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8:16:27

에서 넘어옴
아래 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준7급
-
일본어 음독
カ, ゲ
일본어 훈독
した, しも, もと, さ-げる,
さ-がる, くだ-る, くだ-す,
くだ-さる, お-ろす, お-りる
-
표준 중국어
xi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20210727_225050.gif
下의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
3.1. 단어3.2. 고사성어/숙어3.3. 인명3.4. 지명3.5. 창작물3.6. 역명3.7. 기타
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下는 '아래 하'라는 한자로, '아래', '내리다', '내려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아래
중국어 표준어 xià
광동어 haa6[文] / haa5[白]
객가어 ha[文] / hâ, há[白]
민북어 [文] / à[白]
민동어 [文] / â, giâ[白]
민남어 [文] / ē, hē, kē, khē[白]
오어 xia (T2)[文] / hho (T3)[白]
일본어 음독 カ, ゲ
훈독 した, しも, もと, さ-げる,
さ-がる, くだ-る, くだ-す,
くだ-さる, お-ろす, お-りる
베트남어 hạ

유니코드에는 U+4E0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Y(一卜)로 입력한다.

어떤 것보다 아래쪽에 있다는 뜻의 지사자이다. (한 일) 아래에 짧은 一을 쓰거나 ㆍ을 찍거나 (뚫을 곤)만 써서 형태로 나타내다가 지금의 下 모양으로 바뀌었다. (윗 상)과는 달리 짧은 획이 오른 아래로 내려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과 마찬가지로 下도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아래'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상성으로, '내려가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었다. 그러나 濁上變去[13]로 인해 영향으로 인해 발음의 구분이 사라져 현재는 의미구분없이 그냥 거성으로만 읽는다.

고자(古字)로는 (점 주)가 세 개 합쳐진 𠁼가 있다. 𠁼는 (저 이)의 동자이기도 하다.

아래, (수치적으로)내리다, (물리적으로)내려가다 등의 모든 의미를 下로 쓰기 때문에 일본어도 훈독이 제각각이며 뜻과 용법이 다르다.

중국어에서는 뜻이 굉장히 많은데 세로쓰기의 영향으로 '다음'이란 뜻으로도 자주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역명

3.7.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文] [白] [文] [白] [文] [白] [13] 전탁음 성모인 상성 글자가 거성으로 변함[14] (산기슭 록)의 동자[15] (희롱할 롱)의 동자[16] (닫을 폐)의 속자[17] (두꺼비/새우 하)의 간체자[18] (웃음소리/으를 하, 성낼 혁)의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