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4 18:06:23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우두머리 덱 종류 빌드(마나커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특별 시스템
다크문 축제 경품 전우 퀘스트/보상
변형물 장신구 태그 전장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1. 개요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가시소환사2.1.1.2. 깃발멧돼지2.1.1.3. 날카로운 피리꾼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가동된 비전골렘2.2.1.2. 반사로봇2.2.1.3. 안녕모듈2.2.1.4. 통통 튀는 스프리건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갈퀴흉터 공병2.3.1.2. 고대의 파수꾼2.3.1.3. 성원투사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못 말리는 절벽잠수부2.4.1.2. 베이스아가미2.4.1.3. 적응형 선조2.4.1.4. 지느러미떼 비술사2.4.1.5. 청소지느러미
2.4.2. 태그 전장 전용
2.4.2.1. 웅덩이 첨벙이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건반 점화연주가2.5.1.2. 떠 다니는 감시자2.5.1.3. 착한 아이 행세꾼
2.5.2. 악마/정령 하수인
2.5.2.1. 지옥정령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괴물 앵무2.6.1.2. 활기 넘치는 딱정벌레
2.6.2. 보조 하수인
2.6.2.1. 조류의 친구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네루비안 왕 아눕아락2.7.1.2. 미라 활성가2.7.1.3. 손 없는 포세이큰2.7.1.4. 송장 관리인
2.7.2. 보조 하수인
2.7.2.1. 변장한 도굴꾼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위풍당당한 소집자2.8.1.2. 타렉고사2.8.1.3. 호박색 수호자
2.8.2. 태그 전장 전용
2.8.2.1. 아빠미소 드랙티르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모래 빙빙이2.9.1.2. 야생불 정령2.9.1.3. 풍요로운 암반 정령
2.9.2. 정령/악마 하수인
2.9.2.1. 지옥정령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별빛 눈의 탐험가2.10.1.2.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2.10.1.3. 허드렛일 강골2.10.1.4. 황금 애호가
2.10.2. 태그 전장 전용
2.10.2.1. 바퀴 달린 선원2.10.2.2. 약탈 동료
2.11. 모두
2.11.1. 태그 전장 전용
2.11.1.1. 도약하는 잭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치명적인 포자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오크에스트라 지휘자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3단계 하수인들이다.

선술집에 배치된 3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13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가시멧돼지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
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가시소환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가시소환사, 일러명=가시소환사_bg10, 영문명=Thorncalle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가시멧돼지=,
효과=<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b>혈석</b>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b>혈석</b>을 2개 얻습니다.,
)]
소환: 놈들을 속박해라! (Knot them in the tracks!)
훌륭한 초중반 혈석 보충요원. 사자마자 혈석 하나를 지급하고, 이후로도 혈석 하나씩은 꾸준히 보충해주기 때문에 가치가 높다.
2.1.1.2. 깃발멧돼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깃발멧돼지, 일러명=깃발멧돼지_bg10, 영문명=Bannerboar,
공격력=1, 생명력=4, 공격력2=2,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양옆의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양옆의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소환: 여길 뒤흔들어 주겠어!(Tear this place apart!)

양옆의 하수인에게 혈석을 내는 기물. 튼튼엄니, 뾰족털 투사 같이 혈석을 받아야 시너지가 나는 효과도 그대로 발동한다.

가시멧돼지는 6단계 하수인인 차를가를 빠르게 확보했거나, 5단계 하수인인 봉고 난타꾼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한 안정적인 혈석 수급처가 없는데 이 카드가 혼자 매 턴 혈석 2장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훌륭한 중반 타이밍의 핵심 하수인이다. 다만 이 하수인 자체는 버프를 받지 못해서 양 옆의 두 전투요원 사이에서 부실한 스탯의 이 하수인이 전투 순서를 한 번 빼앗는 건 주의해야 한다. 혹은 페어 깃발멧돼지를 잡고 서로가 조금씩이나마 버프를 얻게 하는 것도 좋다.

일러스트와 대사는 대난투의 전사 전용 하수인인 집결하는 가시멧돼지을 재활용했다.
2.1.1.3. 날카로운 피리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날카로운 피리꾼, 일러명=날카로운 피리꾼_bg10, 영문명=Prickly Piper,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가시멧돼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b>혈석</b>이 추가로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b>혈석</b>이 추가로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소환: 누가 이렇게 만든거야? (Who did this?!)

한 번 죽을 때마다 혈석의 피해량이 증가한다. 초반에 이 녀석이 잘 떠서 황금으로 만들었다면 혈석을 상체충용 스테로이드로 만들기도 한다. 혈석 공격력 성장은 체력 성장에 비하면 중요도가 낮은 편이고, 죽음이 전제인 스텟상 전투력도 낮아서 그렇게 반드시 집고 필드에 유지해야만 하는 하수인은 아니지만 죽메 특성 상 계속 누적시킬 수 있으며, 공격력은 하수인 교환비를 높여 체력 보존에 매우 좋기 때문에 고단계가 필수적인데다 시동에 시간이 필요한 가멧 덱의 중간 다리로는 매우 쓸만하다.

막 추가되었을 때에는 4티어 6/3이라는 능력치였으나, 이후 패치로 4티어 5/2를 거쳐 지금의 스탯이 되었다.

2.2. 기계

기계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가동된 비전골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가동된 비전골렘, 일러명=가동된 비전골렘_bg10, 영문명=Arcanotron\, Activated,
공격력=4, 생명력=1, 공격력2=8, 생명력2=2, 기계=,
효과=<b>도발</b>\, 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아군 기계에게 +3/+2를 부여합니다.,
효과2=<b>도발</b>\, 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아군 기계에게 +6/+4를 부여합니다.,
)]
소환: 비전골렘. 가동. 완료. (Arcanotron, boot sequence complete.)
사망: 종료 중…. (Powering down….)
선술집 주문을 트리거로 버프를 주는, 날라나 충전 중인 황후의 하위호환격 기물이다. 그래도 자기 자신도 버프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거쳐가는 용도로 괜찮은 편이다.

이 카드의 효과는 선술집에 있어도 적용되기 때문에, 선술집에 있는 상태에서 선술집 주문을 쓸 경우 선술집에 존재하는 무작위 기계에게 버프를 부여한다. 따라서 상점에 이 카드와 합체 카드가 존재할 때 선술집의 이 카드의 효과로 합체 기물에 버프가 들어가는 것을 바라고 선술집 주문을 사용하는 플레잉도 제한적으로 가능하다.
2.2.1.2. 반사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반사로봇, 일러명=반사로봇_bg10, 영문명=Deflect-o-Bot,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전투 중에 내가 기계를 소환할 때마다 공격력 +2와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전투 중에 내가 기계를 소환할 때마다 공격력 +4와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
기계 덱의 전투 요원. 전투 중 기계 하나를 소환할 때마다 공격력을 얻기 때문에 만약 조공기계마가 터져서 2/2 로봇 2개가 나오면 공격력 +4와 천상의 보호막을 얻는다.

