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9:30:42

강우일

파일:jkTo56y.jpg
천주교 제주교구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지목구장)
현 하롤드 헨리 주교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6)
2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1982)
3대
김창렬 바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2002)
4대
강우일 베드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20)
5대
문창우 비오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 ||
강우일 베드로 주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CI.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노기남 바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1973)
2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3~1975)
3대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5~1981)
4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1987)
5대
김남수 안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93)
6대
이문희 바울로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6)
7대
정진석 니콜라오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9)
8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2)
9대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5)
10대
정명조 아우구스티노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11대
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8)
12대
강우일 베드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4)
13대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20)
14대
이용훈 마티아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 ||

역대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국 가톨릭의 교계 제도 확립 (1962년)
경갑룡
요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1984)
김옥균
바오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2001)
강우일
베드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2002)
최창무
안드레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9)
염수정
안드레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12)
이한택
요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4)
김운회
루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10)
조규만
바실리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16)
유경촌
티모테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순택
베드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21)
손희송
베네딕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24)
구요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이경상
바오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황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교구장 주교, 녹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보좌 주교.
}}}}}}}}}||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출신 교구장 주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국 가톨릭의 교계 제도 확립 (1962년)
성명 주교
수품
교구장
역임
교구장
착좌
원형근 아드리아노 * 1927 대전 1962
경갑룡 요셉 1977 대전 1984
강우일 베드로 1986 제주 2002
최창무 안드레아 1994 광주 2000
이한택 요셉 2002 의정부 2004
염수정 안드레아 2002 서울 2012
김운회 루카 2002 춘천 2010
조규만 바실리오 2006 원주 2016
정순택 베드로 2014 서울 2021
손희송 베네딕토 2015 의정부 2024
* 경성대목구 부대목 출신으로 경성대목구 대목, 대전대목구 대목 역임. 대전대목구 대목 재임 중 정식 교계 제도 확립으로 교구장 주교 착좌.
}}}}}}}}}||

4대 천주교 제주교구
강우일 베드로
姜禹一 | Peter Kang U-il
파일:강우일 베드로 주교.jpg
출생 1945년 10월 12일 ([age(1945-10-12)]세)
경기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재임기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1] 1986년 2월 14일 ~ 2002년 10월 7일
제주교구[2] 2002년 10월 8일 ~ 2020년 11월 22일
파일:강우일_문장.jpg
네 생명 주께 맡기고 그를 바라라.(시편 37(36,5))

1. 소개2. 생애
2.1. 사제가 되기까지2.2.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시절2.3. 제주교구장 시절
3. 이모저모

[clearfix]

1. 소개

강우일 주교의 일생을 정리한 기사(SBS. 2020년 7월)

한국 가톨릭의 제4대 천주교 제주교구 교구장 주교. 세례명베드로이다.

서울특별시 출신으로 외할아버지 오위영은 정치가, 막내이모 오현주 베르나데트는 1959년 미스코리아 진이다.

2. 생애

2.1. 사제가 되기까지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인해 집안 전체가 일본으로 이민을 떠났다. 일본에서 대학입시를 준비하던 중에 신부가 될 결심을 하고 일본 도쿄조치대학 신학부에 입학했다. 이 시절 은사 중 한 분이 예수회 테오도르 게페르트 신부였으며, 이분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의 조치대학 유학 시절 은사이기도 했다.1 2 그 후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74년 12월 9일 사제품을 받고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사제가 되었다.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중림동 약현성당명동성당 보좌신부를 지냈고 1977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교구 교육국장과 홍보국장을 지냈다. 1985년 8월 30일부터 난곡동 성당 주임신부로 사목하던 중 1985년 12월 2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고 1986년 2월 14일에 주교품을 받았다.

2.2.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시절

주교가 된 후 1987년부터 1996년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전례위원장을 맡았다. 당시 미사경본 개정 작업과 함께 삼위일체의 3번째 위격인 Spiritus Sanctus의 번역을 성신(聖神)에서 성령으로 바꾸는 일 등에 앞장섰다.[3]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성심여자대학교(성심수녀회에서 운영하던 가톨릭미션스쿨)와 통합한 가톨릭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지냈다. 한국 천주교에서 주교급 성직자가 대학 이사장이 아닌 총장을 맡은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었으며, 그리하여 1995~1997년까지의 가톨릭대학교는 이사장이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총장이 강우일 베드로 주교, 부총장이 신부와 수녀인 라인업을 보유했다. 이 라인업의 중추였던 강 주교는 통합 가톨릭대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서울대교구의 의지를 보여주며, 두 대학을 통합하다 보면 으레 나올 수 있는 학교 내부의 혼란을 말끔히 해결하였다. 강 주교는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인 '2005 플랜'을 세우고 새 교과과정을 실시했으며, 국외 각 대학들과의 적극적인 교류 확대를 이루어내는 등 학교 운영을 매우 잘했다고 평가받는다.

