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6:34:04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우두머리 덱 종류 빌드(마나커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특별 시스템
다크문 축제 경품 전우 퀘스트/보상
변형물 장신구 태그 전장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1. 개요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극성 슉슉로봇2.2.1.2. 다용도 드론2.2.1.3. 오메가 섬멸로봇2.2.1.4. 전투 절단기 40002.2.1.5. 회전하는 자동올가미로봇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습득의 군주 갈퀴창날2.3.1.2. 해일여제 아티사
2.3.2. 보조 하수인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네온 요원2.4.1.2. 므르글 도둑2.4.1.3. 천상의 멀록
2.4.2. 보조 하수인
2.4.2.1. 온순한 메가사우루스2.4.2.2. 해산물 투척꾼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어미 임프
2.5.2. 보조 하수인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맥스나2.6.1.2. 섬뜩한 방울뱀2.6.1.3. 위대한 늑대 골드린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불청객2.7.1.2. 자매 데스위스퍼2.7.1.3. 태양의 거인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증오유발 비축용2.8.1.2. 차원날개
2.8.2. 보조 하수인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돌 록2.9.1.2. 부관 가르2.9.1.3. 자외선 승천자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2.10.2. 보조 하수인
2.10.2.1. 칼날해일호
2.11. 이중 종족
2.11.1. 기계/야수 하수인
2.11.1.1. 악벽우
2.11.2. 나가/해적 하수인
2.11.2.1. 황금총 그레타
2.11.3. 악마/야수 하수인
2.11.3.1. 지옥발망치
2.11.4. 언데드/멀록 하수인
2.11.4.1. 끈질긴 멀구울
2.11.5. 언데드/야수 하수인
2.11.5.1. 구울라카브라2.11.5.2. 죽음발망치
2.11.6. 정령/악마 하수인
2.11.6.1. 황천 피조물
2.12. 모두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융합체 관광단
2.13. 중립
2.13.1. 1인/태그 전장 겸용
2.13.1.1. 걸어다니는 요새2.13.1.2. 그레이메인의 용사2.13.1.3. 늑대인간 무법자2.13.1.4. 대드루이드 하뮬2.13.1.5. 불멸의 엘리스트레이2.13.1.6. 빛의 수호자 우서2.13.1.7. 사마귀 여왕2.13.1.8. 잽 슬라이윅2.13.1.9. 자외선 차단자2.13.1.10. 차의 대가 테오타르2.13.1.11. 춤괴물

1. 개요

전장의 삭제된 6단계 하수인들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멧돼지단 라이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멧돼지단 라이더, 일러명=멧돼지단_라이더, 영문명=Turbo Hogrider,
공격력=5, 생명력=7, 공격력2=10, 생명력2=14, 가시멧돼지=,
효과=내가 <b>선택</b> 카드를 낸 후에\, 내 다른 모든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내가 <b>선택</b> 카드를 낸 후에\, 내 다른 모든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소환: 부릉, 부릉!
2.1.1.2. 아겜 쏜커스
한글명 아겜 쏜커스 파일:Aggem Thorncurse-bg3.png
영문명 Aggem Thorncurse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가시멧돼지
공격력 3(6) 생명력 6(12)
효과
(황금)
이 하수인에게 혈석을 낸 후에, 모든 아군 종족에게 각각 혈석을 냅니다. (종족마다 하나씩)
이 하수인에게 혈석을 낸 후에, 모든 아군 종족에게 각각 혈석을 둘 냅니다. (종족마다 하나씩)
소환: 아감마간이여, 절 인도하소서.(Agamaggan, be my guide.)

빛송곳니와 비슷한 포지션의 기물이라 별명은 멧송.

초기에는 실질적으로 혼합 덱 지원 하수인이었다. 매 턴 혈석을 2개 이상 모을 수 있다면 빛송곳니의 상위호환[1]이며, 자신 외의 다른 가시멧돼지도 없다면 자신에게 혈석을 썼을 때 +2/+2 버프를 받아서 성장하니 전투 요원이 하나 더 추가되며, 쏜커스에게 사용한 혈석은 나중에 강령사 또는 선술집 주문을 이용해 다른 기물에게 옮겨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쏜커스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안정적인 혈석 수급처가 필수적이며, 보통 다른 가시멧돼지 하수인으로부터 혈석이 나오기 때문에 이 카드를 쓰기 위해선 다른 가시멧돼지가 최소한 하나는 필요하며 그만큼 버프를 받을 종족 수가 줄어든다는 딜레마가 있다.

쏜커스를 사용할 때 가장 핵심은 혈석 수급처다. 30.2 패치 기준 수급처는 1단계 가시멧돼지, 멧돼지 예언자[2], 가시털 익살꾼[3], 상처투성이 도둑[4], 겁없는 미식가, 봉고 난타꾼[5]이 있으며 즉발성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중 가장 안정성이 높은 건 멧돼지 예언자로 가시멧돼지 하수인을 안정적으로 수급이 가능하다면 중립 하수인으로서 쏜커스 버프를 뺏어가지도 않고 용병으로 기용하는 절단기, 해드라 등을 최소 1번 이상 지켜주는 도발벽도 되어준다. 아쉬운 점은 별도 지원이 없다면 저단계 중립 하수인의 특성상 본격적인 전투요원으로 쓰기 어려워 후반부에는 봉고 난타꾼이나 겁없는 미식가 등 거의 다른 수급처로 돌려지기도 하지만 잘 성장한 경우 어차피 혈석은 썩어넘치기 때문에 남는 혈석으로 강화를 시도해 볼 수는 있다.

독성이 사라지고 빛송과 테오타르 삭제를 필두로 한 혼합덱 저격과 가시멧돼지 덱의 방향이 혈석 강화로 바뀌며 이에 어울리지 않아 삭제되었다가 30.6 패치에서 선술집 단계가 '6성'으로 변경되며, 효과가 각 종족에게 '+2/+1' 버프를 주는 것에서 혈석을 내는 것으로 바뀌어 전장에 복귀하였고 이에 따라 '쏜커스' 효과를 받는 하수인들도 혈석 강화 효과를 받게 되었다. 또한 혈석을 내는 매커니즘으로 인해 열기구 측량사와의 시너지가 생기며 적은 혈석 강화로도 충분히 고스텟을 확보 할 수 있게 되었고 강화를 열심히 했다면 한턴에 수백단위씩 성장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30.6 패치에서 복귀한 후 무한 루프가 생겼다. 다른 가시멧돼지가 없는 상황에서 쏜커스를 3개 이상 보유하고(황금1+일반2, 황금2+일반1 등) 아무 쏜커스에 혈석을 내면 세 쏜커스가 서로에게 혈석을 내면서 무한 루프가 발생한다. 단순 쏜커스 2개로 발생할 수 있는 무한 루프는 막아두었는지 무한 루프가 발생하지 않고 3개 이상인 경우에만 발동한다. 이후 패치를 통해 쏜커스가 자신과 같은 카드에 혈석을 주지 않도록 패치되면서 막혔다.
2.1.1.3. 차를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차를가, 일러명=차를가, 영문명=Charlga,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모든 하수인들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모든 하수인들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소환: 넌 신성한 땅을 침범하였다.(You tread on sacred ground.)

내 턴이 끝날 때 다른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혈석을 낸다. 차를가 자신도 버프를 받고, 혈석을 강화했다면 강화한 만큼의 버프를 제공한다.

혈석을 강화하지 않았거나 일반 차를가에 드라카리도 없다면 매 턴 광역 +1/+1 버프라 효율이 그렇게 좋지 않다. 대신 혈석 시너지를 매 턴 골드 없이 확정적으로 누린다는 점이 중요한데, 필드를 균형있게 강화시킬 수 있고 나중에 혈석 압수를 이용해 차를가가 제공한 혈석을 옮겨줄 수도 있다. 턴 종료 시이기 때문에 드라카리와 함께 하면 말도 안 되는 기하급수적 성장을 가능케 만드는 원동력이다.

의외로 같은 종류의 밸런스 패치를 자주 받은 하수인이다. 출시 직후에는 본인에게 버프를 부여했으나 너프로 본인에게는 혈석을 주지 않게 바뀌었다. 이후 다시 모든 하수인 대상으로 바뀌었으며 혈석의 폭발적인 강화가 가능해진 현재는 또다시 롤백되었다.
2.1.1.4. 호위대장 납작엄니
한글명 호위대장 납작엄니 파일:Captain Flat Tusk-bg3.png
영문명 Captain Flat Tusk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가시멧돼지
공격력 9(18) 생명력 5(10)
효과
(황금)
내가 3골드를 소모한 후에, 혈석을 얻습니다.
내가 3골드를 소모한 후에, 혈석을 2개 얻습니다.
소환: 녀석들을 베어넘겨라!(Cut them down and leave them broken!)

골드 소모는 기물 구매, 리롤, 영능, 레벨 업을 막론하고 발동한다. 6성 하수인을 쓸 때쯤이면 10골드를 쓸 수 있을 텐데, 기물 판매까지 감안하면 한 턴에 2~3개의 혈석을 벌어준다. 판다네나 도박꾼, 무르도즈노 등 판매 차액이 적은 하수인을 닥치는대로 사면 훨씬 많은 혈석을 쓸 수 있다. 영웅 중에는 밀하우스와 조합이 좋은데, 밀하우스 영능 특성 상 기물을 사고 파는 것에 있어서 다른 영웅들보다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는 구조이기에 납작엄니와 궁합이 좋다.

차를가는 혈석을 직접 제공한다면 이 하수인은 혈석 카드를 손으로 가져온다. 즉 필드 전체를 고르게 강화시키는 용도로는 차를가가 좋고, 특정 기물에게 혈석을 올인해야 하거나 골드 이득을 볼 수 있는 수단이 갖춰진 경우엔 이 쪽의 폭발력이 더 높다. 혼합 덱의 핵심인 아겜 쏜커스와의 궁합이 매우 훌륭하고, 주문을 트리거로 성장하는 아티사를 필두로 한 나가 덱과의 궁합도 고려할 만 하다. 그렇게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이 카드를 황금으로 만들기 위해 납작엄니를 구매한 돈으로는 혈석이 들어오지 않는다. 골드 계산을 잘못해 핸드를 꽉 채워 혈석을 날려먹는 경우도 빈번하게 생긴다는 점은 주의.

골드를 사용하는만큼 혈석을 제공하는 기물이라 과거 해적에 선장 들창코가 있었을 때 엄청난 시너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일명 들창엄니 덱. 하지만 가뜩이나 패 관리가 어려운 것이 들창코 해적인데 납작엄니가 혈석까지 제공하니 이펙트도 2배, 손도 미친듯이 움직여야 하므로 모든 포텐을 발휘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는 궁합이다. 물론 욕심을 조금 버린 들창코+쏜커스의 혼합 덱에서는 혈석 엔진으로 맹활약하기도 했다.Kripparian의 들창코 혼합덱 예시[6]포셔의 들창코 혼합덱 예시[7]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극성 슉슉로봇
한글명 극성 슉슉로봇 파일:Polarizing Beatboxer-bg.png
영문명 Polarizing Beatbox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기계
공격력 5(10) 생명력 10(20)
효과
(황금)
내가 다른 하수인에게 합체할 때마다 이 하수인에게도 합체합니다.
내가 다른 하수인에게 합체할 때마다 이 하수인에게도 합체합니다. 2번 발동합니다.
소환: 비트를 타 봐! (Feel the beat!)

기계 덱의 최종 하수인. 내 전장에 아무 기계나 합체를 시키면 이 하수인도 동일한 능력과 스텟을 얻는다. 전장 시즌 4에서 기계 기물 대다수가 합체 시너지를 고려한 능력으로 재편되었고, 내 필드가 꽉 차 있어도 합체 효과를 받는 수혜를 받았기에 합체 기물의 수급 수단만 확보한다면 키우기는 어렵지 않다.

다용도 드론, 고철 수집기를 적당히 확보하고 브란 + 메탈헤드 / 죽음비늘 / 젊거멀만 깔아놓아도 매 턴 기계가 수급되면서 내 기계 하수인이 스텟을 얻는데, 이 하수인은 다른 기물을 성장시킬때 자동으로 성장하므로 신경을 써주지 않아도 알아서 커진다. 안녕모듈을 적당한 기계 하수인 아무거나에 발라도 광역 천보도발이 생기는 등 지금까지 순방용으로 취급되던 기계덱을 OP로 끌어올린 하수인이었고 다음 패치 때 기계 기물이 간접 너프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 하수인을 활용한 재미있는 성장법이 있는데, 바로 합체 기물에 합체 기물을 발라 키우는 것. 일명 천재슉슉. 합체 기계 덱 문서 참조.
2.2.1.2. 다용도 드론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다용도 드론, 일러명=다용도_드론, 영문명=Utility Drone,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기계=,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하수인들에게 각각 <b>합체</b>한 수만큼 +3/+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하수인들에게 각각 <b>합체</b>한 수만큼 +6/+4을 부여합니다.,
)]
소환: 마-마-망가지지 않았으면, 그래도 고쳐! (I-I-If it ain't broke, still fix it!)

합체 기계 덱의 핵심 버퍼 하수인. 이 기물을 놓는 것 만으로도 합체한 하수인의 수만큼 턴마다 버프를 걸어준다. 이 하수인도 기계라서 합체를 이용해 버프를 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똑같은 턴 종료인 부품 찾기, 그리고 드라카리 마법부여사와 함께 사용하면 턴마다 150/100에 달하는 버프를 걸어주는 모습도 나올 수 있다.

대상이 기계가 아니더라도 '합체'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중 종족 합체가 가능한 언데드, 악마, 정령 등의 기물도 버프를 받을 수 있다.

2.2.1.3. 오메가 섬멸로봇
한글명 오메가 섬멸로봇 파일:Omega Buster-bg4.png
영문명 Omega Buster
단계 6
등급 일반
종족 기계
공격력 6(12) 생명력 6(12)
효과
(황금)
죽음의 메아리: 1/1 초소형 로봇을 여섯 소환합니다. 소환하지 못한 초소형 로봇 하나당 내 기계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죽음의 메아리: 2/2 초소형 로봇을 여섯 소환합니다. 소환하지 못한 초소형 로봇 하나당 내 기계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한글명 초소형 로봇 파일:Microbot-bg.png
영문명 Microbot
단계 1
등급 기본
종족 기계
공격력 1(2) 생명력 1(2)
효과
(황금)
-
-

작전명: 메카곤의 최종 보스인 왕 메카곤이 타고 등장하는 오메가 섬멸로봇이다.

죽음의 메아리로 1/1 토큰을 잔뜩 깔며, 필드가 꽉 차면 소환하지 못한 토큰만큼 기계에게 버프를 주는 효과를 갖고 있다. 오메가가 죽으면서 한 자리는 무조건 비기 때문에 혼자 줄 수 있는 버프량은 최대 +4/+4고, 추가 버프는 소환된 1/1 기계 토큰에게도 붙는다. 카드가를 사용해 소환 개체 수를 늘리더라도 버프량을 늘릴 수는 없고, 증식하는 위협을 합체시켜도 먼저 오메가의 효과가 발동한 뒤 증식하는 위협의 효과가 발동되므로 의미가 없다.

그래서 버프량을 늘리는 방법은 남작 리븐데어와의 연계 뿐이다. 리븐데어가 있는 상태에서 오메가가 죽으면 첫번째 죽음의 메아리로 필드가 꽉 차므로 두번째 죽음의 메아리는 무조건 최대한의 버프를 받을 수 있고, 비슷하게 괴물 앵무가 먼저 효과를 발동시켜도 최대한의 버프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해 기계 기물들을 폭발적으로 버프시키는 것이 오메가 주축의 기계 덱의 핵심이다. 앵무를 사용할 경우 골드린 야수 덱과 비슷한 감각으로 운영하게 되는데, 앵무는 기계가 아니라 버프를 받을 수 없고 다른 죽음의 메아리 기물을 사용하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혹은 오메가는 가장 먼저 죽어야 하기 때문에 칸고르의 수습생을 이용해 오메가를 계속 부활시켜 엄청난 스탯의 기계 토큰을 뽑아낼 수도 있다. 오메가 + 리븐데어 + 칸고르 + 폭탄 도굴꾼을 이용해 리로이도 무력화시키는 엄청난 스탯의 오메가를 뽑아내는 것이 최후반 기계 덱의 완성형이다.

