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4:51:28

한문연

한문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김형운(1)(2)
(14명)
김석일
김성호
김종근
김호근
박영태
박정후
배경환
양상문(1)
우경하
유두열
장상철(1)
최동원
한문연
(12명)
김민호
김재열
김진근
김한조
배종문
안창완
윤학길(1)
이문한
이석규
정인교
조성옥
조용철
(8명)
박동수
박희찬
양상문
이동완
이재성
이충우
장상철(1)
한영준
(8명)
강수경(1)
김성현
박동희
오명록
윤학길
이창원
임경택
최계영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김용권
김종석
정국헌
구명근
김형섭
이승훈
김청수
서호진
김선일
김도형
공필성
박정태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강성우 김경환 강상수 문동환 차명주
(고졸)
손균환
이재섭
이정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손민한
(고졸)
신명철
이승훈
정인석
임경완
(고졸)
김정열
김진수
이승학(1)
정원욱
(고졸)
송승준
강민영 추신수(1)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이정민 박정준 장원준 이왕기 손용석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이상화
이재곤
장성우 오병일 홍재영(2) 김명성(2)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김원중(2) 송주은(2) 김유영 강동관 박종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윤성빈 한동희 서준원 최준용 손성빈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민석 김민석(2) 전미르(2) 김태현(2)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한문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1.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8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NC 다이노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00275a,#a4cb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한문연
(2013~2018)
유영준
(2019~2021)
공필성
(2022~ )
감독대행
조영훈
(2024)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번
결번 한문연
(1983~1992)
정호진
(1993~1998)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2번
결번 한문연
(1993~2001)
결번
SK 와이번스 등번호 82번
김만후
(2000)
한문연
(2002)
김기덕
(2003~2005)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2번
결번 한문연
(2003~2010)
가득염
(2011~2012)
SK 와이번스 등번호 78번
황병일
(2006)
한문연
(2011)
최경환
(2012~2013)
NC 다이노스 등번호 82번
팀 창단 한문연
(2012~2021)
강인권
(2022~2023)
}}} ||
}}} ||
파일:한문연2021프로필.jpg
한문연
韓文埏 | Han Mun-Yeon
출생 1961년 4월 10일 ([age(1961-04-10)]세)
경상남도 마산시[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성호초 - 마산동중 - 마산상고 - 동아대
신체 173cm, 85kg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3년 1차 지명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83~1992)
지도자 롯데 자이언츠 1군 플레잉코치 (1992)
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1993~1997)
롯데 자이언츠 2군 배터리코치 (1998)[2]
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1998~2001)[3]
롯데 자이언츠 2군 배터리코치 (2001)[4]
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02)
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2003~2010)
SK 와이번스 2군 배터리코치 (2011)[5]
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11)[6]
NC 다이노스 배터리코치 (2012)
NC 다이노스 2군 수석코치 (2013)
NC 다이노스 2군 감독 (2014)
고양 다이노스 감독 (2015~2018)
NC 다이노스 잔류군 총괄·배터리코치 (2019)
NC 다이노스 2군 배터리코치 (2020~2021)
한문연야구아카데미 감독
병역 예술체육요원[7]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기타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롯데 자이언츠포수이자 前 NC 다이노스 2군 배터리코치.

2. 선수 경력

늘 같이 붙어다녔으니까 문연이는 내가 뭘 던질지 알고 있었지. 중요한 순간을 빼놓고는 서로 사인을 내지 않았었지. 낮게 앉아서 떨어지는 볼을 뒤로 빠트리지 않은 고마운 친구였다.
최동원
마산상고 출신으로 동아대를 거친 포수다. 어린시절 야구를 시작하기전에는 축구를 먼저 시작했다고 한다.[8] 아마 시절 포수로서 명성이 높아 동아대학교 4학년이던 1982년 대한민국에서 열린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발탁되었고, 대한민국이 우승하면서 우승 멤버로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9]

그는 KBO 리그 최초의 '에이스 전담포수'였다. 1983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해 같은 해 입단한 최동원과 함께 배터리를 구성하면서 롯데의 주전 포수로 뛰며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최동원의 공을 받아 내었고, 7차전에서는 7회초 추격의 발판이 되는 그 유명한 장효조 만세 사건을 일으키며 3루타를 기록하여 우승에 기여했다. 장태수를 삼진으로 잡고, 최동원과 함께 마운드에서 환호하는 영광을 갖기도 했다. 당시 롯데에는 국가대표 출신의 고참 포수 심재원이 버티고 있었지만 최동원이 직접 자신의 전담포수로 지목할 정도로 최동원에게 인정받았다.[10][11]

파일:external/dimg.donga.com/52146097.2.jpg

1986년 6월 5일, 김정행이 당시 빙그레 이글스를 상대로 프로야구 사상 두 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할 때 포수로서 그의 공을 받기도했다.

초창기 롯데의 확고부동한 주전으로 뛰던 한문연은 1987년 스프링캠프 도중 어깨에 이상을 일으켰으며 이 과정에서 그 해엔 25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고, 다음 해부터는 고참 김용운에 이어 1989년에 입단한 신예 김선일과 마스크를 나눠 쓰는 경우가 많았다.

