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0:08:19

GeForce 50

RTX 50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6b900><tablebgcolor=#76b900> 파일:NVIDIA 틀용 로고.svgNVIDIA
GPU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colcolor=white><colbgcolor=#004831> '''
NV
'''
NV1
'''
NV2
'''
NV2
'''
NV3
'''
RIVA 128
'''
TwiN Texel
(Fahrenheit)
'''
RIVA TNT
RIVA TNT2
'''
QuadPipe
(Celcius)
'''
GeForce 256 - Quadro - -
GeForce 2 - Quadro 2 - -
'''
nFiniteFX I, II
(Kelvin)
'''
GeForce 3 - Quadro DCC - -
GeForce 4 - Quadro 4 Quadro 4 NVS -
'''
CineFX 1.0, 2.0
(Rankine)
'''
GeForce FX - Quadro FX Quadro NVS -
'''
CineFX 3.0, 4.0
(Curie)
'''
GeForce 6 - -
GeForce 7 - QUADRO FX - -
'''
Unified (Shader)
(Tesla)
'''
GeForce 8 - QUADRO NVS TESLA 800
GeForce 9 - - -
GeForce 200 - QUADRO NVS TESLA 1000
GeForce 100 - - - -
GeForce 300 - - - -
'''
Fermi
'''
GeForce 400 - QUADRO - TESLA 2000
GeForce 500 - NVS
'''
Kepler
'''
GeForce 600 - QUADRO K TESLA K
GeForce 700 GTX TITAN
GeForce 800 GTX TITAN BLACK/Z
'''
Maxwell
'''
GeForce 700 - - -
GeForce 800 - - - -
GeForce 900 GTX TITAN X QUADRO M - TESLA M
'''
Pascal
'''
GeForce 10 TITAN X/Xp QUADRO P - TESLA P
'''
Volta
'''
- TITAN V QUADRO GV100 - TESLA V
'''
Turing
'''
GeForce 20 TITAN RTX QUADRO RTX - TESLA T
GeForce 16 - - - -
'''
Ampere
'''
GeForce 30 - RTX A - A
'''
Hopper
'''
- - - - H
'''
Ada Lovelace
'''
GeForce 40 - RTX - L
'''
Blackwell
'''
GeForce 50 - - - B
GeForce · GeForce Laptop · NVIDIA RTX · 데이터 센터 GPU }}}}}}}}}}}}
<nopad> 파일:RTX 5090.png
GeForce 50

1. 개요2. 제원3. 출시 전 정보
3.1. 최초 발표 이후, 출시 이전의 반응, 공식 정보 및 소문3.2. 정식 출시 이후의 공식 정보 및 소문
4. 기종
4.1. 데스크톱
4.1.1. GeForce RTX 50904.1.2. GeForce RTX 5090 D4.1.3. GeForce RTX 50804.1.4. GeForce RTX 5070 Ti4.1.5. GeForce RTX 50704.1.6. GeForce RTX 5060 Ti4.1.7. GeForce RTX 5060
4.2. 노트북
4.2.1. GeForce RTX 5090 Laptop GPU4.2.2. GeForce RTX 5080 Laptop GPU4.2.3. GeForce RTX 5070 Ti Laptop GPU4.2.4. GeForce RTX 5070 Laptop GPU
5. 평가
5.1. 긍정적 평가5.2. 부정적 평가
6. 사건사고
6.1. 5090 PCIe 불량 사고6.2. 화면 흑화 현상6.3. 보조 전원 커넥터 발화
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2025년 1월, CES 기조연설을 통해 발표한 NVIDIA의 그래픽카드 시리즈. 지포스 20번째 제품군이며, 코드네임은 Blackwell.[1]

