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auto; border: 2px solid; padding: 0px; padding-top: 5px; text-align: center; min-height: 35px"
|
<colbgcolor=#0088bb,#0088bb><colcolor=#fff> | ||
一瞬を重ねて一生に。迷子のまま進む5人組バンド 한순간을 거듭해 평생으로. 미아인 채로 나아가는 5인조 밴드 | ||
| ||
{{{#fff {{{#!wiki style="margin: 0 -10px -16px; min-height: 37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 <nopad> | |
초기 비주얼 | ||
| ||
1st Single 비주얼 | ||
| ||
4th LIVE 비주얼 | ||
| ||
6th LIVE 비주얼 |
장르 | 밴드, 펑크 록 |
활동 기간 | 2022년 4월 29일 ~ 현재 |
소속 프로젝트 | |
소속사 | |
유통사 | |
공식 사이트 |
1. 개요
신 밴드 MyGO!!!!! 시동 & 1st LIVE 개최 결정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fff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소개 영상 |
[[BanG Dream! It's MyGO!!!!!|{{{#fff BanG Dream! It's MyGO!!!!!}}}]] 12화 삽입곡 [[迷星叫|{{{#fff 迷星叫}}}]] AMV |
バンドり!から生まれる“[ruby(現実, ruby=リアル)]”と“[ruby(仮想, ruby=キャラクター)]”が同期するバンド BanG Dream!에서 탄생하는 “[ruby(현실, ruby=리얼)]”과 “[ruby(가상, ruby=캐릭터)]”이 동기화되는 밴드 進路、将来、希望、願い、華やぎの道が見えない僕達は迷子のようだ 迷子でもいい、前へ進め。 진로, 장래, 희망, 바람, 화려한 길이 보이지 않는 우리는 미아와 같다. 미아라도 괜찮아, 앞으로 나아가자.
|
迷いながらも前に進むことを決めた5人で結成されたガールズバンド。 肯定しきれない想いも、答えの見つからない悩みも、すべて抱えてステージに立つ。 헤매면서도 앞으로 나아가기로 결정한 5인으로 결성된 걸즈 밴드. 긍정할 수 없는 마음도, 답을 찾을 수 없는 고민도 모두 끌어안고 무대에 선다. |
캐릭터 원안은 우에타 카즈유키(植田和幸), 초기 비주얼의 일러스트는 Shuzuku(
밴드 이름인 MyGO!!!!!는 일본어로 미아를 뜻하는 [ruby(迷, ruby=まい)][ruby(子, ruby=ご)]에서 따왔다. 밴드 컬러는
짙은 물빛(濃い水色) #0088BB
[1], 밴드 아이콘은 나침반이다.BanG Dream! It's MyGO!!!!!에서 밴드명을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지는데, "몇 번을 넘어지고 헤매도 모두와 평생 밴드를 하고 싶다"라는 토모리의 말에 아논이 토모리에게서 건네받았던 종이에 적힌 미아(迷子)를 떠올리고, 그렇게 '미아 밴드(迷子のバンド)'라는 이름으로 무대에 오르기 직전 아논이 내 차례라는 뜻의 'It's my go'를 생각해 낸다.[2] 아논 외의 멤버들은 밴드명에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공연을 마친 후 토모리가 "공연하면서 우리 같다고 생각했다"라며 노트에 MyGO를 써서 보여주자 다들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자신과 반응이 다른 것에 투덜대던 아논이 다섯 명이서 더 나아가는 느낌을 주기 위해 MyGO 뒤에 ! 다섯 개를 추가하면서 지금의 밴드명이 탄생했다.
