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7:22:56

체스/기보 표기법/FEN 표기법

FEN 표기법에서 넘어옴
1. 개요2. 표기하는 방법
2.1. 기물의 위치와 차례2.2. 캐슬링 가능 여부2.3. 앙파상 가능 여부2.4. 둔 횟수
3. 예시4. 장점5. 단점6. 관련 문서

1. 개요

Forsyth-Edwards Notation

FEN 표기법(포사이스-에드워즈 표기법)은 어떤 정지한[1] 상황에서의 체스 기물 배치도를 한눈에 알려주는 표기법이다.

2. 표기하는 방법

2.1. 기물의 위치와 차례

FEN 표기법에서 체스 기물대수 기보법과 같은 글자로 표기된다. 또한 흑의 기물은 소문자로, 백의 기물은 대문자로 표기한다. 아래의 표를 보자.
기물
kK
qQ
rR
비숍bB
나이트n[2]N
pP
FEN 표기법은 체스판을 1줄씩 끊어서 기물의 위치를 알려준다. 첫 줄을 적고 /로 줄을 구분하고 다음 줄을 쓰고... 이런 식이다. 빈 칸의 경우 연속된 빈칸 수 만큼 숫자로 표현한다.
파일:FEN 기보 표기법.png
이 상황에서, 첫 번째 줄에는 차례로 흑 룩(r), 빈 1칸(1),흑 비숍(b), 빈 1칸(1), 흑 킹(k), 빈 1칸(1), 흑 나이트(n)와 흑 룩(r)이 있으므로 r1b1k1nr, 두번째 줄에는 흑 폰(p), 빈 2칸(2), 흑 폰(p), 빈 1칸(1), 흑 폰(p), 백 나이트(N), 흑 폰(p)이 있으므로 p2p1pNp, 이렇게 한 것을 모아보면 r1b1k1nr/p2p1pNp/n2B4/1p1NP2P/6P1/3P1Q2/P1P1K3/q5b1 가 된다. 백의 차례인지 흑의 차례인지는 각각 w, b로 표현하며 기물 배치를 설명한 뒤 붙여준다.

이에 따라 체스의 처음 시작 포지션은 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가 된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2=Pw, b2=Pw, c2=Pw, d2=Pw, e2=P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2.2. 캐슬링 가능 여부

체스 기물의 배치를 알려주고 난 뒤에는 캐슬링을 할 수 있는 지 여부를 알려준다. 킹사이드[3]로 가능할 땐 K(흑이 가능할 때는 마찬가지로 소문자 k를 쓴다), 퀸 사이드[4]로 가능할땐 Q(흑이 될 땐 소문자 q)를 기물 배치를 설명 한 뒤에 적어준다. 양 쪽 모두가 캐슬링을 할 수 없는 상태이면 -(하이픈)을 적는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a1=Rw, e1=Kw, h1=Rw,
caption=r3k3/8/8/8/8/8/8/R3K2R w Kq)]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캐슬링 여부를 알려주는 칸이 Kq로 되어있으니 여기에서 흑은 퀸사이드, 백은 킹사이드에서[5] 캐슬링을 할 수 있다.

2.3. 앙파상 가능 여부

폰 관련 특수 규칙인 앙파상의 가능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으로 잡힐 수 있는 폰의 아랫 칸, 다시 말해 앙파상으로 잡을 때 잡는 폰이 움직일 칸을 캐슬링 여부를 적는 칸 옆에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앙파상을 할 수 없으면 -를 적는다. 다만, 앙파상으로 잡을 수 없어도 만약 적절한 자리에 폰이 있으면 앙파상이 가능할 때에는 적는다. 즉 다시 말해 앙파상 기본 규칙은 폰이 백은 2랭크, 흑은 7랭크에 있을때만 가능한 폰을 2칸 올리기를 했을 때 옆에 폰이 있었다면 잡을 수 있다는 규칙이므로, [6] 폰이 2칸만큼 전진했다면 써 넣을 수 있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b4=Pb, c4=Pw, h4=Pw, g4=,
caption=8/8/8/8/1pP4P/8/8/8 b - h3)]
체스판 밑 FEN 표기법에 따르면 앙파상 여부를 적는 칸에 h3라고 되어있으므로, 이번에 흑은 gxh3 e.p.[7]가 가능할 것이었고[8], bxc3 e.p[9]는 안 된다.