원래 6/6 스탯에 초소형 로봇 6개를 소환했지만, 21.4.4 패치로 능력치는 5/5로, 초소형 로봇은 5개만 소환하도록 하향되었다.
27.2 패치로 복귀했으며 27.2.2 패치로 '1/1 초소형 로봇을 다섯 소환'에서 '1/1 초소형 로봇을 여섯 소환'으로 롤백되었다.

버프명은 오메가 섬멸됨[8]이다.
2.2.1.4. 전투 절단기 4000
한글명 전투 절단기 4000 파일:Foe Reaper 4000-bg.png
영문명 Foe Reaper 4000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기계
공격력 6(12) 생명력 9(18)
효과
(황금)
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소환: 안전 제한 작동 정지, 수확 서보 가동.(Safety restrictions offline. Harvesting servos engaged.)

하스 전장 초기부터 지금까지 존재해온 기계덱의 6코스트 하수인이다. 별명으로는 그 유명한 수박서버.[9]

최근 기계덱의 대격변 패치로 최대 수혜를 입은 기계덱 최종보스급 기물이다. 기계라는 종족 특성 상 합체라는 좋은 버프 수단이 존재한다는 것이 장점인데, 과거에 비해 합체 하수인의 수가 많이 늘어 강화하기 더욱 쉬워졌으며, 안녕모듈을 합체시키면 천상의 보호막을 달고 도발을 발라 뛰어난 교환비를 이끌어낼 수 있고, 메카 자락서스에서 질풍이라도 나온다면 질풍과 안녕모듈의 천상의 보호막 조합으로 선봉장으로 등장할 시 상대방에게 말 그대로 수박서버가 뭔지 제대로 보여주며 피눈물 흘리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5단계의 다용도 드론의 추가와 6단계 기름로봇의 재등장으로 강화는 더더욱 쉬워졌으니 이 하수인의 주가는 천정을 뚫고 상승하여 기계덱의 핵심기물로 거듭났다.

과거에는 주가가 매우 낮았으며, 혼자서 어떤 덱의 핵심 역할을 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6단계 하수인 중 중요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였으며, 그렇다고 버프 없이 생으로 쓰기엔 스탯도 좀 미묘한 편이라 6단계 발견에서의 우선 순위는 그렇게 높지 않았다. 대신 패스트 레벨 업 때문에 전투력이 빈약해져서 필드 채우기 급한 상황에선 가치가 있고, 혼합 덱에서 기계 자리를 차지하기에도 적당한 하수인이다. 오메가 주축의 기계 덱일 경우 높은 스탯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가시멧돼지가 있을 경우 강령사로 혈석을 옮겨주기 적당한 하수인이다.
2.2.1.5. 회전하는 자동올가미로봇
한글명 회전하는 자동올가미로봇 파일:Whirling Lass-o-Matic-bg.png
영문명 Whirling Lass-o-Matic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기계
공격력 7(14) 생명력 4(8)
효과
(황금)
천상의 보호막, 질풍,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천상의 보호막, 질풍,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둘 얻습니다.
소환: 회전 가동! (Spin 'em up!)

높은 공격력에 천상의 보호막이 있어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최소 선술집 주문을 두 개 수급 가능한 하수인. 준수한 스텟과 준수한 어드밴티지 수급 덕에 보통 6발로 자신이 노리는 덱의 코어 하수인을 못 찾았을때 용병으로 쓰기에 최적화된 하수인이다.

기계 덱에서는 선술집 주문을 쓸 때마다 천보 하수인에게 광역 버프를 제공하는 '충전 중인 황후'와 한 세트로, 이 카드와 같이 있다면 황후의 버프 범위에 이 카드가 들어오고, 이 카드는 황후의 공격력 버프를 격발시킬 수 있어 환상적인 시너지가 나온다.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습득의 군주 갈퀴창날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습득의 군주 갈퀴창날, 일러명=습득의_군주_갈퀴창날, 영문명=Slitherspear\, Lord of Gains,
공격력=4,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12, 나가=,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나가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i>(이번 턴에 내가 시전한 주문의 종류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나가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i>(이번 턴에 내가 시전한 주문의 종류만큼 강화됩니다!)</i>,
)]
소환: 육지 놈들을 처치해라! (Destroy the surface dwellers!)

나가 덱의 핵심 하수인 중 하나. 선술집 주문이든 주문제작이든 혈석이든 수액덩어리 검투사의 도발 주문이든 뭐든 상관없다. 내 턴이 끝날 때 서로 다른 주문을 시전한 수만큼 다른 나가들에게 +1/+1을 부여한다. 주문의 개수가 아닌 주문의 종류를 따지므로 같은 주문을 여러 번 시전해도 +1/+1의 상승만 얻는다. 턴이 끝날 때 이 카드가 있기만 하면 되므로 다른 걸로 사이클을 돌리다 마지막에 필드에 올려놓아도 되고, 드라카리와 함께 시너지를 봐도 좋다.

전장 시즌 6에 막 추가되었을때는 별다른 관심을 보지 못 한 기물이었다. 선술집 주문을 컨셉으로 스텟을 늘려나가는게 나가덱의 핵심이지만 육지 느림보와 마법의 버섯과의 콤보로 2단계에서 계속 머물면서 하수인의 스텟을 키워나가는게 주요 전략이었고, 어쩌다 빠른 타이밍에 6단계 하수인을 입수했다쳐도 구원자 날라가 다른 기물들을 성장시키는데 더 빠른 속도를 보였기 때문. 더군다나 다른 나가들에게 +1/+1을 부여한다는 효과는 이 하수인을 성장시킬 수 없으므로 최소 2장이 요구되는 탓도 있었다.

이름의 원문이 Lord of 'Gains'라 이를 직역했는지 '습득'의 군주가 되었는데, 여기서 Gains는 미국의 운동 관련 은어로 근육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 정도를 의미한다. 원본 뉘앙스 살려 의역하면 대략 '헬창' 내지는 '득근'의 의미로 쓰인 셈. 일러스트도 군주 갈퀴창날이 덤벨로 열심히 운동하고 있는 모습이다.

2.3.1.2. 해일여제 아티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해일여제 아티사, 일러명=해일여제_아티사, 영문명=Tidemistress Athissa,
공격력=6, 생명력=7, 공격력2=12, 생명력2=14, 나가=,
효과=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아군 나가 넷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아군 나가 넷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아즈샤라님께 바칠 선물이다. (A gift for Azshara.)

나가 덱의 핵심 기물이자 나가 버전의 칼렉고스. 칼렉고스와 달리 버프도 한정되고 버프량도 짜지만, '모든 주문'에 효과가 발동되기 때문에 주문제작 주문, 혈석, 동전, 심지어 바나나와 황금 보상에도 반응해 버프를 줄 수 있어 버프 트리거를 구비하기가 칼렉고스보다 훨씬 수월하며 성장 속도도 빠르다. 대신 몇몇 가시멧돼지 기물들의 '혈석을 내는' 효과는 내가 주문을 시전하는 것이 아니기에 버프를 주지 않으며, 내 손에 잡힌 혈석을 사용해야만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버프명은 영롱함[10]이다.

2.3.2. 보조 하수인

2.3.2.1. 돌보미 올고조아
한글명 돌보미 올고조아 파일:Orgozoa, the Tender-bg.png
영문명 Orgozoa, the Tende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3(6) 생명력 7(14)
효과
(황금)
주문제작: 나가를 발견합니다.
주문제작: 나가를 둘 발견합니다.
한글명 아즈샤라의 부화장 파일:Azshara's Hatchery-bg2.png
영문명 Azshara's Hatchery
카드 종류 주문(토큰)
등급 전설
속성 주문제작
비용 0
효과 나가를 발견합니다.
나가를 둘 발견합니다.

매 턴 나가 기물을 서치하는 기물. 단독으로도 매 턴 최소 1골드 이득이며, 나가 기물의 페어를 풀거나 필요한 주문제작을 수급하는 식으로 성장을 가속시킬 수 있다. 올고조아는 나가 종족값이 없지만, 오히려 아티사의 버프를 훔쳐먹지 않을 수 있고, 필요하다면 바다생물 사육사[11]로 버프를 넣을 수 있고 정말 급한 후반엔 팔아치우기 부담이 없는 건 나름 장점이다. 바로 사자마자 팔아도 이 카드 한 장으로 2~3골드의 포텐셜+최대 2회의 주문시너지를 낼 수 있는 것도 큰 장점.

23.2.2 패치로 스탯이 5/9에서 3/7로 너프되었다. 올고조아를 전투요원으로 쓰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패스트 레벨 업 후 올고조아를 발견했을 때의 안정성이 상당히 감소했다.

28.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2 패치에서 복귀하였다.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네온 요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네온 요원, 일러명=네온_요원, 영문명=Neon Agent,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멀록=,
효과=<b>천상의 보호막\, 질풍</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b>전투의 함성</b> 하수인을 얻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 질풍</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b>전투의 함성</b> 하수인을 둘 얻습니다.,
)]
전투의 함성 하수인을 수급하는 질풍 천보 하수인. 자체적으로 카드를 수급할 수 있고 키워드도 좋아서 6성 발견에서 거쳐가는 용병으로도 뛰어나다. 멀록 덱에서도 보너스 키워드를 2개 달고 골드까지 매 턴 벌어다주므로 필드 버프를 노린다면 키울만하다.
2.4.1.2. 므르글 도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므르글 도둑, 일러명=므르글_도둑, 영문명=Mrglin' Burglar,
공격력=8, 생명력=8, 공격력2=16, 생명력2=16, 멀록=,
효과=내가 멀록을 낸 후에\, 아군 하수인과 내 손에 있는 하수인에게 +4/+4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멀록을 낸 후에\, 아군 하수인과 내 손에 있는 하수인에게 +8/+8을 부여합니다.,
)]

핸드 버프와 필드 강화를 동시에 하는 하수인이다. 내 손에 있는 멀록이 아니라 내 손에 있는 하수인에게 +4/+4를 부여하므로 키우고 싶은 하수인을 손에 집고 베이스 아가미의 죽음의 메아리로 튀어나오게 할 수 있는 등 활용법이 무궁무진하다. 멀록 덱이 아니더라도 키우고 싶은 하수인 하나를 급하게 키워서 내야 할 때 쓸만하며, 특히 합체 기물을 버프시킬 수 있는 기계 덱에서도 강력한 버프 엔진 중 하나로 기능이 가능하다.

다만 도미 계산원과 아옳옳 중창단을 주력으로 하는 핸드 버프형 멀록 컨셉은 가능한 한 내 손의 멀록을 필드에 많이 내고 파는게 주 전략인데 상점에 팔아야 할 하수인에게 +4/+4가 들어 갈 가능성이 높아 별 의미가 없으며 젊은 거먹눈 멀록과 머키, 브란 브론즈비어드, 드라카리 마법부여사를 주력으로 하는 필드 강화형 멀록에게는 브란, 드라카리 시너지 없이 +4/+4만 부여하는게 스텟상으로 큰 체감이 들지 않는다는건 아쉬운 점. 어차피 멀록덱은 원시지느러미 망꾼을 통해 멀록을 수급하는건 간단하므로 멀록 기물을 많이 얻고 많이 팔아치우는걸로 보완 할 수 있긴 하다.

30.4.3 패치에서 기본 스탯이 '6/6'에서 '8/8'로, 버프량이 '+6/+6'에서 '+4/+4'로 변경되었다.
2.4.1.3. 천상의 멀록
한글명 천상의 멀록 파일:Holy Mackerel-bg.png
영문명 Holy Mackerel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멀록
공격력 8(16) 생명력 4(8)
효과
(황금)
다른 아군 하수인이 천상의 보호막을 잃은 후에, 천상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다른 아군 하수인이 천상의 보호막을 잃은 후에, 천상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16.4패치에서 추가된 멀록판 코발트 수호자, 반사로봇이다. 아군 하수인이 천상의 보호막을 잃을 때마다 천상의 보호막이 충전된다.

독성을 발라 활용할 때 너무 강력한 하수인이었다는 점과, 후반 전투에서 운이 승패를 결정짓는 데에 너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때문에 17.4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일단 독성을 부여하는 순간 최소 1:2의 교환비를 가질 수 있는 강력한 카드가 되며, 천상의 보호막을 많이 사용하는 덱에서는 엄청난 교환비를 보여주는 사기 카드로 돌변한다. 온순메로 천보를 꽉 채운 멀록 덱 말고도 홍련의 나디나를 갖춘 용족 덱, 코발트 수호자 위주의 기계 덱, 헌신적인 영웅을 사용하는 죽음의 메아리 덱, 티리온 폴드링의 중립 덱, 조지의 영능 등에서 용병으로 기용한 뒤 독성만 부여한다면 무지막지한 효율을 보여준다.

이 카드의 효율성을 100% 활용하는 방법은 독성, 천상의 보호막을 갖춘 상태에서 자기 혼자만 아르거스로 도발을 부여받는 것이다. 이럴 경우 상대방은 오로지 천상의 멀록밖에 공격할 수 없는데, 천보를 가진 아군은 매 턴 천상의 보호막을 리필해줄 수 있으므로 혼자서 1:8 이상의 교환비를 이끌어내는 미친 사기 카드가 된다. 특히 두 마리를 필드에 놓을 경우, 전투 순서에 따라서는 서로가 서로의 천보를 리필해주는 경우도 발생한다. 2마리가 있을 경우 동시에 천보를 잃으면[12] 동시에 다시 천보를 채운다.

종합해보면 반사로봇 덕에 천보 얻기가 쉬운 기계 덱, 훌륭한 천보 시너지(청동 감시자, 용기병 집행자, 홍련의 나디나)를 가진 용족 덱, 자체 종족 값도 멀록인데다가 메가사우루스로 모든 멀록에 천보를 발라주면 자체 천보 + 다른 멀록에 의한 천보 리필로 3번 천보독성 활용이 가능한 멀록 덱, 독성천보를 가진 천멀 단독 도발로 천보를 가진 하수인들(청동 감시자, 반사로봇, 볼바르)만으로 이루어진 천보덱 등 어떤 덱에서도 한 자리 차지하기 쉬운 성능 덕분에 신규 6성 기물 중 최고의 아웃풋으로 꼽힌다. 자체 밸류만으로 용병으로 쓰이던 다른 6성 하수인과 달리 이 카드는 용병으로 쓰이면서도 시너지를 보기가 매우 쉽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메인으로 채용할 여지가 있다. 그나마 야수 덱이나 악마 덱은 천보가 없어서 채용이 불가능하다.

다만 카드의 성능과 별개로 이 카드를 싫어하는 플레이어도 많은데, 반사로봇 이상으로 전투 순서를 극단적으로 타기 때문에 독성이 발린 천상의 멀록이 있거나 천상의 멀록이 2장 있다면 전투 결과가 굉장히 불안정해져서 극후반에 기도 말곤 할 게 없다. 전투 후에 천보를 얻는 특성 상 불안정한 구울로 카운터조차 못하며, 상대에게 천상의 멀록 2장이 있으면 정말 운이 나쁘면 이길 게임조차 지게 만드는 전투가 나올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게임에 변수를 지나치게 크게 만든다는 비판이 있다. 천상의 멀록이 등장하고 시간이 좀 지나고 어떤 덱이든 결국 천멀 기도메타로 귀결되기 시작하자 진지하게 이 카드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유저들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비슷하게 천보 독성으로 어떤 덱에든 결국 포함되었던 융합체가 삭제된 전례를 보면 이 카드 역시 어떤 방식으로든 너프를 먹을 가능성이 높았으나 결국 17.4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반사로봇과 마찬가지로 황금으로 만드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할 사항이다. 황금으로 만들어서 능력치 좀 올리느니 일반카드 둘이 서로 천보를 핑퐁해 주는 쪽이 당연히 좋기 때문. 물론 이론상 5장을 모아 3마리를 배치하게 되면 좋으나 6성 하수인인게 문제점이고 인기 하수인이었기에 2장도 겨우 건질수 있는 상황이었다.