전장 초창기 기계 덱의 전투 요원인 코발트 수호자가 삭제된 뒤 그 자리를 대체한 하수인이다. 전장 초창기에는 천상의 보호막 뿐 아니라 낮지 않은 공격력을 올려준다는 이유로 반사로봇의 천보 리필만을 핵심으로 둔 덱이 존재했는데, 맨 앞에 반사로봇 둘을 올려놓은 뒤 토큰을 뱉는 기계 카드들을 최대한 많이 배치해서 반사로봇의 천보를 최대한 많이 리필하는, 혹은 리로이가 없던 시절에는 반사로봇에 도발을 붙인 뒤 토큰을 생성하는 기계를 계속 박치기해서 식으로 운용되었다. 지금도 초반에 체력 보존을 위한 빌드업으로는 이런 플레잉이 가능하지만, 반사로봇만을 믿고 플레이하는 방식은 전투 순서를 심하게 타는데다 현재 시점에서는 공격력 증가량도 그다지 높지 않아 무리가 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후반 포텐셜이 낮지 않은 기물인데, 공격력 증가는 별로 와닿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천상의 보호막을 자생할 수 있는 하수인은 사실상 반사로봇이 유일하다. 기계에 환생을 부여할 수 있게 된 이후로는 환생 도발 기계가 죽어서 최소한 1번의 천보는 리필할 수 있고, 필드에 환생 기계를 쫙 도배해놓았다면 여러 번 천보가 재생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반사로봇 페어에 둘 다 환생이 있다면, 광역 딜에 긁히는 게 아닌 이상 둘 중 하나는 무조건 천보 리필이 된다. 오랫동안 기계 덱의 중심을 지켜온 하수인.

일러스트의 색 배합, 포즈, 표창과 일본도, 무엇보다 굳이 이름이 '반사'로봇인 걸 보면 옆동네사이보그 닌자의 패러디인 듯하다. 그래서 골수 유저들 중에서는 겐지로봇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코볼트 수호자의 절반급 스탯, 이름도 마침 '반'사로봇이라 반발트로도 불린다. 기계 닌자 컨셉의 외형이지만, 음침한 분위기의 외눈박이 로봇이라 못생겼다고 까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버프명은 반사 보호막[1]이다.
2.2.1.3. 안녕모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안녕모듈, 일러명=안녕모듈_bg, 영문명=Annoy-o-Module,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기계=,
효과=<b>합체</b>\, <b>도발</b>\, <b>천상의 보호막</b>,
효과2=<b>합체</b>\, <b>도발</b>\, <b>천상의 보호막</b>,
)]
소환: 반가워! 반가워! 반가워!(Howdy! Howdy! Howdy!)
파괴: 반가~(Hoooowd...)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는 합체 하수인이다. 전장에서 천상의 보호막 + 도발 조합은 굉장히 상대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겨우 합체 한 번으로 천상의 보호막 + 도발이라는 알짜배기 보너스를 부여하는 안녕모듈은 굉장한 위력을 발휘한다.

무모한 리로이의 등장 이후 천보 도발의 가치가 약간 하락했으므로 예전처럼 무작정 주력 하수인에 천보 도발을 바를 경우 리스크가 있지만, 선술집 주문 '교활한 바지'을 활용하면 도발은 떼버리고 천상의 보호막만 붙일 수도 있게 되면서 더욱 가치가 올랐다.

30.2 패치에서 4단계에서 3단계로 변경되었다.

기계 하수인에 합체한 안녕모듈의 버프명은 안녕모듈[2]이다.
2.2.1.4. 통통 튀는 스프리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통통 튀는 스프리건, 일러명=통통 튀는 스프리건_bg10, 영문명=Springy Spriggan,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기계=,
효과=<b>합체</b>\, 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기계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합체</b>\, 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기계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소환: 행복한 생각, 실행 중! (Executing: Happy thoughts!)
평범하게 기계에 광역 버프를 주면서 갈 수 있는 하수인.

2.3. 나가

나가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3.1. 나가 하수인

2.3.1.1. 갈퀴흉터 공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갈퀴흉터 공병, 일러명=갈퀴흉터 공병_bg_32.2.2, 영문명=Coilskar Sapper,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나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b>주문제작</b> 주문을 2개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b>주문제작</b> 주문을 4개 얻습니다.,
)]
소환: 쪽쪽 빨아먹어주마! (What dreams are made of?)
주문제작 중에는 1골드, 선술집 주문 강화 등의 유틸 주문이 많아 대충 집어도 좋으며, 4성 나가 '지친 마법사'로 환생을 발라주거나 리븐데어와 연계하면 4장, 8장씩 가져와 상당히 많은 이득을 준다. 이렇게 가져온 주문들로 허세 라이더나 대지파괴자를 손쉽게 강화할 수 있다. 지친 마법사가 없어도 자신의 효과로 환생을 들고 올 수도 있어 굿 스터프로 좋다.
2.3.1.2. 고대의 파수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고대의 파수꾼, 일러명=고대의 파수꾼_bg10, 영문명=Warden of Old,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나가=,
효과=<b>주문제작:</b> 1골드를 얻습니다.,
효과2=<b>주문제작:</b> 2골드를 얻습니다.,
)]
소환: 놈들의 최후가 보인다.(I see their end.)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감시자의 보물, 일러명=Warden's Treasure-bg(temp), 영문명=Warden's Treasure,
효과=1골드를 얻습니다.,
효과2=2골드를 얻습니다.,
)]
스텟은 심하게 부실하지만 필드에 얻는 한 매 턴마다 1골드를 얻을 수 있다. 상점이 꼬였거나 패스트 레벨 업을 했을 때의 리스크를 줄여주는 좋은 하수인이다. 일반적인 레벨 업 빌드에선 부실한 스탯에 1골드 이득만 느리게 주는 기물이 되기 십상이므로 주로 패스트 레벨 업을 노릴 때 각광받는 하수인이다. 주문 시너지를 받으면서 골드도 얻을 수 있는 무난한 하수인.

19.2 패치로 추가되었다. 최초의 효과는 "죽음의 메아리: 황금 동전을 얻습니다."였다.
21.2 패치로 삭제되었다.
23.2 핫픽스 패치로 다시 복귀되었고, 나가 종족값이 추가되었다.
26.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2 패치에서 복귀하면서 효과가 변경되었다.
2.3.1.3. 성원투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성원투사, 일러명=성원투사_bg10, 영문명=The Glad-iato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나가=,
효과=<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공격력을 +1 얻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공격력을 +2 얻습니다.,
)]
소환: 내 팬들을 위해 싸운다. (I fight for the fans.)

주문을 사용할 때마다 영구적인 공격력 버프를 얻는 하수인. 천보가 달린 대신 생명력 버프를 받지는 않는다. 어떻게든 체력 버프를 따로 준다면 강력하겠지만, 그럴 가치가 크지 않다. 오히려 선술집 주문을 쓰면 천보에게 버프를 주는 '충전 중인 황후'를 사용하는 기계 덱에 들어갔을 때 시너지가 더 큰 편이다.

원문은 Gladiator(검투사) + Glad(기쁨)으로 말장난을 했으나 번역은 살리기 힘들었는지 따로따로 번역했다.

시즌 7이 시작되며 스텟이 1/1에서 3/3으로 상향되어 조금 더 안정적으로 변했다.

시즌 8에서는 상점의 선술집 주문을 커서로 들었다 놓으면 상점의 성원투사가 버프를 받는 해괴한 버그가 생겨 일시적으로 금지되는 사달이 있었다.

