犬 개 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犬,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ケン | ||||||
일본어 훈독 | いぬ | ||||||
- | |||||||
표준 중국어 | quǎ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필순 |
[clearfix]
1. 개요
犬은 '개 견'이라는 한자로, 동물 '개'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개 |
음 | 견 | |
중국어 | 표준어 | quǎn |
광동어 | hyun2 | |
객가어 | khién / khián | |
민동어 | kēng | |
민남어 | khián | |
오어 | qyoe (T2) | |
일본어 | 음독 | ケン |
훈독 | いぬ | |
베트남어 | khuyển |
개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개를 가리키는 한자는 犬말고 狗(개 구)자도 있다. 뜻이 비슷하지만 엄연히 차이가 있는데, 본래 犬자는 큰 개, 狗자는 작은 개, 즉 강아지를 의미하는 한자였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대에 들어서 이러한 구분이 희미해졌고 거기에다 狗자가 犬자에 밀려 자주 쓰이지 않게 되면서 차이점이 거의 없어져버렸다.
그나마 중국어에서는 犬자와 狗자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잘 사용하는 중이다. 다만 중국어에서는 이 둘이 다른 맥락에서 구분되는데, 犬자가 개의 종류나 개라는 아종에 속하는 부류들을 일컫는 문어적인 느낌이 강하다면, 狗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가리킬 때, 즉 구어적인 느낌이 강하다.(즉, 보통 개를 가리킬 때는 犬자보다 狗자가 더 옳다!) 또한 狗자는 비속어적인 뉘앙스도 포함되어 있다.
大(큰 대)자와 생김새가 닮았다. 실제로 제1공화국 때 한 신문사에서 犬자를 大자로 잘못보고 犬統領이라고 오타를 내는 바람에 대참사가 일어났다고... 또한 太(클 태)자와도 혼동에 주의하자. 부수(犭)로 쓰이는 경우 扌자를 변으로 하는 글자와 혼동할 수 있다. 심지어 이 두 부수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 둘이 많이 쓰인 한문 문서가 OCR에서 서로의 변을 바꿔서 인식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령 위에서 나온 狗자가 拘로 둔갑한다든지.
예로부터 개는 중요한 식품이기도 했으며, 특히 제사에 올리는 품목이었으므로, 일부 한자에는 이러한 의미가 남은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개고기를 굽는 모습을 형상화한 然자, 제사에 개고기를 바치는 모습을 본뜬 獻자 등이 있다.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犬자의 부수형태로는 개사슴록변(犭)이 있다. 개견방도 있는데 모양은 犬자 그대로이다. 개견부는 강희자전에 94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444개가 있다. 여담으로 獄(옥 옥)은 개견변과 방이 둘 다 있다.[1] 설문해자에선 㹜(개 서로 짖을 은)자부가 따로 있었으나 이후 㹜자부가 犬자부에 통합된 결과.
개사슴록변이나 개견방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동물(특히 식육목)과 관련된 것을 뜻하는 경우가 많은데 狗(개 구), 猫(고양이 묘), 猯(삵 단), 狼(이리 랑), 狐(여우 호), 獥(이리새끼 격), 獸(짐승 수), 獵(사냥 렵), 獁(짐승이름 마), 猶(오히려/원숭이 유), 猿(원숭이 원) 등이 대표적이고 상술한 것처럼 獻(드릴 헌) 역시 제사에 개고기를 바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리고 성격이 격하거나 사나운 감정을 드러낼 때에도 이 부수가 쓰이곤 하는데 狂(미칠 광), 獨(홀로 독), 猜(시기할 시), 猖(미쳐 날뛸 창), 獗(날뛸 궐), 猝(갑자기 졸) 등이 있으며 猛(사나울 맹) 자는 동물과 사나운 감정 둘 다 해당되는 한자이다. 이외에도 이 부수를 쓰는 한자로 犯(범할 범), 狀(형상 상), 獄(옥 옥), 獲(얻을 획) 등이 있다.
오늘날의 시각에서는 비판받는 사항으로, 다른 민족을 나타낼 때에도 이 부수를 쓴다(狄오랑캐 적 자가 대표적).
'개사슴록변'이라는 이름에는 별 상관없는 '사슴록'이 들어가 있어서 의문을 자아내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문신 강세황의 저술인 표암고(豹菴稿)에 서술되어 있다.
