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7:11:32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우두머리 덱 종류 빌드(마나커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특별 시스템
다크문 축제 경품 전우 퀘스트/보상
변형물 장신구 태그 전장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1. 개요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뾰족작곡가2.1.1.2. 어둠주시 장로
2.1.2. 태그 전장 전용
2.1.2.1. 충성스러운 깡패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박사 붐의 괴물2.2.1.2. 전기 골렘, 충전 완료
2.2.2. 태그 전장 전용
2.2.2.1. 수송 반응로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대지파괴자2.3.1.2. 동물 교감자2.3.1.3. 앙심의 실리바즈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머키2.4.1.2. 아옳옳 중창단2.4.1.3. 젊은 거먹눈 멀록2.4.1.4. 진흙소금 원정대원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굶주린 지옥박쥐2.5.1.2. 꿈 심문관
2.5.2. 태그 전장 전용
2.5.2.1. 두 얼굴의 파멸수호병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매타조 전령2.6.1.2. 불굴의 탈것2.6.1.3. 비단결 아른나방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고위 리치 켈투자드2.7.1.2. 수많은 얼굴의 노이술2.7.1.3. 영원의 소환사2.7.1.4. 죽음의 공격수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불벼림 기술자2.8.1.2. 비전의 위상 칼렉고스2.8.1.3. 점화 전문가
2.8.2. 보조 하수인
2.8.2.1. 홍련의 나디나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깜짝 정령2.9.1.2. 방출된 마력의 폭풍2.9.1.3. 온화한 신령2.9.1.4. 증폭하는 빛의 정령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악랄한 드러스트2.10.1.2. 우주 항해사
2.11. 이중 종족
2.11.1. 기계/악마 하수인
2.11.1.1. 메카 자락서스
2.12. 모두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건조성 혼종2.12.1.2. 악몽의 다도회 손님
2.13. 중립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6단계 하수인들이다.

선술집에 배치된 6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7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
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뾰족작곡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뾰족작곡가, 일러명=뾰족작곡가_bg10, 영문명=Bristlebach,
공격력=3, 생명력=10, 공격력2=6, 생명력2=20, 가시멧돼지=,
효과=<b>복수 (2)</b>: 내 모든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효과2=<b>복수 (2)</b>: 내 모든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넷 냅니다.,
)]
소환: 가시 전주곡 b단조! (Quilude in B minor!)

내 전장의 하수인이 죽을 때마다 가시멧돼지에게 혈석을 부여하는 하수인. 이 효과는 전투 중에 발동하는 것이라, 전투가 끝나면 부여받은 혈석은 모조리 사라진다.

혈석을 강화하는 카드들과 조합해 혈석을 키울 대로 키워놓았다면 복수 2스택으로 다른 가시멧돼지들에게 막대한 스탯 버프를 제공하며, 혈석을 받으면 천보를 리필받는 튼튼엄니와 사용하면 복수가 발동될 때마다 천상의 보호막을 리필받는, 유사 천상의 멀록처럼 활용할 수 있다.

대신 철저하게 가시멧돼지 시너지로만 설계된 하수인이라 다른 6단계 가시멧돼지들에 비해 유연함은 크게 떨어지는 편.
2.1.1.2. 어둠주시 장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어둠주시 장로, 일러명=어둠주시 장로_bg10, 영문명=Darkgaze Elder,
공격력=6, 생명력=7, 공격력2=12, 생명력2=14, 가시멧돼지=,
효과=내가 6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아군 가시멧돼지 셋에게 <b>혈석</b>을 냅니다. <i>(6골드 남음!)</i>,
효과2=내가 6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아군 가시멧돼지 여섯에게 <b>혈석</b>을 냅니다. <i>(6골드 남음!)</i>,
)]
대사: 룬이 네 종말을 속삭인다. (The runes whisper of your demise.)

23.2 나가 패치에서 호위대장 납작엄니를 대체해 추가된 하수인이다. 단순하게 기물 하나로 얻는 혈석은 4개로 증가했지만 무작위 가시멧돼지에게 직접 주는 방식이라 한 기물에게 혈석을 몰아줄 수 없고, 가시멧돼지가 아닌 하수인에겐 혈석을 줄 수 없고, 가시멧돼지가 넷보다 많을 경우 이 카드의 효과로 혈석을 받지 못하는 가시멧돼지가 있을 수 있다.

출시 후 의도대로 호위대장 납작엄니와 정확하게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쏜커스와 함께 사용하는 혼합 덱이야 말할 것도 없고, 순수 가시멧돼지 덱에서도 채용할 만 하며 버프 효율을 높이고 버프의 손실을 최대한 막는 환상의 짝꿍과의 궁합이 매우 좋다. 다만 혈석을 내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아감마간이 뒤늦게 나왔을 경우 약간의 아쉬움이 생길 수 있다. 차를가와 비교하면 가시멧돼지에게밖에 혈석을 줄 수 없긴 하지만 매턴 주는 10골드를 다 쓰기만 해도 혈석 8개는 뿌릴 수 있고 여기에 하수인을 사고 팔면서 더 뽑아낼 수 있으니 포텐셜 자체는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쏜커스를 두 장 내도 쓸모가 없던 납작엄니 시절과 달리 쏜커스를 두 장 내고 버프를 두 배로 뿌릴 수 있는 것도 나름의 장점.

