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23:00:49

Radeon RX 9000 시리즈

RX 9000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bgcolor=black><rowcolor=whit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width=50%><height=80> 파일:AMD 로고 화이트.svg||<width=50%>GPU
전체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nd ERA : 프로그래머블 GPU (2006~2007년)
<colbgcolor=#cccccc,#4d4d4d>R500 - - FirePro MV 2250 Stream Processor
3rd ERA : TeraScale (2007~2012년)
TeraScale 1
(R600)
HD 2000
RADEON HD 3000
FireGL V
FIREPRO 3D V
FIREMV 2260
FIREPRO MV 2450
FireStream 9100
TeraScale 1
(R700)
RADEON HD 4000 FIREPRO 3D V - FireStream 9200
FIREPRO RG220
TeraScale 2
(Evergreen)
RADEON HD 5000 FIREPRO 3D V FIREPRO MV 2460 FireStream 9300
TeraScale 2 RADEON HD 6000 FIREPRO V FIREPRO MV 2270 -
TeraScale 3
(Northern Islands)
RADEON HD 6900 FIREPRO V - -
4th ERA : GCN (2012~2019년)
GCN 1
(Southern Islands)
RADEON HD 7000 FIREPRO W
FIREPRO D
- FIREPRO S
FIREPRO R
RADEON SKY
GCN 2
(Sea Islands)
RADEON HD 7790
RADEON Rx 200
FIREPRO W - FIREPRO S
GCN 3
(Volcanic Islands)
RADEON R9 285
RADEON Rx 300
RADEON R9 FURY
RADEON R9 NANO
FIREPRO W - FIREPRO S
RADEON PRO DUO
RADEON PRO SSG
- RADEON INSTINCT MI
GCN 4
(Polaris)
RADEON RX 400
RADEON RX 500
RADEON PRO
RADEON PRO WX
RADEON PRO DUO
- RADEON INSTINCT MI
GCN 5
(Vega)
RADEON RX VEGA
RADEON VII
RADEON PRO VEGA
RADEON PRO WX
RADEON PRO SSG
RADEON PRO V300
- RADEON INSTINCT MI
5th ERA : RDNA & CDNA (2019년~현재)
RDNA 1
(Navi 1X)
RADEON RX 5000 RADEON PRO W5000
RADEON PRO 5000
RADEON PRO V520
- -
RDNA 2
(Navi 2X)
RADEON RX 6000 RADEON PRO W6000
RADEON PRO 6000
RADEON PRO V620
- -
CDNA 1
(Arcturus)
- - - INSTINCT MI100
CDNA 2
(Aldebaran)
- - - INSTINCT MI200
RDNA 3
(Navi 3X)
RADEON RX 7000 RADEON PRO W7000 - -
CDNA 3
(Antares)
- - - INSTINCT MI300
}}}}}}}}}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bgcolor=black><color=white><height=70>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AMD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letter-spacing:-0.5px"RDNA 아키텍처 기반 제품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colbgcolor=#ed1c24><colcolor=white>RDNA 1 (RDNA 1 ISA) RX 5000 시리즈
RDNA 2 (RDNA 2 ISA) RX 6000 시리즈
RDNA 3 (RDNA 3 ISA) RX 7000 시리즈
RDNA 3.5 (RDNA 3.5 ISA) RX 8000 시리즈
RDNA 4 (RDNA 4 ISA) RX 9000 시리즈 }}}
◀ 이전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제품군
다음 ▶
UDNA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제품군

파일:2922918-radeon-rx-9070xt-product.jpg
'''AMD Radeon RX 9070 XT'''

1. 개요2. 제원3. 발매 전 정보
3.1. 최초 출시 후 정보
4. 기종
4.1. RX 9070 XT4.2. RX 9070
5. 평가
5.1. 긍정적 평가5.2. 부정적 평가5.3. 총평5.4. 사건사고
5.4.1. 시장왜곡 현상
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2025년 1월 6일에 발표되고 3월 5일에 출시된 23번째 라데온 시리즈. RDNA 4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처음으로 적용된 라데온 제품군으로, 코드네임은 Navi 4X.