鹿邊俗以犭邊書之。 此則犬邊非鹿邊也。 其誤始於鹿邊其字粦字之省而從犬邊。 認是鹿邊皆當如此。 他字之從犬邊者。 亦從以混稱鹿邊。
鹿변을 통속적으로 犭변으로 쓰는데 이것은 犬변이지 鹿변이 아니다. 이런 잘못은 鹿변의 麒자와 麟자를, 생략하여 犬변을 따라 (猉獜으로) 쓴 데서 비롯됐다. 이 鹿변을 다 이와 같이 쓰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다른 글자 중에 犬변을 따르는 것 또한 이렇게 鹿변으로 섞어 칭하고 있다.
즉, 사슴록(鹿)자가 획이 복잡하므로 사슴록변을 개견변으로 바꾸어 약자로 쓰는 관습이 존재했는데[2] 이 때문에 犭변은 원래 개견변일 수도 있고 사슴록변의 약자로 쓴 것일 수도 있으므로 섞어 부르게 되었다는 얘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견'이라는 본래의 음은 부수 명칭에서 사라져 버렸다.[3]鹿변을 통속적으로 犭변으로 쓰는데 이것은 犬변이지 鹿변이 아니다. 이런 잘못은 鹿변의 麒자와 麟자를, 생략하여 犬변을 따라 (猉獜으로) 쓴 데서 비롯됐다. 이 鹿변을 다 이와 같이 쓰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다른 글자 중에 犬변을 따르는 것 또한 이렇게 鹿변으로 섞어 칭하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뜻이 뜻이다 보니 당연히 인명용으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일본에는 이누즈카(犬塚), 이누카이(犬養) 등 犬자가 포함된 성씨가 실존한다.- 고샤마인(胡奢魔犬,胡奢魔]犾,胡奢麻尹,胡奢魔尹) - 15세기 인물인 고삼아이누(?)를 일본측에서 비하 표기
- 마니와 케후켄(真庭 狂犬)
- 이누가미 미코토(犬神 命)
- 이누바시리 모미지(犬走 椛)
- 이누보자키 이츠키(犬吠埼 樹)
- 이누야마 마나(犬山 まな)
- 이누야마 유이치(犬山 裕一)
- 이누야마 이누코(犬山イヌコ) - 본명은 아님.
- 이누야마 준코(犬山 純子)
- 이누야샤(犬夜叉)
- 이누이 하이네(犬井 灰根)
- 이누이 호타로(犬亥 鳳太郎)
- 이누즈카 아사나(犬塚 あさな)
- 이누즈카 츠바사(犬塚 翼)
- 이누즈카 키바(犬塚キバ)
- 이누카미노 미타스키(犬上 御田鍬) - 최초의 견당사 파견단.
- 이누카이 쓰요시(犬養 毅) - 일본의 29대 내각총리대신
- 이누카이 코무기(犬飼こむぎ)
- 이누카이 이로하(犬飼いろは)
- 이누호오(犬鳳凰)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大(큰 대)
이 글자와 모양이 비슷하다보니 일본이나 중국 등 여전히 한자표기가 일반적인 지역에서는 큰 대자가 들어간 이름을 가진 인물 또는 기구에 점 하나를 붙여 멸칭으로 쓰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시다다와 이케다 다이사쿠. - 夫(지아비 부)
- 尤(더욱 우)
- 丈(어른 장)
- 太(클 태)
7. 여담
[1] 획수를 셀 때는 앞의 犭을 기준으로 해서 犬 부 11획으로 센다.[2] 사슴록변을 왜 하필 개견변으로 대체하게 되었는지는 위 문헌에도 나와 있지 않다. 아마도 다소 억지스럽지만 사슴과 개가 동물로서 같다는 점, 犭변이 워낙 획수가 적고 쓰기에 간편하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3] 부수를 칭할 때는 '훈+음+부수의 유형'의 순서를 따른다. '亻'의 경우 '사람+인+변'이 되는 식. 이 방식을 적용하면 '犭'은 '개+견+변'도 되고 '사슴+록+변'의 약자도 되는데, 둘을 함께 이르는 과정에서 '사슴'은 뒤에 위치함으로써 이어지는 음인 '록'이 남았으나, '개'는 앞에 위치하게 되어 '견'이 사라지게 되었다. 굳이 정석대로 이르면 개사슴견록변[4] 犾(개가싸울 은)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