2.1.2. 태그 전장 전용

2.1.2.1. 충성스러운 깡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태그=,
한글명=충성스러운 깡패, 일러명=충성스러운 깡패_bg10, 영문명=Loyal Mobster,
공격력=6, 생명력=5, 공격력2=12, 생명력2=10, 가시멧돼지=,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모든 하수인들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모든 하수인들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내 팀원에게 적용하는 차를가.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박사 붐의 괴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박사 붐의 괴물, 일러명=박사 붐의 괴물_bg10, 영문명=Dr. Boom's Monste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기계=,
효과=<b>합체</b>\, 이번 게임에서 내가 <b>합체</b>할 때마다 +2/+2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합체</b>\, 이번 게임에서 내가 <b>합체</b>할 때마다 +4/+4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소환: 난…. 살아 있다! (I'm… alive!)
합체한 수만큼 +2/+2를 얻는 기물로, 적극적으로 합체를 한 판이라면 괴물 하나당 50 ~ 100에 달하는 스텟 뻥을 시켜준다. 고철로봇 폐품 등으로 박사 붐의 괴물을 적극적으로 합체시켜주면 스텟도 엄청나게 올라가고, 다용도 드론의 버프도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충분한 합체를 거치지 않았다면 6성치곤 뭔가 애매하게 그저 약간 높은 버프만 있는 애물단지로 전락한다.
2.2.1.2. 전기 골렘, 충전 완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전기골렘\, 충전 완료, 일러명=전기골렘\, 충전 완료_bg10, 영문명=Electron\, Powered Up,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기계=,
효과=내가 선술집 주문을 2개 시전한 후\, 3/3 위성을 내 모든 기계에 <b>합체</b>합니다. <i>(2개 남음!)</i>,
효과2=내가 선술집 주문을 2개 시전한 후\, 3/3 위성을 내 모든 기계에 <b>합체</b>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i>(2개 남음!)</i>,
)]

2.2.2. 태그 전장 전용

2.2.2.1. 수송 반응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태그=,
한글명=수송 반응로, 일러명=수송 반응로_bg10, 영문명=Transport Reactor,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기계=,
효과=<b>합체</b>\, 이번 게임에서 내 팀이 <b>전달</b>할 때마다 +1/+1을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합체</b>\, 이번 게임에서 내 팀이 <b>전달</b>할 때마다 +2/+2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한국어판 DB가 쌩뚱맞은 효과로 오역되어 있는데, 박사 붐의 괴물에서 성장 조건만 전달로 바꾼 합체 카드다.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대지파괴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대지파괴자, 일러명=대지파괴자_bg10, 영문명=Groundbreaker,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나가=,
효과=내가 나가를 낸 후에\, +1/+1을 얻습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효과2=내가 나가를 낸 후에\, +2/+2를 얻습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
소환: 압력이 느껴지나? (Fell the pressure?)
나가 덱의 최종 하수인 중 하나. 나가를 낼 때마다 버프를 받는데, 이번 게임에서 주문 4개마다 버프량이 올라간다. 때문에 다양한 주문제작 카드나 선술집 주문으로 빌드 업을 하다가 이 카드를 집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암만 못해도 +7/+7 정도는 기본으로 얻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나가는 주문제작이 달려있어 나가를 내면 버프를 받고, 그와 동시에 주문제작이 들어와 이 카드의 버프량을 늘려주므로 제대로 박차를 가한 뒤 발광비늘 등으로 천보만 달아준다면 막강한 떡대를 키울 수 있다.
2.3.1.2. 동물 교감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동물 교감자, 일러명=동물 교감자_bg10, 영문명=Fauna Whisperer,
공격력=3, 생명력=8, 공격력2=6, 생명력2=16, 나가=,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왼쪽에 있는 하수인에게 자연적 축복을 시전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양옆에 있는 하수인에게 자연적 축복을 시전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4,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자연적 축복, 일러명=자연적 축복_bg10, 영문명=Natural Blessing,
비용=4,
효과=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하수인과 종족이 같은 모든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2.3.1.3. 앙심의 실리바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앙심의 실리바즈, 일러명=앙심의 실리바즈_bg10, 영문명=Silivaz the Vindictive,
공격력=5, 생명력=8, 공격력2=10, 생명력2=16, 나가=,
효과=<b>주문제작:</b> 선술집 주문을 <b>발견</b>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선술집 주문을 둘 <b>발견</b>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가라앉은 주문, 일러명=Sunken Spells-bg, 영문명=Sunken Spells,
효과=선술집 주문을 <b>발견</b>합니다.,
효과2=선술집 주문을 둘 <b>발견</b>합니다.,
)]
매 턴마다 선술집 주문을 발견하는 기물. 선술집 주문부터가 범용성이 뛰어나므로 6단계 발견 보상으로 집어보거나 상점에 보일때 주문제작 효과만 몇 턴 쓰고 팔아버리기도 한다.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머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머키, 일러명=머키_bg10, 영문명=Murky,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있는 멀록 하나당 아군 멀록에게 +4/+4를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있는 멀록 하나당 아군 멀록에게 +8/+8을 부여합니다.,
)]
필드 강화형 멀록의 최종 단계 하수인. 전장에 나온 이 카드, 그리고 버프할 멀록까지 포함하므로 최소 버프량은 +8/+8이다. 같은 6단계 하수인인 젊은 거먹눈 멀록과 5단계 하수인인 브란 브론즈비어드를 보유하고 있으면 내 턴이 끝날때마다 전장의 멀록 하수인의 스텟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단 이 하수인 하나만으로는 내 기물 하나에만 스텟 강화를 해주는게 끝이라 필드 멀록 덱의 저점과 고점은 얼마나 빠르게 젊은 거먹눈 멀록과 이 하수인을 보유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멀록 덱 외에도 전함을 자주 사용하는 정령, 용족에서도 모두 종족 하수인 하나 정도만 구비해두면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다.
2.4.1.2. 아옳옳 중창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아옳옳 중창단, 일러명=아옳옳 중창단_bg10, 영문명=Choral Mrrrglr,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멀록=,
효과=<b>기선 제압:</b> 내 손에 있는 모든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내 손에 있는 모든 하수인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핸드 버프 멀록 덱의 종결 기물. 4단계의 도미 계산원을 주축으로 핸드 버프형 멀록은 손에 막대한 스탯의 하수인을 하나 들고 있게 되었는데, 이 하수인이 손의 하수인의 스탯을 쓸어오니 엄청난 깡스펙을 얻고 전투를 시작할 수 있다. 구축은 어렵지만 정말 잘 풀린 경우 몇 백, 심하면 네 자릿 수의 스탯으로 게임을 터뜨릴 수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핸드 기물을 복사하는 카드는 한 번 하수인을 복사하여 소환하면 그 하수인을 그 전투에서 다시 소환할 수 없도록 제약을 거는데, 이 카드는 스텟만 복사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다. 때문에 몇 개를 올려놓든 패의 하수인 스펙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어 이미 핸드 멀록을 키우고 있다면 내기만 하는 것으로 순식간에 폭발력이 2배로 상승한다.
2.4.1.3. 젊은 거먹눈 멀록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젊은 거먹눈 멀록, 일러명=젊은 거먹눈 멀록_bg10, 영문명=Young Murk-Eye,
공격력=9, 생명력=6, 공격력2=18, 생명력2=12, 멀록=,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양옆에 있는 하수인 중 하나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양옆에 있는 하수인들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
턴이 끝날 때 이 하수인의 양옆에 있는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킨다.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는 하수인에는 제약이 없어서 멀록 외의 다른 하수인의 효과도 발동시킨다.