2. 제원


||<|2><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d1c24><rowbgcolor=#ed1c24><rowcolor=white> 그래픽 카드
모델명 ||<-5> GPU ||<-4> GPU 외부 메모리 ||<|2> TBP
(데스크탑)
GPUPW
(모바일)
(W) ||<|2> SEP
($) ||
<rowcolor=white> 이름
(공정)
(면적)
SP:AIMA:TU:ROP
(ACE, GP, PU, RZ, RTA)
클럭
(게임)
(부스트)
(MHz)
L2C
메모리
(MB)
IFC
메모리
(MB)
버스
(bit)
규격 클럭
(비트레이트)
(MHz)
(Mbps)
용량
(GB)
데스크탑용 제품군
<colbgcolor=black><colcolor=#ed1c24>RX 9070 XT Navi 48
(4 ㎚)
(356.5 ㎟)
4096:128:256:128
(2, 1, 4, 4, 64)
1660
(2400)
(2970)
8 64 256 GDDR6 2518
(20144)
16 304 599
RX 9070 3584:112:224:128
(2, 1, 4, 4, 56)
1330
(2210)
(2700)
220 549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or = SP
AI Matrix Accelerator = AIMA
Texture Unit = TU
Render Output Pipeline = ROP
Asynchronous Compute Engine = ACE
Geometry Processor = GP
Primitive Unit = PU
Rasterizer = RZ
Ray Tracing Accelerator = RTA
Typical Board Power = TBP
GPU Power = GPUPW
Suggested E-tailing Price = SEP

||<-7><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d1c24><bgcolor=#ed1c24><color=white> GPU별 특성 ||
<rowcolor=white> GPU
이름
그래픽
가속
GPGPU
가속
비디오
가속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모리
규격
디스플레이
출력
RDNA 4
<colbgcolor=black><colcolor=#ed1c24>Navi 48
DirectX 12
(FEATURE_LEVEL_12_2)
OpenGL 4.6
Vulkan 1.3
OpenCL 2.2
HIP Compute Capability 12.0
VCN 5.0 PCIe 5.0 ×16 GDDR6 DCN 4.0

3. 발매 전 정보

===# 정식 발표 전 정보 #===
||<tablealign=center><width=550><tablebordercolor=#ed1c24><tablebgcolor=#fff,#000><nopad>파일:AMD GPU Roadmap.jpg||
2022년 6월 당시 AMD GPU 로드맵

===# 정식 발표 후 출시 전 정보 #===
2025년 1월 6일, CES 2025에서 Radeon RX 9070 XT, RX 9070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이로써 기존에 소문으로만 알려졌던 RX 8000 시리즈는 RDNA 3.5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Radeon 시리즈를 지칭하면서, RDNA 4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Radeon 시리즈는 RX 9000 시리즈로 건너뛴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 라인인 RX 9060 시리즈도 언급되었으나, 출시 일정에 관한 언급은 없었다.

CES 발표회에서는 그야말로 이름 빼고 아무런 정보도 공개하지 않았는데, AMD는 이에 대해 전체 프레젠테이션에 주어진 시간이 짧아 RX 9000에 대해서 배분할 시간이 짧았다는 해명을 했다. AMD는 공개 후에도 계속 정보가 풀리는 엔비디아와는 다르게 가격과 성능 등 대부분의 정보를 비공개로 일관하고 있다.

“전체 세부 사항”을 곧 공개할 예정, RX 9000 시리즈는 매우 공격적인 가격 전략: RX 7800 XT 단종

별개로 Radeon Image SharpeningFSR 4에 발맞춰 AI 적용으로 업그레이드한다는 떡밥이 나왔다.

여담으로 9070 XT의 약간 상위 버전(32GB나 XTX) 루머가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으나, AMD 임원이 이례적으로 비꼬기까지 했기에 , 실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2025년 2월 18일, 유명 리뷰 사이트들에게 NDA 자료를 전달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2월 28일에 세부 정보 발표, 3월 5일에 리뷰 엠바고가 해제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간 리뷰 공개 일정과 판매 일정이 하루 차이인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출시일을 3월 6일로 추측해볼 수 있지만, NDA에 언급되지 않아서 확실하지 않다.
2월 28일, AMD 공식 라이브스트림에서 가격을 비롯한 정보들이 공개되었고 5070 Ti와 게임 성능을 비교한 차트에서 9070XT의 성능이 5070 Ti 보다 2% 정도 성능이 밀리는것으로 발표 되었다.

VCN의 H.264, H.265 인코딩 블럭이 개선되었다. 특히 H264의 경우 3사 중 가장 안 좋은 성능을 가졌는데 # 공식적으로 H264/H265에 인코더에 대한 개선이 발표되었다.

3.1. 최초 출시 후 정보

2025년 3월 4일, ACER RX 9060 XT의 상표가 등록되었다. 이때 알려진 제원은 그래픽 카드 메모리 용량 8 GB와 16 GB.

2025년 3월 22일, ASUS RX 9060 XT 일부 제품군의 전파 인증 자료들이 공개되었다.

2025년 4월 3일, ITHome에 따르면 RX 9070 GRE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며, 그 다음 날에 BENCHLIFE.INFO에서 대량 생산 준비 중이라고 한다. 알려진 제원은 기존 RX 9070 시리즈에 채택된 Navi 48 기반, 192-bit 메모리 버스 폭, 그래픽 카드 메모리 용량 12 GB.