2.4. 멀록

멀록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4.1. 멀록 하수인

2.4.1.1. 못 말리는 절벽잠수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못 말리는 절벽잠수부, 일러명=못 말리는 절벽잠수부_bg10, 영문명=Reckless Cliffdiver,
공격력=4, 생명력=1, 공격력2=8, 생명력2=2, 멀록=,
효과=<b>환생</b>. 이번 게임에서 내가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킬 때마다 공격력을 +1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환생</b>\, 이번 게임에서 내가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킬 때마다 공격력을 +2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이번 게임에서 전투의 함성을 발동한 수만큼의 공격력을 얻는 환생 하수인으로, 전투의 함성을 꾸준히 발동시키면서 왔다면 중반에도 10 내외, 브란을 필두로 사이클을 열심히 돌렸다면 거의 100에 달하는 공격력을 가진 죽창이 된다. 높은 공격력으로 교환비를 높게 가져가는 용도가 좋고, 멀록이 은근 얻기 어려운 환생을 이른 타이밍에 필드에 내려놓아 보너스 키워드의 수에 따른 보너스를 받기도 좋다.
2.4.1.2. 베이스아가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베이스아가미, 일러명=베이스아가미_bg10, 영문명=Bassgill,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멀록=,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에서만 내 손에 있는 생명력이 가장 높은 멀록을 소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에서만 내 손에 있는 생명력이 가장 높은 멀록을 둘 소환합니다.,
)]
4단계인 도미 계산원과 6단계의 아옳옳 중창단의 연계를 노리고 나온 하수인. 핸드 버프를 받은 멀록을 가장 안정적으로 필드에 올려놓을 수 있다. 멀록이라 오페라 열창멀록으로 독소를 발라 줄 수도 있다.

소위 '독날먹'이라고 불리는 독소 위주의 덱에서도 매우 유용한데, 오페라 열창멀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아가미가 필요하다. 열창멀록 + 베이스아가미를 필드에 올려놓고 패에 열창멀록을 1장 더 쥐면 안정적으로 독소를 3번 발동시킬 수 있다. 독날먹의 최종 빌드는 열창멀록 + 황금 베이스아가미에다가 패에 열창멀록 + 아무 멀록으로, 필드 2자리로 4번의 독소를 발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아가미로 손패에 있는 하수인을 소환할 경우 손패에서 소환된 하수인에게 푸른 사슬이 걸리게되어 중복 소환을 할수가 없다. 당연하다면 당연한거지만 이는 베이스아가미가 손에 있고 베이스아가미가 필드에 있어 무한 루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3]
2.4.1.3. 적응형 선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적응형 선조, 일러명=적응형 선조_bg, 영문명=Adaptive Ancesto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멀록=,
효과=<b>선택 - </b>공격력 +3과 <b>천상의 보호막</b>\, 또는 생명력 +3과 독소를 얻습니다.,
효과2=<b>선택 - </b>공격력 +6과 <b>천상의 보호막</b>\, 또는 생명력 +6과 독소를 얻습니다.,
)]
치명적인 포자와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독소를 확보 가능한 범용 하수인. 멀록 덱을 갈 것이라면 천보를 선택하여 천보 전투 요원으로서 키우는 것도 가능하다.
2.4.1.4. 지느러미떼 비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지느러미떼 비술사, 일러명=지느러미떼 비술사_bg_32.2.2, 영문명=Shoalfin Mystic,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2/+2를 부여합니다.,
)]
2.4.1.5. 청소지느러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청소지느러미, 일러명=청소지느러미_bg10, 영문명=Scourfin,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멀록=,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손에 있는 무작위 하수인에게 +5/+5를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손에 있는 무작위 하수인에게 +10/+10을 부여합니다.,
)]
손패 강화 하수인으로, 죽메로 무려 +5/+5라는 호화스러운 버프를 제공한다.

단점은 정말 애매한 스텟으로, 생명력이 3이나 되어 안 죽는 일이 잦아서 작정하고 굴리려면 도발을 걸어주는 것이 현명하다. 두 번째 단점으로는 초반에는 하수인을 안내고 가지고 있는 것 만으로도 손해라는 것. 물론 다음 턴에 바로 내면 손실을 매꿀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 후반부에도 계속 갈 하수인을 정하지 못해 돌려막기 식으로 버티다가 죽게된다. 그렇기에 초반에는 적당히 아무 하수인에게 버프를 걸다가 중반부부터는 계속 갈 하수인을 쭉 키우는 것이 좋다. 그렇기에 가장 추천되는 하수인은 합체가 가능한 기계 하수인들.

2.4.2. 태그 전장 전용

2.4.2.1. 웅덩이 첨벙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웅덩이 첨벙이, 일러명=웅덩이 첨벙이_bg10, 영문명=Puddle Pranc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멀록=,
효과=이 하수인이 <b>전달</b>된 후에\, +4/+4를 얻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이 <b>전달</b>된 후에\, +8/+8을 얻습니다.,
)]

전달할 경우 스텟을 추가로 얻는 멀록. 전달 시 스텟을 얻는 횟수에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파트너와의 합의 하에 서로 전달을 반복해 맨땅에서 급하게 스텟을 확보해야 할 때 좋은 편이며, 특히 초를 집은 상태라면 아주 간단하게 초중반 필드를 보강할 수 있다.

2.5. 악마

악마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5.1. 악마 하수인

2.5.1.1. 건반 점화연주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건반 점화연주가, 일러명=건반 점화연주가_bg10, 영문명=Keyboard Ignit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악마=,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악마들에게 +2/+2를 부여하고 내 영웅에게 피해를 2 줍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악마들에게 +2/+2를 부여하고 내 영웅에게 피해를 2 줍니다. 2번 발동합니다.,
)]
소환: 이 녀석들, 그만 해! (Guys, quit it!)

자해 악마를 지원하는 하수인.

2티어의 영혼 역행자와의 조합은 좋은 것을 넘어 필수인데, 영혼 역행자는 자해 피해를 안 받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를 입은 만큼 회복하는 메커니즘이기에 피해를 입지 않은 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다만 악마가 하나도 없어도 내 영웅에게 피해를 2 주므로, 역행자 없이 무작위 생성으로 들어온다면 페널티만 있는 카드가 된다.
2.5.1.2. 떠 다니는 감시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떠 다니는 감시자, 일러명=떠 다니는 감시자_bg10, 영문명=Floating Watch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악마=,
효과=내 턴에 내 영웅이 피해를 받을 때마다 +2/+2를 얻습니다.,
효과2=내 턴에 내 영웅이 피해를 받을 때마다 +4/+4를 얻습니다.,
)]
소환: 나는 모든 걸 본다.(I see everything.)
효과 발동: 좋아!(YES!)
성장형 악마 하수인이다. 떠감, 또는 효과 발동 대사 때문에 쪼아맨이라 불린다. 자해 피해를 입을 때마다 버프를 받기 때문에 분노의 명인을 필두로 한 하수인과 궁합이 매우 좋다. 특히 분노의 명인이 필드에 깔려 있을 때 떠 다니는 감시자를 내면 분노의 명인을 키우는 동시에 자해 피해를 입고, 떠 다니는 감시자를 바로 6/6 스탯으로 소환할 수 있어서 어마어마한 효율을 자랑한다. 우두머리로 리치 바즈하이알을 골랐을 경우 영웅 능력으로 쉽게 성장시킬 수 있어서 좋은 편이다.

2019년 12월 6일 패치로 전장에 추가된 굉장히 오래된 기물로, 3단계 하수인치고 기본 스탯도 좋은 편이며 악마 종족값도 있고 성장 상승폭도 높기 때문에 명인 감시자 덱을 0티어로 올려놓았다. OP성에 기인한 오랜 독재 탓에 게임이 후반에 가면 오히려 체력이 낮은 플레이어가 트럭을 몰고 마지막 1대 1 싸움을 할 땐 둘 다 체력이 1인 경우도 흔하게 나왔으며, 이 때문에 2020년 2월 14일 패치로 3성에서 4성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명인 감시자 덱은 긴 독재 끝에 멸종하게 되었고, 이 카드는 오랜 세월 잊혔다가 한참 뒤에야 다시 복귀할 수 있었다.