가장 잘 어울리는 멀록은 멀록을 계속 수급하는 원시지느러미 망꾼, 필드를 광역으로 강화시키는 왕 므라옳옳이다.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는 하수인이므로 필드에 브란 브론즈비어드가 있으면 효과가 두 번 발동된다. 원시지느러미 망꾼의 효과를 발동시켜 턴 종료 시 하수인 3장이 모여 황금 카드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전투가 끝나고 다음 구매 단계가 시작될 때 합쳐지므로 전투원이 줄어들 걱정은 안 해도 된다. 브란 브론즈비어드를 확보하더라도 상점에 멀록이 나오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이라는 멀록 덱의 고질적인 단점을 꽤 많이 보강시킨 하수인이다.

전투의 함성을 잘 사용할 수 있다면 멀록 외의 덱에서도 사용처가 매우 많은 하수인이다. '턴이 끝날 때' 양 옆의 하수인의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기 때문에 브란과 드라카리 양쪽의 영향을 모두 받으며, 둘 다 있으면 4번 발동시키는 개사기도 가능하다. 브란 + 젊거멀이 있으면 대부분의 덱이 써먹을 수 있는 범용성 덕분에 선호도가 매우 높다.
2.4.1.4. 진흙소금 원정대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진흙소금 원정대원, 일러명=진흙소금 원정대원_bg10, 영문명=Murkbrine Expeditioner,
공격력=5, 생명력=6, 공격력2=10, 생명력2=12, 멀록=,
효과=<b>도발</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이 능력치를 얻은 후\, 내 손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하수인에게도 그 능력치를 부여합니다.,
효과2=<b>도발</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이 능력치를 얻은 후\, 내 손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하수인에게도 그 능력치를 2배로 부여합니다.,
)]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굶주린 지옥박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굶주린 지옥박쥐, 일러명=굶주린 지옥박쥐_bg10, 영문명=Famished Felbat,
공격력=9, 생명력=5, 공격력2=18, 생명력2=10, 악마=,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악마들이 각각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악마들이 각각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턴이 끝나면 내 전장에 있는 악마들이 밥의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제거하고 그 능력치를 가져온다. 어떤 악마가 먼저 먹는지, 선술집의 어떤 하수인을 먹게 될 지는 모두 랜덤이다.

만약 내 필드에 7마리의 악마가 있고, 6단계 기준 선술집에 6개의 기물이 있다면 지옥박쥐를 제외한 악마 6개 중 랜덤한 1개를 제외한 나머지 5개가 능력치를 흡수한다. 따라서 내 필드의 지옥박쥐를 제외한 악마의 수와 선술집 기물의 수가 같다면 다른 모든 악마가 공평하게 하수인을 잡아먹는다. 턴이 종료될 때라 드라카리 마법부여사의 효과를 받지만, 하술하듯 이러면 상점의 개체 수가 모자라서 소수의 하수인만 채용해야 한다.

상점 버프 없이는 보통 3/3 언저리의 버프를 기대할 수 있는데, 6단계 하수인이 나오는 시점에서 한 턴 3/3 버프는 초라한 수준이다. 대신 필드를 전체적으로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큰 장점이다. 만약 체력 보존을 제대로 하지 못한 상태에서 6단계 발견을 했다면 지옥박쥐가 당장의 몇 턴 동안 필드를 강화시켜줄 가장 안정적인 수단이고, 아무리 못해도 본인은 성장하므로 미래를 판다는 느낌으로 선택지가 애매할 때 고르는 경우도 있다.

상점의 하수인들을 얼려놓아도 턴이 끝날 때는 그 하수인을 먹어버리니 얼려서 보존하는 건 포기하고, 어중간한 골드가 남는 경우 바닐라 스탯이 우수한 하수인 풀이 나오도록 새로고침하는 편이 낫다. 신드라고사로 기물들을 얼려놓았다면 패시브가 발동한 다음에 삼키므로 의미가 있다. 내 필드의 악마보다 상점의 기물들이 더 많아서 빙결되었는데 먹히지 않은 하수인이 있다면, 다음 턴 상점에서는 그 하수인이 빙결된 채로 남고 빈 자리에 새로 하수인들이 채워진다.

