터 국가생물자원정보센터(KOBIC)에 공개되었고, 2016년 미국의 NCBI에 최초의 표준 한국인 유전체로 등록되었다.

2016년 10월,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와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한국인 개인의 게놈을 최고 정밀도로 해독해, '아시아인 표준 유전체 지도'를 구축했다.#

3.3. 식물 유전체

전세계 약 370,000 여종의 식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중 1% 정도만이 유전체 분석이 완료되었다.
현재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식물유전체 해독 프로젝트가 수행되고 있으며, 미국은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분석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
중국은 CNGBdb에서 1K 프로젝트 및 10K 프로젝트 등 식물유전체 데이터를 활발하게 분석, 수집하고 있다.

현재까지 식물 유전체를 분석하여 논문에 투고한 현황을 정리한 사이트는 하단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plabipd.de/timeline_view.ep

4. 유전체 지도

유전체 지도는 유전체 전체의 정보를 담은 것을 뜻한다. 어떤 종의 유전체를 전부 해독했다는 말은 어떤 종의 유전체 지도를 확보했다는 뜻이다.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Personal Genomics Home page
게놈 프로젝트 관련 사이트들
한겨레 신문 2009년 1월달 개인유전체관련 기사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7. 관련 기사

'부모없는 아기탄생?'…인간게놈 합성 프로젝트 공식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