원래 전장 극초기에 피해 면역 담당이던 말가니스는 '내 영웅이 면역 상태가 되는 것'이라 후반부에 명인은 성장할 수 있어도 이 카드는 최후반까지 가면 성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패치 이후 영혼 역행자를 필두로 '체력을 잃은 뒤 그 피해를 되돌린다'의 메커니즘으로 변경되면서 면역 계열 하수인을 구비해도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버프명은 이맛살 찌푸리기[4]이다.
2.5.1.3. 착한 아이 행세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착한 아이 행세꾼, 일러명=착한 아이 행세꾼_bg10, 영문명=False Implicator,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악마=,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소환 : 내가 한 거 아니야! 진짜라고! (I didn't do it! I swear!)

내 턴이 끝날 때마다 까다로운 포식자의 전함을 시전한다. 자체 스펙은 낮지만 성장성이 매우 뛰어난 편. 다만 상점을 넉넉하게 버프하지 못 했다면 지나치게 저열한 성장성으로 그대로 썩어버리니 이른 타이밍에는 지옥정령과 풍요의 지팡이 등으로 상점을 조금씩 버프하면서 빌드업을 해주는 게 좋다.

먹는 타이밍이 6성 하수인인 굶주린 지옥박쥐와 겹치기 때문에 막상 지옥박쥐와의 상성은 별로인 편이며, 후반부에는 최대한 많은 하수인을 먹이는 것이 중요한 악마 덱 특성 상 턴이 종료될 때 1장씩 먹는 것으로는 소소한 보너스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후반에는 자리를 내주게 된다.

버프명은 '말 뒤집기'[5]

2.5.2. 악마/정령 하수인

2.5.2.1. 지옥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이중종족=,
한글명=지옥정령, 일러명=지옥정령_bg10, 영문명=Felemental,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악마=, 정령2=,
효과=<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정령/악마 이중 종족 하수인이으로, 정령과 악마의 시너지인 상점 하수인 버프 효과를 가진 하수인이다. 필드를 차지할 필요가 없고 종족을 가리지도 않으며 영구히 누적된다.

악마의 관점에서 보면 별로다. 죽음의 메아리로 최소 1/1씩 상점 버프가 가능한 4성 하수인 '어둠춤꾼'에 비해 큰 메리트가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원문은 지옥(Fel) + 정령(Elemental)의 말장난.

버프명은 지옥의 원소[6]이다.

2.6. 야수

야수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6.1. 야수 하수인

2.6.1.1. 괴물 앵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괴물 앵무, 일러명=괴물 앵무_bg10, 영문명=Monstrous Macaw,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야수=,
효과=이 하수인이 공격한 후에\, 가장 왼쪽에 있는 내 하수인의 <b>죽음의 메아리</b> 능력을 발동시킵니다. (<i>이 하수인의 능력 제외</i>),
효과2=이 하수인이 공격한 후에\, 가장 왼쪽에 있는 내 하수인의 <b>죽음의 메아리</b> 능력을 2번 발동시킵니다. (<i>이 하수인의 능력 제외</i>),
)]
상대의 선공에 이 카드나 죽메 카드가 먼저 잘리지 않는 한 자신의 죽메 카드의 사본 1장, 황금 시엔 2장으로 기능한다. 심지어 가장 왼쪽의 죽메만 발동시키므로 죽메가 여러 개여도 원하는 죽메를 발동시키는 게 가능. 대전의 다른 죽메 발동 효과와 마찬가지로 남작 리븐데어가 있을 경우 2번/3번씩 발동한다. 황금 앵무에 황금 리븐데어가 있으면 두 효과가 중첩되어 2번 x 3번 발동하여 총 6번 발동한다.

죽메 야수 덱의 핵심 카드로, 여러 가지 조합이 있지만 가장 좋은 궁합을 보이는 것은 골드린과의 조합이다. 특히 일리단 스톰레이지의 경우 무조건 앵무를 먼저 공격하게 할수 있어서 시너지가 굉장히 좋다. 그러나 선공을 뺏기면 버프를 돌리지 못한 채 맞아야 하기에 도발이나 선공 의존도가 매우 크다.

야수 덱 말고, 버프형 죽메 하수인을 기용하는 타 덱에서도 요긴하게 쓰던 적도 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그렇게까지 할 이유가 사라져서 그렇게 쓰진 않은 편.

첫 등장했을 때는 스텟이 3/2였지만 2성이었다. 이때의 괴물 앵무는 당시 5성이었던 골드린과의 궁합이 워낙 강력했던것 때문에 밸런스 패치로 골드린은 6성으로, 앵무는 3성이 되었다. 그 후, 여러 번의 밸런스 패치로 스탯이 계속 변경되다가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21.2 패치에서 나온 2성의 폴짝 개구리의 죽메를 이 효과로 발동시키면, 괴물 앵무 자신이 그 전투에서 죽지 않았을 경우 버프가 자기 자신에게도 들어갈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마지막에 괴물 앵무가 혼자 남으면 그 동안 폴짝 개구리의 버프가 엄청나게 많이 쌓이게 되고, 자신의 효과로 자신에게 쌓인 죽메를 터트려서 버프를 무지막지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여, 독성이 아닌 전투로는 절대로 이길 수 없을 정도의 버프를 받아 야수 덱이 게임을 터트리는 원인이 되었다. 결국 21.3 패치에서 "다른" 아군 하수인의 죽음의 메아리 효과를 발동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9.2 패치에서 가장 왼쪽의 하수인의 죽음의 메아리를 발동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7]
30.2 패치에서 폴짝 개구리가 복귀함에 따라 자신의 죽음의 메아리는 발동시키지 않게 변경되었다.

음성은 불운의 알바트로스 토큰과 같다.
2.6.1.2. 활기 넘치는 딱정벌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활기 넘치는 딱정벌레, 일러명=활기 넘치는 딱정벌레_bg10, 영문명=Sprightly Scarab,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야수=,
효과=<b>선택 - </b>야수에게 +1/+1과 <b>환생</b>을 부여합니다. 또는 공격력을 +8 부여합니다.,
효과2=<b>선택 - </b>야수에게 +2/+2와 <b>환생</b>을 부여합니다. 또는 공격력을 +16 부여합니다.,
)]
야수 전용의 환생 부여 요원. 야수에게 환생이란 좋은 죽메를 2번씩 발동시키는 데에도, 죽으면 안 되는 하수인을 살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공격력 +8도 중반 타이밍에 급하게 필드를 강화해야 할 때, 특히 히드라를 급하게 써야 할 때면 가끔 쓰긴 한다.

2.6.2. 보조 하수인

2.6.2.1. 조류의 친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조류의 친구, 일러명=조류의_친구, 영문명=Bird Buddy,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효과=<b>복수 (1):</b> 내 야수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b>복수 (1):</b> 내 야수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몸은 작아도 식욕은 왕성해.(Little ones with big appetites.)

토큰 야수 덱의 중반 핵심 카드. 마나호랑이, 윙윙거리는 해충 같이 토큰을 잔뜩 까는 야수들과의 궁합이 매우 좋아서 야수 덱의 핵심 기물을 찾기 전까지 버티는 용도로 활용하기 좋다. 죽어야 하는 하수인에게는 제약이 없으니 야수들을 후열에 몰고 앞에는 언데드같이 자잘한 토큰들을 몰아놓고 야수의 스탯을 키우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6성 하수인 '비단결 아른나방'과의 시너지가 매우 훌륭하여, 아른나방과 조친이 같이 있다면 복수 (1)로 딱정벌레가 이번 게임에서 +2/+2씩 크는 미친 가성비를 보여준다.

26.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6 패치에서 복귀하였다.

버프명은 포만감[8]이다.

