圖 그림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囗,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중학교 | |||||||
図 | |||||||
일본어 음독 | ズ, ト | ||||||
일본어 훈독 | はか-る | ||||||
图 | |||||||
표준 중국어 | t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圖는 '그림 도'라는 한자로, '그림', '지도', '그리다', '꾀하다' 등을 뜻한다.일본어 훈독 はかる는 목적하다, 노리다라는 뜻인데 큰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얼추 맞아떨어진다. 한국어의 '기도(企圖)', '도모(圖謀)', '의도(意圖)'와도 통하는 뜻이다.
네모 안에 '몸'이 들어가 있고 '몸'의 받침 안에 또 네모가 들어가 있는, 한글과 모양이 비슷한 한자 중 하나.
2. 상세
口와 啚[1]의 합자이다.회의자로, 일정한 토지(口)에서 농토를 나누어 그린 모양(啚)에서 '그리다'라는 의미를 뜻하게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571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WRYW(田口卜田)로 입력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글과 결합하여 로 쓰기도 했다.#
図라는 약자가 있지만 잘 안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2]
3. 용례
3.1. 단어
- 가계도(家系圖)
- 구도(構圖)
- 단면도(斷面圖)
- 도감(圖鑑)
- 도면(圖面/圖免)
- 도모(圖謀)
- 도문강(圖們江)
- 도본(圖本)
- 도서(圖書)
- 도시(圖示)
- 도식(圖式)
- 도안(圖案)
- 도장(圖章)
- 도표(圖表)
- 도형(圖形)
- 도화(圖畫)
- 독도법(讀圖法)
- 미인도(美人圖)
- 반차도(班次圖)
- 복원도(復元圖)
- 부감도(俯瞰圖)
- 산수도(山水圖)
- 상상도(想像圖)
- 설계도(設計圖)
- 시도(試圖)
- 약도(略圖)
- 의도(意圖)
- 입면도(立面圖)
- 전개도(展開圖)
- 조감도(鳥瞰圖)
- 지도(地圖)
- 천문도(天文圖)
- 청구도(靑邱圖)
- 축도(縮圖)
- 투시도법(透視圖法)
- 투영도(投影圖)
- 판도(版圖)
- 평면도(平面圖)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곽도(郭圖)
- 김양도(金良圖)
- 아사나섭도(阿史那攝圖)
- 에즈마치 후데(画図町 筆)
- 엔즈카이(炎図界)
- 이윤도(李潤圖): 제2대 서울대학교 총장 이춘호의 아버지
- 허서리 송고투(赫舍里 索額圖)
- 홍범도(洪範圖)
3.4. 지명
-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로(河圖路)
-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河圖里)
- 경기도 과천시 도서관길(圖書館길)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金井圖書館路)
- 울산광역시 중구 도서관길(圖書館길)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沙圖里)
- 전라남도 순천시 도서관길(圖書館길)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도서관길(圖書館길)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중앙도서관길(中央圖書館길)
3.5. 창작물
- 고려도경(高麗圖經)
-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 금강전도(金剛全圖)
- 기로세련계도(耆老世聯契圖)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병장도설(兵將圖說)
-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
- 성학십도(聖學十圖)
- 여도비지(輿圖備誌)
- 오감도(烏瞰圖)
- 図書館戦争(도서관 전쟁)
- 図書室のエルザ
- 缩略图
3.6. 일본어
3.6.1. 훈독
- 図(はか)る: 생각하다, 목적하다, 꾀하다.
같은 はかる라도 量る·測る로 쓰면 '측정하다', 計る로 쓰면 '헤아리다', '상의하다'가 되므로 주의.
3.6.2. 음독
대부분 ず로 읽으며, と로 읽는 경우는 잘 없다. 그러나 図書館(としょかん, 도서관)이라는 매우 자주 쓰이는 단어 역시 무시할 수 없다.- ず
- 図案(ずあん): 도안
- 図形(ずけい): 도형
- 図式(ずしき): 도식
- 図表(ずひょう): 도표
- 図面(ずめん): 도면
- 地図(ちず): 지도
- 略図(りゃくず): 약도
- と
- 版図(はんと): 판도
- 図書館(としょかん):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