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10px;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0000,#000000><tablebgcolor=#000000,#000000> | }}} | |
{{{#!wiki style="margin:0-10px-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1px-11px" | <rowcolor=#ffffff,#ffffff> # | 곡명 | 길이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Side A | |||
1 | Speak to Me | 1:07 | |
2 | Breathe (In the Air) | 2:49 | |
3 | On the Run | 3:45 | |
4 | Time | 6:53 | |
5 | The Great Gig in the Sky | 4:44 | |
Side B | |||
1 | Money | 6:23 | |
2 | Us and Them | 7:49 | |
3 | Any Colour You Like | 3:26 | |
4 | Brain Damage | 3:46 | |
5 | Eclipse | 2:12 | |
총 재생 시간 - 43:09 |
Us and Them의 수상 이력 | ||||||||||||||||||||||||||||||||||||||||||||||||||
|
Us and Them | |||
<colcolor=#ffffff><colbgcolor=#000000> 앨범 발매일 | 1973년 3월 1일 | ||
녹음일 | 1972년 5월 31일 - 1973년 2월 9일 | ||
수록 앨범 | |||
싱글 발매일 | 1974년 2월 4일 | ||
싱글 B면 | Time | ||
장르 | 아트 록, 프로그레시브 록, 재즈 퓨전 | ||
작사 | 로저 워터스 | ||
작곡 | 리처드 라이트 | ||
재생 시간 | 3:15 싱글 버전, 7:50 앨범 버전 | ||
프로듀서 | 핑크 플로이드 | ||
레이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7번째 트랙.2. 상세
"우습게도, 이 곡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입니다. 이 곡은 음악과 가사가 결합하여 감정을 만들어내는 훌륭한 예시입니다. 아마 로저와 제가 함께 쓴 노래 중 최고일 거예요." 리처드 라이트 (2003년) |
이 곡에는 밴드의 로드 매니저인 로저 매니폴드의 내레이션이 삽입되었는데, 곡의 분위기에 걸맞은 솔직하면서 인상적인 대사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 많은 핑크 플로이드 노래가 그렇지만 가사가 대단히 시적이며 추상적인 동시에 난해한 편이다. 하단의 가사를 참고.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161817> | }}}}}} Why does anyone do anything? 왜 그런 짓을 하는 걸까요? I don't know, I was really drunk at the time! 나는 몰라요, 그땐 완전히 취해 있었다고요! I don't know... 나는 몰라요...[4] ● ● ● Us 우리 And them 그리고 그들[5] And after all we're only ordinary men 우리는 결국 평범한 사람일 뿐이지 ● ● ● Me 나 And you 그리고 너 God only knows it's not what we would choose to do 우리가 원하지 않았다는 건 아무도 모를 거야 ● ● ● "Forward" he cried from the rear "돌격하라" 하고 장군이 후방에서 외치자 And the front rank died 전장의 병사들이 죽었어 The general sat and the lines on the map 장군은 앉아 있었고, 지도 위의 전선이 Moved from side to side 이리저리 옮겨질 뿐이었지 Black 검게 And blue 그리고 푸르게[6] And who knows which is which and who is who 뭐가 뭔지, 누가 누군지 도대체 누가 알겠어 ● ● ● Up 위 And down 그리고 아래 And in the end it's only 'round and 'round, and 'round 결국에는 전부 돌고 돌 뿐이야 ● ● ● "Haven't you heard it's a battle of words?" "이건 말로 하는 싸움이야, 들어본 적 없어?" The poster bearer cried 포스터를 든 사람이 이렇게 외치더군 "Listen, son," said the man with the gun "자, 들어 봐," 총을 든 남자는 말했어 "There's room for you inside" "여기 너를 위한 자리가 있어" ● ● ● I mean, they're not gonna kill ya 그러니까, 그들이 널 죽이진 못해 So like, if you give 'em a quick short, sharp, shock 그러니 만일 네가 신속하게 짧고 날카로운 충격을 가한다면 They won't do it again 그들은 다시는 널 괴롭히지 않을 거야 Dig it? I mean he got off lightly 알겠어? 그 자식이 바로 도망갔다니까 'Cause I would've given him a thrashing 안 그랬으면 내가 팼을 테니 I only hit him once 나는 딱 한 대만 때렸어 It was only a difference of opinion 그건 그냥 의견 차이일 뿐이었어 But really, I mean good manners don't cost nothing do they, eh? 하지만 매너가 좋아서 나쁠 건 없잖아, 안 그래? ● ● ● Down 아래에 And out 그리고 바깥에 It can't be helped but there's a lot of it about 어쩔 수 없지만 주변에 많이 있어 ● ● ● With 가지거나 Without 가지지 못하거나 And who'll deny it's what the fighting's all about? 그게 싸움의 전부라는 걸 누가 부정할 수 있을까? ● ● ● Out of the way, it's a busy day 저리 비켜, 오늘 바쁘다고 I've got things on my mind 할 일이 많은 날이야 For want of the price of tea and a slice 차 한 잔과 빵 한 조각이 없어서 The old man died 노인은 죽었지 Written By: Roger Waters, Richard Wright |
4. 참여진
- 데이비드 길모어 - 리드 보컬, 스트라토캐스터 일렉트릭 기타
- 리처드 라이트 -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 하몬드 오르간 RT3, 백킹 보컬
- 로저 워터스 - 베이스 기타
- 닉 메이슨 - 드럼
- 딕 패리 - 테너 색소폰
- 도리스 트로이, 제임스 브라운, 배리 세인트 존, 레슬리 던컨 - 백킹 보컬
5. 라이브 버전
- 초창기 라이브(1972년~1977년 투어)에서 라이트는 하몬드 오르간만 연주했고, 중간에 피아노 솔로파트는 색소폰 솔로로 대체되었다. 또 중간에 딜레이 효과[7]는 음향 이펙터를 안쓰고, 백킹 보컬파트가 이 효과를 흉내(?)냈었다.(백킹 보컬 세션이 없던 1977년 투어는 제외, 참고로 이 투어에선 음향 이펙터를 사용했다.)