버프명은 지옥박쥐가 먹여줌[1]이다.
2.5.1.2. 꿈 심문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꿈 심문관, 일러명=꿈 심문관_bg10, 영문명=Dream Inquisitor,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악마=,
효과=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내 영웅에게 피해를 1 주고 내 악마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내 영웅에게 피해를 1 주고 내 악마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2.5.2. 태그 전장 전용

2.5.2.1. 두 얼굴의 파멸수호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태그=,
한글명=두 얼굴의 파멸수호병, 일러명=두 얼굴의 파멸수호병_bg10, 영문명=Two-Faced Doomguard,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악마=,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영웅에게 피해를 3 주고 내 팀의 하수인들에게 +3/+3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영웅에게 피해를 3 주고 내 팀의 하수인들에게 +3/+3을 부여합니다. 2번 발동합니다.,
)]
턴이 끝날 때 영웅에게 피해를 주고 나와 내 팀원의 필드를 강화시키는 하수인. 버프량이 6성치고 굉장히 시원찮아서 피해 면역 수단 없이 집으면 그냥 트롤링이고, 사실 피해 면역 수단을 갖췄더라도 6성 카드를 쓸 타이밍에는 버프량이 상당히 시원찮다. 그래도 빠른 6성 발견을 했고 피해 면역 수단을 갖췄다면 빌드업용 수단으로 쓸 수는 있다.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매타조 전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매타조 전령, 일러명=매타조 전령_bg10, 영문명=Hawkstrider Herald,
공격력=6, 생명력=2, 공격력2=12, 생명력2=4, 야수=,
효과=<b>기선 제압:</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b>죽음의 메아리</b> 둘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b>죽음의 메아리</b> 둘을 2번 발동시킵니다.,
)]
죽메 야수 덱의 최종 필수 기물. 죽메 야수 덱의 핵심 카드인 괴물 앵무는 선공권을 빼앗기면 효과가 급감한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 카드는 기선 제압이라 게임 시작부터 모든 죽메 효과를 누리고 들어갈 수 있으며 저격을 받더라도 최소한의 죽메 발동하고 싸울 수 있게 해 준다.

야수 덱이 아니더라도 죽음의 메아리면 다 발동하므로, 죽메가 핵심인 언데드나 온화한 신령을 구비한 정령 등을 사용할 경우 거쳐가는 기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2.6.1.2. 불굴의 탈것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불굴의 탈것, 일러명=불굴의 탈것_bg10, 영문명=Indomitable Mount,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3\, 4\, 5단계 야수를 소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3\, 4\, 5단계 황금 야수를 소환합니다.,
)]
죽음의 메아리로 최소 3마리 이상의 야수가 튀어나오는게 보장되므로 6단계 발견 시 즉시 전력으로 채용하기 괜찮다.
2.6.1.3. 비단결 아른나방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비단결 아른나방, 일러명=비단결 아른나방_bg10, 영문명=Silky Shimmermoth,
공격력=7, 생명력=3, 공격력2=14, 생명력2=6, 야수=,
효과=이 하수인이 공격력을 얻은 후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2/+2를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소환합니다.,
효과2=이 하수인이 공격력을 얻은 후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4/+4를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둘 소환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딱정벌레, 일러명=딱정벌레-bg, 영문명=Beetl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야수=,
효과=-,
효과2=-,
)]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고위 리치 켈투자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고위 리치 켈투자드, 일러명=고위 리치 켈투자드_bg10, 영문명=Archlich Kel'Thuzad,
공격력=10, 생명력=8, 공격력2=20, 생명력2=16, 언데드=,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왼쪽에 있는 언데드를 처치하고 복사하여 다시 소환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양옆에 있는 언데드를 처치하고 복사하여 다시 소환합니다.,
)]
소환: 자비를 구하라! (Pray for mercy!)
사망: 나는 돌아올 것이다... (I... Shall... Return....)

주 용도는 환생이 달린 언데드 기물 증식. 환생 키워드가 없는 언데드 기물을 처치하고 재소환하면 죽메만 한 번 발동하고 마는 셈이지만, 환생 키워드가 있는 언데드 기물을 처치하고 재소환하면 환생 있는 하수인은 그대로 남은 채 환생 없는 버전의 하수인이 하나 늘어난다. 이 때 자리가 없다면 하수인 하나를 날리게 되므로 적당히 하수인을 팔아서 빈 자리를 만들거나, 마음 편하게 환생 없는 버전을 먹는게 좋다. 이 효과를 통해 필드에 3장째가 만들어진 경우 그대로 전투가 시작한 뒤 다음 턴이 시작할 때 황금으로 합쳐지며, 황금 환생 하수인을 처치 재소환했다면 복사되어 나오는 환생 없는 버전의 기물도 황금으로 나온다.

주로 증식시키게 되는 것은 환생이 있으며 죽메로 스탯 스케일링이 되는 모로스. 그리고 아군 언데드에게 영구 환생을 바르는 미라 활성가를 잡아먹어 환생을 바르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켈투자드 본인에게 튀어 증식이 한 턴 밀린다. 영원의 소환사 역시 죽메를 터뜨리면 영원의 기사 + (환생 X) 영원의 소환사 + 그냥 영원의 소환사로 필드를 불리기 쉽지만 이 경우 2자리를 비워둬야 하니 주의.

