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Gen.G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aa8a00> 감독 | [[김정수(e스포츠)|김정수 KIM ]] | |
코치 | [[권영재|권영재 Helper ]]|[[김다빈(프로게이머)|김다빈 Lyn ]] | ||
로스터 | |||
TOP | Kiin ]] | ||
JGL | Canyon ]] | ||
MID | Chovy ]] | ||
BOT | Ruler ]] | ||
SPT | Duro ]]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0> | 주민규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aa8a00> 소속 구단 | | HLE Challengers |
2023 | |||
| BNK FearX Youth | ||
2024 | |||
| BNK FearX | ||
2024 | |||
| Gen.G |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 |
<colcolor=#aa8a00><colbgcolor=#000> Gen.G No. Duro[1] | |
<color#000> 주민규 (Joo Min-kyu) | |
출생 | 2002년 2월 4일 ([age(2002-02-04)]세)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84cm, 79kg |
학력 | 대학 (기계과 / 휴학) |
MBTI | ISTP |
ID | Duro #Gen # |
포지션 | 서포터 |
데뷔 | 2022년 6월 13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2-06-13)]일째, [age(2022-06-13)]주년) |
소속 |
(2024.11.20 ~ ) |
국가대표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2023) |
에이전시 | 쉐도우코퍼레이션 |
|
1. 개요2. 주요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선수 경력
4.1. 2023 시즌
5. 여담6. 둘러보기4.1.1.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4.1.2.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4.1.3.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4.1.4.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4.2. 2024 시즌4.2.1.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4.2.2.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4.2.3.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4.2.4. 시즌 총평
4.3. 2025 시즌[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Gen.G 소속 서포터.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우승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 | → | 중국 |
All-CL Team 선정 |
2023 LCK CL SPRING TEAM |
3. 플레이 스타일
LCK에서 한동안 맥이 끊겼던 클래식한 지휘관형 선수. 챔프폭 자체는 블리츠크랭크, 쓰래쉬 그랩류 챔프를 제외하면 특출나게 이거다 할만한 챔프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숙련도가 고른 편이다. 다만, 팀 조합상 독박 이니시롤[3]을 담당하게 되면 퍼포먼스가 크게 떨어진다. 요약하자면, 팀 템포의 엑셀러레이터보다는 브레이크가 장점인 선수. 실제로 24 피어엑스가 듀로의 콜업 이후 반등을 할 수 있던데에는 엑스큐트의 극단적인 공격성이 아닌, 듀로의 억제력이 빛을 발하면서 공격성과 함께 팀적 안정성을 어느정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다.주목할만한 점은 특히 2024 서머가 데뷔 시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큰 기복 없이 시즌 내내 상수로 폼을 유지했다는 사실이다. 어떤 스포츠나 기복이 있는 선수는 리스크가 큰 것으로 평가하는데 저점이 높은 선수는 대체로 계산 가능한 영역에 있어 경기 외적인 수많은 변수를 줄여주기 때문이다.[4] 이니시에 특화된 플레이스타일은 비교적 리스키하다고 볼 수 있으나 높은 타율을 항상 유지해주기 때문에 온전히 장점으로 승화되는 것. 사실 잘 살펴보면 팀의 공격적인 부분은 듀로가 오더로 팀원들의 움직임을 조정하면서, 클리어, 랩터, 클로져가 누가 먼저 할 것 없이
경력 짧은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수싸움에 있어서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는데, 상대 핵심 스킬들을 빼기 위해 무리하는 척 하며 앞 포지션을 잡고 상대를 유인하다가 빨아들이면서 크게 이득을 보고, 상대방이 진입하는 경로를 예측하여 아군 딜러진들을 보호하기도 하며, 교전 단계에서 다른 팀원들을 통솔하면서 다음 플레이를 말하는 책략가 스타일의 메인 오더도 가능하다. 또한 와드를 통한 시야 플레이가 굉장히 탁월한데, 상대가 알아차리지 못할만한 위치에 절묘하게 와드를 설치하여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교전에서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거나, 교전 개시 후 후방 강습용 순간이동 플레이를 유도하기도 한다. 이런 부분은 경험이 쌓이면 발전 여지가 큰 부분인 만큼 이는 매우 희망적이다.
단점은 서폿임을 감안해도 냉정히 말해 반응속도와 같은 피지컬이 좋은 선수는 아니다. 그래서인지 수싸움이고 뭐고 피지컬로 모든걸 커버하는 상대에게는 다소 고전한다. 대표적인 천적이 바로 모함.[5] 즉, 예상을 뛰어넘는 슈퍼플레이에 대한 대응은 부족하며, 메이킹을 해야되는 포지션인 본인 입장에서도 이 부분은 본인의 장점인 수싸움을 극한까지 갈고 닦아서 커버해야할 점이다.