또한 실수로라도 메가사우루스로 질풍을 바르지 않도록 조심하자.[13] 바를 경우 당연히 천보를 리필할 틈도 없이 혼자 2연타 넣고 사망하게 된다.

영문명은 놀란 상황에서 쓰는 감탄사인 'Holy Mackerel'[14]을 그대로 따온것인데, mackerel은 고등어라는 뜻이다.

이 카드가 삭제되면서 전장 각 단계마다 삭제된 하수인이 하나씩 생겼다. 다만 이 카드가 삭제된지 한참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6성 멀록 관련 하수인이 나오지 않고 있어 너프해서라도 복귀시키든지 하다못해 다른 카드라도 나왔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최강의 광역 버프를 자랑하던 온순한 메가사우르스 때문에 덤으로 누명을 쓴 것이라 주장하는 유저들도 종종 보이는 편이나, 최소한 적응 선택지 운빨이라도 타던 온순메와 다르게 천멀은 용병으로 하나 챙겨도 독성 하나만 부여해주면 천보 하수인과 반드시 시너지를 내면서 천보리필을 통해 말도 안되는 캐리력을 보여주고, 2천멀이라도 떴다간 천보독성 무한 티키타카로 게임을 그대로 뒤집기까지 하는 등 OP 하수인인 것은 분명 맞았다. 천보리필 능력도 없고 적응도 운빨이라 천독 부여가 생각보다 쉽지 않은 흉합체조차 천보독성 완성시의 압도적인 유틸성에 기반해 대다수의 우승권덱에 한자리 차지하는 강력한 기물로 활약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러 패치로 전장에 인플레가 꽤나 일어나고 있지만, 천보리필+독성멀록이란 압도적인 유틸을 가진 이상 앞으로도 전장 역사상 최강의 OP카드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천멀이 삭제되고 나서도 한참이 지난 후, 21년 9월 초에 이루어진 전장 기물 대규모 개편 때가 돼서야 드디어 멀록 보조 6성 하수인인 해산물 투척꾼이 추가되었고, 이 카드 본인 역시 종족값이 멀록에서 기계로 변경되고 5성 하수인으로 내려오며 복귀했다.

2.4.2. 보조 하수인

2.4.2.1. 온순한 메가사우루스
한글명 온순한 메가사우루스 파일:Gentle Megasaur-bg2.png
영문명 Gentle Megasaur
단계 6
등급 특급
종족 야수
공격력 5(10) 생명력 4(8)
효과
(황금)
전투의 함성: 내 멀록들을 적응시킵니다.
전투의 함성: 내 멀록들을 2번 적응시킵니다.
한글명 식물 파일:Plant-bg.png
영문명 Plant
단계 1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1 생명력 1
효과
(황금)
-
-

종족값은 야수이나, 효과는 멀록덱만을 위해 존재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멀록계열 카드라 볼 수 있다. 실제로도 종족 로테이션 패치 이후 멀록군으로 분류되어, 야수가 벤 되어도 메가사우루스가 등장하고, 반대로 멀록이 벤 당하면 등장하지 않는다.

멀록 덱의 최고 밸류 하수인이다. 후반부의 다른 덱과의 불리한 상성을 사실상 완전히 역전시켜주는 천보+독성을 바른 멀록은 무쌍을 찍으며 사실상 멀록덱의 정점이자 끝은 이 하수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중요하다. 기본 스탯과 다른 적응 선택지들의 밸류는 6단계 하수인치고 낮지만, 전장의 시스템상 스탯이 아무리 높은 하수인이라도 한 번에 끊어낼 수 있는 독성과, 그 독성을 무시할 수 있는 천상의 보호막을 멀록 모두에게 부여할 수 있어서 가치가 매우 높다. 4마리 이상의 멀록에 천상의 보호막과 독성이 부여된 멀록 덱은 전장에서 가장 강력한 덱으로 평가받는다. 멀록덱이 아니어도 융합체에 천보나 독성을 위해서 고르기도 한다.

적응 중 1순위 선택지는 천상의 보호막이다. 메가사우루스 이외에는 멀록 하수인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할 수 있는 하수인이 아예 없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골라줘야 한다. 2순위는 독성. 독성지느러미 멀록이라는 대체품이 있긴 하지만 약 2코스트에 1마리만 적용이 가능하므로, 같은 가격으로 모든 멀록에게 독성을 주는 이쪽과는 차원이 다르다.

3순위부터는 다 고만고만한지라 때와 경우에 따라서 많이 갈리는 편이다. 도발의 경우 튼튼껍질 청소부로 광역 2/2 버프를 노릴 수 있는 것은 좋은 메리트지만 후반부에 히드라나 전투 절단기의 광역공격을 대비하기 좀 껄끄러워지고 이미 시린빛과 멀록왕이라는 광역 버퍼가 있어서 굳이 갖출 필요성을 느끼기 힘들다. 죽메 1/1 토큰 2마리는 종합적으로 2/2 버프라고도 볼 수 있고 또 소환되는 토큰이 상대의 천보를 지워주거나 교환비가 나쁜 공격을 대신 맞아주기도 하는 등 꽤나 유용한 편이지만 반대로 토큰 때문에 내 공격턴이 밀려서 오히려 교환비가 나쁜 싸움만 강제하는 트롤링을 하기도 한다. 질풍의 경우 독성이 있거나 스탯이 매우 높으면 한 번에 2마리씩 데려갈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있으니 없는 것만도 못한 능력이 될 수도 있으며, 이미 천보+독성이 완성된 상태라면 그냥 상대가 알아서 죽으러 박아주는데 굳이 이쪽이 2번 공격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기 힘든 능력이다.[15] 체력 3은 이미 필요한 능력을 다 갖춘 다음에 그냥 시린빛 쓰는 느낌으로 사용 가능하다. 스탯이라서 특수 능력들과는 다르게 중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긴 드물지만 극후반부라면 최우선적으로 찾게 될 수도 있다. 공 3은 이미 독성이 있으면 무용지물, +1/+1은 버프량이 너무 적어서 꽝이긴 하지만 정말 급한 상황이면 위에 몇몇 효과보단 쓸만할 순 있다.

하지만 멀록 덱의 후반을 메가사우루스 혼자 책임지는 만큼, 메가사우루스가 나오지 않으면 멀록덱으로 고순위를 노리는 것은 매우 힘들다. 힘들게 발견해도 적응 선택지에 천상의 보호막과 독성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즉 카드 자체의 단점은 아니지만 이 카드에 대한 의존도가 극히 심하며, 카드를 뽑는 데 성공하더라도 다시 운에 맡겨야 한다는 점이 마이너스 요소. 그나마 다행인건 선택지 중에서 전장에서는 쓸모가 없는 주문면역과 은신은 등장하지 않아서 원하는 효과를 뽑을 확률이 1/3 보다는 높다는 점이다. 또한 12월 6일 패치로 5등급에 멀록 덱의 강력한 서포트 카드인 왕 므라옳옳이 등장해서 이 카드의 의존도도 약간 낮아졌다.

18.0.2 패치로 인해 전장에서 삭제되었다. 어떤 덱을 꾸리든 게임 후반부에 거의 무조건 천보독성을 바른 멀록 덱을 만나게 되는 것에 불만을 토로하는 유저들이 많았고, 멀록이 후반은 매우 강한데 중반이 매우 약하다는 고질적 문제를 중반 타이밍을 잡아주는 몇몇 1티어 우두머리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여 멀록덱이 지나치게 강세를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로 보인다.
2.4.2.2. 해산물 투척꾼
한글명 해산물 투척꾼 파일:Seafood Slinger-bg.png
영문명 Seafood Sling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5(10) 생명력 5(10)
효과
(황금)
전투의 함성: 멀록을 황금 멀록으로 만듭니다.
전투의 함성: 멀록을 황금 멀록으로 만듭니다.
소환: 네 운을 계속 시험하는구나, 작은지느러미야.(You're pushing your luck, littlefin.)

내 필드, 혹은 상점에 있는 멀록 하나를 황금으로 만드는 기물. 상점의 멀록을 황금으로 만들면 황금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멀록 보조 하수인이지만 이 카드 자체가 6단계라 정직하게 6단계 상점에서 6골드 써서 황금 보상 하나를 보느니 그냥 리롤을 치는 경우가 더 나아서 내가 멀록 덱이거나, 칼렉고스나 브란이 있어서 황금으로 만든 멀록의 전투의 함성으로도 이득을 보는 경우가 아니면 상점에서 정직하게 사는 일은 별로 없다. 실제로는 6단계 발견이 망했을 때 다시 황금 발견을 보기 위해 상점의 멀록을 황금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필드에 멀록이 있으면 망꾼이 가장 이상적이며, 없으면 옳챙이로 골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멀록 덱에서 찾으면 상점의 광역 버프 멀록에 채용하는 것도 좋다. 굳이 상점이 아니더라도 내 필드의 젊은 거먹눈 멀록을 황금으로 만들어 스탯이나 기물을 확보하거나, 젊거멀이 있다면 망꾼을 황금으로 만들어 골드 사기를 시도하는 것도 좋다. 단순 멀록 뿐만 아니라 상점의 하수인뭉치를 황금으로 만들어 황금 보상 + 무작위 하수인 +10/+10 버프를 노리는 것도 가능하다.

운에 따라서는 해산물 투척꾼으로 황금 하수인을 만들고, 그 보상으로 다시 해산물 투척꾼을 찾는 걸 반복할 수도 있다. 골드 소모가 커서 큰 의미는 없지만, 멀록 덱이라면 황금 멀록을 내는 과정에서 버프 이득은 볼 수 있다.

23.2 나가 패치에서 삭제되었다가 25.0.4 패치에서 복귀했다. 독성지느러미 멀록이 4단계에서 6단계로 수직 상승해서 애매해진 멀록 덱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 복귀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게 좋은 소리를 듣고 있지는 않다.

이유는 이 카드 덕분에 멀록 덱의 고점은 매우 높아졌지만, 저점 역시 미친듯이 내려갔기 때문이다. 해산물 투척꾼이 삭제된 사이 새로 추가된 젊은 거먹눈 멀록 덕분에 망꾼이나 젊거멀 중 하나를 황금으로 맞추면 브란과 함께 사용해 무수한 기물 확보 및 독성이고 뭐고 몸으로 밀어버릴 수 있는 막대한 스탯을 뽑을 수 있게 되어 고점 자체는 어마어마하게 높아졌다.[16] 하지만 4단계의 빈 자리를 6단계로 메꿔버리는 바람에 중반이 미친듯이 약해졌다. 보통 멀록은 취약한 중반을 독성으로 틀어막고 후반의 젊은 거먹눈 멀록과 함께 스탯 사기를 쳐서 우승하는 것이 주요 플랜이었고 이 사이에 약한 구간이 없을 때 욕을 먹어왔는데, 4단계의 빈 자리를 6단계로 채우는 바람에 고점은 매우 높지만 저점도 매우 낮은 극단적인 덱이 되었다.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어미 임프
한글명 어미 임프 파일:Imp Mama-bg2.png
영문명 Imp Mama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악마
공격력 6(12) 생명력 10(20)
효과
(황금)
이 하수인은 피해를 받을 때마다 무작위 악마를 소환하고 그 악마에게 도발을 부여합니다.
이 하수인은 피해를 받을 때마다 무작위 악마를 둘 소환하고 그 악마들에게 도발을 부여합니다.

피해를 받을 때마다 악마 하수인을 필드에 깔아주면서 도발까지 부여하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하다. 어미 임프가 뱉어낸 악마는 깡스탯 그대로 소환되기 때문에 아나이힐란 전투모병관은 5/1 도발이라는 초라한 하수인이 되고, 지속 효과는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카트라나티르를 소환할 경우 내 모든 악마들이 공격력 +2를 얻는다.

영혼 곡예사를 위시한 슈팅 악마 덱을 꾸릴 경우 혼자 악마 탄환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하며, 어미 임프가 토큰 악마를 또 뱉어줄 가능성이 높아서 잠재력이 매우 높다. 굳이 슈팅 뿐만 아니라 거대불악마의 성장이나 성급한 파멸의 예언자의 복수 스택을 쌓기에도 유용하다. 만약 어미 임프가 한번에 죽지 않았다면 뱉어내는 악마 뒤에 숨어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상대에게 높은 피해를 기대할 수 있고, 굶주린 지옥박쥐라도 소환했다가 둘을 동시에 살린 경우 상대를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비명횡사시킬 수도 있다.

다만 다른 토큰 악마들과는 달리 어미 임프는 피해를 받아야 효과가 발동하므로 내 필드가 꽉 차 있으면 악마를 소환하지 못한다. 그래서 최소 한 자리는 비어있어야 제 성능을 내는데, 안 그래도 토큰을 소환하는 하수인이 많은 악마라 전투 순서가 꼬여서 어미 임프가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사라질 수도 있다. 어미 임프는 한 번에 죽냐, 죽지 않느냐에 따라 편차가 크게 갈리는데, 빠른 타이밍에 뽑았다면 10이라는 제법 든든한 생명력으로 많은 악마 소환을 기대할 수 있지만 후반엔 깡스탯으로는 한계가 오고 단독으로 스탯을 버프시키기도 애매하다. 지옥박쥐와 함께 사용한다면 시간을 들여가며 어느 정도 잠재력을 확보할 수 있다.

매커니즘이 악마를 소환한 뒤에 도발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드가와 연계를 할 경우 카드가가 복제하는 것은 어미 임프가 도발을 붙이기 전의 상태의 것을 복사한 것으로 취급되어, 결과적으로는 카드가가 복제한 악마에는 도발이 붙지 않는다.

말가니스가 전장에 존재했을 때는 어미 임프가 체력이 0이나 -1인 상태에서 말가니스를 소환하면 +2/+2 버프를 받아 생존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21.2 패치로 말가니스가 삭제되어 불가능해졌다.

생김새와 어미라는 점과 악마를 계속 소환하는 게 자식을 낳는 것이 연상된다는 등의 이유로 빅맘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이는 국내 뿐만이 아닌 해외 전장 유튜버들도 종종 사용한다.

25.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버프명은 어미를 지켜라![17]이다.

2.5.2. 보조 하수인

2.5.2.1. 이교도 스사라
한글명 이교도 스사라 파일:Cultist S'Thara-bg2.png
영문명 Cultist S'Thara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12(24) 생명력 3(6)
효과
(황금)
은신, 죽음의 메아리: 이번 전투에서 가장 먼저 죽은 내 악마를 최대 능력치로 소환합니다.
은신, 죽음의 메아리: 이번 전투에서 가장 먼저 죽은 내 악마 둘을 최대 능력치로 소환합니다.
소환: 우리의 호의를 무시하겠다고? (Does this mean you're not in?)

보통 악마 덱을 구축하고 최종 싸움 전, 마지막 자리를 채워넣는 용도로 쓰인다. 막상 악마가 너무 잘 커버리면 스사라 턴이 오기 전까지 악마가 안 죽거나 부활시켜야 할 떡대 악마는 안 죽고 스텟이 낮은 악마가 먼저 죽어 온전한 효과를 보기 어렵다. 그렇다고 도발을 걸자니 바로 아래의 문제점 때문에 불안정해진다.

주의할 점은 스텟을 유지한다는 점인데, 변이하는 가시덤불 마녀, 우위 등으로 스텟이 줄어들어도 유지한다. 때문에 가멧이나 정령이 생존한 판이라면 잘 큰 악마에게 도발을 거는 행위는 절대 지양해야 한다. 십중팔구 3/3짜리가 튀어나온다.

