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rnier Do 17 |
1. 개요
도르니에(Dornier) 사[1]가 개발한 독일의 경폭격기이자 일명 비행하는 연필(Fliegender Bleistift-flying pencil).[2]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He 111, Ju 88과 더불어 루프트바페 폭격기 전대의 중추를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참고로 간간히 中폭격기(중형 폭격기)로 소개되는 경우도 있으나 무장 탑재량은 완벽한 경폭격기다. 단, 개량형 Do 217은 中폭격기가 맞다.
2. 제원
Do 17 Z-2 기준 전고 : 15.8 m 전폭: 18 m 전장: 4.56 m 공허 중량 : 5,210 kg 최대이륙중량 : 8,837 kg 연료 용량: 표준 연료 1,540 L 보조 탱크 포함 2,435 L 최대 속도: 해수면에서 8,040 kg에서 350 km/h 5,000 m에서 8,040 kg에서 410 km/h 순항 속도: 시속 300 km 날개하중: 156 kg/m2 무장 7.92mm MG 15 기관총 6정(전방 상/하부, 후방 상/하부) 50 kg 폭탄 20개 또는 250 kg 폭탄 4개 |
3. 상세
독일의 유명한 항공기 설계자인 클라우디우스 도르니에(Claudius Dornier)가 직접 설계한 기체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폭격기로 쓰고자 만든 놈이 아니다 보니 실제 전쟁에서 보여준 모습은 한심하기 짝이 없었다는 점이 문제.3.1. 전간기
1932년에 제작 의뢰를 받아 루프트한자의 여객수요를 위해 제작 첫 기체가 제작되었으나, 실제로는 여객수요가 아닌 우편 배송용 기체로 널리 사용되었다.[3] 그러나 히틀러 집권 이후, 독일이 본격적으로 재군비에 나서면서 Do 17은 독일 공군의 주목을 끌게 된다. 이후 폭격기로 개조되면서 엔진을 BMW의 BMW VI 수랭식 엔진으로 교체하여 속도를 향상해 고속 경폭격기로 포지셔닝했다. 이후 스페인 내전에서 대활약, 독일 공군을 만족시켰으며 다시 개량하여 E, F형이 나왔는데 이것이 Do 17 계열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핵심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폴란드와 노르웨이, 프랑스 침공 등지에서 대활약하였으나 Bf110, Ju87과 마찬가지로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큰 좌절을 맛보게 된다.3.2.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의 굴욕
일단 Do 17은 근본적으로 경폭격기다 보니 폭장량이 많지 않았다. 이는 바다를 건너와야 하는 영국 폭격에는 매우 치명적이었으며 기껏 고생해서 날려도 큰 효과가 없었다. Do 17의 여러 바리에이션 중 가장 폭장능력이 큰 게 1t인데, 같은 중형 폭격기인 He 111도 혼자서 2톤 정도는 들었고 Ju 88은 아예 3톤 가까이 실을 수 있었다.거기에 나름 고속으로 만들었다지만 이게 만들어진 연도가 1934년이다 보니 1940년이 되어서는 졸지에 저속 폭격기가 되었다.
4. 개량형 Do 215, Do 217
물론 도르니어 사도 놀고만 있던 게 아니라서 Do 17을 기반으로 꾸준히 후속작을 개발했는데, DB 601(Bf 109E의 엔진)를 단 수출형 버전인 Do 215와 Do 17의 마개조에 가까운 개량을 한 Do 217이 대표적이다. Do 215는 기존의 Do 17에 비해 최고속력이 500km에 도달했고 폭장도 1,000kg 수준이었다. 다만 수출형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수출이 전부 취소되었고 105대만 생산되어 독일이 운용했다.[7] Do 217은 폭장이 가장 우수한 기체라 대전 막판의 열악한 상황에서도 1,925대 가까이가 생산되었다. 이후 대전 막판에 가서 폭격이 불가능해지자 그냥 Do 217은 야간전투기로도 운용했다. 참고로 Do 217은 프리츠 X를 탑재하고 출격해 로마를 격침시킨 전력이 있다.5. 현재
Do 17의 총 생산량은 2,139기이며 이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기체는 0대이다. 개량형 Do 217까지 포함해도 한 기도 안 남았는데, 이유는즉슨 대전 초반부에 생산이 중단되어 생산량이 적은 데다,[8] 이후 계속된 전투로 모조리 파괴되었고, 그나마 남은 것도 퇴역 후 해체 처분되었기 때문. 그래서 주요 군사박물관을 가도 Do 17은 모형이나 간신히 구한 잔해만을 전시하고 있다.다만 아래에 소개된 Do 17이 복원된다면 생존 기체가 하나 추가되는 셈이 된다.
5.1. 복원 계획
영국 본토 항공전 도중 격추된 기체가 영국 해안 해저에서 발견되어 인양에 들어간다고 한다. 박물관에선 로또라고 좋아한다고.2013년 6월 기체가 인양되었다. BBC 뉴스 현재는 복원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그외 한국에서의 뉴스는 여기로#.
