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16:21:04

ADOR/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DOR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ADOR 로고.svg파일:ADOR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티스트
파일:NewJeans 로고.svg파일:NewJeans 로고 화이트.svg[분쟁중]
CEO
김주영
프로듀서
250 Jinsu Park
퍼포먼스 디렉터
관련 문서 : 논란 및 사건 사고

[분쟁중] 29일부로 뉴진스 멤버들은 계약 해지를 통보하였으나, 어도어에서는 계약이 유효하다고 주장하여 현재 분쟁중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로.
}}}}}}}}} ||



[clearfix]

1. 개요

ADOR의 주요 논란 및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

2. 엠넷과의 갈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엠넷 문서
번 문단을
ADOR와의 갈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발단은 2022 마마 어워즈에서 시작됐는데, 당시 NewJeans는 양일 모두 공연하고도 단 한 부문도 수상하지 못한 채 무관으로 돌아갔고[1], 자신들이 아닌 회사 대표 민희진에게 수여된 <브레이크아웃 프로듀서상>의 대리 수상 소감을 하는 촌극까지 겪었다.

이로 인해 회사 측에서 엠넷에 제대로 분노했는지, 이듬해인 2023년부터 NewJeans는 엠 카운트다운을 비롯한 엠넷의 어떠한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지 않고 있다.[2][3]

이때문인지 2023 마마 어워즈에서 엠넷은 NewJeans에게 대상을 2개나 안겨주며 화해 제스처를 보였지만, ADOR는 VCR 수상 소감조차 보내지 않는 등 여전히 엠넷과 화해할 의사가 없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었고, 팬덤 역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식으로 여전히 엠넷에 대해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언제까지 이 사태가 지속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4]

그리고 멤버들도 Phoning에서 언급을 최대한 피해 MAMA AWARDS 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큰 상이라고 표현하였다.

이후 2023년 10월 30일 HYBEMBC불편한 관계를 끝냈음에도, How Sweet 컴백 활동 당시에는 뮤직뱅크SBS 인기가요에만 출연을 했으나, 2024년 7월 13일 멤버 혜인의 복귀와 함께 쇼! 음악중심에 출연하면서, 이제 메이저 4대 음악방송 중 엠 카운트다운에만 나가지 않는 모양새가 되었다.

경영진이 바뀐 2024년에도 마마 어워즈에 불참했다.

3.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gray><colcolor=#fff> 경과 2024년 4월 (민희진 1차 기자회견) · 5월 (민희진 2차 기자회견)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5년 1월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주요 쟁점 주요 쟁점
주요 사건 민희진의 하이브 대상 의결권행사금지 가처분 신청,(결과),
민희진의 어도어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어도어 사내이사 재선임을 위한 가처분 신청,(결과),
쏘스뮤직 측의 연습생 영상 유출 논란
NewJeans-ILLIT 유사성 논란
HYBE 위클리 음악산업 리포트 논란
HYBE-단월드 연관설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경과, 뉴진스 긴급 라이브 방송,뉴진스 긴급 기자회견)
관련 문서 민희진,(사건 사고), · ADOR,(사건 사고), · 쏘스뮤직,(사건 사고), · HYBE,(사건 사고), ·빌리프랩,(사건 사고), · 방시혁 · 박지원 · 김주영 · 이재상 · NewJeans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배틀그라운드와의 콜라보 당시 게이머 잠재적 가해자 취급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BATTLEGROUNDS NewJeans 콜라보 관련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처음에는 배틀그라운드 제작사 크래프톤이 아이템 환불 관련하여 게이머를 기만한 사건이었고 어도어는 배틀그라운드와 콜라보 계약을 결재해주기만 했을 뿐 별다른 책임이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한 플레이어가 뉴진스 캐릭터에게 선정적인 입혔다는 이유로 뉴진스에 대한 팬심으로 고액을 사용해 콜라보 아이템을 구입한 게이머들 전체를 잠재적 가해자 취급하는 입장문을 내면서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일었다.

5. 버블검 표절 논란

2024년 5월 24일에 발매된 뉴진스의 더블 싱글 <How Sweet>의 수록곡인 버블검(Bubble Gum)[5]이 영국의 밴드인 샤카탁(Shakatak)이 1982년에 발표한 곡인 Easier Said Than Done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발생했다.



샤카탁의 퍼블리싱 회사인 와이즈 뮤직 그룹'(Wise Music Group)은 6월에 해당 사실을 인지했고 7월 20일에 "뉴진스의 곡이 'Easier Said Than Done'와 동일한 동일한 리듬과 음, 템포의 유사성 등을 가지고 있다, 버블 검이 해당곡을 무단으로 사용해 저작권을 위반하고 있다"는 내용과 함께 "사용중단, 수익의 보고, 권리자의 변경, 서면 보장, 손해배상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정확히 확인하여 숙지하시길 바란다"는 법정 대응 예고가 담긴 입장문 이메일을 어도어하이브,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등에 보냈다.#

이에 대해 어도어에서는 "공신력 있는 분석 리포트를 제출하라"는 요구를 했고 샤카탁 측에서는 와이즈 뮤직 그룹이 이메일을 발송한 7월 20일에 X에 "와이즈 뮤직 그룹이 음악학자(musicologist)를 고용했다"는 내용을 올렸다.

어도어는 3일 후인 7월 23일에 해당 논란에 대해 SNS에서 "무단 사용'이라는 문제 제기는 사실과 전혀 다르다"며 "두 곡은 코드 진행부터 BPM(분당 비트), 전반적인 곡의 분위기나 흐름이 다르고 단순히 짧은 한마디 분량의 멜로디 전개가 유사성을 띠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되는데 그건 현재까지도 많은 대중음악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형태"라고 주장했다. 또한 "해당 이슈가 조명을 받기 시작한 5월 13일에 이미 두 명의 저명한 해외 음악학자에게 전문적 분석을 의뢰했다"며 표절을 부인했다.#

이후 샤카탁은 수개월이 지나도록 아무런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1] 심지어 같이 신인 합동 공연을 한 팀들이 공동 수상한 페이보릿 뉴 아티스트 상도 수상하지 못했다.[2] 이에 대해 팬덤과 대중의 반응 역시 ADOR 측을 옹호하고 엠넷에 대해 비판적인 여론이 대다수이다. 즉 다시 말해서 본인들이 자초한 실책인 셈.[3] 다만 tvN유 퀴즈 온 더 블럭에는 출연하였다. #[4] 다만 2023 마마 어워즈에서는 NewJeans가 광고하던 Apple iPhone의 경쟁사인 삼성갤럭시 Z 플립5를 광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말로 경쟁사 제품의 광고 때문에 수상소감 영상을 올리지 못한 것이라면, BLACKPINK지수처럼 SNS를 통해서라도 언급을 했을 것이다. #[5] 프로듀서가 민희진, 250이었다. 작곡은 오스카 벨(Oscar Bell)과 소피 시몬스(Sophie Simmons)인데 오스카 벨은 타일야드 뮤직 퍼블리싱(Tileyard Music Publishing) 소속의 영국의 솔로 아티스트이며 소피 시몬스는 가수 겸 모델인데다 아버지가 놀랍게도 미국의 하드 록 밴드 KISS의 멤버 '진 시몬스(Gene Simmons)'인 것으로 유명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2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