악마가 붙어있는 이중 종족이나 모든 종족값을 가집니다도 악마로 취급하므로 언데드/악마인 만노로스나 흉합체도 죽음의 메아리로 소환이 가능했다. 만노로스에게 환생을 걸어주고 이교도 스사라로 되살려서 독소 저격을 노리거나 독성과 천상의 보호막을 가진 흉합체를 죽음의 메아리로 대거 복사하는 날먹 전략도 있었으며. 스사라 본인에게 은신이 달려있어서 상대방이 저격하기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음 패치로 만노로스, 흉합체가 삭제되는 원인을 제공했다.

30.0.3 패치에서 효과가 '소환합니다. 모든 강화 효과를 유지합니다'에서 '최대 능력치로 소환합니다'로 하향되었다. 이제 되살아나는 악마는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키워드[18]와 죽는 순간에 가지고 있던 최대 능력치만 유지되고, 죽기 전에 천상의 보호막이나 도발, 죽음의 메아리, 환생, 독소 등의 추가 키워드를 얻었더라도 유지되지 않는다.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맥스나
한글명 맥스나 파일:Maexxna-bg.png
영문명 Maexxna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야수
공격력 2(4) 생명력 8(16)
효과
(황금)
독성
독성

전장의 범용 독성 하수인 중 하나이다.

등급전에선 아무도 쓰지 않고 외면 받는 하수인이었지만, 전장에서는 무려 6단계 하수인의 자리를 차지했다. 전장은 등급전과 다르게 하수인을 팔지 않는 이상 필드에 계속 남기 때문에, 게임 후반에 가면 공격력과 체력이 30이 넘는 괴물 같은 하수인들이 많다. 이러한 하수인들을 한 번에 죽일 수 있는 독성의 가치는 매우 높다. 또한 야수 종족값도 있어 엄마 곰 등의 버프를 받을 수 있다. 하수인 싸움 위주의 전장에 알맞는 능력들을 여럿 지니고 있어 굳이 야수덱이 아니더라도 용병으로 많이 채용되며, 6성 보상에서 마땅히 시너지를 볼 하수인이 없을 경우 방울뱀과 함께 용병으로 기용하기 가장 적당한 하수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다만 6성 하수인을 발견한다는 건 덱의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 뽑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 경우엔 5성 포자와 마찬가지로 울면서 뽑는 느낌이 강하다.

5성에 공용 독성 하수인인 1/1 치명적인 포자가 있지만 맥스나가 6성에 걸맞지 않는 하수인은 아니다. 일단 야수라서 야수 시너지를 받으며, 생명력이 8이나 되어 토큰 싸움에서 비명횡사할 가능성이 낮아 포자보다는 더 안정적이다. 또 후술할 잽 카운터용으로 쓰기에도 용이하다. 앵드린덱에선 골드린 버프를 받은 맥스나가 무지막지하게 커져 최후까지남아 상대의 모든 하수인을 다 죽이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상대가 천보나 독성등의 유틸이 있는경우 히드라가 낫지만.

21.2 패치에서 야수에게 환생을 부여하는 되살리는 방울뱀의 등장으로, 환생 독성이라는 잠재력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어지간한 덱에서 그냥 구비만 해 놓아도 1대 2 교환을 성립시키며 천보녀와의 연계를 통해 흉합체보다 뛰어난 교환비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등, 이제는 단독 용병 및 독성 요원으로는 가장 좋은 기물이 되었다.

독성 하수인 특유의 낮은 공격력 덕분에 전장 극초기부터 중요 하수인 저격 담당인 잽 슬라이윅의 역 카운터로서 많이 기용되었다. 잽을 저격하기라도 하는 듯 공격력이 2 이하인 하수인이 따로 없다면 맥스나 본인은 2/1로 생존하면서 잽을 죽여서 다른 하수인을 지킬 수 있다. 단 공격력이 2라 리븐데어를 못 지킨다는 게 좀 아쉬운 단점으로 작용하며, 이 경우에는 맥스나 대신 5성 포자를 사용하면 된다.

환생을 발라놓으면 용병으로서 너무 강하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결국 22.6 패치에서 맥스나가 삭제되었다.
2.6.1.2. 섬뜩한 방울뱀
한글명 섬뜩한 방울뱀 파일:Ghastcoiler-bg2.png
영문명 Ghastcoil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야수
공격력 7(14) 생명력 7(14)
효과
(황금)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을 둘 소환합니다.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을 넷 소환합니다.

라스타칸의 대난투모험모드 전용 카드로, 효과는 동일하다.

우수한 죽음의 메아리 효과를 가진 기물로, 단계를 가리지 않고 소환하는데 전장엔 사바나 사자, 온화한 신령 같이 높은 단계의 죽음의 메아리 기물이 많아서 만약 방울뱀이 마지막에 죽고 전투에서 승리할 경우 높은 피해량을 기대할 수 있다. 대신 방울뱀 본인이 다시 나오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1~3단계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은 17종류, 4~6단계 하수인 중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방울뱀 본인을 제외하면) 12종류이므로 약 65.636% 확률로 4단계 이상의 하수인이 등장하는 셈. 로테이션에 따라 조금 달라지긴 하지만 어쨌건 60~70% 사이로 꽤나 높은 확률이다.

죽음의 메아리 기물 중 은근 조커픽이 많아서 재밌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하는 기물로, 야수 덱에서 방울뱀이 죽었더니 뜬금없이 골드린이 튀어나오거나, 땅굴 폭파범이 튀어나와서 필드를 말아먹거나, 심하면 무모한 리로이를 소환해 어이없는 교환을 이뤄내기도 한다. 이 중 스펙이고 뭐고 다 무시하며 상대의 기물과 1대 1로 교환하는 리로이 때문에 방울뱀의 포텐셜이 확 뛰었다.

종족은 야수지만, 자해든 죽메든 야수 덱에서 끝까지 채용되는 일은 잘 없다. 순수 토큰 야수 덱이라면 고려해볼 만 하다. 악마, 기계가 금지되었을 경우 죽음의 메아리에서 야수가 나올 확률이 높고, 그 야수 또한 토큰일 가능성이 높으니 혼자서 2~3장의 토큰 야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빠른 6단계 발견에서 선택지가 애매할 때 용병으로 채용하기도 좋은 카드로, 자체 밸류가 꽤 좋은 편인데 추가적인 변수를 창출할 수 있어서 버티는 용도로는 매우 좋다. 만약 딱정벌레나 리치 왕의 영웅 능력으로 환생이 발릴 경우 죽음의 메아리를 계속 우려먹을 수 있어서 효율이 더 커진다. 다만 죽메로 2장 나오고도 자리가 있어야 환생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기 때문에 배치나 전투 순서에 신경을 써야 한다. 순방을 노리는 덱에서 버티면서 겸사겸사 대박도 노리는 용도로 쓰이지만, 지옥발망치와의 연계로 게임을 날로 먹기도 쉽다다.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6.1.3. 위대한 늑대 골드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위대한 늑대 골드린, 일러명=위대한_늑대_골드린, 영문명=Goldrinn\, the Great Wolf,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가 끝날 때까지 내 야수들에게 +4/+4를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가 끝날 때까지 내 야수들에게 +8/+8을 부여합니다.,
)]
나이트 엘프의 고대 수호자이자 늑대모습을 한 야생 신 골드린이다.

토큰 야수 덱의 최후반 핵심 카드로, 이번 전투에서 내 야수들에게 +4/+4 버프를 부여한다. 즉 이미 필드에 나온 야수는 물론, 이 카드의 죽메가 발동한 이후 생성되는 토큰들도 이 버프를 받는다는 것. 게다가 괴물 앵무, 리븐데어 등과 함께 여러 번 발동시킨다면 조공 기계말 같은 잡 토큰 하수인이 떡대 마트료시카로 돌변해 상대를 때려패는 진풍경도 볼 수 있다.

특히 내 죽음의 메아리를 발동시키는 3성 하수인 괴물 앵무와의 시너지는 그야말로 발군으로, 괴물 앵무가 개편을 통해 맨 왼쪽의 죽메를 발동시키게 된 이후 앵무 - 앵무 - 골드린 식으로 놓으면 그 게임 내내 +12/+12, 앵무가 황금이거나 리븐데어가 있거나 골드린에 환생을 바르는 등 훨씬 다양한 형태로 전투 내내 지속되는 무지막지한 버프를 끼얹을 수 있다. 한 때 앵무가 2성이고 이 카드가 5성이던 시절 그걸로 게임이 개박살났던 역사도 있다.

핵심 하수인이니만큼 딱정벌레로 환생까지 부여해서 여러 번 사용하는 게 좋은데, 일반적으로는 이 카드에 도발 환생을 발라 앵무 - 앵무 - 골드린 식으로 놓는 것이 최상의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상대가 양옆 공격 계열 하수인을 구비하거나 신도레이 직격 사수에게 맞아 환생이 날라가는 등 상황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게임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원래는 그냥 내 야수들에게 버프를 주는 죽메였으나, 개편 과정에서 이번 게임에서 야수에게 버프를 주는 카드로 바뀌어, 기존에는 히드라 같은 떡대 카드와 시너지가 맞았으나 변경 후 토큰과의 시너지가 매우 강력한 카드로 탈바꿈했다.

소환시 BGM 은 와우의 하이잘 산.

버프명은 야수의 영혼[19]이다.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불청객
한글명 불청객 파일:The Uninvited Guest-bg.png
영문명 The Uninvited Guest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언데드
공격력 3(6) 생명력 2(4)
효과
(황금)
기선 제압: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죽음의 메아리: 3/2 그림자를 소환함" 능력을 부여합니다.
기선 제압: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죽음의 메아리: 6/4 그림자를 소환함" 능력을 부여합니다.

브루칸의 영웅 능력과 유사한, 아군 하수인들에게 토큰 죽메를 부여하는 하수인이다. 소환하는 그림자도 전부 언데드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언데드에게 영구 공격력 버프를 부여했다면 소환되는 그림자들도 버프를 얻으므로 이론 상으로는 언데드 공버프를 7배로 받는 역할을 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언데드 시너지 없이는 도저히 6성 하수인이라고 봐줄 수 없는데다, 막상 채용처였어야 할 언데드 공버프 덱도 죽메가 무조건 환생보다 먼저 발동하는 게임 특성 상 이 카드가 나오느라 환생을 막아버리는 트롤링을 저지르기 쉽다. 그 너무나도 쓰레기같은 성능에 유저도 감탄하고 개발진도 감탄한 나머지 출시된지 9일만에 삭제당했다. 비슷하게 출시 일주일만에 삭제당한 친구의 친구와는 정반대로, 성능이 구려터져서 일주일만에 퇴출당했다는 불명예 신기록을 세운 기념비적인 카드.
2.7.1.2. 자매 데스위스퍼
한글명 자매 데스위스퍼 파일:Sister Deathwhisper-bg4.png
영문명 Sister Deathwhispe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언데드
공격력 5(10) 생명력 9(18)
효과
(황금)
아군 하수인이 환생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1/+3을 부여합니다.
아군 하수인이 환생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2/+6을 부여합니다.
소환: 되살려서 더럽게 활용하지. (Reanimated. Repugnant.)

환생할 때마다 필드에 영구적으로 누적되는 버프를 적용한다. 생명력에 치중하는 버프는 단점이지만 언데드는 자체 공격력 버프나 개체 수가 많아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자체 버프량은 나쁘지 않지만 포텐셜은 매우 낮으므로 빠르게 딜을 뽑아내서 상대들을 죽여 빨리 게임을 끝내야 한다. 특히 무지막지한 생명력 버프를 가급적 이 카드에 빠르게 몰아 생존시킨 뒤 6딜씩 박아서 죽이지 않으면 후반부로 갈수록 성장 포텐셜이 뛰어난 다른 덱들에게 밀리게 된다.

참고로 자매 데스위스퍼는 오역이다. Sister는 자매 외에도 '수녀'라는 뜻도 있는데, 여교주 데스위스퍼가 죽은 자들의 교단 2대 교주가 되기 전의 모습을 카드로 만든 것이므로 정확한 번역명은 수녀 데스위스퍼가 되어야한다. 수녀 분들이 서로 자매님이라고 호칭하는 걸 보면 고증일지도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버프명은 암흑의 속삭임[20]이다.
2.7.1.3. 태양의 거인
한글명 태양의 거인 파일:Colossus of the Sun-bg2.png
영문명 Colossus of the Sun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언데드
공격력 8(16) 생명력 8(16)
효과
(황금)
천상의 보호막, 환생
천상의 보호막, 환생

오르시스 사원 근처에 달의 거인과 함께 묻혀 있었고, 공포의 무덤 우두머리로도 출현했던 태양의 거인이다. 달의 거인과 동일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자체 스펙만 보면 3성 기물인 청동 감시자에서 공격력과 생명력을 높인 언데드 기물로, 한참 전에 삭제된 불멸의 엘리스트레이의 완전한 하위호환이다. 하지만 언데드에게는 '이번 게임에서 공격력을 얻는다' 효과가 많기 때문에 성장 여부에 따라 충분히 높은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천보와 환생의 조합으로 최대 4번까지 공격력 버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는 좋은 편.

따라서 데스위스퍼 덱에서 이 하수인에게 도발을 걸어 환생 발동용으로 쓰면서, 데스위스퍼 버프를 챙겨 강화하는 방법이 1번째 사용법이며, 2번째로 '이번 게임에서 공격력을 얻는다' 효과를 이용하여 언데드 위니덱에 활용해도 쓸만하고 언데드 이외의 덱에서 용병으로 사용해도 밥값은 한다.

27.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6 패치에서 기본 능력치가 '6/6'에서 '8/8'로 변경되면서 복귀하였다.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증오유발 비축용
한글명 증오유발 비축용 파일:Hoarding Hatespawn-bg.png
영문명 Hoarding Hatespawn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용족
공격력 10(20) 생명력 10(20)
효과
(황금)
기선 제압: 생명력이 가장 높은 적 하수인으로부터 10/10을 가져옵니다.
기선 제압: 생명력이 가장 높은 적 하수인으로부터 20/20을 가져옵니다.

생명력이 가장 높은 적 하수인에게서 스텟을 빼앗아오는 효과는 초중반에는 위협적이지만 덱을 다 구축하고 마지막 한타 싸움에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더군다나 전투 중에만 발동하는 효과라서 전투가 끝나면 이 기물의 스텟이 원래대로 돌아오므로 영속적인 시인과의 조합 연계가 필수인데 그럴바에는 1성인 황금 미운 아기용이 조금이나마 스탯 상승률이 더 높고 구축하기도 쉽다. 패스트 6레벨 선술집 업을 하거나 발견으로 집어올 게 없을때 내 당장의 필드를 강하게 만들때나 집는 기물이고 스텟을 크게 키워두지 않으면 마지막에는 팔려나간다.
2.8.1.2. 차원날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차원날개, 일러명=차원날개, 영문명=Warpwing,
공격력=12, 생명력=4, 공격력2=24, 생명력2=8, 용족=,
효과=공격할 때 <b>면역</b> 상태가 됩니다.,
효과2=공격할 때 <b>면역</b> 상태가 됩니다.,
)]
소환: 우와! 정말 아슬아슬했어~! (Woah! Almost got me there!)

생명력은 6성 기준 뭘 맞아도 죽는 수준이지만 공격할 때 면역이 되는 능력 탓에 기묘할 정도로 생명력이 끈질기다. 만약 운 좋게 전투 중반까지 살아있어서 공격 턴을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자기 혼자 피해를 다 씹어버리고 상대 기물은 하나하나 조져놓는 괴물이 되어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나디나로 천보를 부여했다면 공격 턴이 오기 전에 죽는 불상사를 막기 훨씬 편하다. 용족 덱이면 물론이고 혼합 덱에서도 고려할만한 고성능 굿 스터프 기물.

당연히 도발은 바르면 안되고 타 하수인에게 발라서 이 하수인의 공격턴이 한 번이라도 더 오게 하는 것이 좋다.