벨라루스 게임회사인 워게이밍넷이 이 사업을 지원한다.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핀란드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191919> 핀란드 방위군 (1918~1945) Puolustusvoimat | |||||
전투기 | <colbgcolor=#ffffff,#191919> 복엽기 | 브리스톨 불독 IIA/IVA | 글로스터 게임콕 | 글로스터 건틀렛 | 레토프 Š-218 |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 F.K.52 | I-15bis | I-153 | 야크트팔켄 II | ||||
단엽기 | F2A 버팔로 | C.714, P-36 호크 | P-40M-10-CU 워호크 | 묄케-모랑 | 포커 D.XXI | 호커 허리케인 | G.50 프레치아 | Bf 109G-(2/5/6/8) | I-16 | LaGG-3 | MiG-3 | VL 미르스키 | Do 22 | |||||
폭격기 | 경폭격기 | 블랙번 리폰 | 포커 C.V | 포커 C.X | 호커 하트 | Ju-87 | Po-2 | SB-2 | ||||
中폭격기 | 아브로 앤슨 | 브리스톨 블렌헤임 | DC-2 | Do 17 | Il-4 | Ju 88 | Pe-2 | ANT-40 | DB-3 | SB-2 | |||||
수송기 | 융커스 W34 | 에어스피드 AS.6E 엔보이 | He 115 | |||||
수상기 | Ar 196 | |||||
정찰기 | A.11 | A.32 | 웨스트랜드 월레스 | 웨스트랜드 라이샌더 | VL E.30 콧카 | Fi 156 슈토르히 | He 59 | Fi 156 | |||||
훈련기 | DH.60 모스 | DH.58 타이거 모스 | 융커스 A50 | Fw 44J | H.232.2 | VL 사스키 I/II/IIA | VL 투스쿠 I/II | VL 비마 I/II | Po-2 | Fw 58 | |||||
프로토타입 | VL 후무 | VL 퓌외레뮈르스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스페인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C600> 전투기 | <colbgcolor=#FFC600> 복엽 전투기 | 2 | 2W | 3 | 4W | 5W | 7 | 8 | 9 | 37(I/II) | |||
단엽기 | 1 | 1W | 5 | 6 | Bf 109(E-4, E-7, E-7B, F-2, F-4, G-2, G-4, G-6)EA | HA-1109-J1 | |||||
폭격기 | 육상기 | 18 | 20W | 21 | 23 | 25 | 26 | 27 | 28 | 29 | B-25C 미첼C | Fw 200C | ||||
수상기 | Do 24, He 59, He 60, He 114, He 115 | |||||
공격기 & 경폭격기 | 16 | 17 | 17W | 24 | 32 | 38 | 40 | 43(II) | |||||
정찰기 | 11 | 12 | 14 | 15 | 16W | 19 | 46 | |||||
수송기 | 22 | 26 | 30(XIV) | 30(I/II) | 41 | 42(I/II/III/IV) | 43(I/III) | 45(I/II) | 47 | |||||
훈련기 | 30(I/II/III/IV|V/VI/VII/VIII/IX/X/XI/XII/XIII/XV/XVI/XVII/XVIII) | 33 | 35 | 36 | 39 | 44 | Kl 35, Fw 58 | }}} | ※ 윗첨자 S: 스페인 공군 소속 별도 표기 없을 시 스페인 공군 소속 ※윗첨자 EA: 청색 비행대 소속 ※윗첨자 C: 노획 기체 |
||<tablebordercolor=white><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생산 자체는 도르니어 사 말고도 HFW(헨쉘-Henschel-), HFB(블롬 운트 포스-Blohm & Voss-), 지벨(Siebel) 사에서도 이루어졌다.[2] 정말 잘 어울리는 별명인데, 가느다란 동체라는 형태와 우두둑 부러지듯이 연약한 내구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이었다.[3] 당시에는 지금처럼 항공기가 전문 장비로 떡칠되지 않았기에 항공기 가격이나 유지비용이 싸서 국내 단거리 우편도 항공기로 굴리던 시절이었다. 사실 요즘 비행기도 GPS 하나만 빼도 가격이 적당히 타협할 만한 수준까지 내려간다. 그걸 도저히 뺄 수 없으니 문제지.[4] He 111도 라이터라고 욕먹긴 했고 실제로도 내구도가 그리 좋진 못했으나 폭장량이나 엔진의 힘 등 여러 면에서 Do 17보다는 훨씬 나은 폭격기였다.[5] 원래 추축국에 가입했으나 쿠데타로 추축국을 탈퇴하자 빡돈 독일과 이탈리아, 헝가리가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했다.[6] 대부분의 Do 17기가 지상에서 파괴당했고 극소수가 왕족들을 태우고 탈출했다.[7] 이때 Do 215를 사려고 했던 나라가 스웨덴, 네덜란드였다. 18대, 24대를 주문했는데 스웨덴은 이후 DB 605 엔진을 수입하는 등 자잘한 도움을 독일에게 받게 되었다. 반면 네덜란드는 독일의 침공으로 인하여 그냥 무산되었다.[8] 지금 기준으로 보면야 2,000기가 넘으면 엄청난 대량 생산이지만 전투기 단일 기종으로 5,000기는 찍어야 좀 찍었네 하는게 2차대전 스케일이다. 영국 본토 항공전이나 태평양 전쟁 때는 큰 전투 한번 벌어졌다 하면 양국 합쳐 하루에 항공기 100기 이상은 격추되는 게 일상다반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