전장 우두머리인 퓨트리사이드의 경우, 영능으로 독성 언데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환생을 바르고 증식시켜 독성 날먹을 시도해 볼 수 있다.
2.7.1.2. 수많은 얼굴의 노이술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수많은 얼굴의 노이술, 일러명=수많은 얼굴의 노이술_bg10, 영문명=Noisul of the Many Faces,
공격력=2, 생명력=9, 공격력2=4, 생명력2=18, 언데드=,
효과=내가 언데드를 소환할 때마다 아군 언데드 넷에게 영구히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언데드를 소환할 때마다 아군 언데드 넷에게 영구히 +2/+2를 부여합니다.,
)]
2.7.1.3. 영원의 소환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영원의 소환사, 일러명=영원의 소환사_bg10, 영문명=Eternal Summoner,
공격력=8, 생명력=1, 공격력2=16, 생명력2=2, 언데드=,
효과=<b><b>환생</b>\,</b> <b>죽음의 메아리:</b> 영원의 기사를 소환합니다.,
효과2=<b><b>환생</b>\,</b> <b>죽음의 메아리:</b> 황금 영원의 기사를 소환합니다.,
)]
소환: 최종 형태를 갖추고 일어나라! (Rise in your final form!)
영원의 기사 덱의 핵심 카드. 자체적으로는 아무 버프도 받지 못하지만 소환하는 영원의 기사는 효과 그대로 지금까지 죽은 영원의 기사만큼 스텟을 얻는데다 소환하는 만큼 또 스펙을 올려주므로 죽음의 메아리 기물이면서 성장성을 지닌다는 특이한 성능을 갖고 있다. 영원의 기사를 키우지 않았더라도 섬뜩한 방울뱀의 효과와 비교하면 무작위 변수는 사라진 대신 깡스텟이 높은 하수인이 소환되는 셈이니 장단점이 있다. 처음 출시 때에는 죽음의 메아리로 두마리가 소환됐었기에 필드 수를 잘 조율하면 리븐데어와의 시너지도 있었으며 환생 부여와 시너지도 훌륭했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인의 생명력이 매우 낮아 땅굴 폭파범에 의해 필드가 꽉 찬 상태에서 죽을 수 있고, 토큰을 소환하는 죽메라는 특성 상 환생을 부여해도 필드 칸 부족으로 환생이 발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었다는 것이다.그렇기에 환생은 리븐이 먼저 잘리는등 변수가 생겼을때 이를 메꾸는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았었다.

25.2.2 패치에서 죽음의 메아리영원의 기사를 소환하는게 2장에서 1장으로 줄어들고, 그 대신 본체에 환생 키워드가 부여되었다. 얼핏 생각하면 소환되는 영원의 기사는 그대로 2개라 변경 전과 별차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제 다른 방법으로 본체에 환생을 부여할 수 없게 되어 너프에 가깝다.

27.2 패치로 황금 영원의 소환사는 영원의 기사를 둘 소환하는 것에서 황금 영원의 기사를 소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예전에는 황금 하수인이 되었을 때, 기껏 황금으로 맞췄지만 2마리씩 나와 환생 자리가 없어 허망하게 죽는 경우도 많았으나, 이제는 그럴 걱정은 줄어들었다. 대신 영원의 기사가 크는 숫자가 조금 줄어든 것은 애매하다.
2.7.1.4. 죽음의 공격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죽음의 공격수, 일러명=죽음의 공격수_bg10, 영문명=Deathly Striker,
공격력=7, 생명력=7, 공격력2=14, 생명력2=14, 언데드=,
효과=<b>복수 (4):</b> 무작위 언데드를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에서만 내 손에서 그 언데드를 소환합니다.,
효과2=<b>복수 (4):</b> 무작위 언데드를 둘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이번 전투에서만 내 손에서 그 언데드를 소환합니다.,
)]
소환: 나는 눈물이 별로 없지. (I don't cry much.)
복수의 효과로 언데드를 얻고, 죽음의 메아리로 그 언데드를 소환하는 카드. 베이스아가미와 마찬가지로 이렇게 패에 넣은 언데드는 1번밖에 소환할 수 없으므로, 리븐데어 등으로 죽메를 2번 발동시키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복수 효과로 언데드를 다량 수급할 수 있으며 죽메로 그것들을 복사해 소환하기까지 하므로 언데드 공버프가 충분히 쌓인 타이밍에 강력하지만, 복수 특성 상 전투 순서를 크게 타는 반면 리븐데어의 도움도 바랄 수 없어 빌드업용으로는 쓸만해도 최종 기물로 쓰기에는 애매하다. 아눕아락 등의 공버프가 쌓인 게임에서 언데드 로또를 돌리면서도 토큰을 확보하는 빌드업으로는 매우 강력한 카드.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불벼림 기술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불벼림 기원사, 일러명=불벼림 기원사_bg10, 영문명=Fire-forged Evoker,
공격력=7, 생명력=5, 공격력2=14, 생명력2=10, 용족=,
효과=<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내가 선술집 주문을 2개 시전한 후에 이 하수인을 강화합니다. <i>(2개 남음!)</i>,
효과2=<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내가 선술집 주문을 2개 시전한 후에 이 하수인을 강화합니다. <i>(2개 남음!)</i>,
)]
2.8.1.2. 비전의 위상 칼렉고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비전의 위상 칼렉고스, 일러명=비전의 위상 칼렉고스_bg10, 영문명=Kalecgos\, Arcane Aspect,
공격력=4, 생명력=12, 공격력2=8, 생명력2=24, 용족=,
효과=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발동한 후에\, 내 용족들에게 +1/+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발동한 후에\, 내 용족들에게 +2/+4를 부여합니다.,
)]
소환: 세계의 운명이 위기에 처했습니다.(The fate of the world hangs in the balance.)

느슨한 조건으로 광역 용족 버프를 줄 수 있는 하수인. 용족이 많이 쌓이기만 했다면 전투의 함성 하수인만 계속 사고 파는 것으로 광역 성장을 이뤄낼 수 있고, 마침 용족 내에서도 전투의 함성 하수인이 많은 편이다.

원래는 용족 덱의 최우선 하수인으로, 타렉고사 - 고취비룡 콤보가 없던 시절엔 용족 덱은 칼렉고스가 있어야 성립하는 수준의 카드였다. 당시 게임 초반부터 용족 하수인을 모으다가 칼렉고스로 완성하는 경우는 이세라가 아닌 이상 매우 드물었고, 반대로 8~9턴 쯤에 6단계 발견으로 칼렉고스를 확보해도 필드에 용족이 둘 이상이 아닌 경우 칼렉고스 하나로는 순방조차 버거웠기 때문에 잘 풀리면 여러 번의 6발을 할 수 있는 마이에브, 라팜, 바로브 같은 우두머리들이 용덱을 가곤 했다. 특히 밀하우스의 경우, 일단 칼렉고스만 찾으면 상점에서 대충 용을 집고 아무 전함이나 닥치는 대로 집어도 공백기가 그럭저럭 메꿔졌기 때문에 용이 있다면 우선 순위가 매우 높은 하수인이었다.