2.7. 언데드

언데드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네루비안 왕 아눕아락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네루비안 왕 아눕아락, 일러명=네루비안 왕 아눕아락_bg_32.2.2, 영문명=Anub'arak\, Nerubian King,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
소환: 나는 최초의 지하군주다. (I am the first crypt lord!)
죽음의 메아리로 이번 게임 내내 모든 언데드에게 공격력을 부여하는 기물. 효과는 소소해보이지만 일단 필드에 남겨두면 죽을 때마다 소소한 버프를 받을 수 있고, 미라 활성가나 리븐데어와 연계해 죽음의 메아리를 여러 번 터뜨리면 버프가 계속 누적된다. 손 없는 포세이큰, 영원의 소환사처럼 개체 수를 늘리는 하수인과 연계하면 효율이 더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토큰 형식의 언데드 덱을 운용할 수 있다.

버프명은 언데드 군대[9]이다.
2.7.1.2. 미라 활성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미라 활성가, 일러명=미라 활성가_bg10, 영문명=Mummifier,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다른 아군 언데드에게 <b>환생</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다른 아군 언데드 둘에게 <b>환생</b>을 부여합니다.,
)]
시즌 6 들어 언데드가 상점 단계에서 죽메를 발동할 수 있게 변경되면서 나온 기존의 영혼 분리자를 대체하는 하수인. 전장에서의 효과도 유용하지만 도굴꾼, 켈투자드, 도살 등 선술집에서 죽메를 발동시키는게 가능한 카드와 조합할 경우 환생이 없는 하수인에게 환생을 영구적으로 부여해준다. 자체적으론 환생이 없지만 환생 하수인을 뽑아내는 손 없는 포세이큰 등에게 환생이 발릴 경우 징글징글한 언데드쇼를 보여주기도 한다.

하스스톤에서 "다른"이라는 키워드가 으레 그렇듯 미라 활성가가 둘 있을 경우 미라 활성가의 죽메로 인한 환생은 다른 미라 활성가에게 부여되지 않는다.
2.7.1.3. 손 없는 포세이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손 없는 포세이큰, 일러명=손 없는 포세이큰_bg, 영문명=Handless Forsaken,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b>환생</b> 능력이 있는 2/1 손을 소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b>환생</b> 능력이 있는 2/1 손을 둘 소환합니다.,
)]
소환: 다 내 손에 달렸어! (I got it second-hand!)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도움의 손길, 일러명=도움의 손길_bg, 영문명=Helping Hand,
공격력= , 생명력= , 공격력2= , 생명력2= ,언데드=,
효과=<b>환생</b>,
효과2=<b>환생</b>,
)]

25.2 패치로 추가되었다.

실질적으로 3개 하수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하수인. 각각의 스텟은 낮지만 복수 카운트를 비롯한 개체 수 채우기에 매우 유용하다. 비슷한 롤의 무해한 해골바가지와 달리 계속 1자리만 차지하므로 자리 부족에 시달릴 일이 적다는 게 장점. 게다가 토큰이 환생이지 본인은 환생이 아니므로 리치 왕이나 미라 활성가 등으로 환생을 걸어 극한의 효율을 뽑아낼 수 있으며, 해골바가지와 달리 토큰이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환생이 날아갈 위험도 덜하다.

아눕아락 등으로 언데드들의 기본 공격력이 대폭 상승한 후반 언데드 덱에서 영원의 소환사를 대신하는 주력 기물로 사용되는데, 후반 언데드 덱은 각 하수인의 부실한 체력을 압도적인 물량과 높은 공격력으로 메꾸기 때문. 이 카드의 토큰은 환생이 있어 사실상 이것 하나가 3기나 다름없고 리븐데어와 연계하면 못해도 4기, 황금 리븐데어라면 6기씩 깔 수 있는데, 본체에 환생이 없어 미라 활성가로 환생을 걸고 리븐데어와 연계하면 토큰 8기 이상, 최대 12기를 까는 것도 가능해 많아도 5기까지만 깔 수 있는 영원의 소환사보다 토큰을 훨씬 많이 깔 수 있다. 이와 달리 영원의 소환사는 황금 리븐데어 기준으로도 본체 포함 7기가 최대이기 때문에 각 개체의 스펙보단 개체수가 더 중요한 후반 언데드 덱 입장에선 포세이큰 쪽의 효율이 더 높다.
2.7.1.4. 송장 관리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송장 관리인, 일러명=송장 관리인_bg10, 영문명=Cadaver Caretake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1/1 해골을 셋 소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1/1 해골을 여섯 소환합니다.,
)]
소환: 사랑은 따끔하지! (A little prick of love!)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해골, 일러명=해골_bg10, 영문명=Skeleton,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언데드=,
효과=-,
효과2=-,
)]

30.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죽음의 메아리로 해골을 셋 소환하지만 해골의 능력치가 1/1이라 공격력을 올려두지 않았다면 필드 싸움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공 버프용 토큰으로 쓰자니 이론 상 공버프를 5 ~ 10배로 받긴 하지만 실상 토큰 때문에 3자리, 환생까지 발랐다면 무려 4자리를 차지하며 리븐데어와 연계하면 확정적으로 환생이 씹힌다. 어찌되었건 99% 자리가 모자라서 토큰을 못 뱉기에 일반적으로는 다른 토큰 하수인만 못하다.

따라서 이 카드는 미궁 분쇄자처럼 '내가 하수인을 소환하지 못 했을 때' 발동하는 시너지를 빠르고 확정적으로 발동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도로 쓰이며, 3단계 하수인인 변장한 도굴꾼으로 이 하수인을 처치하고 황금작을 해서 상위 단계 발견을 하는 것 또한 좋다.

2.7.2. 보조 하수인

2.7.2.1. 변장한 도굴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변장한 도굴꾼, 일러명=변장한_도굴꾼, 영문명=Disguised Graverobb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효과=<b>전투의 함성:</b> 아군 언데드를 처치하고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강화 효과가 없는 일반 하수인으로),
효과2=<b>전투의 함성:</b> 아군 언데드를 처치하고 내 손으로 2장 가져옵니다. (강화 효과가 없는 일반 하수인으로),
)]
소환: 반짝이! 나 좋아해! (Shiny! Me like.)

원래는 내 언데드를 처치하고 3골드를 얻는, 사실상 1회성으로 처치 효과만 활용하는 기물이었으나 처치 후 패로 회수하는 효과로 변경되면서 활용도가 크게 늘었다. 영구적인 죽음의 메아리 효과 획득 같은 기존 방식 뿐 아니라 환생이 붙은 언데드 기물을 내 상점 턴 내에 필드 낭비 없이 증식 시킬 수 있기에 황금 카드작을 하기도 쉽다. 특히 바로 위의 '송장 관리인'과의 연계로 빠른 황금 발견을 볼 수 있다.