또 하나는, 본인이 말렸을때 오더 역시 침묵한다. 실제로 젠지에서 과감하게 영입을 한 것도
4. 선수 경력
4.1. 2023 시즌
4.1.1.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에이스로 거듭난 루어와 손발을 맞추며 활약했고, 그 활약 덕에 ALL CL팀에 이름을 올렸다.4.1.2.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블리츠크랭크 등을 잘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매듀라이프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4.1.3.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펀플러스 블레이즈와의 8강전에서 시그니처 픽인 블리츠크랭크로 역대 최고의 폼을 보여주며 팀을 4강으로 진출시켰다.4.1.4.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4.2. 2024 시즌
4.2.1.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1년만에 친정팀 피어엑스로 복귀하여 디아블과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시즌 종료 기준 kt 챌린저스의 웨이와 같이 챌체폿으로 평가받고 있다. 팬들은 다음 시즌 엑스큐트가 잔류하고 FA가 된다면 서포터가 약한 팀이 무조건 영입할 것이라 보는 가운데 서머 시즌 임대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4.2.2.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2024 Summer 'FOX Duro' |
이후 5주차 T1전과 kt전의 통신사 2연속 업셋에서 나름대로 좋은 활약을 선보였다. 피어엑스는 지금까지 무지성 박치기, 교전을 좋아하지만 교전을 못 하는 팀등으로 오명이 쌓였었는데 무지성 박치기의 선봉장 엑스큐트 대신 나름대로 신중하게 오더를 하는 듀로가 콜업되면서 한번 박치기를 하면 제대로 박살내버리는 팀으로 다시 거듭났다.[8] 여러 경기에서 과감한 이니시와 상반되는 침착함까지 보이며 LCK에 오랜만에 등장한 유망주 서포터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정규시즌을 6위로 종료하여 PO 막차에 자리한 시점에서 듀로에 대한 평가는 폭스에 지성을 가져다준 전도유망한 서포터로 축약할 수 있으며, 모함과 함께 일단 챌체폿은 되든 안 되든 한번 긁어봐야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케이스가 됐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디플러스 기아의 지목을 받았으며, 모함한테 철저하게 완파당하며 팀 패배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9]결국, 1:3으로 패배하며 아쉽게 첫 1부 다전제를 마치게 되었다.
4.2.3.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
커리어 첫 월즈 선발전이었다. 상대는 월즈 유관 베테랑들이 대거 포진해 있던 kt로, 플옵 1라운드와는 다르게 밴픽적인 부분에서 크게 모난 부분이 없었으나 선발전만 되면 강해지는 kt 베테랑 듀오의 각성과 다전제 경험이 부족한 신인 위주의 로스터를 꾸린 탓에 경험이 부족한 피어엑스의 단점이 시너지를 일으키는 바람에 0:3으로 패배, 시즌을 그대로 종료하게 되었다.4.2.4. 시즌 총평
CL에서 탈CL급 경기력을 보여주며 피어엑스 팬들의 기대를 모았고, 호전적이지만 영리한 플레이에 익숙하지 않아 피어엑스 부진의 주범으로 꼽혔던 기존 1군 주전인 엑스큐트를 밀어내고 구원투수로 1군에 콜업되어 신인 위주 로스터로 서머 PO 말석을 따내는 데 기여하며 팬들의 기대에 그 이상으로 부응하는데 성공한 1군 데뷔 시즌을 보냈다.다만 1군 풀타임 주전이 아닌 서머에 투입된 주전 선수였고, 기존 주전의 부진으로 급하게 서머 중간에 콜업되어 경험 부족으로 인한 아쉬운 모습도 간간히 있었기 때문에, 차기 시즌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성장한다면 충분히 유수급 선수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4.3. 2025 시즌
4.3.1. LCK 스토브리그/2024
피어엑스와의 계약은 2024년까지이나, 서머에서의 경기력이 1군 첫 데뷔 시즌임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매우 좋았던 덕분에 서포터 풀이 씨가 말라버린 LCK 스토브리그에서 굉장히 매력적인 서포터 매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특히 2025 시즌부터 LCK 경기 포맷이 정규시즌 8위까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두고 경쟁하는 플레이-인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변경되면서 확실한 서포터 포지션의 부재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여러 팀들의 러브콜을 받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스토브리그 전문 썰쟁이인 한상용 감독도 개인 방송에서 듀로의 인기가 상당히 많다고 공언했을 정도.스토브리그 개장 이전 LPL의 AL에 소속되어 있으며, 리브 샌드박스 시절 주전이었던 카엘이 복귀하고 듀로는 FA로 풀릴 것이라는 루머가 돌기도 했으나 AL의 매니저가 카엘과는 기존 계약 기간인 2025 시즌까지 갈 것이라고 공언하면서 일단 타 팀 이적 가능성은 조금 낮아졌다.