2.8.2. 보조 하수인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돌 록
한글명 돌 록 파일:Rock Rock-bg2.png
영문명 Rock Rock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정령
공격력 5(10) 생명력 5(10)
효과
(황금)
내가 정령을 낸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다음 턴에 생명력으로 바뀝니다!)
내가 정령을 낸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4 부여합니다. (다음 턴에 생명력으로 바뀝니다!)
소환: 짱짱한 돌! (Rock rocking rocks!)

광역 버퍼형 6단계 정령 하수인. 첫 턴에는 돌 록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하수인에게 공격력을 부여하고, 그 다음 턴에는 생명력을 부여한다. 정령을 사고 팔기만 해도 내 전장의 하수인들의 스텟이 미친듯이 뛰어오르는 매우 폭 넓은 버퍼이다. 내는 것만 정령이면 아군 하수인이 정령이 아니어도 올릴 수 있어 전투 절단기 4000, 칼날 수집가와 같은 다른 종족의 범용성 있는 하수인을 용병으로 기용하여 성장시킬 수도 있다.

단, 이 하수인 1개만으로는 매 턴마다 번갈아가며 공격력과 생명력 중 하나만을 올릴 수 있기에 재활용 정령, 선술집 폭풍우 + 전함 트리거 등 명확하게 이 카드의 효과를 여러 번 발동시킬 수 있는 엔진이 있어야만 스텟 상승이 체감이 된다.

공격력 증가 버프명은 "당돌하게! (Rocked on!)"[21], 생명력 증가 버프명은 "떠나가도록! (Rocked out!)"[22]이다. 이름, 소환 대사, 버프명 모두 돌과 락 음악의 영어 발음이 락으로 동일하다는 점에 착안한 듯. 아쉽게도 번역에서는 살리기 힘들었고, 대신 버프명이라도 (당하게! / 떠나가도!)으로 말장난을 살리려고 노력했다.
2.9.1.2. 부관 가르
한글명 부관 가르 파일:Lieutenant Garr-bg3.png
영문명 Lieutenant Gar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정령
공격력 8(16) 생명력 8(16)
효과
(황금)
도발, 내가 정령을 낸 후에, 아군 정령 하나당 생명력을 +1 얻습니다.
도발, 내가 정령을 낸 후에, 아군 정령 하나당 생명력을 +2 얻습니다.

자기 자신도 정령이고 낸 하수인도 정령이므로 생명력 +2는 보장되며, 내 필드에 정령이 많을수록 생명력이 계속 올라가기 때문에 턴이 지날수록 든든한 벽이 된다. 후반에는 한 턴에 체력 버프를 50 넘게 받을 수도 있고, 체력 세 자리수도 가뿐하게 넘긴다.

아나이힐란 전투모병관이 내 생명력 외의 다른 조건은 필요없이 높은 생명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면, 가르는 정령 덱에 한해서만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받아서 범용성이 떨어진다. 대신 정령이 어느 정도 있는 상태에서 빠른 타이밍에 얻었다면 덤프트럭을 몰 수 있으며, 공격력 버프 수단이 애매했던 전투모병관과는 달리 꼬마 라그를 비롯한 공격력 버프 수단이 제법 있어서 높은 스탯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건 장점이다. 대신 유틸성은 도발 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심심하면 튀어나오는 무모한 리로이, 사마귀 여왕에게 취약하다는 건 고려해야 한다. 이미 전투 요원을 어느 정도 갖춘 정령 덱이면 굳이 가르를 기용할 이유도 없기 때문에 이른 타이밍에 뽑을수록 빛을 보는 하수인이다.

원래 6단계 8/1 하수인이었다. 출시 직전엔 주로 발견으로 얻게 될 하수인이니 이른 타이밍에 노미에게 버프를 받는 건 기대할 수 없고, 결국 꼬마 라그의 무작위 버프에 기댈 가능성이 높아서 그냥 이른 타이밍부터 키운 녹아내린 바위가 낫겠다는 평가가 많았다. 출시 직후엔 그냥 잘 썼는데, 정령 덱이 상당한 성능을 내면서 자연스레 가르가 버프를 받을 기회가 많았고 정령 덱이라면 생명력 버프의 효율이 예상보다 너무 뛰어났기 때문에 사실상 독성을 강요받는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래서 18.6.1 패치로 공격력이 8에서 5로 너프되었고, 너프 뒤로는 압도적인 면모는 좀 줄었다. 원래도 발견이나 신령 보상으로 획득하는 카드였고 그렇게 이른 타이밍에 얻어야 압도적인 성능을 냈던 거지, 신령도 함께 6단계로 너프되자 정령은 그냥 5단계에서 노미나 뽑자는 것이 정론이 되면서 아예 정령 덱에선 6단계 발견이 외면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20.0.2 패치로 다시 공격력이 8이 되었다.

20.8 패치로 기본 생명력이 1에서 8로 올랐다. 정령 덱이 아닌 이상 뽑은 턴의 공백기를 메꾸기엔 너무 허약한 스탯이라는 기존의 단점이 어느 정도 보강되었다.

21.2 대규모 패치로 전장을 떠나고 현실 왜곡사로 대체되었다가 24.0.3 패치에서 돌아왔다. 다만 이번엔 리로이와 사마귀 여왕을 사용한 날먹 덱이 성행하며 체력빨로 승부하는 가르의 활용도가 조금 떨어진 편.

여담으로 포즈가 용암 광전사와 비슷해서 갓갓 갓갓갓이라 부르는 유저들도 많다. 패치를 받고 스텟이 5/1이던 시절에는 스텟도 완전히 똑같은 꼴이었다(...)

버프명은 가르디언[23]이다.
2.9.1.3. 자외선 승천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자외선 승천자, 일러명=자외선_승천자, 영문명=Ultraviolet Ascendant,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정령=,
효과=<b>기선 제압:</b> 내 다른 정령들에게 +2/+1을 부여합니다. <i>(내가 정령을 낸 후에 강화됩니다!)</i>,
효과2=<b>기선 제압:</b> 내 다른 정령들에게 +4/+2를 부여합니다. <i>(내가 정령을 낸 후에 강화됩니다!)</i>,
)]
소환: 빛을 직접 바라봐라. (Stare directly at the light.)
정령 덱의 최종 기물. 이 하수인이 필드에 있는 채로 정령을 사고 팔기만 해도 내 필드의 모든 정령이 강화된다. 따라서 다른 정령을 일일이 키울 필요 없이 그냥 승천자 스택만 무지막지하게 키워다가 유틸성이 뛰어난 정령으로 필드를 도배하는 것으로 손쉽게 광역 스텟을 확보할 수 있다.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공포의 제독 엘리자
한글명 공포의 제독 엘리자 파일:Dread Admiral Eliza-bg3.png
영문명 Dread Admiral Eliza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해적
공격력 6(12) 생명력 7(14)
효과
(황금)
아군 해적이 공격할 때마다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2/+1을 부여합니다.
아군 해적이 공격할 때마다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4/+2를 부여합니다.
소환: 운명과 행운!(By fate or fortune.)

원래 WoW의 엘리자는 언데드 해적이라 일러스트도 언데드 해적인데, 언데드와 이중 종족이 출시된 25.2 패치에서도 엘리자는 언데드 종족값을 받지 않고 단일 해적 종족으로 남았다. 다른 하수인들이 의도치 않은 언데드 종족값 때문에 일러스트나 이름을 변경하거나 그냥 이중 종족으로 처리해버린 걸 생각하면 엘리자가 독특한 케이스. 언데드 종족을 부여하면 언데드 덱에서도 너무나 쉽게 기물 성장을 노릴 수 있어 밸런스 상 언데드 종족값 부여를 미룬 것으로 보이는데, 그 사이 전장에서 삭제되었다가 아예 일러스트와 이름에서 언데드 요소를 제거한 '제독 엘리자 고어블레이드'로 복귀했다.
2.10.1.2. 참견쟁이 노략꾼
한글명 참견쟁이 노략꾼 파일:Nosy Looter-bg2.png
영문명 Nosy Loot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해적
공격력 9(18) 생명력 8(16)
효과
(황금)
두 턴마다 무작위 황금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내 턴이 시작될 때, 무작위 황금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소환: 보기만 할게.(Just a peek...)

황금을 중시한다는 리메이크된 해적 컨셉에 맞게 황금 하수인을 직접 수급하는 기물이지만, 낮은 스탯의 하수인을 필드에 오래 내비둬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제값을 하려면 남들보다 훨씬 빠른 6단계 발견으로 수급해 높은 단계의 핵심 기물을 빠르게 선점하거나, 토니를 통해 빠르게 황금으로 만들어 매 턴 6단계 하수인을 뽑아내는 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22.6 패치로 능력치가 7/6에서 9/8로 상향되었다. 전투 요원이라기보다는 중간다리에 가까운 기물이므로 스탯 버프에 대한 체감은 상당히 크다.

24.6 패치로 삭제되었다.
2.10.1.3. 제독 엘리자 고어블레이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제독 엘리자 고어블레이드, 일러명=제독_엘리자_고어블레이드, 영문명=Admiral Eliza Goreblade,
공격력=6, 생명력=7, 공격력2=12, 생명력2=14, 해적=,
효과=아군 해적이 공격할 때마다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3/+1을 부여합니다.,
효과2=아군 해적이 공격할 때마다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6/+2를 부여합니다.,
)]
소환: 운명과 행운!(By fate or fortune.)

와우에선 무법 도적 유물 무기 시나리오에 나오던 캐릭터로, 유물 무기인 '공포의 검'의 원 주인이다. 소환 대사의 운명과 행운은 이 쌍검 각각의 이름. WoW에서 언데드 해적으로 나오고, 원래는 언데드 종족의 전장 출시 전에 '공포의 제독 엘리자'라는 언데드로서의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언데드 종족값 부여를 피하고자 일러스트와 이름을 변경하고 다시 전장에 복귀했다.

조건은 해적이 공격하는 것이지만 버프는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적용되기 때문에 해적이 아니어도 버프 자체는 받을 수 있으며 공격하는 해적도 버프가 적용된 후에 때린다. 따라서 굳이 해적 덱이 아니더라도 6단계 발견이 애매할 때 용병으로 집을 수도 있고, 엘리자를 가장 먼저 배치해 공격시키면 느조스의 피조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다.

1단계 기물 뱃사람과의 궁합이 매우 좋아서 뱃사람 하나가 공격할 때마다 필드 전체에 +6/+2 버프를 준다. 이 때문에 원래는 뱃사람을 필두로 뱃사람 토큰을 양산해서 스텟을 펌핑하는 '뱃조디아' 덱의 핵심 기물로 쓰였던 적도 있으나, 전장이 뱃조디아 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지원해준 하늘 해적 기수, 유람선 조타자와 같은 기물들로 뱃조디아의 핵심이 옮겨가면서 해조디아에서도 실직했다. 그나마 파츠를 다 모으지 못 했을 때 임시로라도 쓰는 정도. 반대로 막상 APM 해적 덱에서도 엘리자의 공버프 따위 없이도 막강한 버프를 줄 수 있어 엘리자의 효과가 거의 쓸모가 없다.

따라서 메타의 변화로 인해 해적 덱에서 쓰기에는 어느 덱에서도 메리트가 없기에, 6발이 망했을 때 뱃사람과의 연계로 어떻게든 필드를 빠르게 강화해야 할 때, 혹은 본인이 공격해도 버프를 준다는 점을 활용해 급하게만 사용하는 카드로 위상이 추락했다.

버프명은 '야하르!'[24]이다.
2.10.1.4. 함대 사령관 테시스
한글명 함대 사령관 테시스 파일:Fleet Admiral Tethys-bg2.png
영문명 Fleet Admiral Tethys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해적
공격력 5(10) 생명력 6(12)
효과
(황금)
내가 9골드를 소모한 후에, 무작위 해적을 얻습니다. (9골드 남음!)
내가 9골드를 소모한 후에, 무작위 해적을 둘 얻습니다. (9골드 남음!)
소환 1: 땅콩 먹을 사람! (Peanut, anyone?)
소환 2: 내너스, 땅콩 먹을래? (Want a peanut, nanas?)

WoW에서는 달라란 NPC 중 하나인 '함대 사령관 테시스'로, 하스스톤에서는 영웅들의 이야기 발리라 편에서 등장했다. 원래는 WoW TCG 일러스트를 가져와 피 묻은 칼로 쥐의 배를 가르는 고어한 일러스트를 썼으나, 전장에서는 아예 새롭게 일신한 일러스트를 얻었다.

26.2 패치때 삭제된 선장 들창코를 대신해서 나온 6단계 해적 하수인. 두 개만 확보해도 본전은 뽑는 들창코와는 달리 9골드 소모라는 조건과 6단계 하수인이라는 점에서 기물을 확보하기가 더 빡빡해졌지만, 일단 보유만 하면 해적을 사는 게 아니어도 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해적 사이클을 원활하게 돌려주기에 범용성은 훨씬 높아졌다. 9골드라는 조건이 빡빡해보이지만 해적덱은 음반 밀수꾼, 선상 도박꾼처럼 골드를 벌어다주는 하수인들이 많고 들창코와 달리 굳이 해적을 사지 않고 그 어떤 방법으로든 골드를 소모하기만 하면 해적 기물을 벌어다주는 장점도 있다.

해적덱은 화약 급사, 얼음 낚시꾼, 사랑앓이 발라드가수, 허드렛일 강골처럼 골드를 확보하고 소모할 때마다 해적의 스탯을 올려주는 하수인이 많으므로 테시스의 중요성이 올라갈 수 밖에 없으나, 5단계 기물이었던 들창코와 달리 6단계라서 쉽게 확보하기 힘든 것이 단점. 꼭 해적을 사고 팔지 않아도 사이클을 돌아가게 만드는 하수인인 만큼 골드 수급용 용병으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돌 록 덱에서 테시스를 넣을 자리가 있다면 막대한 이득을 볼 수 있다.

소환 대사 톤이 각각 다르다. 하나는 모두에게 말하는듯이 말하고 하나는 옆에 원숭이에게 말한다. 대사가 은근 찰져서 땅콩맨이라고 불리고 있다.

2.10.2. 보조 하수인

2.10.2.1. 칼날해일호
한글명 칼날해일호 파일:The Tide Razor-bg2.png
영문명 The Tide Razo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6(12) 생명력 4(8)
효과
(황금)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해적을 셋 소환합니다.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해적을 여섯 소환합니다.

해적 버전의 방울뱀이다. 스트리밍 등지에선 고잉 메리 호, 그리고 황금 칼날해일호는 사우전드 써니 호라고 불린다. 해적 덱은 공격 시너지가 있기 때문에 해적 개체수를 늘려주는 이 카드는 거한과 엘리자의 공격 광역버프 효율을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이 중 대박에 속하는 내트 페이글, 거한, 엘리자 이 3마리가 무작위 3마리 중이 한마리라도 나올 확률이 55%[25]로 꽤 높은 편이기 때문에 운만 좋다면 질 게임도 뒤집을 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너지 생각없이 단순히 3마리 소환으로만 봐도 꽤 강력한 효과이기 때문에 해적덱이 아니더라도 방울뱀 집듯 용병으로 채용할 가치가 있다. 운이 좋으면 방울뱀에서 칼날해일호가 나오는 마트료시카도 가능해서 방울뱀의 간접 상향으로 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해적 덱의 경우 칼날해일호를 넣는 것보다는 알짜배기 해적으로 꽉꽉 채워넣는 편이 훨씬 더 강력하고, 종족값이 없어 다른 서포팅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용병으로서의 활용도는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그렇다고 6성 시절 스니드처럼 아예 무쓸모인 건 아니고 이른 타이밍에 집었을 경우에는 밸류 및 피해량 기대치가 더 높기 때문에 쓸만하다.