언데드가 아닌 중립 기물인 점은 주의. 대사나 일러스트를 보면 언데드로 변장한 코볼트라 종족값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8. 용족

용족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8.1. 용족 하수인

2.8.1.1. 위풍당당한 소집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위풍당당한 소집자, 일러명=위풍당당한 소집자_bg10, 영문명=Roaring Rallier,
공격력=2, 생명력=6, 공격력2=4, 생명력2=12, 용족=,
효과=아군 용족이 공격할 때마다 그 용족에게 +3/+1을 부여합니다.,
효과2=아군 용족이 공격할 때마다 그 용족에게 +6/+2을 부여합니다.,
)]
3/1 버프는 강력하지만 일시 버프이므로 타렉고사나 영속적인 시인을 통해 버프를 고정시켜야 한다. 영구 고정을 제해도 초반 치고는 나쁘지 않은 버프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유용한 편이지만, 버프를 받기 위해서는 공격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버프가 불안정해서 후반에는 결국 빠진다.
2.8.1.2. 타렉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타렉고사, 일러명=타렉고사_bg10, 영문명=Tarecgosa,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용족=,
효과=이 하수인은 전투 중에 얻은 내 강화 효과를 영구히 얻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은 전투 중에 얻은 내 강화 효과를 영구히 2배로 얻습니다.,
)]
소환: 제 용의 분노는 당신 것입니다.(My dragonwrath is yours.)
전장에서는 전투 중에 얻은 강화 효과는 '영구히' 라는 말이 없으면 전투 종료 시 초기화되는데, 이 하수인은 그 효과들을 영구히 가져간다. 기본적으로 영구히 버프가 적용되는 경우는 다른 하수인과 차이가 없다. '전투 중에'가 아니라 일단 고용 단계에서 적용되고 '다음 전투 동안' 유지되는 효과(리치 왕의 영웅 능력, 여러 주문 제작 효과 등)는 영구히 얻을 수 없다.

자체적으로는 애매하지만 영구적으로 타렉고사 + 고취비룡 조합, 일명 '타렉고취' 조합으로 용족 덱을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고취비룡은 모든 아군 용족에게 일시적으로 +3/+3을 부여하는데, 타렉고사는 그 버프를 영구적으로 받아서 손쉽게 강력한 스탯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키운 타렉고사를 바탕으로 천보를 바르는 것이 핵심이다. 보통 매 턴 +6/+6 정도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고, 그 외에도 기선 제압 버프를 가진 다른 용족 기물 중 호박색 수호자를 추가하면 천보가 영구 고정된다. 또한 장신구, 변형물 등에 의해 기선 제압으로 황금으로 만드는 등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영구적으로 황금이 된다.

하지만 자체적으로는 3코스트 5/5라는 나사 빠진 하수인일 뿐이라 영구 버프를 집을 거라는 근자감으로 초반에 집기는 좀 까다로운 편. 때문에 타렉 고취 덱도 최근에는 타렉고사보다 고취비룡과 영속적인 시인의 의존도가 더욱 높다.

황금 하수인일 때 2배로 버프를 얻는 효과는 게임상에서는 같은 버프를 1회 더 얻는 것으로 적용된다.

21.8 패치 이전엔 만약 타렉고사의 스텟이 지나치게 올라가 오버플로우가 일어나면 생명력이 0으로 인식되어 다음 고용 단계에 그 타렉고사는 파괴되었다. 패치를 통해 스탯 한계치까지 올라가면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 식으로 바뀌었다.

24.6 패치에서 그냥 강화 효과가 아닌 강화 효과만 받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때문에 취조관 화이트메인, 우위, 변이하는 가시덤불 마녀 같이 상대가 거는 디메리트는 영구히 적용되지 않는다.

버프명 및 텍스트는 전투 도중 받은 해당 버프의 것을 그대로 따라가며, 전투 종료 후 초상화만 타렉고사로 변경된다. 단, 전투 중에 혈석을 부여하는 효과는 혈석으로 취급된다.
2.8.1.3. 호박색 수호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호박색 수호자, 일러명=호박색 수호자_bg10, 영문명=Amber Guardian,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용족=,
효과=<b>기선 제압:</b> 다른 아군 용족에게 +2/+2와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다른 아군 용족 둘에게 +2/+2와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버프는 천상의 보호막이 없는 용족에게 우선적으로 들어간다.

기선 제압으로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는 우수한 버프 요원. 이 하수인 둘만 있으면 14/14 천상의 보호막 하수인 두 개가 되고, 타렉고사와 함께 쓰면 타렉고사가 영구 천상의 보호막을 얻는다. 칼렉 덱에서도 계속 키우다보면 다른 용족에게 천보도 부여해주므로 쓸만한 편이다.

버프명은 호박색 수호를 받음[10]이다.

2.8.2. 태그 전장 전용

2.8.2.1. 아빠미소 드랙티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아빠미소 드랙티르, 일러명=아빠미소 드랙티르_bg10, 영문명=Doting Dracthy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용족=,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소환: 당신의 날개를 감싸는 순풍이랍니다.(I am the wind beneath your wings.)[11]

무난하게 집을만한 중반 전투력 보강 요원. 무난해서 후반엔 쓸모가 없다.

2.9. 정령

정령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9.1. 정령 하수인

2.9.1.1. 모래 빙빙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모래 빙빙이, 일러명=모래 빙빙이_bg10, 영문명=Sand Swirle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정령=,
효과=<b>전투의 함성:</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
2.9.1.2. 야생불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야생불 정령, 일러명=야생불 정령_bg10, 영문명=Wildfire Elemental,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정령=,
효과=이 하수인이 공격하여 다른 하수인을 처치한 후에\, 초과한 피해량만큼 양옆에 있는 하수인 중 하나에게 피해를 줍니다.,
효과2=이 하수인이 공격하여 다른 하수인을 처치한 후에\, 초과한 피해량만큼 양옆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피해를 줍니다.,
)]
능력으로 인해 초과 피해가 들어간 것으로는 피해가 전이되지 않는다. 하수인을 죽이지 못했거나, 천보에 공격이 흡수되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고, 하수인을 죽였더라도 얼마나 초과 피해가 발생했는가에 따라 추가 피해량도 달라진다.

작정하고 정령 덱을 팠을 경우 능력치 올리기가 다른 종족 광역 공격 하수인들보다 쉽기 때문에, 공격력 100이 넘는 황금 야생불 정령을 키워서 상대를 골로 보내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기본 공격력 또한 히드라와 전투절단기보다 높아서 노미나 라그로 능력치를 펌핑하는 정령 덱에 한해서는 어택커로서 큰 활약이 가능하며, 독성으로 날먹을 노리는 저열한 스텟의 덱을 상대로 유리하다. 특히 죽메로 옆의 전함을 시전하는 메탈헤드를 상대로는 메탈헤드 째로 전함을 날려버리면 죽메가 무효화되는 하드 카운터 중 하나.
2.9.1.3. 풍요로운 암반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풍요로운 암반 정령, 일러명=풍요로운 암반 정령_bg10, 영문명=Bountiful Bedrock,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정령=,
효과=두 턴이 끝날 때마다\, 무작위 정령을 얻습니다. <i>(2턴 남음!)</i>,
효과2=두 턴이 끝날 때마다\, 무작위 정령을 둘 얻습니다. <i>(2턴 남음!)</i>,
)]
소환: 안아드려요! (Free hugs.)

두 턴마다 정령을 수급하는 하수인. 정령은 내는 것만으로 이득을 보는 하수인들이 많아 꾸준히 정령을 수급해 빌드업을 할 수 있는 점은 좋다. 무엇보다 정령 덱에서 정령을 지속적으로 수급할 수단이라곤 이걸 거르면 6성인 온화한 신령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황금으로 만들어 극후반까지 끌고 가기에도 매우 좋다. 정령에는 턴 종료 시 효과가 많기 때문에 드라카리와의 시너지 또한 매우 우수하다.

2단계 하수인이었을 당시에는 31.2.0 패치에서 추가된, 판매하면 광역 버프를 주고 스스로의 버프를 개선하는 2단계 정령 눈덩이 투수, 화염구 투수가 존재했기 때문에 암반정령을 메인 엔진으로 하는 정령 2렙롤 빌드가 있었다.무난하게 +30 넘긴 2렙정령 예시 때문에 저레벨 리롤 덱의 존재를 용납하지 않는 전장 특성 상 31.2.2 패치에서 3성으로 하향되었다.