월즈 우승 서포터이자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FA 시장에 나올 예정이었던 서포터 최대어인 케리아가 스토브리그 시장 오픈 전에 미리 재계약 오피셜을 띄운 후 기초군사훈련에 들어가면서 베릴, 리헨즈와 함께 서포터 매물 3대장으로 등극하게 되었다. 게다가 베릴은 이미 스토브리그 개장 한참 전부터 DRX행 거피셜이 계속 나왔어서 사실상 확실한 서포터가 없어 매 시즌마다 골머리를 앓는 팀들이 스토브리그 시기에 외부 영입으로 구할 수 있는 최상위 매물로 자리잡게 되면서 듀로의 행보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디플러스 기아 소속 서포터였던 켈린을 피어엑스에서 영입해 갔다는 타율 좋은 DRX 마이너 갤러리 썰쟁이[10]의 찌라시가 나오면서 이적 가능성이 높아졌고, 11월 15일 한상용의 스토브리그 개장 전 마지막 방송에서 리헨즈는 재계약보다 타 팀 이적이 더 가능성이 높다는 언급과 동시에 듀로를 젠지에서 영입 후보군으로 보고 있다는 언급을 하며 젠지로의 이적 가능성이 높아졌다.[11] 또한 같은 날 방송에서 'LCK 10개 팀 모두 정글과 서포터는 확정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한상용이 언급하며 큰 이변이 생기지 않는다면 듀로는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피어엑스를 떠날 것으로 보인다.
11월 17일, LPL 유명 썰쟁이인 한이가 2025 시즌 젠지 로스터로 '기인-캐니언-쵸비-룰러-듀로'를 공식적으로 언급하면서 젠지 이적 거피셜이 떴다.#
11월 19일 10시에 공식적으로 피어엑스와 계약 종료하여 FA로 풀렸다. 그리고 다음날 11월 20일 10시 40분 젠지로 이적했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기인 - 캐니언 - 쵸비 - 룰러라는 상당한 스쿼드에서 2025 시즌을 치르게 되었는데, 아마 젠지는 2023 시즌의 딜라이트 같은 모습을 듀로에게 기대하고 있을 테니 듀로 본인에게도 매우 중요한 시즌이 될 것이다.
4.3.2. 2024 LoL KeSPA Cup
11월 29일 오전 11시에 발표된 참가팀별 선수 로스터에 포함되면서 젠지 소속으로 활약하는 첫 대회이다.예선전 전승을, 그것도 1판을 제외하고는 전부 2군 위주의 로스터로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달성하는데 성공하였다. 본인의 강점이라고 평가받는 그랩류 이니시형 서포터인 노틸러스로 매우 준수한 모습을 여러 번 보여주었다.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에서 1군 전원이 출전한 OK브리온을 상대로 매서운 운영을 보여주며 4강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4강 디플러스 기아전 1세트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2세트에서 바텀 2차 포탑 앞에서의 치명적인 오더 미스를 내는 바람에 거의 다 잡은 게임을 허무하게 내주었고, 3세트에서 듀로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인 '대세가 역전당했을 때의 무력함'이 터져버리며 아쉽게 4강에서 케스파컵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전반적인 평가는 팀합을 맞출 시간이 적었고 1군 풀전력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상은 해주었다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으나, 4강에서의 아쉬운 모습 때문에 정규 시즌 시작 전까지 꼭 스텝업을 했으면 좋겠다는 여론도 일부 있다.
4.3.3.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2025 LCK Cup 'GEN Duro' |
2주차 경기인 피어엑스전에서는 1세트에 레오나를 골랐지만 맞라이너인 디아블-켈린 듀오가 초반부터 인생경기라고 봐도 될 정도로 굉장한 기량을 펼치는 바람에 라인전 단계에서 굉장히 고전하였고, 25분 전까지 오버데스를 쌓거나 안일한 플레이로 실점을 내주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후반 버티기 단계에서 포지셔닝 실수를 한 디아블을 천공의 검으로 정확히 노려 잡아내면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며 간신히 1세트를 따내는 데 성공하였다. 2세트에서는 렐을 픽하여 룰러의 미스 포츈을 잘 보좌하여 무난하게 플레이하여 매치승을 가져오게 되었다. 다만 2세트조차도 명암을 보여준 경기였는데 라인전 단계의 플레이나 스킬샷 등이 불안한 모습을 보여 본인이 2세트 팀보이스와 경기 후 인터뷰에서도 자신의 경기력을 혹평하는 등 팀의 기대에는 다소 못 미친 경기력이었다.