- 길모어 시대의 핑크 플로이드 투어(1987년~1994년)에서는 라이트는 커즈와일 신디사이저로 피아노 파트를 맡았고, 하몬드 오르간 파트는 세션 키보디스트 존 카린이 맡았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딜레이 효과는 음향 이펙터를 사용했다. A Momentary Lapse of Reason 투어 버전 같은경우 라이트의 피아노 연주가 원곡보다 더 일찍 등장한다.[8] 이 부분은 Delicate Sound of Thunder 초기 믹스에선 원곡에서 등장하는 것 처럼 편집 되었지만, 2019년 리믹스 버전에서 복원되었다. 또한 가끔 곡의 박자를 빠르게 연주했던 적도 있었고 그게 Pulse에 수록된 버전이다.
6. The Dark Side of the Moon Redux 버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a68c8a><colbgcolor=#000000><colcolor=#a68C8a> # | 곡명 | 재생 시간 |
1 | Speak to Me | 1:54 | |
2 | Breathe | 3:22 | |
3 | On the Run | 3:47 | |
4 | Time | 7:19 | |
5 | The Great Gig in the Sky | 5:47 | |
6 | Money | 7:33 | |
7 | Us and Them | 7:36 | |
8 | Any Colour You Like | 3:18 | |
9 | Brain Damage | 4:55 | |
10 | Eclipse | 2:20 |
Us and Them | |
<colbgcolor=#000000><colcolor=#a68c8a> 발매 | 2023년 9월 21일 |
수록 앨범 | |
작사 | 로저 워터스 |
작곡 | 리처드 라이트 |
재생 시간 | 7:36 |
레이블 | SGB 레코드 쿠킹 바이닐 |
6.1.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16181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5deg, rgba(22,24,23,1) 0%, rgba(22,24,23,1) 22%, rgba(28,33,28,1) 47%, rgba(27,33,26,1) 61%, rgba(17,19,18,1) 100%)" |
7. 여담
- 라이트와 워터스가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수록곡 중 가장 좋아하는 곡이였으며, 이는 몇년 뒤 둘의 관계가 틀어진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래서인지 워터스는 그의 2017-2018년 투어 이름을 이 곡을 오마주한 Us + Them이라고 지었다.
- 앨범이 처음 한국에 발매되었던 1979년에는 Brain Damage와 함께 금지곡이었으며, 1987년경 해제되었다.
- 이상하게 Pulse 버전은 원곡보다 빨리 연주되어서 원곡 특유의 나른하고 몽환적인 맛이 좀 안 사는데, 재생 속도를 0.9배로 바꾸면 원곡과 박자가 같아지니 Us and Them 파트만 0.9배속으로 듣는 것을 추천한다.
[1] 후에 컴필레이션 앨범 Echoes에 수록되었을 때는 유기적으로 전환되지 않도록 후반부에 적절한 변형을 거쳤다. 밴드의 꼼꼼함을 알 수 있는 부분.[2] 원래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영화 자브리스키 포인트에 쓰일 곡이었지만 안토니오니가 안 좋아해서 남겨졌다가 재작업했다고 한다.[3] 이 때문인지 이 곡은 전반적으로 피아노 반주로 전개되는 편이고, 록적인 느낌보다는 재즈적인 분위기가 강하다.[4] 이전 트랙 Money의 끝부분 내레이션에서 이어진다.[5] 영어로 'us and them'은 단순히 우리와 그들이라는 뜻이 아니라 우리와 저들은 명백히 다른 집단이고 결코 가까워질 수 없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6] 'black and blue'는 멍이 심하게 들었음을 의미한다.[7] 예시) Us(us, us, us, us)[8] 원곡에선 첫 색소폰 솔로가 시작할때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