2.11. 이중 종족

2.11.1. 기계/야수 하수인

2.11.1.1. 악벽우
한글명 악벽우 파일:Untameabull-bg.png
영문명 Untameabull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기계
야수
공격력 10(20) 생명력 16(32)
효과
(황금)
이 하수인이 피해를 받을 때마다 천상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이 하수인이 피해를 받을 때마다 천상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천상의 기계멀록의 리뉴얼. 피해를 받고 생존하면 천상의 보호막을 얻는다. 즉 한 번 버텨서 천보를 얻었다면 그 천보로 다음 공격의 피해를 막고, 만약 그 뒤에 자잘한 공격을 또 받으면 천보를 얻고, 그걸로 1번 더 공격하고... 하는 형태로 이득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안녕모듈의 도움 없이는 자체적으로는 천보가 없어 자기보다 높은 스텟의 기물이나 즉사형 기물에게는 맥없이 죽어버리는 약자 멸시형 기물.

기계의 천보와 야수의 자해 시너지를 합친 듯한 느낌이지만, 막상 야수의 자해 시너지는 여러 번 발동하는 것이 주된 플레이 스타일이라 기껏 천보를 얻어도 자해 시너지를 또 발동하면 천보가 까인다. 하늘광휘로 버프를 노리면서까지 키우기에는 스탯버프가 확정적이고 4성인 트리고어가 더 좋다는 게 문제. 따라서 기계 덱에서 전투 절단기를 키우듯 운영하거나, 혼합 덱에서 천보 기물을 여러 종족에서 확보할 때 쓰인다. 10/16이라는 스텟은 깡 6발 타이밍에서는 꽤 강하기 때문에 도저히 집을 게 없으면 용병으로 집기도 한다.

영문명은 '길들일 수 없다'는 의미의 'Untameable'와 황소(bull)의 말장난이며, 번역명은 경마, 승마 등에서 버릇이 나쁜 말을 통칭하는 악벽마(惡癖馬)에 소 우(牛) 자를 붙여 의역했다.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11.2. 나가/해적 하수인

2.11.2.1. 황금총 그레타
한글명 황금총 그레타 파일:Greta Gold-Gun-bg.png
영문명 Greta Gold-Gun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나가
해적
공격력 2(4) 생명력 9(18)
효과
(황금)
주문제작: 다음 턴까지 다른 아군 해적 또는 나가를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주문제작: 다음 턴까지 다른 아군 해적 또는 나가를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소환: 황금이 대세야.
한글명 황금총 파일:Gold-Gun-bg.png
영문명 Gold-Gun
카드 종류 주문(토큰)
등급 기본
속성 -
비용 0
효과 다음 턴까지 아군 해적 또는 나가를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황금총 그레타 제외).
다음 턴까지 아군 해적 또는 나가를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황금총 그레타 제외).

퀘스트가 삭제되면서 시작된 시즌3 25.2 패치에서 추가된 하수인이다.

과거 퀘스트 보상이었던 '황금 망치'의 열화버전 주문제작을 가져온다. 무조건 나가와 해적에게만 사용할 수 있고, 본인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어차피 본인에게 사용해봤자 +2/+9에 주문을 돌려받을 뿐이니 큰 효용성은 없다.

필드의 주문제작 나가를 황금으로 만들면 황금 주문제작이 즉석으로 들어오므로 사이클을 돌릴 수 있으며, 그냥 아티샤에 발라주는 무난한 활용법도 있다. 아쉬운 점은 올고조아는 나가가 아니라 황금총의 효과를 못 받는다는 정도. 해적의 경우 일반 들창코를 황금으로 만들어 들창코 하나만으로 황금을 노릴 수 있고, 차선책으로 황금 애호가나 바다의 노략꾼, 하수인뭉치, 허드렛일 강골 등을 황금으로 만들어 버프 효율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해적은 과거 5성 기물인 쌍엄니 토니와 비교되기도 하지만 일회성 주문제작이긴 해도 구매 단계에서 황금 효과를 바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타이밍이 빠르다는 장점, 토니는 랜덤으로 복수 효과가 들어가기 때문에 토니가 죽어서 복수 효과를 못 보거나 엉뚱한 해적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필드 정리를 해야한다는 것 등등을 따지면 그레타쪽이 훨씬 유용하다.

출시 당시에는 주문제작을 영구히 고정시키는 효과(용암 잠복꾼, 여군주 바쉬)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나 시즌 중반 전우가 돌아온 25.6 패치 이후로는 이들이 황금총 효과를 영구히 고정시키지 않고 있다. 이후 25.6.3 패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수정되었다.

버프명은 황금총 적중[26]이다.

2.11.3. 악마/야수 하수인

2.11.3.1. 지옥발망치
한글명 지옥발망치 파일:Felstomper-bg3.png
영문명 Felstomp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악마
야수
공격력 3(6) 생명력 7(14)
효과
(황금)
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3 부여합니다.
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6 부여합니다.

환생이나 죽음의 메아리 등으로 전투 도중에 하수인을 소환하면 내 모든 하수인에게 공격력을 부여한다. 효과는 개체 수 하나하나마다 반응하기 때문에 여러 개체를 한 번에 소환하면 먼저 소환된 개체는 버프가 중첩되어 들어간다. 예를 들어 공격력 6 이상의 쥐 떼와 지옥발망치가 있을 때 쥐 떼가 죽으면 먼저 나온 쥐 토큰은 이후 5마리분의 버프를 받아 4/1, 7/1, 10/1, 13/1, 16/1, 19/1의 토큰 6개가 나오고, 지옥발망치 본인은 21/7이 된다.

출시 이후 6발에서 이것만 집으면 순방 확정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강력한 기물이었다. 빠르게 구비했더라도 아무 죽메, 환생만 있는대로 골라집어도 강력하고, 후반부에는 환생 달린 방울뱀을 구비했거나 영혼분리자와 영원의 소환사 조합이라도 있다면 모든 덱을 깡 공격력만으로 갈아버린다. 개체 수와 하나하나의 공격력으로 승부하는 덱이라 리로이와 사마귀도 쓸모가 없다. 본인이 악마 + 야수의 조합이라 방울뱀이나 메카 자락서스의 발타라크를 통해 환생을 부여하기도 쉬워서 전투 운 또한 비교적 적게 받는다.다만 체력버프가 전무하기에 엄마곰,골드린과의 조합 및 뒤에. 떡대,천보 하수인은 확보를 해야 우승이 가능하다.

하지만 악마 종족의 특성이 물량전개 대신 상점 하수인 잡아먹기 + 깡스텟 특성으로 바뀌고난 뒤로는 이 하수인과 시너지가 나지 않게 되었다. 결국 이 하수인이 삭제 된 뒤 색만 바꾸고 언데드/야수 이중종족 하수인인 '죽음발망치'로 변경되어 재등장하였다.

25.2.2 패치에서 생명력이 8으로 증가하였고, 공격력 부여량이 +2로 감소하였다.
25.4.3 패치에서 다시 출시 당시로 롤백되어 생명력 7, 공격력 부여량 +3으로 변경되었다.

버프명은 지옥포식함[27]이다.

2.11.4. 언데드/멀록 하수인

2.11.4.1. 끈질긴 멀구울
한글명 끈질긴 멀구울 파일:Relentless Mur'ghoul-bg.png
영문명 Relentless Mur'ghoul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언데드
멀록
공격력 5(10) 생명력 4(8)
효과
(황금)
독소, 복수 (4): 환생을 얻습니다.
독소, 복수 (4): 환생을 얻습니다.

독소만으로도 용병으로 채용할 가치가 있는데 복수를 통해 제한적으로 환생을 얻을 수 있다. 초기의 흉합체나 천보독성 멀록, 환생 띄운 사마귀 여왕이 얼마나 사기적이었는지 생각해 보면 용병으로 채용할 가치는 충분하다.

가장 좋은 그림은 이 하수인이 환생을 얻자마자 상대하수인에데 공격당해서 제거하고 다시 복수가 발동되어 한번 더 환생을 얻는 것. 이론적으로 3기의 하수인을 잡을수 있다.

2.11.5. 언데드/야수 하수인

2.11.5.1. 구울라카브라
한글명 구울라카브라 파일:Ghoul-acabra-bg2.png
영문명 Ghoul-acabra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언데드
야수
공격력 4(8) 생명력 13(26)
효과
(황금)
아군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죽은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2/+1을 부여합니다.
아군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죽은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4/+2를 부여합니다.

죽음의 메아리를 지원하는 기물. 종족과 단계를 가리지 않고 내 모든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한다는거는 매력적이지만 내 기물의 죽음의 메아리가 터져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전투를 제외하고는 능동적으로 키울 수단이 많지 않다. 이전에 중립 기물에게 버프를 주는 기물들은 선술집 단계나 종족을 따지는 정도였지만 이 하수인은 고위 리치 켈투자드처럼 제한적인 경우가 아니면 전투시에나 내 하수인들에게 버프를 준다는게 큰 문제점이다. 그나마 중립 기물에게도 +2/+2를 부여한다는 점은 매력적이다.

29.6 패치에 추가 될 당시에는 2/11. 내가 죽음의 메아리 능력을 발동시킬 때마다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2/+2를 부여합니다. 라는 효과였으며 등장하자마자 OP 기물로 등극했었다. 메타조 전령은 삭제되었지만 내 아군 하수인 중 하나의 무작위 죽음의 메아리를 터트리는 괴물 앵무와 티투스 리븐데어와의 조합으로 앵무에 환생이라도 바르거나 영웅능력으로 아무 죽음의 메아리 기물을 희생시키기만 해도 최소 100/100 버프가 영구히 들어가는 등, 최대한 6단계 상점을 먼저 찍거나 발견으로 구울라카브라를 발견하는 쪽이 트럭을 밀었다. 이 지나친 OP 능력으로 29.6.2 패치노트로 아군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죽은 후에 효과가 발동되는걸로 변경되었으며 지금은 중간다리용으로 거쳐가는 기물 정도로 위상이 추락해버렸다.

언데드/기계 이중 종족인 기계 의수가 환생과 합체를 들고 나온 뒤로 주가가 살짝 올랐다. 죽메가 종족별로 하나씩 +2/+1을 주는 다종족 결사단에 기계 의수를 붙여 조합하는 방식으로 버프를 주는 양을 극대화하는 다종족 덱에 활용하는 등.

30.0.3 패치에서 능력치가 '3/12'에서 '4/13'로 증가하고, 효과는 '+2/+2'에서 '+2/+1'로 감소하였다.
2.11.5.2. 죽음발망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이중종족=,
한글명=죽음발망치, 일러명=죽음발망치, 영문명=Deadstomper,
공격력=3, 생명력=11, 공격력2=6, 생명력2=22, 언데드=, 야수2=,
효과=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3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한 후에\,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6 부여합니다.,
)]
전투 중에만 광역공격 버프를 넣어주는 토큰덱 지원 하수인. 버프 수치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현재 필드에만 적용되며 영구적이지도 않기에 핵심기물을 못찾은 야수/언데드 덱이 차선책으로 채용하거나, 토큰이 꽤 있는 덱에서 용병으로 잠깐 채용할만한 하수인.

원래는 악마/야수 이중 종족인 지옥발망치였으나 리워크 과정에서 악마가 토큰 컨셉이 삭제되고 토큰 컨셉인 언데드가 출시되며 죽음발망치로 변경하였고 일러스트 및 종족값도 언데드로 바뀌었다.

2.11.6. 정령/악마 하수인

2.11.6.1. 황천 피조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이중종족=,
한글명=황천 피조물, 일러명=황천_피조물, 영문명=Nether Construct,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정령=, 악마2=,
효과=<b>선택</b> -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4/+4를 얻습니다. 또는 선술집에 있는 모든 하수인을 잡아먹고 그 하수인들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b>선택</b> -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8/+8을 얻습니다. 또는 선술집에 있는 모든 하수인을 잡아먹고 그 하수인들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무난무난한 선술집 광역 버퍼. 보통은 첫 번째 효과만 사용하지만, 판드랄의 선택이나 가시 개척자 등의 효과로 두 선택 효과가 모두 발동하는 경우 버프를 주고 모조리 흡수하므로 맨땅에서 괴물 하수인을 만들어내기에는 최적이다. 선택 효과를 둘 다 발동시킬 수만 있다면 황금 하수인으로 만들었을 때 순간적인 스텟 펌핑이 정신나간 수준이라 버퍼지만 페어를 집기도 한다.

2.12. 모두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융합체 관광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융합체 관광단, 일러명=융합체_관광단, 영문명=One-Amalgam Tour Group,
공격력=6, 생명력=7, 공격력2=12, 생명력2=14, 모두=,
효과=내가 카드를 낼 때마다 그 단계 이하인 아군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카드를 낼 때마다 그 단계 이하인 아군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삭제된 겐 / 바쿠의 용사를 재조정한 듯한 효과로, 카드를 낼 때마다 그 단계 이하의 하수인들에게 광역 버프를 준다. 하수인을 낼 경우 그 하수인 본인도 버프를 받는다. 무엇보다 짝수기만 하면 6성 하수인에게도 버프를 줬던 그레이메인의 용사와 달리, 이런 류의 성장 동력은 보통 6성 하수인을 통해서 이뤄지기 때문에 필드를 제대로 키우고 싶으면 6성 카드를 냈다 팔아야 하기에 성장이 더뎌지며, 오히려 1~3단계의 하수인이 버프 효율을 더 잘 받는 편이다.

그래도 나름 모두 종족값 카드이기도 하고 버프를 주는 조건이 간단한 것도 사실이기에 대충 쓸만은 하다.

2.13. 중립

2.13.1. 1인/태그 전장 겸용

2.13.1.1. 걸어다니는 요새
한글명 걸어다니는 요새 파일:The Walking Fort.png
영문명 The Walking Fort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4(8) 생명력 6(12)
효과
(황금)
내 턴이 끝날 때, 아군 도발 하수인 넷에게 +4/+4를 부여합니다.
내 턴이 끝날 때, 아군 도발 하수인 넷에게 +8/+8을 부여합니다.
소환: 부딪혀 봐라. ()

24.6 패치로 추가되었다. 모험 모드 대난투 출신의 카드로, 원래 효과는 모든 피해를 1만 받는 카드였다.

도발 하수인에게 +4/+4 버프를 주는 하수인으로, 버프량이 빛송의 2배인데 종족을 가리지 않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수인에게 따로 도발을 부여해주는 작업이 필요하고 종족 밴을 제법 탄다. 다만 어쨌든 조건이 간단한 편이고, 버프 수치도 높은데다 가끔 턴 종료 시 효과가 2번 발동되는 섬뜩한 가면 퀘스트 보상으로 지급되는 경우가 있어서 빠르게 확보하면 강력한 트럭을 몰 수 있다.

도발을 부여해주는 작업 역시 2단계의 대련 상대, 4단계의 돌숨결, 5단계의 해골마까지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어지간한 덱은 1개 이상의 도발 하수인을 들고 있기 마련이므로 일부 컨셉이 확실한 덱이 아닌 이상 웬만한 덱에 채용해도 밥값은 한다. 특히 혼합 덱이라면 도발을 부여해주는 것 만으로도 황금 빛송과 같은 양의 막대한 버프를 부여할 수 있다. 무종족 하수인에게도 버프가 들어간다는 점을 이용해 리로이, 사마귀 여왕에게 도발을 발라 더 유리한 날빌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빠르게 찾으면 찾을수록 상대와의 덱 파워 격차가 커지며, 스탯을 잘 확보하고 독성이 없다면 최상위권도 노릴 수 있는 강력한 기물.

다만 여러 기물에게 도발을 부여하게 된다면 히드라계열의 하수인에게 취약할 수 있다. 요새를 일찍 확보하고 충분히 성장했다면 히드라계열의 하수인들이 이 하수인의 성장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나, 합체 시너지로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수박서버는 주의.