그러나 여러 패치로 타렉고사, 고취비룡이 등장한 후에는 그냥 이 두 기물만으로 필드를 채워 후반부까지 성장시키는 편이 훨씬 유리해진데다, 전장의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면서 1개의 칼렉고스만으로는 순방조차 버거워졌다. 급기야 6단계 당첨이었던 이 카드가 꽝으로 전락해버리자 이제는 버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많아졌고, 이후 전투의 함성을 '발동'할 때로 상향되고 버프량도 +1/+2로 상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칼렉 1개로는 순방도 버거울 정도로 평가가 안 좋아졌다. 한 때 전장을 휩쓸었던 성능을 생각하면 참 초라한 위상.

버프명은 비전의 위상[2]이다.
2.8.1.3. 점화 전문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점화 전문가, 일러명=점화 전문가_bg10, 영문명=Ignition Specialist,
공격력=8, 생명력=8, 공격력2=16, 생명력2=16, 용족=,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둘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넷 얻습니다.,
)]
내 턴이 끝날 때마다 선술집 주문 두개를 가져오는 기물. 선술집 주문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유용하므로 주문 수급 및 골드 수급을 위해 이 기물을 집어 볼 만 하며, 비전의 위상 칼렉고스를 중심으로 한 용덱을 구성 할 시에는 마지막 전투까지 한 자리를 차지하기도 한다. 다만 매 턴마다 선술집 주문을 둘 얻는 걸로 다른 플레이어와의 장기적인 격차를 벌려나갈 수는 있어도 당장 내 필드와 하수인을 강화시켜주는 거는 아니라서 상황에 따라 이 기물을 집어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는 신중히 결정하는 게 좋다.

원래는 5단계 2/2 였고 선술집 주문을 두 장 수급함으로써 다음 턴에 이득을 볼 수는 있을지라도 2/2 라는 스텟은 5단계 하수인치고는 심하게 낮은 수준이라 패스트 레벨업이나 발견 보상으로 집으면 내 영웅의 피통이 계속 깎이는 걸 각오해야 했으나 28.2.3 패치노트로 6단계 8/8로 변경되면서 그럭저럭 6단계 하수인에 맞는 스텟이 되었다.

2.8.2. 보조 하수인

2.8.2.1. 홍련의 나디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홍련의 나디나, 일러명=홍련의_나디나, 영문명=Nadina the Red,
공격력=8, 생명력=4, 공격력2=16, 생명력2=8,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아군 용족 셋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아군 용족 여섯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소환: 하아.

죽음의 메아리 효과로 내 용족들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는 심플하면서 강력한 하수인. 용족은 깡스탯 확보가 쉽고 모든 하수인을 전투원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이 카드의 밸류는 매우 높다. 특히 점화된 파멸의 어둠처럼 공격력만 미친듯이 올리는 용족 덱에서는 그 높은 공격력을 고스란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카드가 필수적이다.

효과도 죽음의 메아리라 배치에 따라 천상의 보호막을 싹 벗기는 땅굴 폭파범 등을 무시할 수 있고, 거꾸로 폭파범과 나디나를 함께 써서 상대의 천상의 보호막을 벗기고 내 용족들에게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는 운영도 가능하다. 또한 나디나 2개를 이용해[3] 전투 요원이 줄어드는 것을 각오하고 높은 교환비를 노려볼 수도 있다. 괴물 앵무로 나디나 2개를 기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는 있지만, 만약 상대의 선공으로 앵무나 나디나가 먼저 죽어버리면 전투력에 큰 손실이 온다.

만약 나디나가 한 번에 죽지 못하면 용족 덱의 플랜은 크게 꼬인다. 하필 체력도 4로 어중간하게 높아서 상대가 공격력 4 미만의 도발 하수인을 들고 있다면 플랜이 꼬이기 쉽다. 그래서 효과도 변함이 없고 스탯만 늘어나서 황금으로 만들면 오히려 손해를 보며, 만약 용족이었다면 칼렉고스의 버프를 먹어 죽지도 못하게 성장했을 가능성이 있으니 오히려 무종족인 것이 장점이다.

칼렉고스의 중요도가 갈수록 하락하는 것과는 달리 나디나의 존재감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타렉고사는 전투 중 얻은 나디나의 천상의 보호막을 영구적으로 얻고, 점화된 파멸의 어둠을 필두로 한 불안정하게 높은 스탯을 나디나의 천상의 보호막으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강력하게 굴릴 수 있다.

2기를 사용할 지 합칠 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상대에게 폭파범 등의 광역기가 있을 경우에는 나디나 2기를 맨 앞과 가운데에 배치하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

홍련의 나디나는 WOW 개발자인 Christina Mikkonen의 와우 자캐인 블러드엘프 성기사 나디나를 네임드화한 것으로, WOW TCG 때부터 카드로 존재할 정도로 오래된 캐릭터이다. WOW TCG에서의 효과는 하스스톤으로 비유하자면 '4코스트 2/6, 도발, 상대의 턴이 끝날 때마다, 내 영웅이 이번 턴에 피해를 받지 않았다면 카드를 한 장 뽑습니다.' 정도의 효과였다. 또한 삭제된 3단계 하수인인 게걸스러운 폭룡(Hangry Dragon)은 나디나의 용족 펫인 Hangry를 기물로 만든 것이며, 일러스트는 원본 나디나 일러스트의 왼쪽을 따로 뽑았다. 대사는 선술집 네파리안의 반격!에 나오는 용감한 용추적자의 대사와 동일하다.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깜짝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깜짝 정령, 일러명=깜짝 정령_bg10, 영문명=Elemental of Surprise,
공격력=8, 생명력=8, 공격력2=16, 생명력2=16, 정령=,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은 모든 정령으로 황금 하수인이 될 수 있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은 모든 정령으로 황금 하수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소환 1: 내가 나올 줄 몰랐지? (No one expects me!)
소환 2: 짜잔! (Surprise!)