3주차의 유일한 경기였던 T1전에서는 그나마 1~2주차의 파멸적인 폼 보다는 조금 나았지만 팀을 캐리할만한 폼도 아니었으며, 팀 역시 캐니언-쵸비의 저점이 뜨며 1:2로 패배했다. 그나마 조 2위를 확보하며 플레이오프 직행을 따낸 만큼, 남아있는 일주일 정도의 시간 동안 폼을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로 보인다.
대망의 플레이오프 2R 한화생명과의 경기에서는 캐니언과 함께 제대로 게임을 집어던지며 결국 2:3으로 패배했다. 오죽하면 4세트를 제외하면 역시 정상 경기력은 아니었던 룰러의 파멸적인 경기력이 듀로에게 묻혀서 상대적으로 선녀로 보일 정도. 특히나 이제 어느덧 6년차 중견 게이머가 된 탓에 쿠세가 읽혀 장기인 카정 동선이 완전히 털려 저점을 찍는 캐니언과 달리 듀로의 부진은 라인전에서 딜교실패로 스펠 빠지기, 시야 잡으러 가다가 짤리기, 혼자서 1:5 이니시 걸었다가 폭사하기 등 매우 기초적인 부분에서 트롤링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다. 게다가 이 날 상대 서포터가 다름아닌 자신의 전전임자였던 딜라이트였는데, 그에게 MOG를 헌납하는 굴욕도 당했다.
플레이오프 3R 패자조 농심과의 경기에서는 팀 단위 체급이 워낙 나기 때문에 그래도 어느정도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줄줄 알았으나 한화생명전보다 하등 다를 바 없는 폼을 선보였다. 그나마 이 날은 모처럼 기인과 쵸비, 특히 쵸비가 원장 시절의 기억을 되살려 겨우겨우 3:2로 승리를 따내긴 했으나 잘 쳐줘야 다크호스인 농심에게도 빌빌대는 경기력을 선보이며[12] 국제전, 특히 월즈 패권을 쟁취하기 위한 팀인 젠지에 걸맞는 서포터는 아닌 모습을 보여줬다.
2세트 승리시 보이스에서 미안하다며 자책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3세트 4세트 본인의 얼어붙은 플레이로 계속해서 실수하자 5세트에는 유미를 꺼내어 승리를 당했다..그리고 마지막 승리했을때 머리를 싸매며 자신의 경기력을 자책하는 모습을 또 한번 보여주었다.
4.3.4. 2025 LoL Champions Korea
5. 여담
- 선수명인 Duro(듀로)를 두로라고도 읽을 수 있어 좋은 플레이가 나오면 녹두로라고 채팅창이 도배되기도 한다.
- 오프 더 레코드나 승리 복기 영상에서 팀원들의 목줄을 잡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다보니 F들 사이에 낀 T라는 밈이 있다. 거기에 더해 기계과에 재학한 경력과 02년생 치곤 노안(..)이다보니 농담삼아 대학원생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다.
여기에 배기범을 닮았다. - 제일 자신있는 챔피언은 쓰레쉬라고 밝혔다. 하지만 챔피언 특성상 대회에서 꺼내기 어려운 챔이라고 덧붙였다. 2025 LCK 컵 그룹 배틀 T1전 3세트에서 처음 픽하며 초반에는 듀오킬을 당하는 등 고전했으나, 중반 들어 매듀라이프라는 별명이 허언이 아니라는듯 좋은 그랩 적중률을 보여줬다. 하지만 게임은 패배했다.
- 축구선수 주민규와 동명이인이다.
- 프로선수중 젊은 편인데도 얼굴이 다소 나이가 들어보이지만 반듯한 인상이라 프로게임선수라기 보다는 엘리트 회사원 같다고 한다. 회사 과장님이나 병원 원장님 상이라는 평이 있다. 실제 어떤 강남 성형외과 의사와 닮았다고도 한다.
- 닉네임 Duro는 라틴어로 딱딱하다를 의미한다. 본인이 직접 찾아보고 지었다고.[13]
- 초등학교 4학년에 롤을 시작했다.
