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가톨릭대학교의 임원을 설명한다.
2. 가톨릭대학교 총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1C5A, #042A87 20%, #042A87 80%, #031C5A); color: #fff; word-break: keep-all;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합 이전 가톨릭대학교 총장 성신대학ㆍ가톨릭대학 학장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장금구 | 윤을수 | 정규만 | 한공렬 | 황민성 | |
<rowcolor=#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문근 | 정규만 | 김창렬 | 백민관 | 유봉준 | |
<rowcolor=#fff> 제11대 | 제12ㆍ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ㆍ17대 | |
최창무 | 최윤환 | 백민관 | 정의채 | 최창무 | |
성심여자대학교 총장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ㆍ5대 | 제6ㆍ7대 | |
바바라 니콜스 | 주매분 | 노에 노드버그 | 김재순 | 고도임 | |
<rowcolor=#fff> 제8ㆍ9대 | 제10대 | ||||
박정미 | 김재순 | ||||
통합 이후 가톨릭대학교 총장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ㆍ6대 | |
강우일 | 최승룡 | 오창선 | 임병헌 | 오창선 | |
<rowcolor=#fff> 제7ㆍ8대 | 제9대 | ||||
원종철 | 최준규 |
가톨릭대학교 제9대 총장 |
|
최준규 미카엘 신부 |
1988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신학 학사 1991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 석사 1991.08 사제 수품 1997 미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 석사 2003 미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 철학 박사 2003 ~ 현재 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이하 부총장은 각각 성신교정(신학대학)ㆍ성심교정(종합대학)ㆍ성의교정(의과/간호대학)을 담당한다.
부총장 | ||
신학부총장 | 교학부총장 | 의무부총장 |
전영준 바오로 신부 | 김종일 | 이화성 |
가톨릭대학교 신학 학사 1991 사제 서품, 가톨릭대학교 신학 석사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영성신학 석사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영성신학 박사 2008 ~ 현재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 (미기입) | 1987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학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석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박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교수 |
<rowcolor=#fff> 대 | 이름 | 임기 | |
<rowcolor=#fff> 취임일 | 퇴임일 | ||
1 | 장금구[1] | 1947. 4. 30 | 1948. 2. 28 |
2 | 윤을수 | 1948. 3. 1 | 1950. 1. 9 |
3 | 정규만 | 1950. 1. 10 | 1954. 10 |
4 | 한공렬[2] | 1954. 10 | 1961. 2. 13 |
5 | 황민성 | 1961. 2. 14 | 1964. 7. 31 |
6 | 이문근[3] | 1964. 8. 1 | 1967. 4. 5 |
7 | 정규만 | 1967. 4. 6 | 1969. 5. 1 |
8 | 김창렬 | 1969. 5. 2 | 1973. 9. 13 |
9 | 백민관 | 1973. 9. 14 | 1976. 8. 31 |
10 | 유봉준 | 1976. 9. 1 | 1979. 8. 31 |
11 | 최창무 | 1979. 9. 1 | 1980. 8. 31 |
12 | 최윤환 | 1980. 9. 1 | 1983. 8. 31 |
13 | 최윤환 | 1983. 9. 1 | 1985. 8. 31 |
14 | 백민관 | 1985. 9. 1 | 1988. 8. 31 |
15 | 정의채[4] | 1988. 9. 1 | 1991. 8. 31 |
16 | 최창무 | 1991. 9. 1 | 1992. 3. 31 |
17 | 최창무 | 1992. 4. 1 | 1995. 2. 28 |
<rowcolor=#fff> 대 | 이름 | 임기 | |
<rowcolor=#fff> 취임일 | 퇴임일 | ||
1 | 바바라 니콜스 | 1964 | 1968 |
2 | 주매분[5] | 1968 | 1971 |
3 | 노에 노드버그 | 1972 | 1975 |
4 | 김재순[6] | 1975 | 1979 |
5 | 김재순 | 1979 | 1983 |
6 | 고도임 | 1983 | 1987 |
7 | 고도임 | 1987 | 1988 |
8 | 박정미 | 1989 | 1992 |
9 | 박정미 | 1992 | - |
10 | 김재순 | 1993 | 1995 |
<rowcolor=#fff> 대 | 이름 | 임기 | |
<rowcolor=#fff> 취임일 | 퇴임일 | ||
1 | 강우일 | 1995.3 | 1998.2 |
2 | 최승룡 | 1998.2 | 2001.1 |
3 | 오창선 | 2001.1 | 2005.2 |
4 | 임병헌 | 2005.2 | 2009.1 |
5 ~ 6 | 박영식 | 2009.1 | 2016.12 |
7 ~ 8 | 원종철 | 2017.1 | 2024.12 |
9 | 최준규 | 2025.1 | 현재 |
총장은 전통적으로 서울대교구의 신부 가운데서 선임되는데, 다만 1995년 성심여자대학교와 통합한 직후부터 1998년까지 3년간은 당시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였던 강우일 베드로 주교가 총장을 맡았다.
2대 총장인 최승룡 신부와 3대 총장인 오창선 신부는 성신교정의 신학과 교수 출신이며, 그 이후 4대 총장인 임병헌 신부와 현재 총장인 박영식 신부는 성심교정 종교학과 교수 출신이다. 또한, 2대 총장인 최승룡 신부와 4대 총장 임병헌 신부는 직전의 임지가 서울 동성중학교ㆍ동성고등학교 교장으로, 각각 9년과 2년간 역임했다.
한편 이사장의 경우 서울대교구 산하 학교이므로 서울대교구의 교구장 혹은 보좌주교(이한택 요셉 주교) 등이 겸임한다.
[1] 명동성당 제6대 주임신부[2] 천주교 전주교구 제4대 교구장[3] 명동성당 제12대 주임신부이자, 성가를 많이 작곡한 신부이다.[4] 명동성당 제18대 주임신부[5] 중국인 수녀이며, 초창기 성심여자중고등학교 교장 및 프랑스어 교사를 맡기도 했다. 피천득의 수필 인연에 등장하는 '주 수녀님'이 바로 주매분 수녀. 기업인 조안 리의 성심여중고 시절 은사이기도 하다.[6] 피천득의 수필 인연에 주매분 수녀와 함께 등장. 여동생 김재숙도 성심수녀회 수녀인데, 김재숙 수녀는 박근혜의 성심여중고 시절 은사이기도 하다. 남동생 김재익은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으며, 1983년 10월 미얀마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때 순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