같은 정령 기물 2개를 보유하고 있을 때 깜짝 정령을 얻으면 황금 하수인으로 합쳐진다.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깜짝 정령을 페어로 집고 있고 아무 정령을 쥐고 있다면 그 셋이 바로 황금으로 합쳐진다.

상위 등급 단계 정령 기물을 황금으로 만들거나, 최후반부에 스텟을 잘 키워놓은 정령들을 합쳐서 천상의 보호막을 씌워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정 급하면 6단계 발견을 한번 더 한다는 셈으로 발견에서 집을수도 있다. 다만 정령 페어가 여러 개일 때 깜짝 정령을 가져오면 합쳐지는 대상이 무작위인 건 주의.

27.0 패치 기준, 깜짝 정령이 황금 하수인이 되어도 여전히 정령의 황금 하수인 재료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황금 깜짝 정령과 돌 록 1개가 있을 때, 돌 록 1개를 구입하거나 트럼펫 등으로 얻으면, 천상의 보호막이 있는 황금 돌 록으로 합쳐지는 것.물론 텍스트만 보면 버그는 아니나 버그인지 아닌지는 확실치 않다.
2.9.1.2. 방출된 마력의 폭풍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방출된 마력의 폭풍, 일러명=방출된 마력의 폭풍_bg10, 영문명=Unleashed Mana Surge,
공격력=6, 생명력=4, 공격력2=12, 생명력2=8, 정령=,
효과=내가 정령을 낸 후에\, 그 정령을 제외한 무작위 아군 정령 셋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정령을 낸 후에\, 그 정령을 제외한 무작위 아군 정령 셋에게 +1/+1을 두 번 부여합니다.,
)]
2.9.1.3. 온화한 신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온화한 신령, 일러명=온화한 신령_bg10, 영문명=Gentle Djinni,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정령=,
효과=<b>도발</b>\, <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정령을 얻습니다.,
효과2=<b>도발</b>\, <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정령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여긴 필멸자가 올 곳이 아니다! (This is no place for mortals!)
정령 수급의 최종 카드. 전투의 함성 덕분에 브란과의 연계로 많은 정령을 얻을 수 있고, 죽음의 메아리로 꾸준한 수급이 가능하다. 정령을 내거나 파는 것이 중요한 정령 덱에서는 제일 중요한 정령 수급 요원이다.
2.9.1.4. 증폭하는 빛의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증폭하는 빛의 정령, 일러명=증폭하는 빛의 정령_bg10, 영문명=Amplifying Lightspawn,
공격력=5, 생명력=9, 공격력2=10, 생명력2=18, 정령=,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1/+1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2/+2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악랄한 드러스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악랄한 드러스트, 일러명=악랄한 드러스트_bg10, 영문명=Dastardly Drust,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해적=,
효과=내가 해적을 얻을 때마다\,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황금 하수인에게는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해적을 얻을 때마다\,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황금 하수인에게는 +4/+4를 부여합니다.,
)]
2.10.1.2. 우주 항해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우주 항해사, 일러명=우주 항해사_bg10, 영문명=Spacefar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해적=,
효과=다른 아군 해적이 공격력을 얻을 때마다 생명력을 +3 얻습니다.,
효과2=다른 아군 해적이 공격력을 얻을 때마다 생명력을 +6 얻습니다.,
)]
소환: 이제 12리밖에 안 남았다. (Just twelve fathoms away now.)
화약 급사 덕분에 막강한 광역 공격력 버프를 부여할 수 있는 해적 덱에서, 해적이 받는 공버프 하나하나가 생명력 +3으로 치환되어 사이클 몇 번만 돌려줘도 순식간에 세네자릿수 생명력을 돌파한다. 때문에 적절히 공격력이 성장한 이 카드는 독성 없이는 잡는 게 어려운 수준으로 성장한다. 다만 어줍잖게 성장하면 체력은 무지막지하게 불어나도 정작 공격력이 별로라 제대로 된 교환을 할 수 없어지기 때문에, 얼마만큼 공격력을 증폭시켜놓느냐가 중요하다.

원문 소환 대사의 fathom은 야드파운드법에서 해양의 길이를 측정할 때만 쓰이는 고유 단위이다. 한국어판에서는 척관법의 길이 단위인 로 적절히 현지화되었다. 다만 1패덤은 1.8m 정도고 1리는 400m 정도라서 졸지에 거리가 20배 늘어났다.

2.11. 이중 종족

2.11.1. 기계/악마 하수인

2.11.1.1. 메카 자락서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이중종족=,
한글명=메카 자락서스, 일러명=메카 자락서스_bg10, 영문명=Mecha-Jaraxxus,
공격력=3, 생명력=15, 공격력2=6, 생명력2=30, 악마2=, 기계=,
효과=<b>전투의 함성:</b> 무작위 <b>합체</b> 기계 악마를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무작위 <b>합체</b> 기계 악마를 둘 얻습니다.,
)]
소환: 파괴! (Destroy!)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이중종족=,
한글명=녹슨 레지, 일러명=Rusted Reggie-bg, 영문명=Rusted Reggie,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악마2=, 기계=,
효과=<b>질풍</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질풍</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이중종족=,
한글명=마그테리돈 프라임, 일러명=Magtheridon Prime-bg, 영문명=Magtheridon Prime,
공격력=1, 생명력=10, 공격력2=2, 생명력2=20, 악마2=, 기계=,
효과=<b>도발</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도발</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이중종족=,
한글명=발타라크, 일러명=Baltharak-bg, 영문명=Baltharak,
공격력=10, 생명력=1, 공격력2=20, 생명력2=2, 악마2=, 기계=,
효과=<b>환생</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환생</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이중종족=,
한글명=군단의 방패, 일러명=군단의 방패_bg10, 영문명=Shield of the Legion,
공격력=7, 생명력=3, 공격력2=14, 생명력2=6, 악마2=,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기계 또는 악마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보통 합체 하수인은 기계에게만 합체할 수 있으나, 이 하수인의 효과로 가져오는 합체 기물은 악마와도 합체할 수 있다.