2. 멤버
프로젝트 개시 이후 1년간 각 멤버의 성우에 대해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보가 없었다. 1st 라이브에서도 아예 조명 등을 교묘하게 세팅해 얼굴이 보이지 않게 해놨다거나, 공식 사진으로 고개를 홱 돌리는 사진이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카메라가 흔들리는 사진을 올리는 등 성우 라이브 콘텐츠로써는 이례적일 정도로 신비주의를 지켜왔다.그러던 2023년 4월 9일, 4th LIVE에서 단독 애니메이션 제작 발표와 함께 캐릭터들의 풀네임과 더불어 장장 1년 만에 성우진을 공개했다.
헬로, 해피 월드!와 Morfonica에 이어 3번째로 키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최초로 트윈 기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보드,DJ로 대표되는 미디 코드와 리프로 디스토션 기타의 중음 빈자리를 예쁘게 메이크업해주는 일본 록 특유의 사운드 필링 성향이 옅어서 다른 밴드보다 다소 사운드가 드라이한 편이다.
멤버들의 성씨는 RAISE A SUILEN을 제외한 다른 밴드 멤버처럼 도쿄도의 구인 도시마구의 지명에서 따왔다. Poppin'Party가 카스미를 제외한 멤버들의 이름 첫 글자를 나열하면 STAR가 되는 것처럼 MyGO!!!!! 또한 멤버들의 이름 첫 글자를 나열하면 START가 되는데 제작발표회에서 아야나 유니코가 언급한 바에 의하면 의도된 것이라고 한다.
2.1. 타카마츠 토모리
|
[ruby(高松, ruby=たかまつ)] [ruby(燈, ruby=ともり)] CV. [[요우미야 히나|{{{#fff 요우미야 히나}}}]] 하네오카 여학원 고등학교 1학년. 사물에 대한 정서가 주변과 어긋나 있는 「하네오카의 사차원」. 마음에 드는 물건을 모으는 것을 좋아해 길가에 떨어진 돌이나 나뭇잎을 자주 줍고 있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카마츠 토모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카마츠 토모리#|]][[타카마츠 토모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치하야 아논
|
[ruby(千早, ruby=ちはや)] [ruby(愛音, ruby=あのん)] CV. [[타테이시 린|{{{#fff 타테이시 린}}}]] 하네오카 여학원 고등학교 1학년. 성적 우수에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동력이 있어 중학교 시절에는 반의 인기인으로서 학생회장도 맡고 있었다. 미하(ミーハー)한[3] 성격으로 유행하는 것에 손을 대기 쉽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 아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 아논#|]][[치하야 아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카나메 라나
|
[ruby(要, ruby=かなめ)] [ruby(楽奈, ruby=らーな)] CV. [[아오키 히나|{{{#fff 아오키 히나}}}]] 라이브 하우스 『RiNG』에 신출귀몰하게 나타나는 익센트릭(eccentric) 걸. 기타 실력이 상당하다. 좋아하는 건 좋다고, 싫어하는 건 싫다고 분명히 하고 있다. 말차를 좋아한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나메 라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나메 라나#|]][[카나메 라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나가사키 소요
|
[ruby(長崎, ruby=ながさき)] そよ CV. [[코히나타 미카|{{{#373a3c,#373a3c 코히나타 미카}}}]] 츠키노모리 여학원 고등학교 1학년. 취주악부에서 콘트라베이스를 담당하고 있다. 언제나 온화한 분위기의 언니 같은 존재. 누구에게나 상냥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의지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생각에 잠길 때 손끝을 만지작거리는 버릇이 있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사키 소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사키 소요#|]][[나가사키 소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시이나 타키
|
[ruby(椎名, ruby=しいな)] [ruby(立希, ruby=たき)] CV. [[하야시 코코|{{{#fff 하야시 코코}}}]] 하나사키가와 여학원 고등학교 1학년.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외로운 늑대(一匹狼). 라이브 하우스 『RiNG』의 스태프로서 아르바이트하고 있지만, 접객은 서투르다. 토모리에게는 무르다. 4살 위의 언니가 있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이나 타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이나 타키#|]][[시이나 타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밴드 스토리
3.1. 1장