4. 기종

4.1. RX 9070 XT


2025년 3월 5일에 출시된 퍼포먼스급 그래픽 카드.

게이밍 성능으로 RTX 5070 Ti와 비교 시, QHD 해상도 15종 게임 평균 기준 약 2.1% 낮은 성능을 보인다. 5070 Ti의 MSRP가 9070 XT 대비 25% 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가성비는 상당히 우수한 셈. 이전 세대 최상위 모델인 999 달러의 RX 7900 XTX와 비교해도 차이가 2.8%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근접했다.

레이 트레이싱 성능의 경우, 여전히 NVIDIA 대비 열세이긴 하지만 RTX 20 이후 오랫동안 거의 한 세대 가량 뒤쳐져 있던 것을 많이 따라잡았다. 퀘이사존 테스트 기준, 게임에 따라서는 오히려 RTX 5070 Ti를 이기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으며 전체 평균은 5070 대비 약간 우세한 수준이다. 다만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측정하는 테스트인 DirectX Raytracing feature test 기준으로는 5070보다 오히려 떨어지며, 하드웨어 부하가 훨씬 큰 패스 트레이싱 벤치에선 5070 대비 절반 수준으로 fps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하드웨어적으로 5070/5070 Ti에게 확실하게 밀리는 점도 있는데, GDDR6를 채용하여 VRAM 대역폭이 RTX 50 대비 떨어지기 때문에 고해상도로 가면 갈수록 약간씩 불리해진다는 점이다. 이는 특히 DX11 이하를 사용하는 게임에서 두드러진다.

4.2. RX 9070


2025년 3월 5일에 출시된 퍼포먼스급 그래픽 카드.

불과 하루 차이로 출시한 같은 549 달러의 희대의 개똥글카 RTX 5070 대비, QHD 해상도 15종 게임 평균 성능이 5.9% 높다. RX 9070 XT만큼은 아니지만, 같은 가격대에서 지포스 그래픽카드보다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다만 XT 버전이 MSRP 기준으로는 50달러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데 벤치마크들에서 최소 10%에서 많으면 20% 가까이 높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메리트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평이다.

5. 평가

5.1. 긍정적 평가

5.2. 부정적 평가

5.3. 총평

소위 '빨판상어'로 대변되는 기존의 전략에서 탈피해 엔비디아보다 훨씬 더 좋은 가격정책 및 물량공급으로 큰 호평세례를 받고 있다. RTX 50 시리즈가 역대 지포스 시리즈중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가격 장난질이 심하고 환상종 취급을 받을 정도로 물량이 없는지라 이러한 라데온의 행보는 유저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기에 충분했다.

다만 기술적인 평가는 좋지 않다. RX 9070 XT의 Navi 48은 다이 사이즈로는 GB203 (RTX 5080)에 필적하며, 트랜지스터의 개수나 집적도 면에서는 오히려 GB203을 능가하는 칩셋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성능과 전성비 모두에서 5080은 커녕 GB203 컷칩을 사용하는 5070 Ti를 근소하게 밑도는 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기술 격차가 아예 하이엔드 시장을 포기한 것으로 이어진 것 역시 아쉬운 부분이다.[7]

따라서 RX 9000 시리즈의 호평의 원인은 인텔을 기술적으로 역전한 Ryzen CPU의 사례와는 상이하며, 시장을 사실상 독점한 NVIDIA의 가격 장난질과 낮은 성능 향상폭에 질린 유저들이 훨씬 양심적인 행보를 보이는 AMD 측에 손을 들어준 것이다. 아직은 기술력은 엔비디아 쪽이 훨씬 우위라, 작정하면 라데온을 눌러버리는 일은 일도 아니기에 그걸 각오하고도 이런 제품을 풀어줬다는 것에 평가가 좋은 것이지,[8] 엔비디아의 아성에 도전할만한 물건은 아니라는 것이 주류다.

게다가 보조금 등 억지로 가격을 내려가며 가성비 우위를 점위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안한 초기 제품 공급과 더불어 제품 가격 안정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모습 때문에[9] 평가를 스스로 깎아먹은 꼴이 되었다. 다만, 판매량 자체는 많다는 해외 매체들의 언급이 있고, 앞으로 생산량을 안정화시키겠다고 다짐하고 있으므로 출시 후 몇 달간 이를 지킬 수 있을 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5.4. 사건사고

5.4.1. 시장왜곡 현상

경쟁사의 RTX 50 시리즈 못지않게 가격 왜곡이 심하다. 미국에서는 재고가 없는 벤더들은 이미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으며, 이미 소매가로 구매한 사람들이 주문 취소를 당했다는 보고가 올라오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컴퓨존 등 일부 판매처에서 정가에 가까운 가격으로 소량을 판매했으나, 25년 3월 기준으로 대부분의 판매처는 RX 9070 기준 100~110만원대, RX 9070 XT 기준 130~140만원대로 판매하고 있어 환율가의 거의 1.5배를 받아먹는 YSRP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다.

