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81900, #e7290e 20%, #e7290e 80%, #c81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오웬 맥폴린 (1937~1941) | 와키다 아사고로 토마스 (1943~1945) | 오웬 맥폴린 (1945~1949) | 패트릭 토머스 브레넌 (1948~1950) | 해럴드 윌리엄 헨리 (1954~1971) | |
<rowcolor=#fff,#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한공렬 베드로 (1971~1973) | 윤공희 빅토리노 (1973~2000) | 최창무 안드레아 (2000~2010) | 김희중 히지노 (2010~2022) | 옥현진 시몬 (2022~) | }}}}}}}}}}}} |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주교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교구장 주교 | ||
옥현진 시몬 대주교 | |||
| |||
은퇴 주교 | |||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 |
| | | |
※ 위 목록은 각 주교들의 직책들 중 일부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이 틀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가 누락되거나, 직책이 잘못 기재된 것을 발견하면 편집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 |
<colcolor=#ffffff><colbgcolor=#FE493C> {{{#ffffff 제8대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최창무 안드레아 崔昌武 | Andreas Choi Chang-mou}}} | |||
| |||
출생 | 1936년 9월 15일 ([age(1936-09-15)]세) |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 |||
국적 |
| ||
재임기간 |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 ||
1994년 3월 25일 ~ 1999년 2월 9일 | |||
광주대교구 부교구장 | |||
1999년 2월 10일 ~ 2000년 11월 30일 | |||
제8대 광주대교구장 | |||
2000년 11월 30일 ~ 2010년 4월 30일 | |||
공식 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493C><colcolor=#fff> 사제 수품일 | 1963년 6월 9일 ([age(1963-06-09)]주년) | |
학력 | 성신고등학교 (졸업)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신학 / 3년 수료)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신학 / 학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신학 / 박사) | ||
주교임명일 | 1994년 2월 3일 보좌주교 임명[1] | ||
1999년 2월 9일 부교구장 임명, 대주교 승품 | |||
| |||
말씀은 생명의 빛 (Verbum Lumen Vitae)[2] | }}}}}}}}} |
1. 개요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가톨릭대학 학장과 제8대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을 역임했다.2. 생애
파주시, 특히 순교자 김치호 베네딕토의 출신지인 법원읍 갈곡리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소신학교 시절이던 14살 때 한국 전쟁이 터졌는데, 당시 부제이자 신학생 총급장이었던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이 수원성당에서 울고 있던 최 대주교를 만나서 같이 피난길에 올랐다고 한다. 당시 김수환 추기경은 최 대주교가 고향이 문산이라고 답하자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인줄 알고 그곳으로 보내려다가 이미 인민군에게 점령당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이라는 것을 알고 놀라기도 했다고.이후 소신학교인 성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가톨릭대학에 입학했다가 3학년 때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로 편입하였다. 1962년 학사학위를 받고, 1963년에 서울대교구 소속으로 사제품을 받았다. 잠시 명동성당에서 보좌신부를 지내다가 다시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 유학을 가서 197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바로 귀국하여 가톨릭대학의 교수가 되었는데, 보좌주교로 선임되고 난 다음인 1995년 2월까지 25년간 가톨릭대학 교수를 지냈다.
가톨릭대학 교수를 지내는 동안 학장을 두 번, 총장을 한 번 지냈다. 1979년년 9월부터 1980년 8월까지 제11대 학장을, 1991년 9월부터 1992년 5월까지 제16대 학장을 지냈다. 가톨릭대학이 199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자 최창무 학장은 그대로 총장이 됨으로써 1995년 2월까지 총장으로 지냈다. 이 시기의 가톨릭대학교는 성심여자대학교와 통합되기 전으로 신학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만 있었다. 가톨릭대학교 총장 재임중인 1994년 2월 3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푸르멘피센세의 명의주교로 주교품을 받았다.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를 지내면서 1995년 2월까지는 가톨릭대학교 총장도 겸임하였다. 1995년 2월 가톨릭대학교가 성심여자대학교를 흡수한 통합 가톨릭대학교가 출범하자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강우일 베드로 주교에게 총장직을 넘겨주었다. 따라서 최창무 신부는 가톨릭대학교의 마지막 학장이자 관점에 따라 초대 총장이기도 하다. 다만, 1995년의 통합 후 역대 총장 카운트를 다시 하였기 때문에,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초대 총장은 최창무 주교가 아닌 강우일 주교로 기록되어 있다.1
1999년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의 은퇴시기가 다가오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최 주교를 교구장 계승권이 있는 광주대교구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하였다.이에 따라 최 주교는 자연스럽게 대주교로 승품되었다.이후 2000년 윤공희 대주교가 은퇴하자 광주대교구장직을 계승하였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의장을 맡았으며,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2010년 3월, 정년이 되자 교황 베네딕토 16세에게 사임을 청원하였고, 교구장직을 부교구장이었던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에게 넘겨주고 은퇴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찾아보기 힘든, 유일무이한 가톨릭계 이단인 나주 마리아의 구원방주에게 철퇴를 먹인 적이 있다. 그곳에서 괴상한(?) 현상, 이를테면 성모상에서 눈물, 피눈물, 젖, 향유 등이 흐르거나 김창렬 바오로 주교가 방문했을 때 하늘에서 성체가 떨어지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3] 이러한 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최 대주교가 실태를 확인하고 교황청과 협의하여 광주대교구장 명의로 이단임을 공식적으로 확정했다. 이 단체가 왜 이단인지는 마리아의 구원방주 문서를 참조. 모든 가톨릭 신자들은 이런 이단에 현혹되지 말고 이 단체가 이단임을 공식적으로 선포한 교회 교도권에 반드시 순명하도록 하자.