BanG Dream! It's MyGO!!!!!의 스토리와 동일하다.총 41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대 뱅드림 밴드 스토리와 메인 스토리를 통틀어 가장 많은 화수를 차지한다. 스토리라인 중 일부 순서가 바뀌거나 제외되었다.[4]
4. 성우들의 밴드 활동
|
좌측부터 타테이시 린, 코히나타 미카, 요우미야 히나, 하야시 코코, 아오키 히나. |
- 요우미야 히나 (Vo.)(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Gt.)(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Gt.)(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Ba.)(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Dr.)(시이나 타키 역)
5. 음악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st Single | 2nd Single | 3rd Single | 1st Album | |||||
마요이우타(미성규) 나모나키(명무성) | 오토이치에(음일회) 잠재표명 실루엣 댄스(영색무) | 한 방울(일하공) 길잡이 불씨(분음타) | 벽천반주 노래하자 울려 퍼트리자 봄볕 (MyGO!!!!! ver.) | ||||||
1st Album | 4th Single | 5th Single | 2nd Album | ||||||
우타코토바(시초반) 멜로디(미로일일) 봉화(무로시) | 방랑(사촌주) 회상(회층부) 호흡(처구생) | 파노라마(단정산) 리프레인(륜부우) 마음(고괴뢰) | 스피드(보습도) 어게인(명현음) 덧없는 꿈(과타환) | ||||||
2nd Album | 6th Single | ||||||||
밤바람(야은염) 미스트(무주도) | 일일천추(율일전추) 정진정명(장심정명)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커버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지털 싱글 | 커버 콜렉션 Extra Volume | 디지털 싱글 | ||||||
논브레스 오블리주 | 너의 신이 되고 싶어. swim 거센 외로움이 덮쳐와 | 누군가의 심장이 될 수 있다면 | |||||||
<rowcolor=#fff> 미발매 커버곡 | |||||||||
화이트 노이즈 | 「나는... 」 | 혼잡한 길, 우리의 도시 | 아득한 저편 | ||||||
Subtitle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엑스트라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미발매 엑스트라곡 | ||||||||
Lioness’ Pride (w. 시시로 보탄)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음악#|]][[MyGO!!!!!/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음악/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음악/음반#|]][[MyGO!!!!!/음악/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라이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라이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GO!!!!!/라이브#|]][[MyGO!!!!!/라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미디어 믹스
7.1. 마이고!!!!!
마이고!!!!!(まいご!!!!!)는 비정기적으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YouTube Shorts로, MyGO!!!!!의 새로운 일면을 볼 수 있다는 설명처럼 개그에 기반한 짧은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작가는 毛魂一直線先生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8bb,#0088bb><bgcolor=#0088bb,#0088bb><tablebgcolor=#ffffff,#2d2f34><color=#fff> 회차 정보 ||
7.2. MyGO!!!!! 멤버의 일상
MyGO!!!!! 멤버의 일상(MyGO!!!!!メンバーの日常)은 비정기적으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미니 애니메이션으로, MyGO!!!!! 멤버들의 일상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제작은 스튜디오 모리켄(スタジオモリケン).캐릭터의 호칭과 소요의 성격이 It's MyGO!!!!!의 설정과는 다른 것에 대해 제작자 모리이 켄시로(森井ケンシロウ)가 밝히길, 인물 관계도를 받아 보니 위가 쓰려 오는 내용이었고 제작 의뢰를 받았을 때에는 이미 TVA를 제작 중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TVA의 내용을 실어서 인상을 강하게 남겨 버리면 처음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거부감이 들 수도 있으니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흥미를 가지게 할 만한 요소를 잘 선정해서 그걸 최대한 재미있게 만드는 방향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번역본 TVA 방영 이후에 나온 회차는 TVA 설정을 반영한 성격으로 나온다.
