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0:47:24

해남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해남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교통체계
<colbgcolor=#D61414> 철도 남해선(미개통) 해남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255.svg강진광주고속도로(해남IC, 남해남IC)(미개통)
국도 13번 국도, 18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49번 지방도, 55번 지방도, 803번 지방도, 806번 지방도, 819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해남군 농어촌버스, 해남종합버스터미널
해운 여객선 우수영여객선터미널
어항 어란진항 외 47개소
전라남도의 교통

1. 개요2. 철도3. 도로4. 버스5. 해운.항구

[clearfix]

1. 개요

철도고속도로는 아직 없지만 각각 2025년 개통 예정, 예타통과 상태다.

해남군은 교통축이 2개로 나눠져 있다. 광주 - 해남과 더불어 완도까지 잇는 13번 국도는 해남읍과 계곡, 마산, 옥천, 송지, 북평, 현산, 화산, 황산은 무조건 이 국도로 통한다. 시외버스도 광주에서 무조건 해남읍으로 통하게 되어있으며, 교통량도 해남에서 가장 많다. 반면에 해남군 서부에 위치한 문내, 화원, 산이 등 3개 면지역들 같은 경우는 광주/목포 - 진도로 잇는 계통으로 이뤄져 있으며, 시외버스도 해남읍으로 가는 버스도 있지만 거의 없으며, 대부분 광주/목포 - 진도 위주로 되어있다. 다른 해남군처럼 13번 국도 보다는 77번 국도 - 49번 지방도 영향을 받는다.

2. 철도

남해선 해남역2025년 개통 예정이다. 2003년부터 보성 - 임성리단선철도와 계곡면 해남역을 건설하려 하나 지지부진하다가 2015년 11월 12일 우슬체육관에서 전구간 착공식을 했고 전철화가 확정되면서 2025년에 완공 예정이다.기사 그나마 가까운 역이 목포역이다.[1] 해남역 소재지인 계곡면이 해남군 동쪽에 치우쳐 있는지라 북서부 4개 면은 개통 이후로도 목포역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별개로 남북축 노선인 경우 1990년대 전라남도가 나주-완도간 철도를 만들려고 한 적은 있었지만 경제성이 없어서인지 광주 - 완도 간 고속도로 공사로 대체되었다. 이후 어떻게든 고속철도를 유치하기 위해 임성리역까지 되어 있는 호남고속선을 제주 해저터널을 구실로 완도군으로 까지 끌어오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추진은 난망한 상황이다.

3. 도로

3.1. 고속도로

아직은 없다. 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강진까지 가서 남해고속도로강진무위사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 강진광주고속도로가 해남, 완도까지 연장 계획이 있었고, 현재 강진 - 완도 구간의 도로은 대부분 입체교차로 형태 자동차전용도로이며, 지금까지 광주 - 해남 구간이 오래 걸렸던 것은 나주 - 영암 구간까지 신호등이 있는 평면교차로라서 속력을 낼 수가 없다. 광주 - 강진 구간만 잘 뚫리면 고속도로가 필요없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강진 - 해남(완도) 연장이 예산, 계획 통과로 2028년 착공, 2034년 개통 예정이다가 문서에 나오듯 2024년 예타통과했다.

3.2. 국도

13번 국도, 18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다.
군내의 국도와 지방도는 새로 건설한 노선이 많고, 산지가 그다지 많지 않은 해남 특성상 직선로가 많고 차가 별로 없고 단속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오후쯤에 달리다 보면 차들이 130 ~ 150km/h 정도의 속도로 마치 아우토반을 방불케 하며 달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구간이 18번 국도 해남읍과 전라우수영이 있는 문내면 구간.

한편 1번 국도를 땅끝마을까지 연장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문서 참조.

3.3. 지방도

4. 버스

군내 버스는 해남교통이 운행하는데 노선은 해남군 농어촌버스/노선 참조.

해남군은 교통축이 2개로 나눠어져 있다. 해남군이 면적이 넓다보니 각 지역마다 버스노선이 잇는 계통대로 이뤄져 있으며, 해남읍을 포함한 송지, 현산, 북평, 화산, 황산은 무조건 해남읍에 위치한 해남종합버스터미널로 통하게 되어있으며, 광주, 목포로 향하는 시외버스 또한 무조건 해남종합버스터미널로 경유하게 되어있다. 그렇지만 해남군 서부에 위치한 문내, 화원 일대는 광주/목포 - 진도 잇는 계통으로 되어 있어 대부분 시외버스가 진도 - 목포/광주 위주로 되어있다. 인근지역들로 접근성이 좋아 대부분 광주, 목포, 완도, 진도, 땅끝 위주로 되어있다.

해남터미널 외에 관내 시외버스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5. 해운.항구

문내면 우수영여객선터미널에서 신안군 하의도, 신의도, 장산도로 가는 여객선이 하루 3회 운항한다. 송지면 땅끝항에서는 완도군 노화도, 보길도, 넙도, 횡간도, 흑일도, 서넙도로 가는 여객선이 하루 12회 운항하며, 북평면 남성항에서도 노화도로 가는 배가 하루 1번 운항한다.

관내 도서로 가는 배편의 경우, 화산면 삼마도선착장에서 삼마도(상마도, 중마도, 하마도)로 가는 도선이 하루 3회, 송지면 어란진항에서 어불도로 가는 도선이 하루 5회 운항한다. 화원면에 있는 시하도로는 해남군내에서는 배편이 운행되지 않고, 목포에서 출발한 여객선이 시하도를 거쳐 진도 쉬미항으로 간다.

*해남군지역 항구.어항보유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1] 거리상으로는 목포역이 더 가깝지만 해남 서부에 위치한 문내, 화원, 산이, 황산 4개지역만 해당이 된다. 나머지 지역들은 목포역까지 가면 역주행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광주송정역, 나주역으로 많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