버프명은 굳건함[28]이다.
2.13.1.2. 그레이메인의 용사
한글명 그레이메인의 용사 파일:Greymane's Champion-bg.png
영문명 Greymane's Champion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6(12) 생명력 6(12)
효과
(황금)
내가 짝수 단계의 카드를 낸 후에, 내 짝수 단계 하수인들에게 +1/+1를 부여합니다.
내가 짝수 단계의 카드를 낸 후에, 내 짝수 단계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소환: 저주조차 우릴 막을 수는 없다! (Not even our curse can stop us!)

5성 하수인 '달을 삼킨 구렁이의 용사'의 짝수 버전. 2, 4, 6단계의 기물과 선술집 주문을 내 전장에 내면 모든 2, 4, 6단계의 하수인들에게 +1/+1를 부여하는 효과다.

5단계 하수인인 달을 삼킨 구렁이의 용사와는 선술집 단계를 따지는 차이점밖에 없다. 원래는 버프도 2배(+2/+2)였으나 말도 안 되는 성능으로 핫픽스를 먹어 똑같아졌다. 그래서 이제는 6발에서 아무 기반 없이 이 카드를 뽑으면 꽝에 가까워졌다.

그럼에도 바쿠 용사보다는 훨씬 좋은데, 6성에는 함대 사령관 테시스, 회전하는 자동올가미로봇, 앙심의 실리바즈처럼 어드밴티지를 공짜로 주는 기물, 돌 록 같은 추가 버퍼나 전투 절단기, 악벽우 같은 키울 맛 나는 하수인들도 많다. 하위 단계도 마찬가지라 판다네 정령, 침착한 정찰병, 산호초 탐험가, 선술집 폭풍우처럼 골드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버프를 줄 수단이 많으며, 탐험가나 폭풍우는 짝수 단계 카드를 가져오면 버프가 2배다. 때문에 이러한 성장 동력이 갖춰졌을 때 그 자리에 그레이메인의 용사를 집어넣으면 광역 버프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5성의 바쿠 용사와 마찬가지로 원문 소환 대사에는 짝수를 의미하는 'even'이 들어가있다.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13.1.3. 늑대인간 무법자
한글명 늑대인간 무법자 파일:Worgen Vigilante-bg.png
영문명 Worgen Vigilante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10(20) 생명력 20(40)
효과
(황금)
질풍, 이 하수인은 처치할 수 있는 적 하수인을 무조건 공격합니다. (가능하다면)
질풍, 이 하수인은 처치할 수 있는 적 하수인을 무조건 공격합니다. (가능하다면)

전장 패치로 삭제된 6단계 하수인인 잽 슬라이윅을 대신해서 나온 하수인.

기존의 잽 슬라이윅은 혈석이나 영웅능력등으로 기물의 공격력을 올려서 저격을 피해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공격력이 낮은 하수인에서 처치할 수 있는 적 하수인을 무조건 공격하는 조건으로 바뀌었다. 질풍 효과에 공격력이 10이라 웬만한 기물은 끊어주는 게 가능하다는 건 장점. 다만 선공을 잡지 못 하면 엄한 하수인에게 들이박다 끝나기 십상이고, 전장 시즌6에서 중립 하수인의 스텟을 늘려주는 선술집 주문이 많아진데다 이 하수인을 쓸 생각이라면 대개는 상대의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을 저격하기 위해서인데 기선제압으로 죽음의 메아리를 발동시키는 메타조 전령의 등장으로 생각만큼 많은 힘을 쓰진 못하고 있다.
2.13.1.4. 대드루이드 하뮬
한글명 대드루이드 하뮬 파일:Archdruid Hamuul-bg.png
영문명 Archdruid Hamuul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4(8) 생명력 4(8)
효과
(황금)
전투의 함성: 밥의 선술집을 새로고침합니다. 내가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하수인만 생깁니다.
전투의 함성: 밥의 선술집을 새로고침합니다. 내가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하수인만 생깁니다.
소환: 세나리우스님께서 당신에게 미소짓길. (May Cenarius smile upon you.)

얼굴 없는 선술집 손님이 원하는 하수인을 찾았을 때 황금 카드를 만들기 쉽게 도와주는 반면, 이쪽은 원하는 하수인을 찾는 것을 도와주는 카드다. 하지만 전장의 시스템상 1성, 2성 하수인이 나올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고, 하뮬을 내기 위해서 한 자리도 비워야 하므로 당첨 확률이 좀 더 높은 새로고침 정도로 이해하면 편하다. 때문에 하뮬을 최대한 잘 사용할 수 있는 덱은 종족 하수인만을 사고 반복하는데 특화된 해적덱, 정령 덱, 멀록덱으로, 그 동안 6발 하수인을 거의 활용할 수 없었던 노미 정령덱, 멀록덱에도 쓸만한 하수인이다.

앵드린 덱에서는 쉽게 파츠를 찾을 수 있게 해줘 앵드린의 성공 확률을 크게 높여준다. 앵무, 개구리, 악어, 히드라, 골드린 모두 야수인 덕분에 플레이하기 편해지고, 특히 되살리는 방울뱀이 중요해진 지금 전장에서 또한 엄마곰도 그럭저럭 쓸 수는 있어 야수 입장에선 구원 투수같은 기물이 되었다.

라그 버프 정령덱의 경우 정지장 정령의 전투의 함성을 6번 보는 것이나 다름없어 상당히 도움이 되고 대신 6레벨을 찍었을 때는 꼬마 라그, 흉합체 등을 추가로 노리기도 좋기에 매우 유용한 하수인이다. 라그 정령덱은 신령의 밸류를 위해 6레벨을 찍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상황이 따라줄 가능성도 높은 편.

용족의 경우 기본적으로 전투의 함성 하수인이라 칼렉고스의 버프를 발동시키고 추가적으로 페어를 풀거나 6레벨일 경우 칼렉고스를 더 찾는 등 장점도 있지만 용족 자체는 전투의 함성을 가진 하수인이 적기 때문에 칼렉고스의 버프를 더 늘려야 하는 상황에는 좋다 보긴 어렵고, 나디나도 등장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칼렉고스를 찾는 6단계 발견에 방해된다는 점 때문에 라그 정령덱보다 장단점이 극명한 애증의 하수인이 였지만, 최근 타렉고사 등장과 함께, 고취비룡과 함께 중반을 버티는 덱은 막강하므로 다시 이 하수인의 가치는 높아졌다.

하수인 브란이나 브란의 축복 경품으로 전투의 함성이 여러 번 발동했더라도 가장 마지막에 새로고침된 상점에서만 하수인을 살 수 있다. 만약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이 둘 이상이라면 그 종족 중 무작위로 선택된 하나의 종족만 나오며, 하수인이 없거나 제국의 무장 등 무종족 하수인만 있을 경우에는 모든 종족 중 무작위로 선택된 한 종족만 나온다.

야수 종족이 금지된 상태에서 느조스의 물고기나 위대한 멧돼지 아감마간 등으로 가장 많은 종족이 '야수'라고 뜨는 경우에는 흉합체와 아감마간만 나오는 상점으로 새로고침 된다.(예시) 드문 상황이지만 하뮬이 있을 때 빠른 6레벨을 안정적으로 찍었을 경우 필드를 정리하고 아감마간(물고기)와 하뮬을 낸 뒤 상점에서 아감마간과 흉합체를 독점하면서, 이들을 황금을 만들어 6발로 추가적인 하뮬이나 필드를 구축할 나디나, 차를가를 가져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가장 많은 종족이 여러 개라 '혼합'으로 뜨는 경우에는 금지된 종족은 랜덤으로는 나오지 않으니 주의.

여담으로 이 하수인으로 인해 수혜를 많이 받는 우두머리는 잔다이스 바로브인데, 다른 우두머리들은 6코스트 발견에서 이 하수인이 나오면 비명을 지르며 꽝을 떠올리지만, 잔다이스 바로브는 그때부터 전성기 시작이다.

다른 플레이어들은 해당 덱의 키 하수인 찾느라 리롤을 간절히 기도하며 1원씩 돌리지만, 잔다이스는 딱 2원(영능쓰고 바뀐 하수인을 팔면 최종적으로 2원을 소모하게 됨)을 투자하여 해당 덱의 기물을 잘 찾아낼 수 있으며, 황금 하수인도 틈틈히 맞춰서 6코스트 발견도 쏠쏠하게 해내어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적당히 안정성 있게 아무 덱이나 유지하면서 5레벨 선술집까지 유지하다가, 황금 하수인 발견에서 이 하수인을 찾은 후, 영능으로 운영하면서 그 덱으로 가면 십중팔구 순방하게 될 것이다. 다만 하뮬을 찾고난 후가 약하니 그 부분은 조심할 것.

또한 밀하우스 마나스톰도 수혜를 받는 우두머리인데 하뮬을 내고서 원하는 기물을 몽땅 살 수 있기 때문이다.

22.2.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덱을 거의 완성해가는 플레이어에게 너무 유리한 카드이고 게임 후반부의 전반적인 위력을 약화시키기 위함이라고. #

25.4.3 패치에서 일시적으로 전장에 복귀하였다. 예고대로 25.6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13.1.5. 불멸의 엘리스트레이
한글명 불멸의 엘리스트레이 파일:Elistra the Immortal-bg2.png
영문명 Elistra the Immortal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4(8) 생명력 4(8)
효과
(황금)
천상의 보호막, 환생. 아군 도발 하수인이 공격당할 때마다 이 하수인이 대신 공격받습니다.
천상의 보호막, 환생. 아군 도발 하수인이 공격당할 때마다 이 하수인이 대신 공격받습니다.
소환: 난 잊히지 않으리라!(I will never be forgotten!)

19.2 패치로 추가된 카드. 본래 모험모드 달라란 침공의 보물 카드 중 하나였다. 일러스트 예쁜 여캐기도 하고 하술할 용병력 때문에 통칭 누나/눈나로 불린다.

도발 하수인이 공격 당할 때 한정으로 최소 4번의 공격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패치에서 추가된 도발 덱은 '도발 하수인은 공격 당할 때마다' 발동하는 효과로 버프를 주고받는 형식의 덱인데, 본 하수인은 그 효과는 효과대로 발동하고 공격은 자기가 대신 받아서 도발 시너지를 4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첫 출시 때는 스탯이 7/7이었다. 스탯 자체만 보면 전장에 존재하는 모든 하수인 중 가장 강했다. 기존에 용병으로 (주로 6발이 망했을 때)사용되던 어미 임프 등과 비교해보면 압도적이다. 또한 극후반에 전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줄 수 있다. 부관 가르나 녹아내린 바위를 저격하기 위해 준비한 독성 하수인이나 공격력이 높은 천상의 보호막 하수인들의 공격을 대신 맞아주기 때문에, 상대방이 엘리스트레이를 예상하지 못한 배치를 했다면 승률을 크게 바꿀 수 있다.

전장에서는 강한 하수인이 먼저 공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교환비 측면에서 효율적인데, 이 카드는 이론상 적 필드의 강력한 전투원의 공격을 4번이나 막아줌으로써 상대방의 공격 밸류를 낮출 수 있어 극후반 전투에 변수를 줄 수 있는 하수인이다. 다만 밸런스적 문제를 생각했는지 별도의 버프가 없으면 맥스나를 자를 수는 없다.

출시 직후에는 도발 덱은 덱 자체가 연구가 진행이 안되고 있었기 때문에 도발 덱에서 사용한 성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앵드린 야수 덱이 특별히 잘 활용했다. 괴물 앵무와 골드린의 콤보를 극대화하려면 전투 순서가 중요하고, 동시에 내 콤보 파츠가 죽지 않기 위해 도발 하수인을 하나 따로 마련해두는 편이었는데[29] 이제 도발 하수인 1개와 이 카드만 있으면 전투를 4번이나 막아서 안정적으로 앵드린 콤보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무조건 이 하수인만 치기 때문에 히드라 대비책으로 맨 오른쪽에 배치해주고, 옆에는 버퍼 하수인이나 브란 같은 비전투원 하수인을 두는 게 좋다.

무한루프를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아르거스 등에 의해 도발이 달린 엘리스트레이 2장만 있을 경우 엘리스트레이의 효과는 아예 발동하지 않는다. 한쪽이 죽고 환생해서 도발이 없어졌을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도발이 달린 엘리스트레이가 공격받아도 도발이 없는 쪽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실질 스탯이 다른 하수인들보다 너무 높고 매우 효율적인 하수인이었기에, 주로 최초의 6성 발견이 망했을 경우 그냥 7/7 천보환생의 전투원으로 쓰기도 했고, 스니드의 죽메 효과로 튀어나오거나 카드가가 있을 경우에는 복사까지 돼서 중반 타이밍에 게임을 터뜨리기도 했다. 결국 19.2.1 패치로 공격력과 생명력이 7/7에서 4/4로 너프되었다. 너프 후에는 전투요원으로 쓰기에는 안좋았지만, 특유의 능력을 활용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어 필요에 따라 잘 쓰였다. 오히려 도발 발린 나디나나 카드가를 쓰는 해조디아 덱을 카운터치기 좋아졌다.

19.6 패치로 삭제되었다. 삭제가 된 이유는 여러 가지 있겠지만 우선 간편한 범용성 면이 있겠다. 당장 엘리스트레이 하나로 카운터 칠 수 있는 게 무궁무진한데, 우선 엘리스트레이 단독으로 천상의 보호막 4개를 벗겨낼 수 있고[30], 치명적인 포자를 카운터 칠 수 있으며, 잘 꾸려진 해조디아 덱까지 손쉽게 카운터 칠 수 있다[31]. 다른 이유로는 압도적인 굳히기 능력에 있다. 카드가쇼+다크문 경품으로 템포가 어마어마하게 빨라진 메타에서 사실상 최후의 최강 필드는 2흉합체+2칼렉고스+나디나+엘리스트레이인데,[32] 이 필드를 그나마 견제 가능한 독성 하수인을 엘리스트레이 한 장으로 완벽히 차단이 가능하고, 이 필드를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천보독성흉합체 프리딜+나디나로 천보리필이라는 돌아버리는 상황이 와 버린다. 굳이 이러한 극단적인 필드가 아니더라도, 대충 완성된 덱에 엘리스트레이 하나 툭 던져 놓으면 배치를 어떻게 했든 상대의 독성은 전부 막히고 이쪽은 효율 좋은 교환이 가능해진다는 점이 가장 큰 삭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33]
2.13.1.6. 빛의 수호자 우서
한글명 빛의 수호자 우서 파일:Uther the Lightbringer-bg.png
영문명 Uther, the Lightbringe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5(10) 생명력 6(12)
효과
(황금)
전투의 함성: 하수인의 공격력과 생명력을 15로 만듭니다.
전투의 함성: 하수인의 공격력과 생명력을 30으로 만듭니다.
소환: 정의를 위해! (For justice!)

일러스트는 용병단 우서의 것을, 소환 대사와 사망 대사는 일반 우서의 공격 대사와 패배 대사를 재활용했다. 보통 버프만 주고 팔려나가서 사망 대사를 듣긴 힘들지만 딱돈이여서 팔지못하고 남겨둘 경우 사망 대사를 들을수 있는데 패배 대사를 재탕한지라 죽으면 사망 대사가 꽤 길게 울린다.

내 필드, 혹은 상점의 하수인 하나의 스탯을 15/15로 바꾸는 하수인. 6단계 타이밍에 15/15 스탯은 크게 위협적이지 않지만, 황금 파츠에 발라서 황금 하수인에게 버프를 누적시키거나, 합체 하수인을 15/15로 만들어 기계에게 15/15 버프를 넣거나, 상점의 하수인을 15/15로 만들고 지옥박쥐 또는 우르줄로 잡아먹거나, 리븐데어, 복수기물 등 잽에게 저격당할 위험이 있는 하수인들의 생존력을 확보해 줄 수도 있고, 리로이의 스텟을 15/15로 만들어 땅굴 폭파범에 죽지 않게 해 주는 등 활용도는 매우 무궁무진하다. 보기는 힘들지만 황금 카드는 스탯을 30/30으로 만드는데, 이 정도는 후반 필드에서도 제법 쓸만한 스탯이다.