『성경』이 2005년에 처음 발간되었을 때, 서문을 썼다. 당시 주교회의 의장이었기 때문. 지금도 천주교 성경에는 그 서문이 실려있다.
3. 둘러보기
역대 천주교 광주대교구 보좌 / 부교구장 주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한국 가톨릭의 교계 제도 확립 (1962년) 후 | |||
제임스 마이클스 권 야고보 (1966~1971) | 최창무 안드레아 (1999~2000) | 김희중 히지노 (2003~2010) | 옥현진 시몬 (2011~2022) | |
황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교구장 주교, 녹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보좌 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427d, #00549f 20%, #00549f 80%, #00427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노기남 바오로 | 김수환 스테파노 | 윤공희 빅토리노 | 김수환 스테파노 | 김남수 안젤로 | |
<rowcolor=#fff,#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문희 바울로 | 정진석 니콜라오 | 박정일 미카엘 | 최창무 안드레아 | 정명조 아우구스티노 | |
<rowcolor=#fff,#fff>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장익 십자가의 요한 | 강우일 베드로 | 김희중 히지노 | 이용훈 마티아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1C5A, #042A87, #042A87, #031C5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합 이전 가톨릭대학교 총장 성신대학ㆍ가톨릭대학 학장 | ||||
<rowcolor=#042A87,#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장금구 | 윤을수 | 정규만 | 한공렬 | 황민성 | |
<rowcolor=#042A87,#fff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문근 | 정규만 | 김창렬 | 백민관 | 유봉준 | |
<rowcolor=#042A87,#ffffff> 제11대 | 제12ㆍ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ㆍ17대 | |
최창무 | 최윤환 | 백민관 | 정의채 | 최창무 | |
성심여자대학교 총장 | |||||
<rowcolor=#042A87,#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ㆍ5대 | 제6ㆍ7대 | |
바바라 니콜스 | 주매분 | 노에 노드버그 | 김재순 | 고도임 | |
<rowcolor=#042A87,#ffffff> 제8ㆍ9대 | 제10대 | ||||
박정미 | 김재순 | ||||
통합 이후 가톨릭대학교 총장 | |||||
<rowcolor=#042A87,#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ㆍ6대 | |
강우일 | 최승룡 | 오창선 | 임병헌 | 오창선 | |
<rowcolor=#042A87,#ffffff> 제7ㆍ8대 | 제9대 | ||||
원종철 | 최준규 |
역대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한국 가톨릭의 교계 제도 확립 (1962년) 후 | |||
경갑룡 요셉 (1977~1984) | 김옥균 바오로 (1985~2001) | 강우일 베드로 (1986~2002) | 최창무 안드레아 (1994~1999) | |
염수정 안드레아 (2002~2012) | 이한택 요셉 (2002~2004) | 김운회 루카 (2002~2010) | 조규만 바실리오 (2006~2016) | |
유경촌 티모테오 (2014~2025) | 정순택 베드로 (2014~2021) | 손희송 베네딕토 (2015~2024) | 구요비 욥 (2017~) | |
이경상 바오로 (2024~) | 최광희 마태오 (2025~) | |||
황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교구장 주교, 녹색 배경은 교구의 현직 보좌 주교. |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출신 교구장 주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한국 가톨릭의 교계 제도 확립 (1962년) 후 | |||
성명 | 주교 수품 | 교구장 역임 | 교구장 착좌 | |
원형근 아드리아노 * | 1927 | 대전 | 1962 | |
경갑룡 요셉 | 1977 | 대전 | 1984 | |
강우일 베드로 | 1986 | 제주 | 2002 | |
최창무 안드레아 | 1994 | 광주 | 2000 | |
이한택 요셉 | 2002 | 의정부 | 2004 | |
염수정 안드레아 | 2002 | 서울 | 2012 | |
김운회 루카 | 2002 | 춘천 | 2010 | |
조규만 바실리오 | 2006 | 원주 | 2016 | |
정순택 베드로 | 2014 | 서울 | 2021 | |
손희송 베네딕토 | 2015 | 의정부 | 2024 | |
* 경성대목구 부대목 출신으로 경성대목구 대목, 대전대목구 대목 역임. 대전대목구 대목 재임 중 정식 교계 제도 확립으로 교구장 주교 착좌. |
[1] 플루멘피센세 명의 주교[2] 세상의 참 생명과 삶의 원천이 하느님께 달렸다는 뜻이다. 맨 위의 갓은 한국 선교 시초에 선비들이 진리를 배우고 증거의 삶을 살아낸 복음화 정신을 이어받는 표징이며, 방패 안 위쪽의 별은 구세주의 탄생을 알린 별을 나타내며, 중앙의 흰 십자가는 말씀의 육화, 현존의 표현이며, 가로의 일곱 줄은 은총의 칠성사와 복음선포를 상징한다.[3] 사실 어느 한 목격자의 증언에 의하면 하늘에서 성체가 떨어지는 현상은 사실 사람이 던진 거라고 한다. 애당초 천주교 교리적으로 성체를 던지는 건 당연히 대죄에 해당하는 성체모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