27화부터 한글자막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8bb,#0088bb><bgcolor=#0088bb,#0088bb><tablebgcolor=#ffffff,#2d2f34><color=#fff> 회차 정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22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373a3c> 회차 | 날짜 | 제목 | 링크 |
#1 | 8월 24일 | 「빙수」 | | |
#2 | 8월 30일 | 「선향불꽃」 | | |
#3 | 9월 13일 | 「십오야」 | | |
#4 | 9월 29일 | 「꽁치」 | | |
#5 | 10월 26일 | 「할로윈」➀ | | |
#6 | 10월 31일 | 「할로윈」➁ | | |
#7 | 11월 19일 | 「동물원」➀ | | |
#8 | 11월 29일 | 「동물원」➁ | | |
#9 | 12월 14일 | 「오샤피크[5]」➀ | | |
#10 | 12월 18일 | 「오샤피크」➁ | | |
#11 | 12월 27일 | 「추워지기 시작했어」➀ | | |
#12 | 12월 30일 | 「추워지기 시작했어」➁ | |
7.3. MyGO!!!!!의 마이고 센터
MyGO!!!!!의 마이고 센터(MyGO!!!!!の「迷子集会」)는 2022년 12월 21일부터 매주 수요일 19시마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미아집회(迷子集会)라 쓰고 마이고 센터(マイゴセンター)라 읽는다. MyGO!!!!!의 멤버들이 랜덤으로 맡아 진행하며, 구글 폼을 통해 시청자들의 사연을 상시 모집하고 있다.기본적으로 진행 대사 외에는 대본이 없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캐릭터를 연기하는 프리 토크 프로그램이지만, 캐스트 공개 이후에는 캐스트로서 진행할 때도 있다. 공식 측에선 이를 퍼스낼리티(パーソナリティ)로 표기해 캐릭터와 캐스트를 구분하고 있으니 참고할 것. BanG Dream! It's MyGO!!!!!가 방영 중일 때에 한해(#28~#49) 캐스트 라디오만 진행하였으며, 종영 이후(#50~) 다시 격주로 진행하고 있다.
#41부터 한글자막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2024년 6월 22일 마이고 센터 출장판 이벤트를 진행하였고, 이후 편집본이 #81, #82로 업로드되었다.
2025년에도 BanG Dream! Ave Mujica가 방영 중일 때에 한해 캐스트 라디오만 진행하였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8bb,#0088bb><bgcolor=#0088bb,#0088bb><tablebgcolor=#ffffff,#2d2f34><color=#fff> 회차 정보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23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373a3c> 회차 | 날짜 | 퍼스낼리티 | 링크 | ||
#3 | 1월 4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 |
#4 | 1월 1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 |
#5 | 1월 18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6 | 1월 25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7 | 2월 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8 | 2월 8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9 | 2월 15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10 | 2월 22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11 | 3월 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12 | 3월 8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13 | 3월 15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시이나 타키 | - | | |
#14 | 3월 22일 | 타카마츠 토모리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15 | 3월 29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
#16 | 4월 5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
#17 | 4월 12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시이나 타키 | - | | |
#18 (캐스트) | 4월 19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19 | 4월 26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20 (캐스트) | 5월 3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21 | 5월 10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 |
#22 (캐스트) | 5월 17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23 | 5월 24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시이나 타키 | | |
#24 (캐스트) | 5월 31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25 | 6월 7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26 (캐스트) | 6월 14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27 | 6월 2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28 (캐스트) | 6월 28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29 (캐스트) | 7월 5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30 (캐스트) | 7월 12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31 (캐스트) | 7월 19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32 (캐스트) | 7월 26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33 (캐스트) | 8월 2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34 (캐스트) | 8월 9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35 (캐스트) | 8월 16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36 (캐스트) | 8월 23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37 (캐스트) | 8월 30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38 (캐스트) | 9월 6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39 (캐스트) | 9월 13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40 (캐스트) | 9월 20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41 (캐스트) | 9월 27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42 (캐스트) | 10월 4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43 (캐스트) | 10월 11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44 (캐스트) | 10월 18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45 (캐스트) | 10월 25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46 (캐스트) | 11월 1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47 (캐스트) | 11월 8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48 (캐스트) | 11월 15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49 (캐스트) | 11월 22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50 | 11월 29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시이나 타키 | | |