- MBTI는 ISTP라고 한다.
- 첫 배치는 실버 4, 최고 티어는 챌린저 1등이라고 한다. #
- 챌린저 1등 당시 큰 감흥은 없었다 한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Challengers League ALL-CL TEA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TOP | JGL | MID | BOT | SPT |
2021 스프링 | | | | | | |
2021 서머 | | | | | | |
2022 스프링 | | | | | | |
2022 서머 | | | | | | |
2023 스프링 | | | | | | |
2023 서머 | | | | | | |
2024 스프링 | | | | | | |
2024 서머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 | Esports Championships East Asia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자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시즌 | 우승국 | 포지션별 선수 | 감독 및 코치 | |||||
TOP | JGL | MID | BOT | SPT | SUB | COACH | |||
<colbgcolor=#fff><rowcolor=#61b52f> 2021 | | IlllIma | Bonnie | TolanD | Envyy | JeongHoon | VicLa | BanBazi | |
2022 | Photon | Lucid | FIESTA | Rahel | Peter | TolanD | Chelly | ||
Noblesse | |||||||||
2023 | Rooster | HamBak | Calix | vital | Duro | Way | Chelly | ||
Lilac | |||||||||
2024 | | Nuo | climber | xqw | chips | Mitsuki | - | BoBo |
[1] 前 Utility[2] 팀명 변경: Liiv SANDBOX Youth → FearX Youth, 2023년 12월 15일 → BNK FearX Youth, 2024년 5월 24일[3] 사실 많은 서폿들이 독박 이니쉬롤을 맡게 되면 밴픽을 조지면 경기력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듀로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4] 다만, 이는 어느정도의 체급이 있다는 전제가 깔려야 한다. 애매하게 못하면서 기복이 적으면 그건 그냥 못하는 선수다.[5] 챌린져스때부터 유독 모함을 만나기만 하면 고전하며 패배를 누적했다. 그 정점을 찍었던게 24년 서머 플레이오프. 피지컬에서 철저히 밀리며 하드카운터인 알리스타를 가지고도 렐을 전혀 마크를 못하며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이 되었던 전적이 있다.[6] 특히, 전임자였던 리헨즈는 팀의 메인오더였고, 기인, 캐니언, 쵸비, 룰러 역시 주도적으로 오더를 하는 선수와는 거리가 있기에 더더욱 그렇다.[7] 실례로, 디플러스의 베릴은 본인의 오더가 틀렸음에도 "아 쏘리 이 각보고 있었는데 까비" 이러고 다음 플레이를 이어갔고, T1의 페이커는 치명적인 오더 미스를 하더라도 그냥 "미안"하고 다음 플레이 보자하고 상황을 넘기는 장면을 보여줬다. 전전임자였던 딜라이트가 듀로와 비슷한 상황에서도 젠지에서 성과를 낼 수 있던 것 역시 도란-피넛-쵸비라는 강력한 상체 존재감에 밀리지 않고, 실패하더라도 넉살로 넘어가거나 강하게 자기주장을 계속하는 모습이 가장 컸다.[8] 피어엑스 유튜브에 인게임 오더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일단 우리가 바론을 치자는 등으로 무지성 박치기에 눈이 돌아간 4명의 목줄을 잡고 이성적인 오더를 내리고 있다.[9] 물론, 전반적인 팀적 체급 차이와 감코진의 밴픽 미스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하드카운터인 알리스타로 이니시가 안된건 물론, 렐을 한번도 마크 못하면서 계속 렐한테 이니시를 쓸려버린건 명백한 듀로의 실책이다. 정규 시즌에서의 듀로의 장점이라고 평가되는 침착함과 계산적인 플레이가 빛이 바랬던 부분.[10] 레클레스의 계약 해지를 오피셜 4일 전에 예측했고 실제로 적중했다.[11] 현재 젠지는 코어로 꼽히는 상체 3인방의 재계약과 LPL에서 복귀 의사를 타진한 룰러의 영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들의 연봉은 샐러리 캡 감면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높기 때문에 2023 시즌에 딜라이트를 복권 느낌으로 영입하여 성공시킨 이력이 있어 듀로도 같은 느낌으로 영입 후 육성 + 샐러리 캡 경감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느낌의 카드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12] 특히, 전임자이자 상대팀 서폿이였던 리헨즈가 원딜인 지우 상태가 안좋음에도 말 그대로 팀을 멱살잡고 캐리하는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더 비교된 감이 있다. 만약 매치를 농심이 이겼다면 MOG는 무조건 리헨즈였을 정도.[13] 영어의 Durable을 생각하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