2. 제원

||<|2><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76b900><rowbgcolor=#76b900><rowcolor=white> 그래픽 카드
모델명 ||<-4> GPU ||<-4> GPU 외부 메모리 ||<|2> TGP
(데스크톱)
GSP
(노트북)
(W) ||<|2> 출고
가격
($) ||
<rowcolor=white> 이름
(공정)
(면적)
FP32CC:TC:TMU:ROP
(RE, PME, RTC)
클럭
(부스트)
(MHz)
L2C
메모리
(MB)
버스
(bit)
규격 클럭
(비트레이트)
(MHz)
(Mbps)
용량
(GB)
데스크톱용 제품군
<colbgcolor=black><colcolor=#76b900>RTX 5090[2] GB202
(5㎚)
(750 ㎟)
21760~10880:680:680:176
(11, 85, 170)
2017
(2407)
96 512 GDDR7 1750
(28000)
32 575 1,999
RTX 5090 D[3] 21760~10880:680:680:176
(11, 85, 170)
2017
(2407)
1750
(28000)
575 16,499(元)
RTX 5080 GB203
(5㎚)
(378 ㎟)
10752~5376:336:336:112
(7, 42, 84)
2295
(2617)
64 256 1875
(30000)
16 360 999
RTX 5070 Ti 8960~4480:280:280:96
(6, 35, 70)
2300
(2452)
48 1750
(28000)
300 749
RTX 5070 GB205
(5㎚)
(263 ㎟)
6144~3072:192:192:80
(5, 24, 48)
2165
(2510)
192 1750
(28000)
12 250 549
RTX 5060 Ti GB206
(5㎚)
(?? ㎟)
??~??:??:??:??
(??, ??, ??)
??
(??)
?? 128 ??
(??)
16 ?? ??
RTX 5060 ??~??:??:??:??
(??, ??, ??)
??
(??)
?? ??
(??)
8 ?? ??
노트북용 제품군
RTX 5090 Laptop GPU GB203
(5㎚)
(378 ㎟)
10496~5298:328:328:112
(7, 41, 82)
990
(1515)
64 384 GDDR7 1587.5
(25400)
24 95
~150*
-
RTX 5080 Laptop GPU 7680~3840:240:240:80
(5, 30, 60)
975
(1500)
256 1587.5
(25400)
16 80
~150*
RTX 5070 Ti Laptop GPU GB205
(5㎚)
(263 ㎟)
5888~2944:184:184:80
(5, 23, 46)
935
(1520)
48 192 1587.5
(25400)
12 60
~115*
RTX 5070 Laptop GPU GB206
(5㎚)
(?.? ㎟)
4608~2304:144:144:48
(3, 18, 36)
32 128 1587.5
(25400)
8 50
~100*
* 노트북용 제품군은 Dynamic Boost 2.0 기능을 통해 CPU와 GPU의 전력 사용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해 표기된 GSP보다 최대 25 W의 전력을 추가로 인가할 수 있다.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FP32 CUDA Core = FP32CC
Tensor Core = TC
Texture Mapping Unit = TMU
Render Output Pipeline = ROP
Raster Engine = RE
PolyMorph Engine = PME
RT Core = RTC
L2 Cache = L2C
Idle Power = IP
Video Playback Power = VPP
Average Gaming Power = AGP
Total Graphics Power = TGP
GPU Subsystem Power = GSP


||<-7><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76b900><bgcolor=#76b900><color=white> GPU별 특성 ||
<rowcolor=white> GPU
이름
그래픽
가속
GPGPU
가속
비디오
가속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모리
규격
디스플레이
출력
BlackWell
<colbgcolor=black><colcolor=#76b900>GB202 DirectX 12
(FEATURE_LEVEL_12_2)
OpenGL 4.6
Vulkan 1.4
CUDA Compute Capability 12.8
OpenCL 3.0
PureVideo HD 13
(VDPAU Feature Set I)
NVDEC 6
NVENC 9
PCIe 5.0 ×16 GDDR7 HDMI 2.1b
DisplayPort 2.1b
GB203
GB205

3. 출시 전 정보

===# 최초 발표 이전의 공식 정보 및 소문 #===

3.1. 최초 발표 이후, 출시 이전의 반응, 공식 정보 및 소문

3.2. 정식 출시 이후의 공식 정보 및 소문

4. 기종

기종 문단의 내용은 라인순이 아닌, 출시된 날짜순으로 서술.

4.1. 데스크톱

4.1.1. GeForce RTX 5090

2025년 1월 30일에 출시된 최상위 하이엔드 라인 그래픽 카드.