#51 (캐스트) | 12월 6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52 | 12월 13일 | 타카마츠 토모리 | 나가사키 소요 | - | | |
#53 (캐스트) | 12월 20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54 | 12월 27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24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373a3c> 회차 | 날짜 | 퍼스낼리티 | 링크 | ||||
#55 (캐스트) | 1월 3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56 | 1월 10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57 (캐스트) | 1월 17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58 | 1월 24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59 (캐스트) | 1월 31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 | - | - | | |
#60 | 2월 7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 | - | - | | |
#61 (캐스트) | 2월 14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62 | 2월 2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시이나 타키 | - | - | | |
#63 (캐스트) | 2월 28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64 | 3월 6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65 (캐스트) | 3월 13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66 | 3월 20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67 (캐스트) | 3월 27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68 | 4월 3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69 (캐스트) | 4월 10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 | - | - | | |
#70 | 4월 17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 | - | - | | |
#71 (캐스트) | 4월 24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72 | 5월 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 | - | - | | |
#73 (캐스트) | 5월 8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 |
#74 | 5월 15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시이나 타키 | - | - | - | | |
#75 (캐스트) | 5월 22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76 | 5월 29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 - | | |
#77 (캐스트) | 6월 5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78 | 6월 12일 | 타카마츠 토모리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79 (캐스트) | 6월 19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80 | 6월 26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시이나 타키 | - | - | | |
#81 (출장판) | 7월 3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82 (출장판) | 7월 10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83 (캐스트) | 7월 17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84 | 7월 24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85 (캐스트) | 7월 31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86 | 8월 7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나가사키 소요 | - | - | | |
#87 (캐스트) | 8월 14일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 |
#88 | 8월 21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 |
#89 (캐스트) | 8월 28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 | - | | |
#90 | 9월 4일 | 치하야 아논 | 카나메 라나 | - | - | - | | |
#91 (캐스트) | 9월 11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92 | 9월 18일 | 타카마츠 토모리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93 (캐스트) | 9월 25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 | - | - | | |
#94 | 10월 2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 | - | - | | |
#95 (캐스트) | 10월 9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96 | 10월 16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카나메 라나 | 시이나 타키 | - | - | | |
#97 (캐스트) | 10월 23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98 | 10월 30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99 (캐스트) | 11월 6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100 | 11월 13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101 (캐스트) | 11월 20일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 | - | | |
#102 | 11월 27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 - | - | | |