6. 기타

7. 관련 문서


[1] 물론, RX 5700 시리즈 출시로부터 불과 2일 뒤에 NVIDIA가 지포스 RTX 2070 SUPER와 2060 SUPER로 맞대응하면서, AMD는 RX 5700 시리즈로 RTX 2070이 아닌 RTX 2060 SUPER와 경쟁해야 했다. 원래 449달러로 발표되었던 RX 5700 XT는 결국 판매 직전에 399달러로 조정되었으며, 그 대신 449달러는 RX 5700 XT 50주년 에디션이라는 한정판의 가격으로 대체되었다.[2] 다만 이미 AMD관계자 인터뷰에서 더 경쟁력 있는 미드티어급 그래픽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어 예견된 내용이긴 하다.[3] "불가리아 소매업체에 따르면 AMD는 RX 9070 XT를 899달러, RX 9070을 749달러에 출시할 계획이었다고 한다"라는 루머가 돌기도 했지만, 라데온 팀에서 직접 해당 루머는 사실이 아니라고 못박았다.[4] 자사 제품의 장점을 홍보하기 위한 체리피킹과 영끌이 난무하는 공식 발표에서조차 이 정도라면 OC 버전으로도 5070 Ti 레퍼를 못이길 것으로 예측되었고 엠바고가 해제되자 일부는 이기지만 일부는 지면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5] 다만 통념과 달리 GPU 시장은 메인스트림인 60급이 타 급들의 판매량을 다 합친 것 보다도 많이 팔리며, '퍼포먼스급'으로 통칭되는 70급조차 판매량이 생각보다 적다. 게다가 Steam 통계 기준 PC게이머들의 80% 이상이 FHD와 QHD 해상도를 사용하는데, 현 세대의 70급이면 QHD 환경에서 원활~졸업급의 AAA 게이밍이 가능하며 FHD 환경에서는 문자 그대로의 무지성 풀옵이 가능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즉 AMD 입장에서는 기술력 격차가 크게 벌어진 현재 상황에서 굳이 비용 회수조차 어려운 하이엔드 시장에 손대기보다는, 그냥 대부분의 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메인스트림과 퍼포먼스 시장에 올인해서 경쟁력을 복구하는 것이 더 나은 전략이다.[6] 차별화를 이유로 가격을 내마음대로 올려받을수 있는 비 레퍼런스 카드와 다르게 레퍼런스 모델은 제조사가 직접 설계한 제품인 만큼 MSRP를 정직하게 지키기에 가격대가 MSRP를 벗어나지 않게하는 역할을 하며 엔비디아의 RTX50시리즈에서 지탄받는 가격정책도 이런 비레퍼 모델들의 가격상승이 주된 원인중 하나이다.[7] 다만 RX 5000시리즈에서도 마찬가지로 5700XT 까지만 출시하여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내지 않은 적이 있으니 처음은 아니다.[8] 다만 RTX 50 시리즈는 칩을 어마어마하게 커팅해가며 80시리즈 이하로 굉장히 촘촘하게 급 나누기를 한지라, 전 라인 가격 인하 등의 초강수가 아닌 이상 가성비 우위를 역전당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9] 인텔처럼 최상급 그래픽카드를 레퍼런스로 공급했다면 MSRP로 내놓는 레퍼런스 모델과 경쟁하기 위해 MSRP가 어느정도는 유지되었겠지만 AMD는 레퍼런스 발매를 아예 포기해 AIB 업체들을 견제할 방법 자체가 없다.[10] ASRock, Sapphire의 OC제품군.[11] 하지만 사파이어의 12VHPWR를 쓴 9070 XT 모델 기준으로 # 엔비디아의 5090처럼 파워 레일이 병렬로 전부 묶여 있고 전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설계안배는 없기 때문에 오버클럭을 하거나 잘못된 결속 등이 발생하면 4090이 그러하듯 불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12] 2002년에 출시된 Radeon 9700 Pro, 9700과 2003년에 출시된 Radeon 9600 Pro, 9600, 9600 XT.[13] 소비전력과 발열이 늘 일정하게 비례하는 건 아니나 전기공학상 초전도체가 아니라면 정비례 관계임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다이 사이즈(예시일 뿐 다이 사이즈가 이에 영향을 주었을 확률은 낮으니 유의.)도 크게 늘린 만큼 다른 변화점 등 센서외에 다른 요인이 작용할 수도 있으나 현재로선 센서 때문일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