레스터 및 RT 모두 순수 성능 향상폭은 4090 대비 30%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며, 소비전력은 30% 가량 늘어났고, 가격은 25% 인상되었다. 결과적으로 피크 전성비는 소폭 후퇴하였으며, 가격 당 성능 증가폭 역시 오차범위라는 초라한 결과를 냈다. 향상폭 자체라도 크면 그나마 납득이 되었겠지만 그것조차 역대 최저 수준으로, 1080 Ti 대비 30-35%의 향상폭을 보여주었던 2080 Ti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따라서 최고 게임 성능을 유의미한 폭으로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나마 건진 것은 FE의 상품성이다. 5090 FE는 거의 600W 가까이 전기를 퍼먹음에도 두께는 고작 2슬롯으로, 최상위 카드라곤 믿기지 않을 수준의 다이어트에 성공하여 SFF 케이스에 넣는 것도 더 이상 꿈이 아니게 되었으며[6], 엔비디아의 칩 가격 인상을 따라 비레퍼 제조사들이 너도나도 가격을 인상하면서 비레퍼와의 가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4.1.2. GeForce RTX 5090 D

중국 전용 모델로, 출시가격은 16,499위안.
2025년 1월 30일 출시되었다.

4.1.3. GeForce RTX 5080


2025년 1월 30일에 출시된 차상위 하이엔드 라인 그래픽 카드.

성능이 공개되자 게이머들의 반응은 역대 최악의 80 그래픽 카드로, 여러 해외 웹진들의 테스트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평균을 낸 기준으로 4080S 대비 순수 성능 향상폭이 FHD에서는 6%, 4K 해상도에서 13%밖에 나오지 않고, 전력 소모량은 9W 증가하면서 10% 정도의 전성비 개선밖에 얻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 당연히 전 세대 플래그십 카드인 4090은 따라잡기는 커녕 FHD에서는 13%, 4K 해상도에서 17%나 떨어지는 압도적 열세인지라, 역대 최초로 전세대 플래그십 카드를 따라잡지 못한 80 카드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말았다.[7] 뿐만 아니라 VRAM 용량도 16GB로 동결되었다.

제품이 시장에 풀리며 재미있는 점이 발견됐는데, 오버클럭 마진이 엄청나다는 것이다.# 코어 클럭 3,200Mhz을 넘겨서도 실사가 가능하고 FE 기준 온도도 생각보단 잘 잡아준다는 평이다. 덕분에 오버가 잘만 들어가면 성능이 꽤 올라가지만, 소비전력 또한 그만큼 늘어난다. 또한 엄연히 체급차가 있기 때문에 4090과는 여전히 성능 차이가 난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때 5080을 구매할만한 사용자는 4K 60 프레임을 타겟으로 하거나 극한의 오버 차력쇼로 QHD 초고주사율을 노리는 유저인데, 전자의 경우는 더 저렴한 선택지인 4080S가 있고, 후자엔 QHD 환경에 이만큼 투자할 가치가 있는가라는 부분이 문제다. 생성형 AI쪽에서 활용하면서 돈도 조금 아끼는 경우라면 선택의 여지가 있긴 하나[8] VRAM이 장사인 AI에서 16GB에 발목이 잡히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렇게 완벽하게 망해버리면서, 유저들은 비공식적인 가격 인하나 Super 등의 리프레시가 이루어질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4.1.4. GeForce RTX 5070 Ti

출시가격은 749달러.
2025년 2월 20일에 출시 예정이다.

4.1.5. GeForce RTX 5070

출시가격은 549달러.
2025년 3월 5일에 출시 예정이다.

4.1.6. GeForce RTX 5060 Ti

2025년 3월 중으로 출시 예정이다.

4.1.7. GeForce RTX 5060

2025년 3월 중으로 출시 예정이다.

4.2. 노트북

4.2.1. GeForce RTX 5090 Laptop GPU

4.2.2. GeForce RTX 5080 Laptop GPU

4.2.3. GeForce RTX 5070 Ti Laptop GPU

4.2.4. GeForce RTX 5070 Laptop GPU

5. 평가


퀘이사존의 리뷰 영상.