#103 (캐스트) | 12월 4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 | | |
#104 | 12월 11일 | 타카마츠 토모리 | 나가사키 소요 | - | - | - | | |
#105 (캐스트) | 12월 18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 | - | - | | |
#106 | 12월 25일 | 타카마츠 토모리 | 치하야 아논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25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373a3c> 회차 | 날짜 | 퍼스낼리티 | 링크 | ||
#107 (캐스트) | 1월 1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108 (캐스트) | 1월 8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109 (캐스트) | 1월 15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 |
#110 (캐스트) | 1월 22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 |
#111 (캐스트) | 1월 29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112 (캐스트) | 2월 5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113 (캐스트) | 2월 12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 |
#114 (캐스트) | 2월 19일 | 요우미야 히나 (타카마츠 토모리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 | | |
#115 (캐스트) | 2월 26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116 (캐스트) | 3월 5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117 (캐스트) | 3월 12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118 (캐스트) | 3월 19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119 (캐스트) | 3월 26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120 (캐스트) | 4월 2일 | 아오키 히나 (카나메 라나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 | | |
#121 (캐스트) | 4월 9일 | 타테이시 린 (치하야 아논 역) | 코히나타 미카 (나가사키 소요 역) | 하야시 코코 (시이나 타키 역) | | |
#122 | 4월 16일 | 치하야 아논 | 나가사키 소요 | 시이나 타키 | |
7.4. 애니메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anG Dream! It's MyG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anG Dream! It's MyGO!!!!!#|]][[BanG Dream! It's MyG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기타
- 부시로드의 전 대표이사인 하시모토 요시타카(橋本義賢)[6]의 인터뷰에서 MyGO!!!!!의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추가는 아직 미정이라고 밝혔다. # 이후 2023년 4월 9일 개최된 4th LIVE에서 당일 오후 8시 정각에 MyGO!!!!!의 첫 번째 오리지널 곡 '마요이우타'가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에 수록된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 이전 RAISE A SUILEN의 사례처럼 곡이 추가된 후 애니메이션 완결과 동시에 게임에 합류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는데, 예상대로 2023년 9월 16일(걸파 6.5주년)에 걸파에 합류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걸파 트위터 걸파 소개 페이지
- 공개된 성우가 전원 2000년대생[7]으로 밝혀졌다.[8] 나이와 프로젝트 활동 시작 시기를 고려해 본다면 오오하시 아야카, 니시모토 리미, 쿠라치 레오[9](셋 다 합류 당시 20세), 오오츠카 사에(합류 당시 19세)가 뱅드림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시기와 비슷하다.
- Ave Mujica와 함께 역대 뱅드림 밴드 중에서 결성 과정이 가장 험난한 밴드다. MyGO!!!!!의 결성 스토리는 물론 멤버 각자의 서사도 굉장히 어두운 데다, 뱅드림 최초로 밴드가 해체된 적도 있다. 우여곡절을 겪은 뒤 다시금 결성되었지만 아직 선배 밴드들에 비해서는 결속력이 약한 편. 그래도 멤버들이 성장하면서 조금씩 하나 되고 있으며, 특히 Ave Mujica 애니메이션 6화에서 정신적으로 몰린 무츠미를 외면한 Ave Mujica 멤버와는 달리 MyGO!!!!! 멤버들은 자기 일처럼 무츠미의 상태를 걱정하고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토모리 역의 요우미야 히나는 자신의 SNS에 '스스로의 일에 집중했던 MyGO!!!!!가 타인의 일에 관심을 가지고 도우려는 성장이 보여 감동적이었다'라고 글을 남기기도 했다.
- 애니메이션에서 함께 등장한 신규 밴드 Ave Mujica와의 관계가 매우 깊다. 이토록 밴드 간 관계가 깊은 것은 뱅드림에서 전례가 없던 일인데, 이는 두 밴드가 '2개의 밴드, 10명의 드라마'라는 기획으로 동시에 시작되어 이후 뱅드림 프로젝트에 합류하는 것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테마 또한 '멜로 코어 밴드'와 '메탈 밴드'로 대조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7밴드는 밴드 멤버 사이의 유대감이나 우정을 중심으로 그려 왔다면, MyGO!!!!!와 Ave Mujica는 여러 가지 이유로 나아가지 못하는 현실적인 캐릭터와 이야기를 그리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 MyGO!!!!!와 Ave Mujica의 멤버들은 이미지 컬러가 유사한 멤버끼리 공통점이 꽤 있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Ave Mujica 멤버들의 신장이 공개된 이후, 멤버들의 신장 또한 서로 대칭되어 있다는 추측이 부상하고 있다. #
- 토모리 & 사키코(하늘색 계열)
각 밴드의 구심점이자 인간관계의 중심이고, 밴드 결성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한 멤버라는 점 - 아논 & 냐무(분홍색~붉은색 계열)
관심을 받는 걸 우선시하고 좋아해 주목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밴드를 시작했고, 악기를 연주한 경력이 짧다는 점 - 라나 & 무츠미(연두색~초록색 계열)
말수가 적고 감정 표현이 드물다는 점, 밴드 내에서 최단신 멤버라는 점 - 소요 & 우이카(노란색 계열)
다정한 이미지이나 무언가 숨기는 게 있어 보였고, 비설이 스토리 후반부에서 밝혀진다는 점[10] - 타키 & 우미리(어두운 파랑~보라 계열)
같은 반 친구에 서로 접점이 많고, 날카롭고 차가운 외모에 더해 언동이 무뚝뚝하고 인간관계가 좁은 점
- 밴드 중에서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리더가 정해져 있지 않은 밴드다. Poppin'Party는 보컬인 토야마 카스미, Afterglow는 베이스인 우에하라 히마리, Pastel*Palettes 보컬인 마루야마 아야, Roselia는 보컬인 미나토 유키나, 헬로, 해피 월드!는 보컬인 츠루마키 코코로, Morfonica는 드럼인 후타바 츠쿠시, RAISE A SUILEN은 DJ인 츄츄, Ave Mujica는 키보드인 토가와 사키코가 리더인 것이 공식 설정이다.