1999년부터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장을 맡아 북한과의 교류를 다각적으로 시도했으며, 2001년 12월부터는 교구의 거의 모든 살림을 맡아 하는 서울대교구 총대리 겸 교구청장으로 임명받아 충실히 수행하여 차기 교구장과 대주교 더 나아가 차기 추기경으로 각광과 기대를 받았다.

2.3. 제주교구장 시절

2002년 7월 28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강 주교를 천주교 제주교구 제4대 교구장으로 임명하였고, 10월 8일에 제주교구장에 착좌하였다.

2005년 서울대교구정진석 니콜라오 대주교와 춘천교구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과 함께 차기 추기경 후보에 올라갔다. 당시 강우일 주교의 나이 만 60세였으며, 이미 70대였던 정진석 대주교와 장익 주교보다 비교적 젊었다. 또한 강우일 주교는 1985년부터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봉직하며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을 오랜 시간 보좌했으므로 어느 누구보다 서울대교구의 사정을 잘 알고 있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부의장과 2008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을 맡아 진보적 발언을 많이 하고 있으며, 신자들에게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2014년 8월 14일 ~ 8월 18일까지 진행된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추진위원회장을 지냈다. 특별히 프란치스코 교황세월호 유가족들에게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강우일 주교의 덕분이라고 전해진다. 대전교구장인 유흥식 라자로 주교, 서울대교구장인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과 더불어 이번 방한에 공헌을 많이 했다.

강우일 주교는 2020년 10월 12일에 만 75세가 되었으며, 교회법에 따라 교황청에 사임 청원을 하였다. 이 청원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2020년 11월 22일 강우일 주교는 제주교구장에서 은퇴하고, 제주교구 부교구장 문창우 비오 주교가 자동으로 교구장직을 계승하여 같은날 제주교구장으로 착좌했다.
2020년 12월, 제주교구장 은퇴 직후 CPBC 가톨릭평화방송과의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한 모습

3. 이모저모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이 선종한지 5일 후인 2009년 2월 20일 거행된 장례미사에서 추도사를 낭독한 인물 중 하나였는데, 많은 이들의 감동을 자아내어 화제가 되었다. #.
저도 지난 2년여 동안 추기경님이 입원과 퇴원을 되풀이 하시고 급속도로 체력이 약화되시다가 7개월 전부터는 퇴원도 못하신 채 계속 병실에 붙잡혀 계시니 참으로 애처로웠습니다.
(중략)
저는 이런 추기경님 모습을 뵈면서 하느님께 투정 섞인 넋두리를 늘어놓았습니다.
'우리 추기경님 무슨 보속할 것이 그리도 많아서 이렇게 길게 고난을 맛보게 하십니까? 추기경 정도 되는 분을 이 정도로 족치신다면, 나중에 저희 같은 범인은 얼마나 호되게 다루시려는 것입니까? 겁나고 무섭습니다.' 몇 주일 전에는 '주님, 이제 그만하면 되시지 않았습니까? 우리 추기경님 좀 편히 쉬게 해주십시오.'하고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이제야 깨달았습니다. 추기경님의 고난이 왜 필요했는지를! 지금 추기경님은 당신의 투병생활과 죽음을 통하여 경제위기와 사회불안으로 깜깜하고 싸늘하게 식어버린 국민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덥혀주기 시작하셨습니다.
(중략)
추기경님의 고난이 있었기에 추기경님의 부활은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추기경님께서 이 세상에 살아계시며 여러 곳에서 말씀하셨을 때보다 지금 훨씬 더 많은 이들이 추기경님 말씀을 음미하고 그 가르침을 실천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습니다.
추기경님은 이제 혜화동 할아버지가 아니라 한국의 할아버지가 되셨습니다.
사랑하는 추기경님, 저는 믿습니다. 주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해 주실 것입니다. '어서 오너라, 내 사랑하는 바보야! 그만하면 다 이루었다! 와서 세상 창조 때부터 너희를 위하여 준비된 나라를 차지하여라.'
평안히 가십시오, 추기경님. 그리고 주님의 나라에 들어가시면 당신께서 불쌍히 여기시고 애틋하게 사랑하셨던 우리 백성을 위하여 주님께 간구하여 주십시오.

가족들이 건강하다. 장남인 본인을 포함한 5남매뿐만 아니라 모친도 2020년 12월(강 주교가 제주교구장직을 떠난 시점)을 기준으로 93세이며, 대부분의 일상 생활을 직접 해낼 정도로 건강하다. 부친은 지난 2013년에 타계했지만, 역시 93세로 장수했다.

또한 가족들이 미모가 좋은 편이다. 강우일 본인도 미모가 괜찮은 편인데 외할아버지 오위영도 꽤 괜찮은 미남이다. 또한 막내 이모인 오현주가 1959년도 미스코리아 진이다.


[1] 1985년 12월 21일 발레키움 명의 주교 임명[2] 2002년 7월 15일 제주교구장 임명[3] 본래 한국 천주교가 '성신'(holy ghost)라는 용어를 썼던 반면, '성령'(holy spirit)은 개신교측에서 먼저 사용되어 왔다. 때문에 해당 용어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일부 신자들이 거부감을 나타내 진통을 겪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