30.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30.2.2 패치에서 3단계에서 2단계로, 기본 능력치가 '4/3'에서 '2/2'로 변경되었다.
31.2.2 패치에서 2단계에서 3단계로, 기본 능력치가 '2/2'에서 '3/4'로 변경되었다.

2.9.2. 정령/악마 하수인

2.9.2.1. 지옥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이중종족=,
한글명=지옥정령, 일러명=지옥정령_bg10, 영문명=Felemental,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악마=, 정령2=,
효과=<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정령/악마 이중 종족 하수인이으로, 정령과 악마의 시너지인 상점 하수인 버프 효과를 가진 하수인이다. 필드를 차지할 필요가 없고 종족을 가리지도 않으며 영구히 누적된다.

정령의 관점에서 보면 정령은 일괄적인 상점 버프를 크게 이용할 수단은 없지만, '능력치를 부여하는 정령'을 강화하는 수단이 많기 때문에 버프 강화 정령을 가다가 이 카드가 무작위로 생성되는 족족 써 주면 상점이 알아서 성장해서 일반 하수인들도 30 ~ 40대의 스텟을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무모한 리로이 같은 유틸 기물도 강화된 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터를 생각할 필요가 적은 편이다.

원문은 지옥(Fel) + 정령(Elemental)의 말장난.

버프명은 지옥의 원소[12]이다.

2.10. 해적

해적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10.1. 해적 하수인

2.10.1.1. 별빛 눈의 탐험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별빛 눈의 탐험가, 일러명=별빛 눈의 탐험가_bg_32.2.2, 영문명=Starry-eyed Explorer,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해적=,
효과=두 턴이 시작될 때마다 옆에 있는 2단계 하수인을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i>(2턴 남음!)</i>,
효과2=두 턴이 시작될 때마다 양옆에 있는 2단계 하수인을 황금 하수인으로 만듭니다. <i>(2턴 남음!)</i>,
)]
소환: 이쪽이 서쪽 맞겠지? (Surely this way is west.)

두 턴마다 2단계 하수인을 황금으로 만들어주는데, 해적 중에서는 초반에 낮지 않은 버프를 주는 실바르가 주력이며, 혹은 선상 도박꾼을 황금으로 만들어 6골드로 되파는 플레잉도 강력하다. 같은 방식으로 판다네 정령을 황금으로 만들면 페어를 풀기도 편해지며, 침착한 정찰병 또한 괜찮은 편이다. 정 없으면 옳챙이라도 황금으로 만들면 랜덤 멀록 2장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는 금속 사냥꾼, 불태우는 하늘지느러미 등의 다른 종족 하수인들도 빌드업용으로 황금으로 만들기에 좋으며, 헌신적인 영웅을 초반 타이밍에 미리 황금으로 만들어놓으면 성장형 덱을 굴릴 때 황금 천보녀와 함께 고효율 필드를 가져갈 수 있다.
2.10.1.2.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사랑앓이 발라드 가수, 일러명=사랑앓이 발라드 가수_bg10, 영문명=Lovesick Balladist,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해적=,
효과=<b>전투의 함성:</b> 해적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사용한 골드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b>전투의 함성:</b> 해적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사용한 골드만큼 강화됩니다!)</i>,
)]
소환: 아, 사랑의 멜로디! (Ah, a melody of love.)

해적에게 생명력 +4를 부여하고, 내가 쓴 골드만큼 생명력을 +1을 추가로 부여한다. 해적은 각종 APM을 통해서 골드를 소모하기 쉽기 때문에 중후반부에 불어난 골드를 소모하면서 상점에 보이면 버프를 넣고 팔아버리는 식. 생명력만 버프를 주지만 다행히도 4단계 하수인인 화약 급사가 있어 내 전장의 해적 하수인들의 공격력을 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반대로 화약 급사 사이클을 있는대로 돌려 공격력을 펌핑한 뒤 부실해진 하체는 이 카드로 보강하는 것이 APM 해적의 핵심.
2.10.1.3. 허드렛일 강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허드렛일 강골, 일러명=허드렛일 강골_bg10, 영문명=Peggy Sturdybone,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해적=,
효과=내 손으로 카드를 가져온 후에\, 다른 아군 해적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손으로 카드를 가져온 후에\, 다른 아군 해적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이런 꼴로 죽을 순 없어! (I wouldn't be caught dead.)
어떤 방식으로든 손으로 카드를 가져오면 다른 아군 해적에게 버프를 준다. 하수인 구매는 기본이고, 영웅 능력으로 얻는 카드, 황금 동전, 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로 가져오는 카드들과 궁합이 좋다. 특히 황금 보상의 경우 3번째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온 후 황금 카드로 합쳐서 다시 내 손으로 가져오고, 그 카드를 내면 얻는 발견 카드를 가져와서 발견한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오는 과정까지 총 4번을 가져오므로 +4/+4 버프가 된다. 이 카드가 황금이 되었을 경우에도, 이 카드를 내는 즉시 들어오는 황금 보상 카드와 그 보상으로 인해 +4/+4 버프가 된다.

단점이 있다면 본인의 스텟이 낮은데 정작 본인은 버프를 받지 못하므로 비전투요원 하나가 자리를 차지해야 하는 점 정도가 있다. 해적 버프를 이 카드에다가 바르기에는 애매하니 쓰다 파는게 이득. 단 허드렛일 약골만 2개가 있다면 서로 버프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끝까지 가지고 갈만한 포텐셜을 가지고 있다.

원문의 Peggy는 일처리를 제대로 안 하는 신입 선원을 의미하는 은어이지만, 은어 외로 쓰일 때는 외다리라는 뜻이다. 일러스트를 잘 보면 왼다리가 의족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이름은 '허드렛일 약골'인데 언데드가 추가된 25.2 패치로 이름이 '허드렛일 강골'로 바뀌고 일러스트도 인간으로 변경되었다. 티투스 리븐데어처럼 이전 일러스트는 언데드였는데 언데드 종족값 관련 혼란을 막기 위해 카드를 변경한 경우이다.

버프명은 전리품 획득[13]이다.
2.10.1.4. 황금 애호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황금 애호가, 일러명=황금 애호가_bg_32.2.2, 영문명=Goldgrubbe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해적=,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아군 황금 하수인 하나당 +3/+3을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아군 황금 하수인 하나당 +6/+6을 얻습니다.,
)]
소환: 흐하하하, 반짝이 많다!(*Laugh* So many shinies.)

황금 하수인이 많으면 사용하기 좋다. 초반에 1~2성을 모아 얻은 황금 하수인은 당장 다음 턴에 고등급 하수인에게 능력치가 밀려 팔리는 일도 많은데, 황금 애호가가 함께 있다면 애호가 전용 버퍼로 삼아서 한동안 남겨 놓을 만하다.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서 나중에 다른 황금 하수인이 팔리더라도 쌓아둔 능력치로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다.

애호가가 황금이 되면 본인도 버프에 포함되어 혼자만 황금이어도 매 턴 +6/+6이 보장되며 다른 황금 하수인이 있으면 버프 효율이 엄청 좋아진다.

시즌 10에서 해적 덱이 카드를 자체적으로 황금으로 바꾸는 컨셉을 받으며 복귀했다. 특히 1성의 황금빛 수상자는 바로 황금이 되므로 버프 대상이 되며, 그 외에도 이 카드를 자체적으로 황금으로 만들 수 있는 정예 길잡이까지 나오는 등 많은 서포트를 받았다.

버프명은 황금이다![14]이다.