그에 비해 MyGO!!!!!는 결성, 해산, 재결성의 과정을 겪으면서도 확실하게 리더로 지목되는 멤버가 없다. 팬덤 일각에서는 밴드를 움직이는 중심인물인 치하야 아논이 리더 같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지만, 밴드의 구심점이 되는 인물은 틀림없는 타카마츠 토모리다. 라나는 '재미있는 여자아이'인 토모리와 라이브 하기 위해 밴드에 합류했고, 타키도 "모두가 토모리의 노래에 이끌려서 여기에 있으니 토모리가 리더인 게 당연하다"라고 말한 바 있으며 소요 또한 자신을 붙잡아 준 존재인 토모리를 리더로 여기는 듯한 묘사가 있다. 더 나아가 카키모토 감독이 리더의 적성이 높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했을 정도로 책임감이 강할 뿐더러 라이브에 필요한 많은 일을 도맡아 하면서 멤버들을 챙기고 있는 인물은 다름 아닌 시이나 타키이고, 그런 타키가 아논이 리더인 건 싫다는 반응을 보인 만큼 아논을 리더로 보기에는 애매하다. 결국 밴드 내에서도 누가 리더인지 확실하게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인 리더에 대한 설정은 추후 스토리를 통해 확립될 것이다.
- 아직 멤버들의 여름 및 겨울 사복은 미구현되었다. RAISE A SUILEN의 사례처럼 차후 시즌에서 추가되거나, Ave Mujica의 걸파 합류 이후에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 MyGO!!!!! 캐릭터의 캐릭터 랭크가 10레벨일 때 해금되는 3D 라이브 의상은 새로 디자인된 의상이 아닌 MyGO!!!!!의 초기 의상이다. 캐릭터 랭크 10레벨에 해금되는 의상이 초기에 공개된 기본 의상인 것은 타 밴드의 캐릭터들 또한 마찬가지다.[11]
- 합류 3개월차인 2023년 12월에 MyGO!!!!!를 포함한 전 밴드의 콜라보가 결정되어 역대 밴드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콜라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보컬조인 토모리만 콜라보 대상이었다.
- 이전부터 가끔씩 언급되던 뱅드림 세대 교체 설이 MyGO!!!!!의 인게임 합류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애니메이션은 마이고와 아베 무지카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되기에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에는 큰 말이 오가지 않았지만, 마이고가 앞으로 Poppin'Party와 비슷한 비중을 부여받는다는 발표와 MyGO!!!!!의 팬덤이 기존 팬층보다는 신규 유입이 더 많다는 점, 실제로도 주인공 밴드인 포피파가 시즌 3에 들어서부터 스토리와 프로젝트 양면에서 소외받고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Morfonica 실장 당시 잠시 나오다 수그러든 세대 교체설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 외에도 첫 번째로 받은 드페 의상이 기본 무대 의상을 리뉴얼한 것처럼 디자인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 카나메 라나의 성우 아오키 히나는 Anime X Game Festival 2023을 통해 대한민국을 방문한 최초의 MyGO!!!!! 멤버로 기록되었다. 이후 이듬해 말에 하야시 코코(시이나 타키 역)가 다른 작품 이벤트를 통해 한국을 방문했다.