2.4. 둔 횟수

FEN 표기법으로 이때까지 몇 수를 두었는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 여부를 적는 칸 뒤에 half move[10]와 full move[11]를 적어준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Kb,
g1=Rw, h1=Kw,
caption=k7/8/8/8/8/8/8/6RK b - - 99 49)]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49수까지 두었고, 백의 50수는 두었고 현재 흑의 50수 차례이다.(대수 기보법으로 50... 의 차례이다)

3. 예시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h8=Nb,
b5=Nw,
g4=Pb, h4=Pw,
d2=Pw,
a1=Rw, e1=Kw, h1=Rw)]
r3k2n/8/8/1N6/6pP/8/3P4/R3K2R b KQq h3 37 18
백은 양 쪽으로, 흑은 퀸사이드로 캐슬링을 할 수 있다. g4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을 수 있고 흑의 19... 차례이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런던 시스템 - 슈타이니츠 카운터갬빗,
a8=Rb, b8=, c8=,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Nb, d6=, e6=Pb, f6=Nb, g6=, h6=,
a5=, b5=, c5=Pb, d5=Pb, e5=, f5=Bb, g5=, h5=,
a4=, b4=, c4=, d4=Pw, e4=, f4=Bw, g4=, h4=,
a3=, b3=, c3=Pw, d3=, e3=Pw, f3=Nw, g3=, h3=,
a2=Pw, b2=Pw, c2=,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 d1=Qw, e1=Kw, f1=Bw, g1=, h1=Rw)]
r2qkb1r/pp3ppp/2n1pn2/2pp1b2/3P2B2/2P1PN2/PP1N1PPP/R2QKB1R w KQkq - 12 6
백과 흑 모두 양쪽으로 캐슬링을 할 수 있다. 앙파상은 불가하고 백의 7. 차례이다

4. 장점

FEN 표기법은 대수 기보법과 다르게 한 줄로 전 체스판의 상황을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퍼즐 등을 설명할 때에 자주 쓰인다. 한 줄임에도 불구하고 캐슬링 여부, 앙파상 여부 및 둔 횟수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5. 단점

FEN 표기법은 '이 상황에서 이렇다'는 표현이 쉽지만, '이 상황으로 흘러갔다'는 표현이 어렵다. 대수 기보법으로는 1. e4 e5으로 해도 FEN 기보법으로는 온 체스판을 다 적어야 한다. 그래서 대국을 설명할 때에는 FEN 기보법은 딱히 쓰이지 않는다. 그리고 이 FEN 표기법은 모르는 사람이 많다. 대중화가 덜 되어 나는 한 줄로 정리해 보여줘도 상대방은 무엇인지 잘 모를 수 있다.

6. 관련 문서


[1] 한 수 한 수의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대수 기보법을 쓰는 것이 편리하다.[2] 나이트(knight)의 첫 글자는 k지만 과 겹치기도 하고 어차피 k는 묵음이라 n으로 표기한다.[3] 퀸이 없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쪽)[4] 퀸이 있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먼 쪽)[5] 퀸사이드 캐슬링이 가능했다면 KQq로 작성되어 있었을 것이다.[6] 이것은 아직 움직이지 않은 폰도 1칸전진만이 가능한 후기중세 전의 체스 규칙이 잔재하여 1칸만 움직인것으로 취급하고 대각선으로 잡는것을 허용하는 것이다.[7] g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 실제로 폰은 없지만 만약 g4에 폰이 있었다면 잡을 수 있음[8] 다만 실제로 폰이 있지 않으므로 앙파상이 나오진 않는다.[9] b폰이 c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10] 직역하면 '반 수'로, 백 또는 흑이 움직일 때마다 1씩 오른다.[11] 번역하면 '한 수'로, 흑이 움직였을 때 1씩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