2.10.2. 태그 전장 전용

2.10.2.1. 바퀴 달린 선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바퀴 달린 선원, 일러명=바퀴 달린 선원_bg10, 영문명=Wheeled Crewmate,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해적=,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의 선술집을 강화하는 비용이 (1) 감소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의 선술집을 강화하는 비용이 (2) 감소합니다.,
)]
소환: 아니, 운전을 발로 하나!? (Talk about road rage!)
태그 전장에 종종 있는, 내 팀 전체가 이득을 보는 하수인. 이런 류의 태그 하수인치고 스텟이 괜찮아서 아래의 약탈 동료에 비해서 깡으로 집기에도 부담이 적다. 특히 태그 전장은 선술집 강화 비용이 1인 전장보다 높게 설정되어있어 부담을 줄이기에 좋다.
2.10.2.2. 약탈 동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약탈 동료, 일러명=약탈 동료_bg10, 영문명=Plunder Pal,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해적=,
효과=내 턴이 시작될 때\, 나와 내 팀원이 각각 1골드를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시작될 때\, 나와 내 팀원이 각각 2골드를 얻습니다.,
)]
소환: 항로를 그려봐! (Share the course!)
매 턴마다 2골드 이득은 좋지만, 3코스트 2/2라는 저열하기 짝이 없는 스텟이 문제. 파트너를 극한으로 밀어주느라 어차피 필드가 빈약한 경우에는 구매를 고려할만하다.

2.11. 모두

2.11.1. 태그 전장 전용

2.11.1.1. 도약하는 잭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도약하는 잭, 일러명=도약하는_잭, 영문명=Jumping Jack,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모두=,
효과=이 하수인을 처음 판 후에\, <b>전달</b>합니다.,
효과2=이 하수인을 처음 판 후에\, <b>전달</b>합니다.,
)]
아군에게 팔면 전달하는 융합체 하수인.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팔았음 / has been sold)이라는 효과 텍스트가 추가된다.

악마, 정령, 해적 등 카드를 내거나 팔거나 패에 들어오는 것으로 시너지를 보는 종족과의 궁합이 매우 뛰어나다.

이 카드의 진가는 황금으로 만들 경우 이미 효과를 사용했다는 정보가 초기화되며 팔면 황금 카드인 상태 그대로 전달된다는 것. 파트너에게 받았다면 무작정 팔기보다는 모두 종족값을 살려 필드에 내면서 페어를 잡고 황금 카드로 만들어 둘 다 황카작을 하는 것이 좋다.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치명적인 포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한글명=치명적인 포자, 일러명=치명적인_포자, 영문명=Deadly Spor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효과=<b>독소</b>,
효과2=<b>독소</b>,
)]
본래 미궁 탐험의 우두머리 곰팡이 군주 익슬리드의 영웅 능력으로 등장하던 하수인이다.

무종족 독소 하수인으로, 무종족이기 때문에 모든 게임에 등장할 수 있다. 큰 하수인들을 저격하기 위해 추가되었으며, 전장에선 독소의 성능이 전후반을 가리지 않고 매우 강하다. 다만 생명력은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토큰 싸움에서 허무하게 터질 가능성도 높다.

주로 깡스텟 덱을 상대할 때 남는 자리에 용병으로 채용된다. 특히 후반에는 어중간한 기물을 계속 필드에 한 자리 차지하게 만드느니 이 카드를 쓰는 것이 효율이 좋을 수도 있다. 리로이에 비하면 신뢰도는 떨어지지만 5성인 리로이에 비해 접근성이 훨씬 높다는 것이 장점. 리치 왕도 정 애매하면 이 카드에 환생을 발라 쓸 수 있지만 후반에 가면 리로이 쪽이 더 좋다는 게 뼈아프다.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오크에스트라 지휘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3, 태그=,
한글명=오크에스트라 지휘자, 일러명=오크에스트라_지휘자, 영문명=Orc-estra Conducto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효과=<b>전투의 함성:</b>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 팀이 낸 오크에스트라 지휘자의 수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b>전투의 함성:</b> 하수인에게 +4/+4를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 팀이 낸 오크에스트라 지휘자의 수만큼 강화됩니다.)</i>,
)]
소환: 처음부터 다시! (Once again from the top!)

하수인 하나에게 +2/+2를 부여하는 효과는 평범한 효과이지만 이번 게임에서 내 팀이 오크에스트라를 낸 수만큼 +2/+2가 추가된다.

그냥 평범한 대상 제한 없는 버프 누적 하수인으로 쓰는 것도 좋지만 팀이 많이 낼 수록 좋기 때문에 내 필드의 하수인을 손쉽게 아군 필드로 전달할 수 있는 마님 고야는 오크에스트라로 필드 강화를 하면서 올라갈 수 있어 우두머리 조합에 따라서는 막강한 빌드업 기물로 쓰일 수도 있다. 특히 고야 + 이름 없는 자 콤비를 짰다면 이 카드 하나에 중반 빌드업을 맡겨도 좋다.

출시 초에는 버프가 +1/+1이었지만 전함 자체가 미래의 전함을 개선하는 형태라서 브란, 메탈헤드, 죽음비늘, 젊거멀 등으로 발동시키면 그만큼 개선되어 말도 안 되는 성능을 보였으나, 핫픽스로 제외된 후 버프량을 올리되, 발동 횟수 대신 낸 횟수를 따지게 바뀌며 사장되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내 하수인이 아닌 아무 하수인을 따지므로 주문제작이나 선술집 주문,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는 기물로 이 하수인의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켰을 시 무작위 대상을 선택한다. 따라서 비전투 시에는 상점 기물에, 전투 시에는 상대 하수인에도 스텟 버프가 들어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악마 하수인으로 상점의 기물을 잡아먹거나 걸신 빙의, 껍질정령으로 스탯을 따오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며, 전투 중에 상대에게 발동되는 건 기도하는 수밖에 없다.


[1] 텍스트: 능력치 증가[2] 텍스트: 도발, 천상의 보호막[3] 그리고 그게 아니더라도 이는 밸런스 때문이기도 하다. 리븐데어와의 궁합과 앵무까지 이용할 경우 막을 수 없는 트럭이 될 수 있기 때문.[4] 텍스트: 능력치 증가[5] 텍스트 : 능력치 증가[6] 텍스트: 능력치 증가[7] 패치 노트에는 누락되었다.[8] 텍스트: +1/+1(+2/+2)[9] 텍스트: 공격력 +1(+2)[10] 텍스트: +2/+2, 천상의 보호막[11] 원문은 베트 미들러의 노래 Wind Beneath My Wings의 패러디이다.[12] 텍스트: 능력치 증가[13] 텍스트: +1/+1(+2/+2)[14] 텍스트: 능력치 증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481, uuid=3507c4d9-2cb0-449b-96ea-cc2fecdbecd1,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2=579, uuid2=47affbbb-1447-45ee-a942-2ff3cd20fc12,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3=38, uuid3=e6e7cb53-5ffe-43d9-89ff-8947fd1f1a80,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4=763, uuid4=d33003fa-5183-4eeb-923f-62c4c75e83c7,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5=687, uuid5=e38d2908-8a55-489d-907d-eefdf695b100,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4=763, uuid4=d33003fa-5183-4eeb-923f-62c4c75e83c7,
title7=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7=77, uuid7=34e986db-df72-4e8a-ad24-d9fcb25f9a0b,
title8=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8=81, uuid8=2d9f6404-59ab-4119-9366-ce4ad502e7fc,
title9=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9=81, uuid9=ac2bcd04-e85c-437d-b298-d328fc26a0c4,
title10=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10=836, uuid10=2f28981d-0719-4aa9-be99-c5cc8d2f641c,
title11=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1=100, uuid11=f9340a69-34ab-49ef-a4f2-1310d7494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