강병철 감독이 재부임한 1991년에는 당시 프로 3년차의 신인급 선수였던 김선일에게 주전포수 자리를 내주었으며, 1992년에는 플레잉 코치로 뛰면서 사실상 선수 생활을 매듭짓는 과정에 들어갔다. 그래도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엔트리에 들어 롯데가 차지한 2차례의 우승에 모두 함께 하는 기쁨을 끝으로 선수생활을 마무리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에는 롯데 자이언츠SK 와이번스의 배터리 코치를 거쳐 2011년부터는 고향 팀인 NC 다이노스에 합류했다. NC가 1군에 합류하기 시작한 2013년에는 2군 수석 코치로서 사실상의 2군 감독 역할을 맡았으며, 2014년부터 정식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9 시즌부터는 잔류군 총괄 및 배터리코치를 맡게 되었고 2020 시즌을 앞두고는 2군과 잔류군이 통합 운영을 하게 되면서 2021시즌까지 2군 배터리 코치직을 맡게 되었다.

현재는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한문연야구아카데미'의 감독을 맡고 있다.

4. 기타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년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3 롯데 자이언츠 57 123 .220 27 3 0 1 9 8 1 13 .268 .292
1984 63 141 .291 41 7 0 4 16 14 0 19 .426 .375
1985 97 270 .267 72 12 0 3 29 27 2 25 .344 .323
1986 86 228 .250 57 10 0 2 15 20 0 16 .320 .297
1987 25 55 .200 11 1 2 0 2 3 0 6 .291 .279
1988 62 119 .261 31 8 0 0 20 9 2 12 .328 .326
1989 78 168 .256 43 8 0 0 16 14 1 19 .304 .328
1990 90 218 .252 55 11 0 1 31 16 2 27 .317 .329
1991 89 146 .288 42 8 2 2 24 6 0 16 .411 .354
1992 31 22 .091 2 0 0 1 1 2 0 2 .227 .167
KBO 통산
(10시즌)
663 1490 .256 381 68 4 14 163 119 8 155 .335 .323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87ceeb><tablebgcolor=#87ceeb>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롯데 자이언츠
1983 신인 지명 회의
지명 선수
}}} ||
{{{#ed1c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ff0><colcolor=#ed1c24> 1차 지명
지역 연고
1차 지명
김석일
(중앙대)
<colbgcolor=#fffff0><colcolor=#ed1c24> 지역 연고
1차 지명
김성호
(건국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김종근
(중앙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김호근
(고려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박영태
(동아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박정후
(동아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배경환
(경리단)
지역 연고
1차 지명
심재원
(한국화장품)
지역 연고
1차 지명
양상문(A)
(고려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우경하
(경리단)
지역 연고
1차 지명
유두열
(한국전력)
지역 연고
1차 지명
장상철(B)
(고려대)
지역 연고
1차 지명
최동원
(한국전력)
지역 연고
1차 지명
한문연
(동아대)
2차 지명
1라운드
(전체 1번)
이석규(C)
(한일은행)
2라운드
(전체 8번)
정윤돈(B)
(한일은행)
(A) 지명 후 미입단. 1985년 재지명.
(B) 지명 후 미입단.
(C) 지명 후 미입단. 1984년 재지명.
}}}}}}}}}}}} ||



[1]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2] ~6월 14일[3] 1998년 6월 15일~2001년 6월 9일[4] 6월 10일~[5] ~8월 17일[6] 8월 18일~[7] 1978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8] 최동원 역시 축구를 먼저 시작하였다.[9] 동아대 시절 4번 타순에서 내려와 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의 강타자였지만, 프로에서는 아마 시절만큼 타격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10] 한문연은 최동원이 선배인 심재원보다 후배인 자신을 좀 더 편하게 생각해서 지목한것 같다며 인터뷰에서 이야기한 적이 있지만, 이는 겸손의 표현에 가깝다. 앞서 설명했듯 한문연은 국가대표에도 선정되는 등 충분히 좋은 평가를 받는 포수였다.[11] 아마시절에는 4번 타자를 맡았을 정도로 공격력도 준수했다. 동아대 4번 타자 출신이라는 이야기를 하던 당시 아저씨팬들이 많았다. 그러나 프로에서는 1984년을 정점으로 타격 성적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딱히 인상적인 공격력을 보여주지는 못 했다. 그래도 1984년에는 0.291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심재원보다는 훨씬 더 공격력이 좋은 편이었다.[12] 이순철은 "최동원 선배와 한문연 선배를 상대 배터리로 만나는 날에는 정말 경기장도 가기 싫고 타석에서도 삼진 좀 덜 당했으면 좋겠다는 생각뿐이었어요. 한문연 선배는 커브가 떨어지는데 볼이라서 (제가) 안 치면, 그 뚝 떨어지는 걸 이렇게 잡아서 신기하게 들어 올려버리니까~ 심판이 그걸 자꾸 스트라이크를 준다니까요. 그럼 또 삼진 먹고. 최동원 선배 공을 치는 거 자체도 어려운데 한문연 선배가 잡는 것까지 그래버리니까~ 너~무 얄밉고 타석에도 너무 가기 싫었어요. 그러니까 저는 아주 얄미워 죽는 거죠. 정~말 상대하기 싫은 포수였어요."라고 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