버프명은 '비춰짐'[34]이다.
2.13.1.7. 사마귀 여왕
한글명 사마귀 여왕 파일:Mantid Queen-bg2.png
영문명 Mantid Queen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5(10) 생명력 5(10)
효과
(황금)
독소, 기선 제압: 내 하수인 종족 하나당 +5/+5, 질풍, 환생, 도발 중 하나를 무작위로 얻습니다.
독소, 기선 제압: 내 하수인 종족 하나당 +5/+5, 질풍, 환생, 도발 중 하나를 무작위로 2번 얻습니다.
소환: 패배를 맛봐라, 이방인! (Taste defeat, stranger!)

23.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삭제된 흉합체를 대체할 혼합 덱의 새로운 핵심 하수인으로 설계되었으며, 기선 제압 효과는 영구히 유지되지 않고 이미 가지고 있는 능력은 적용되지 않는다. 즉 이 하수인에게 도발/질풍/환생이 이미 붙어있다면 해당 효과는 얻지 않는다.

치명적인 포자와 맥스나가 모두 사라진 뒤 거의 유일하게 남은 범용 독성 하수인이 되어서 용병으로 자주 기용되며, 1/4 확률로 환생이 붙으므로 굳이 혼합 덱 뿐만 아니라 어느 덱에 집어넣어도 밥값은 한다. 흉합체처럼 브란을 이용해 적응을 여러 번 할 수는 없지만, 전함 효과가 시원찮으면 바로 버려지는 흉합체와는 달리 일단 독성은 보장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도발이나 질풍이 발리는 건 조절할 수 없으므로 전투 순서 조율이 어려워지는 것은 단점.

독소가 달려 있어 공격력 버프는 큰 의미가 없는 기물인데도 굳이 +5/+5의 버프를 주는 이유는 생명력 +5보다 +5/+5가 텍스트가 짧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아군 기물을 잽에서 지키기는 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사 음성이 나오지 않는 버그가 있었는데 23.6 패치에서 수정되어 정상적으로 음성이 나온다.

모습으로 보나 대사로 보나, 공포의 심장의 최종 보스 위대한 여제 셰크지르에서 따온 카드이다. 다만 셰크지르가 와우저들 사이에서도 유명한 캐릭터가 아니다보니 개성을 자르고 일반 하수인으로 낸 듯 하다.

버프명은 왕권[35], 왕가의 신속함[36], 왕가의 수호[37], 왕가의 방해[38]이다.
2.13.1.8. 잽 슬라이윅
한글명 잽 슬라이윅 파일:Zapp Slywick-bg4.png
영문명 Zapp Slywick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11(22) 생명력 22(44)
효과
(황금)
질풍, 이 하수인은 공격력이 가장 낮은 적 하수인을 무조건 공격합니다.
질풍, 이 하수인은 공격력이 가장 낮은 적 하수인을 무조건 공격합니다.
소환: 누가 작다는 거야!(Who are you calling short?)

도발 하수인을 무시하고 무조건 공격력이 가장 낮은 적 하수인을 공격한다. 질풍 효과가 있으므로 2번 연속으로 공격한다.

티투스 리븐데어같이 가장 나중에 죽어야 하는 핵심 하수인들의 하드 카운터로 설계된 기물.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건 남작 리븐데어로, 안 그래도 리븐데어가 핵심인 죽메 야수 등의 덱 상대로는 저승사자와 같은 하수인이다. 해조디아 역시 카드가와 리븐데어를 한꺼번에 저격해 화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일반적인 덱에서도 스텟이 4/4인 변이하는 가시덤불 마녀를 공격하기 전에 저격하여 피해를 줄이거나 리로이와 공멸하여 아군 하수인을 지키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이건 선공 여부를 너무 많이 탄다.

잽에 저격당하는 기물을 주축으로 사용하는 덱은 필연적으로 '잽 대비'를 어떻게 하느냐가 핵심이 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가시멧돼지가 밴이 아닐 경우 핵심 기물에게 혈석을 바르고 버티거나, 공격력이 낮은 기물을 깔아둬서 잽의 사정권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법, 그리고 여러 버퍼로 핵심 기물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것들은 잽에게도 해당되는 상황이라, 상대가 잽에게 버프를 발라서 높은 스탯으로 뚫어버리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래도 시즌 6 이후 리븐데어 등을 버프할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만약 방법이 정말 마땅치 않은데 내 덱이 죽메 야수 등이라면 그냥 선공 잡고 어떻게든 죽메가 터지기를 기도해야 한다.

다만 모든 기물이 전투요원이거나 전함 / 턴 종료 시에 의존하는 깡 스텟 위주의 덱을 상대로는 할 수 있는 게 마땅치 않다는 단점이 있다.

21.2 패치 이후 복수 하수인이 득세함에 따라 몸값이 많이 올랐다. 종족값이 없는 성급한 파멸의 예언자를 확실하게 자를 수 있다는 건 장점. 이후 폴짝개구리 주축의 야수 덱이 엄청난 강세를 띄자 해당 덱의 핵심인 리븐데어를 자르기 위해 잽의 몸값이 엄청나게 올랐다. 폴짝개구리의 버프를 괴물 앵무와 리븐데어로 우려먹는 덱이라 리븐데어가 잘리면 확 약해지기 때문. 토큰 야수의 엄마 곰이나 하얀비늘 악어도 저격할 수는 있지만, 엄마 곰이 황금이면 잽이 진다. 그래서 아예 잽을 두 개 배치하거나, 황금으로 배치해 어떻게든 핵심부터 잘라먹는 플레이가 등장하기도 했다.

다양한 버프 방안이 등장함에 따라 잽이 저격할 하수인도 버프를 얻어 버티고는 해서 잽에게 충분히 버프를 주거나 아예 잽에게 우서를 바르거나, 잽 대신 5단계에 추가된 화이트메인으로 저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화이트메인이 빠르게 삭제됨에 따라 다시 저격 역할은 잽 단독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13.1.9. 자외선 차단자
한글명 자외선 차단자 파일:Sun Screener-bg.png
영문명 Sun Screener
단계 6
등급 기본
종족 -
공격력 10(20) 생명력 1(2)
효과
(황금)
기선 제압: 나와 상대편의 가장 왼쪽에 있는 하수인 셋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합니다.
기선 제압: 나와 상대편의 가장 왼쪽에 있는 하수인 여섯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합니다.
소환: 자, 다음에 받을 피부 관리는? (Now, step 19 of my skincare rotuine.)
30.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나와 상대의 필드 맨 왼쪽 셋에게 천보를 씌우는 기물로, 상대에게도 버프를 부여하기 때문에 자신은 물론 상대의 덱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내 덱이 가시멧돼지나 악마처럼 광역 천상의 보호막을 얻기 어려운 떡대 덱일 경우, 그리고 상대의 덱이 기계처럼 원래 천보가 많아서 효과를 낭비시키거나, 야수처럼 기본 스텟이 낮은 경우 최대의 효율을 볼 수 있다.

상대에게 강제로 천보를 씌우기 때문에 죽음의 메아리를 늦출 수 있는데, 특히 리로이 젠킨스에 천보를 씌워 효과 발동을 막아버릴 수 있는 것이 강력하다. 효과를 막는 건 아니지만 가시덤불 마녀 역시 천보를 씌워서 4/1이 4/4가 되어도 그게 그거라 효율이 좋다.[39] 때문에 상대가 리로이, 마녀 등의 날먹 기물 위주로 덱을 구축하는 것을 우려한다면 이를 카운터칠 수 있다.
2.13.1.10. 차의 대가 테오타르
한글명 차의 대가 테오타르 파일:Tea Master Theotar-bg2.png
영문명 Tea Master Theota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6(12) 생명력 6(12)
효과
(황금)
내가 종족이 없는 하수인을 낸 후에, 종족이 서로 다른 아군 하수인 셋에게 +2/+2를 부여합니다.
내가 종족이 없는 하수인을 낸 후에, 종족이 서로 다른 아군 하수인 셋에게 +4/+4를 부여합니다.
소환: 차 한 잔 하겠나? (Would you get a spot of tea?)

24.2 패치로 추가되었다. 등급전의 미치광이 공작 테오타르와 같은 인물로, 복장은 이쪽이 와우와 비슷하다.[40]

테오타르가 1장만 있을 경우 단순히 무종족 하수인만 반복해서 내는 것으로는 성장이 충분하지 않아 주전자, 정찰병 같이 추가 스탯 혹은 골드 이득을 주는 하수인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편이 좋지만, 테오타르가 2장 이상일 경우 3종족을 맞추고 무종족 하수인을 보이는 대로 사고 팔기만 해도 스탯이 천장을 찍는다. 한 장과 두 장의 갭이 큰 하수인.

대신 이 하수인에게는 종족값이 없으므로 버프를 받기 어렵고, 종족이 3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버프를 받을 하수인들을 정제해야 하며 그렇게 빈 필드를 채울 테오타르와 브란을 비롯한 하수인들의 전투력 약점을 어떻게 메울 것인지도 중요하다. 테오타르 브란을 함께 기용하면 이미 비전투 요원이 2자리를 차지한다.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혼합 덱은 황금 테오타르, 종족 기물 3개[41], 사마귀 여왕 2개, 버프를 돌리거나 용병을 채용할 자리 하나로 구축하는 것이다. 종족이 3개라 사마귀 여왕이 천상의 보호막을 얻을 가능성도 높고, 테오타르로 막대한 스탯을 확보할 수 있어서 제법 보이는 편이다.

28.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6 패치에서 복귀하였다.

버프명은 차 한잔[42]이다.
2.13.1.11.괴물
한글명 춤괴물 파일:The Boogie Monster-bg.png
영문명 The Boogie Monster
단계 6
등급 전설
종족 -
공격력 3(6) 생명력 8(16)
효과
(황금)
내가 1단계 하수인을 낸 후에, 이 능력을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내 하수인들에게 +1/+2를 부여합니다.
내가 1단계 하수인을 낸 후에, 이 능력을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내 하수인들에게 +2/+4를 부여합니다.
소환: 음악, 너무 맛있다. (This music, so delicious.)

테오타르의 뒤를 이은 무종족 광역버프 하수인으로, 테오타르가 무종족 하수인을 내는 것으로 버프를 부여했다면 춤괴물은 하수인의 단계를 따진다. 이 하수인을 처음 뽑는 상황은 대체로 5성일 것이므로, 해당 단계에서 1~5단계의 하수인을 내어서 필드를 강화하고 팔거나 6성으로 가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참고로 황금이 되면 내야하는 단계가 다시 초기화 되므로 6단계까지 버프 발동 후 합치는 것이 좋다. 내 전장에 있는 모든 하수인을 강화해주므로 버프지원용 무종족 카드도 잘 키우면 전투요원으로 쓸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654, uuid=70c8538b-7de6-4b5c-8c0b-42c03a9f0efe,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2=199, uuid2=2d64219e-878d-448f-b3ae-b96ef95f9cbb,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3=529, uuid3=be7cd789-5c72-412b-91d0-96de50cff554,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4=694, uuid4=308fc3bc-9cca-4a7d-973a-499d0dc1dc92,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5=719, uuid5=8c153bac-e99c-48d2-a117-4a3ab8a65914,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version6=779, uuid6=75232afd-339e-43a2-9fdc-1bd7600d6ca7)]
[1] 30.2패치 이전 기준[2] 필드에 있고 가시멧돼지를 낼 경우[3] 전투중[4] 무작위 주문 하나를 버리고 획득[5] 턴이 끝날 때[6] 이 영상의 경우 플레이 영웅이 밀하우스였기에 더욱 시너지가 좋았다.[7] 이 영상의 경우 황금 바다의 노략꾼(해명인)이 존재해 해적 구매 및 판매만으로 +2/+2 버프를 더 줄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했다.[8] 텍스트: +1/+1(+2/+2)[9] 소환 대사의 '수확 서보'를 들리는 대로 읽은 것이다.[10] 텍스트: +1/+1(+2/+2)[11] 5성 5/7: 내가 하수인에게 주문제작 주문을 시전한 후에, 그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12] 불안정한 구울, 네파리안 영능, 붙어 있을시 히드라나 절단기 등등[13] Kripparian의 영상으로, 느린 APM때문에 마지막의 메가사우르스 적응 선택지가 무작위로 질풍이 선택되어 결국 1등할 수 있는 게임을 놓쳤다.[14] Holy Shit과 같은 상황에서 쓰인다.[15] 특히 천상의 멀록이 천보 리필을 받아야 하는데 질풍을 부여하면 괜히 두 번 때리고 죽어버려서 리필을 못 받을 수도 있다.[16] 베스트는 황금 망꾼 2개 + 황금 젊거멀 + 브란으로, 브란이 일반이면 턴이 끝날 때마다 멀록 8개, 브란이 황금이면 12개를 가져와서 다 가져올 수도 없다.[17] 텍스트: 도발[18] ex) '충동적인 마귀'의 죽음의 메아리, '허기진 우르줄'의 도발[19] 텍스트: +4/+4(+8/+8)[20] 텍스트: +1/+3(+2/+6)[21] 텍스트 : 공격력 증가[22] 텍스트 : 생명력 증가[23] 텍스트 : 생명력 +1(+2)[24] 텍스트: +2/+1(+4/+2)[25] 1-(10/13)^3[26] 텍스트: 다음 턴까지 황금하수인으로 만듦[27] 텍스트: 공격력 +3(+6)[28] 텍스트: +4/+4(+8/+8)[29] 주로 무쇠가죽 공포뿔이나 엄마 곰, 맥스나 등에게 아르거스의 수호자를 사용하거나, 19.2 패치 이전에는 정의로운 수호자를 넣기도 했다.[30] 불안정한 구울도 있긴 하지만 본인의 보호막까지 사라지기 때문에 엘리스트레이가 훨씬 좋다.[31] 해조디아 덱의 핵심은 뱃사람이 죽어가면서 계속 큰 하수인을 쳐서 버프를 돌리는 것인데, 뱃사람이 죽지 않으면 자리가 없어 나오질 못해 사이클이 돌아가지 않는다. 너프 후의 엘리스트레이의 공격력은 4라서 뱃사람의 버프가 2~3번만 들어가도 엘리스트레이를 때려도 뱃사람이 죽지 않게 되어버린다.[32] 남은 한 자리는 버프용 전함 하수인이나 대충 효율 좋은 하수인 아무거나.[33] 간단히 말해 개발진의 의도와 맞지 않았다는 것. 원래 도발 관련 하수인과 시너지를 내거나 변수를 창출하기 위한 기물이었는데, 정작 나오고 보니 도발덱은 그 자체가 거의 쓰이지 않았고 변수를 창출의 목적도 외려 잘 큰 덱에서 변수를 틀어막아버리는 용도로 사용되면서 그 의도가 무의미해져버린 것.[34] 텍스트: 공격력생명력이 15로 바뀜[35] 텍스트: +5/+5[36] 텍스트: 질풍[37] 텍스트: 천상의 보호막[38] 텍스트: 도발[39] 다만 황금 마녀일 경우에는 공격권을 1번 더 부여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40] 원작에서는 차와 양산이 테오타르와 연관성이 깊었는데, 등급전에는 미치광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부각시키고 싶었는지, 차와 양산 둘 다 없으며 웃통을 전부 깐 원작과는 달리 웃옷을 걸치고 있는점에서 많이 다른 편이다. 때문에 원작 고증을 신경쓰는 유저들은 이쪽 일러스트를 선호하는 편. 꼭 고증이 아니더라도 일러스트가 간지나게 뽑혀서 이쪽이 더 인기가 많다. 그리고 양산이 일러스트에 없는데 양산은 퀘스트 보상으로 구현되어서 등급전보다 이쪽이 고증에 더 맞다.[41] 보통 히드라, 전투 절단기 4000, 천상의 보호막을 달고 있는 종족 기물 하나가 베스트지만 종족 밴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해야 한다. 질풍, 천상의 보호막, 양 옆을 긁는 하수인 등 높은 교환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물이 하나 정도는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42] 텍스트: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