원래는 효율 자체가 나쁜 편은 아니지만 6성 치고는 뭔가 애매했지만, 패치로 악마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할 수 있는 군단의 방패가 추가되면서 가치가 확 뛰었다. 기계는 이미 도발, 환생, 천보, 질풍을 전부 부여할 수단이 있어 애매하지만, 악마는 도발을 제외하면 사실상 이 카드로만 붙일 수 있는 키워드들이다. 환생과 질풍은 조금 애매할 수 있지만 떡대를 키우는 악마 입장에서 천보 합체는 굉장히 효용성이 높다.

전함으로 악마를 가져오는 악마이므로 1골드만을 소모해 악마를 2번 낼 수 있으며, 브란과의 연계를 통해 토큰을 다량 양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전투의 함성으로 합체 하수인을 직접 패로 가져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데다 가져오는 합체 악마도 4종류로 고정되므로 황금 카드작을 하기에 상당히 유용하다.

대신 어느 쪽이든 결국 6성 치고는 단독으로 뭔가 할 수 없다는 게 좀 애매한 부분.

군주 자락서스의 전우인 킬렉의 경우 토큰형 하수인이 아니라 환생 효율을 온전히 받기 때문에, 킬렉에 환생을 부여할 수 있다면 매 턴마다 악마를 다량 확보할 수 있어 궁합이 좋다.

2.12. 모두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건조성 혼종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건조성 혼종, 일러명=건조성_혼종, 영문명=Arid Atrocity,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모두=,
효과=<b>죽음의 메아리:</b> 6/6 골렘을 소환합니다. <i>(이번 전투에서 죽은 아군 종족 수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12/12 골렘을 소환합니다. <i>(이번 전투에서 죽은 아군 종족 수만큼 강화됩니다!)</i>,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버려진 골렘, 일러명=Deserted Golem-bg, 영문명=Deserted Golem,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효과=-,
효과2=-,
)]
모든 종족값을 가지므로 대부분의 종족 시너지를 받을 수 있다. 멀록을 가면서 오페라 열창멀록으로 독소를 발라주거나 칼렉고스 용족으로 키우기도 좋으면서 기계 시너지도 받아먹는다. 그나마 시너지를 안 받는 종족은 야수와 언데드로 이 기물의 죽음의 메아리가 괴물 앵무의 효과를 방해 할 위험이 있고 죽음의 메아리로 나오는 골렘이 야수 종족이 아닌데다 언데드는 자체 기물의 파워가 세서 건조성 혼종을 기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죽음의 메아리로 소환되는 골렘은 이번 전투에서 죽은 아군 종족 하나당 +6/+6이 부여되며, 죽은 본인도 종족값을 세므로 앵무 등으로 발동하지 않는 한 기본 스텟은 12/12다. 전투 중 실피로 살아남은 상대 기물을 제거하거나 천상의 보호막, 독소를 까주는 등 부수적인 효과가 있으며 건조성 혼종을 여러 개 가지고 있거나 혼합 종족으로 덱을 구성했을 시에는 스텟이 50/50을 넘게 불어나 한타 싸움에서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종족이 모두다보니 환생을 바를 수단도 많기에 이른 타이밍에 잡았다면 순수한 깡스텟 하나만 보고 상황을 모면하기에도 편하다.

다만 모든 종족값을 가졌다는 것 외에는 후반 게임에서의 전투력이 좋다고는 하기 힘든 토큰 하나 뱉는 정도의 6단계 기물이므로 작정하고 이 기물을 끝까지 데리고 가는게 아니면 도중에 팔려나가기도 한다.

솔로보다는 태그 전장에서 악명이 높은 기물로 태그 전장은 6단계를 찍기 힘들지만 건조성 혼종만 얻어두면 반은 순방이 확정일 정도다.
2.12.1.2. 악몽의 다도회 손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6,
한글명=악몽의 다도회 손님, 일러명=악몽의 다도회 손님_bg10, 영문명=Nightmare Par-tea Guest,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모두=,
효과=<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잘못 놓인 다기 세트를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잘못 놓인 다기 세트를 2개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4,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잘못 놓인 다기 세트, 일러명=잘못_놓인_다기_세트, 영문명=Misplaced Tea Set,
비용=3,
효과=모든 아군 종족에게 +3/+3을 부여합니다. (종족마다 하나씩),
)]

2.13. 중립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654, uuid=70c8538b-7de6-4b5c-8c0b-42c03a9f0efe,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2=579, uuid2=47affbbb-1447-45ee-a942-2ff3cd20fc12,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 version3=699, uuid3=dba27402-85f9-4df4-ab7e-7e76b30e54e2,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 version4=83, uuid4=73451310-149d-4f1a-a28b-d77aa7fa0512,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5=834, uuid5=dcb802bc-d19a-4035-80cd-1d02f023f049,)]
[1] 텍스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음[2] 텍스트: +1/+2(+2/+4)[3] 보통 하나는 맨 앞에, 다른 하나는 4~5번째 정도에 배치한다. 맨 뒤는 상대의 공격을 고려해 잘 배치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