5.1. 긍정적 평가

5.2. 부정적 평가

<rowcolor=white> 등급 RTX 50 RTX 40 RTX 30 RTX 20 GTX 10
풀칩 24,576
(100.00%)
18,432
(100.00%)
10,752
(100.00%)
4,608
(100.00%)
3,840
(100.00%)
소비자용
풀칩
- - 90 Ti TITAN TITAN
90 21,760
(88.54%)
16,384
(88.89%)
10,496
(97.62%)
- -
80 Ti - - 10,240
(95.24%)
4,352
(94.44%)
3,584
(93.33%)
80 10,752
(43.75%)
9,728
(52.78%)
8,704
(80.95%)
2,944
(63.89%)
2,560
(66.67%)
70 Ti 8,960
(36.46%)
7,680
(41.67%)
6,144
(57.14%)
- 2,432
(63.33%)
70 6,144
(25.00%)
5,888
(31.94%)
5,888
(54.76%)
2,304
(50.00%)
1,920
(50.00%)
60 Ti - 4,352
(23.61%)
4,864
(45.24%)
- -
60 - 3,072
(16.67%)
3,584
(33.33%)
1,920
(41.67%)
1,280
(33.33%)
코어 개수 (풀칩 대비 비율)

6. 사건사고

6.1. 5090 PCIe 불량 사고

기사
최초로 PCIe 5.0을 공식으로 지원하는 그래픽카드이나 PCIe 5.0의 복잡성과 5090에서 도입한 신규 메인보드 설계 문제 때문에 드라이버가 제대로 인식이 되지 않거나 시도때도 없이 멈춘다는 보고가 대거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대다수가 PCIe 4.0으로 바꿀 경우,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보고해 5090의 PCIe 5.0 지원이 매우 불안정한 상황임을 알렸다.

6.2. 화면 흑화 현상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 이용자들 사이에서 검은 화면만 출력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엔비디아가 조사에 나섰다.

6.3. 보조 전원 커넥터 발화

사용자가 타사 케이블을 사용한 후 RTX 5090 FE 커넥터가 녹아내리는 문제 발생
Buildzoid(해외 유명 오버클럭커)의 분석 영상 요약, 5090 FE의 전원 케이블 온도가 150도까지 오름
2년간 (성능저하 없이) 정상작동중인 4090의 번들젠더를 확인했더니 일부가 녹아있었고 5090에도 연결해보니 일단 정상작동하더라는 사례도 나왔다.[18]

RTX 4090때와 동일하게 보조 전원 연결단자 발화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여러가지 우려되는 사항이 있으나 유력한 원인은 엔비디아의 원가절감이라는 분석이 있는데 엔비디아가 12핀으로 바꾸며 생략한 일부 션트 저항[19]을 5090 FE에서는 1개만 남겨놔 케이블에 통하는 전류량이 제대로 제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 특정 케이블에만 부하가 몰려 과열되는 현상이 관측 되었기 때문이다. 기사