- 중화권에서 특히 MyGO!!!!!의 인기가 상당한데, 중국 한정 이벤트 개최는 물론 한정 굿즈도 꾸준히 발매되고 있으며, 2차 창작도 매우 활발하다. 투표를 통해 중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오리지널 곡은 실루엣 댄스로 밝혀졌다.
- 짧은 단발이나 미디엄 헤어라도 머리를 묶은 캐릭터가 밴드 내에 한두 명은 있는데[12] 마이고는 장발인 멤버가 3명이나 있음에도 머리를 묶은 캐릭터가 없다.
[1] 토모리의 이미지 컬러인 물빛에서 따왔다고 마이고 센터 #5에서 언급되었다.[2] '항상 헤맨다(いつも迷子)'는 문장의 발음(이츠모 마이고)에서 착안했다.[3] 세간의 화제나 유행하는 것에 쉽게 휩쓸리는 성격을 가리키는 신조어.[4] 주로 Ave Mujica 관련 장면이다. 특히, 애니메이션 12화와 13화의 장면이 가장 두드러진다. 13화는 A 파트만 걸파 스토리에 나왔으며, 그마저도 12화 시점 이전으로 순서가 배치되었고 1장 엔딩은 12화의 마지막 장면으로 마무리 지었다.[5] 오샤레나 피크닉(おしゃれなピクニック)의 줄임말로 화려하게 파티 느낌으로 꾸미는 피크닉을 뜻한다.[6] 2023년 4월 현재는 사내이사 및 경영관리 본부장을 겸직. 현 대표이사는 키다니 타카아키.[7] 다만 요우미야 히나, 아오키 히나, 코히나타 미카는 빠른 2000년생으로 1999년생과 같이 학교를 다녔다.[8] 이전에 2000년대생은 신도 아마네가 유일했으며, 90년대 후반으로 범위를 넓혀도 나카시마 유키, 쿠라치 레오 뿐이였다.[9] 쿠라치 레오는 위의 둘과는 달리 2018년에 합류했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시기상으로는 오오하시 아야카와 니시모토 리미가 합류했을 때와 같은 나이일 때 합류했다.[10] 우이카의 성우 사사키 리코가 우이카의 이야기를 살짝 들었을 때 소름이 돋았고, 우이카의 이야기는 미스터리 영화에서 수수께끼를 푸는 감각으로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1] 기존 5밴드는 런칭 때 나온 의상이며, Morfonica와 RAISE A SUILEN은 인게임에 합류할 때 최초로 공개된 3주년 의상이다.[12] Poppin'Party - 토야마 카스미, 야마부키 사아야, 이치가야 아리사 / Afterglow - 우에하라 히마리 / Pastel*Palettes - 마야 제외 전원(아야의 경우에는 아이돌 활동 한정) / Roselia - 이마이 리사, 우다가와 아코 / 헬로, 해피 월드! - 마츠바라 카논, 세타 카오루 / Morfonica - 히로마치 나나미, 후타바 츠쿠시 / RAISE A SUILEN - 록, 파레오 / Ave Mujica - 토가와 사키코 / 무한대 뮤타입 - 나카마치 아라레, 후지 미야코[13] 보컬 - 유키나/토모리, 기타 - 히나,카오루/아논,라나, 베이스 - 리사/소요, 드럼 - 마야/타키[14] 보컬 - 아야/돌로리스, 기타 - 사요/모르티스, 베이스 - 치사토/티모리스, 드럼 - 카논/아모리스, 키보드 - 린코/오블리비오니스. 다만 Ave Mujica의 경우 아야와 달리 우이카가 보컬과 기타를 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