7. 기타

8. 관련 문서

Blackwell
◀ Ada Lovelace GeForce 50 Rubin ▶

[1] 미국의 수학자 데이비드 블랙웰의 이름을 따왔다.[2] 중국(본토, 홍콩, 마카오) 수출 금지 모델[3] 중국 전용 모델.[4] RTX 4060 이하[5] 잘 보면 숫자 50의 형상을 한 부분이 보인다.[6] 다만 50 시리즈 FE는 방열판을 공기가 그대로 통과해 지나가는 쿨링 구조라 케이스 공기 흐름에 민감하다. 특히 그래픽 카드 뒤에 뭐가 있으면 쿨링 성능이 급락하며 GPU의 열기가 뒤에 있는 물체에 그대로 전해지게 되는데, 보통 라이저 케이블을 이용해 GPU를 메인보드와 마주보게 배치하는 SFF 케이스에 집어넣으면 카드의 온도도 크게 올라가며 보드 뒷면이 거의 튀겨지는 수준이 된다. 어디까지나 가능은 하다는 정도로 생각하자.[7] 사실 제조 공정이 전혀 바뀌지 않았고 쿠다 코어 개수나 VRAM 등 전체적인 체급이 4090에 전혀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예견된 수순이었다.[8] 전세대 대비 코어 개수가 늘어난 만큼의 연산 성능 향상은 분명히 있고, 50 시리즈부터 텐서 코어의 FP4 지원으로 모델이 지원만 한다면 저렴한 결과물을 쭉쭉 뽑아내는 것도 가능하다.[9] GeForce 40 FE를 비롯하여 베이퍼 챔버를 사용한 대부분의 기존 그래픽카드들은 베이퍼 챔버를 단순히 히트싱크처럼 사용하고, 히트 파이프를 그냥 베이퍼 챔버 겉면에 붙여놓은 형태로 제작되었다. 5090 FE는 베이퍼 챔버히트 파이프가 내부적으로 이어진 하나의 구조물이라 방열 성능 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5080 FE는 90과 외형은 같지만 쿨링 설계는 일반 히트싱크+히트파이프 구조다.[10] GPU가 하나의 커다란 보드가 아닌 여러 개의 모듈로 분할되어 팬의 공기흐름을 막지 않게 면적을 최소화 했다. 따라서 GPU 코어가 장착되는 메인보드+디스플레이 포트가 있는 I/O 보드+PCIe 브릿지 보드로 기판이 분할되어 있으며, 팬 부분은 온전히 히트 파이프(베이퍼 챔버)와 방열판만이 존재하여 공기가 기판에 막히지 않고 방열판을 그대로 통과해 지나가며 냉각할 수 있다.[11] 물론 575W TGP가 먼저 알려졌고, 쿨링을 개선한다고 발열량 자체가 어디가는 건 아니므로 처음부터 예상 가능한 문제이다.# 제대로 쓰려면 라이저 케이블을 써서라도 그래픽 카드를 케이스 배기팬처럼 위치시켜 밖으로 바로 배기하는 구조의 신형 케이스가 나와야 할 것이다.[12] 관점에 따라서 8%까지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13] 여담으로 메인스트림 라인까지 통틀어 지금까지 엔비디아 역사상 역대 최저의 성능 향상폭을 기록한 것은 RTX 4060 Ti로, 이전 세대의 RTX 3060Ti 대비 2-3%의 성능향상폭을 기록했다.[14] 이전 세대 대비 90은 24GB에서 32GB로, 70Ti는 12GB에서 16GB로 증가되었지만, 80과 70은 용량이 동결되었다.[15] 풀칩 CUDA 코어의 개수를 100%로 잡았을때 각 라인업의 CUDA 코어 개수 비율[16] 특히 심한 회사가 ASUS로, 상급기인 ROG Astral은 정말 무지막지한 가격으로 출시했으며 TUF 같은 중급기도 전세대 상급기에 견줄 만한 가격으로 출시하는 바람에 게이머들 사이에서 엄청나게 욕을 먹고 있다.[17] 기사가 나온 시기나 출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SK하닉은 25년 3월~3분기, 마이크론은 25년 하반기~말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개시할 거라고 한다. 그전까지는 삼성전자의 공급에 의존해야되는데 현재 삼성이 겪고있는 문제들을 생각하면 낮은 수율로 공급이 원활하진 않을 가능성이 높다.[18] 좋은게 아니라 반대로 공포스러운 점이다. 인텔 불량 문제에서 완전 해결 선언 이후에야 고장난 사례 들처럼 장기적으로 열화가 진행되다가 임계점을 넘긴 후에야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얘기. 그나마 인텔은 보증 기간을 연장했고, 교환은 잘 해준다고 하지만 지포스는 딱히 기간 연장이 없고, 만리 덕분에(...) 4090 순정 젠더 커넥터번 AS 거부 사례도 있다.[19] 고전류가 흐르는 지점에 설치해 전류량을 제한하고 정확한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매우 낮은 저항값의 고용량 저항이다.[20] 몬스터 헌터 와일즈처럼 DLSS 3 없이는 GeForce 40급 GPU로도 제대로 프레임을 뽑을 수 없는 게임도 이미 등장하고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