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9:24:58

필리핀 자치령

필리핀 커먼웰스에서 넘어옴
파일:필리핀 국장(1935-1940, 1941-1946).svg 필리핀 자치령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필리핀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중세 식민지배 이전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제국
필리핀의 선사시대 루손 섬(톤도)
비사야 군도(부투안)
민다나오 섬 나라들
누에바 에스파냐
필리핀 도독령
필리핀 도독령
스페인령 동인도
식민지 시대 현대
미국 일본 제국 미국
미군정청
제1공화국
도민정청 자치령 행정부 제2공화국 자치령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필리핀 자치령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Komonwelt ng Pilipina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자치령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필리핀 국장(1935-1940, 1941-1946).svg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rowcolor=#fff> 국기 국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p_of_Philippines.png
1935년 11월 15일 ~ 1942년 1월 3일
1945년 8월 17일 ~ 1946년 7월 4일
<rowcolor=#fff>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필리핀 군도 도민정청 필리핀 공화국
<colbgcolor=#002664><colcolor=#fff> 국가 The Philippine Hymn[1]
위치 필리핀 군도
면적 343,385.1 km2
인구 16,000,303명
수도 마닐라
정치체제 미국 보호 하의 대통령제 공화국
국가원수 자치대통령, 고등판무관
언어 영어, 스페인어, 필리핀어
종교 가톨릭
통화 필리핀 페소
1. 개요2. 역사3. 참고 문헌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제도에 존속한 미국의 자치령이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 제국의 침공으로 점령되었던 적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제국의 괴뢰국필리핀 제2공화국이 존속하였다.

커먼웰스(Commonwealth)는 한국에서 연방, 자치령 등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필리핀 연방이라고도 한다. 그 외 드물게 원어 그대로 필리핀 커먼웰스라고도 한다.

2. 역사

1934년 3월 24일 미국 의회를 통과한 타이딩스-맥더피 법(Tydings–McDuffie Act)에 의해 미국의 민정이었던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가 폐지되고 대신 필리핀 자치령이 수립되었다.

미국은 법안에 따라 필리핀의 완전한 독립까지 10년 동안 이행 기간을 갖고, 이 기간 동안 자치령을 수립하여 필리핀 스스로 헌법을 갖고 통치하게 하였다. 필리핀의 제헌 헌법은 1935년 5월 국민투표에 의해 승인되었다. 헌법을 통해 필리핀인들은 자신들의 대통령과 부통령을 직접 선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필리핀 자치령의 대통령으로는 마누엘 케손(Manuel L. Quezon), 부통령은 세르히오 오스메냐(Sergio Osmeña)가 당선되었다.[2]

미국이 자치령에 직접적으로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은 대외정책에 한정되었으며, 이민, 대외무역, 통화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들은 미국 대통령의 승인을 받는 정도였다.

한편 이러한 필리핀의 자치화는 미군정 시절부터 쭉 유지되어왔던 식민국(Bureau of Insular Affairs)의 기능을 크게 약화시켰다. 미 육군 산하 기관이었던 식민국은 1939년 폐지되고 연방정부 내무부 산하의 식민지과로 이관되었다.

필리핀 자치령은 독립을 향해 빠르게 나아갔으며 교양만화가 이원복 교수의 견해처럼 미국이 야만적인 착취 대신 공격적인 투자로 필리핀을 발전시켜 줬다는 우호적인 면도 있긴 하나, 오랜 미국 치하 동안 필리핀의 경제 구조는 미국에게 종속되었으며, 토착산업은 정체되었다. 미국과의 자유무역을 통해 필리핀 해외무역은 유례없이 증가했으나, 이는 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비재에 대한 의존을 증가시키고 필리핀 제조업의 발달을 저해했다.[3]

1941년 12월 10일, 진주만 공습을 통해 미국을 침공한 일본 제국은 필리핀 루손 북부부터 시작하여 필리핀 자치령을 침범하였다. 이듬해인 1942년까지 미군을 몰아내고 필리핀 제도를 점령한 일본 제국은 군정 통치를 1년 동안 시행하다 필리핀 제2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수립하였다. 필리핀 제2공화국의 대통령은 호세 라우렐이 맡았다. 케손 대통령은 미국의 인도 아래 호주를 거쳐 미국 워싱턴 D.C.로 피신하여 망명 정부를 꾸렸다.

당시 필리핀 자치령의 육군 원수였던 더글러스 맥아더는 필리핀 미군이 일본군에게 괴멸하자 호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그는 대열을 가다듬고 북상하여 1945년 마닐라 전투(Battle of Manila)를 통해 필리핀을 탈환하였다. 전후 필리핀 제3공화국이 선포되었고, 마누엘 로하스(Manuel Roxas)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로하스는 1946년 7월 4일 독립을 선언하였고 미국이 이를 인정함에 따라 필리핀 자치령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3. 참고 문헌

4. 관련 문서



[1] 현 필리핀 국가의 영어 버전이다.[2] 제1공화국 대통령이었던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이 때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아기날도는 제2공화국 시기에 일본에 협력하자는 방송에 출연한 혐의로 2차대전 후에 잠시 감옥에 갇혔다가 석방된다.[3] 1930년까지 필리핀은 수출의 73%를 미국에 의존하였고, 수입품 의존은 63%에 달하였다. 타이딩스-맥더피 법은 1940년까지 자유무역의 존속을 규정했지만, 필리핀 수출품에 대해서는 할당제를 실시했다. 필리핀에 반입되는 미국물품의 수입에는 아무런 제한도 없었다. 이로인해 필리핀은 더욱 미국 경제에 종속되어 1940년까지는 필리핀 수출의 83%가 미국이었으며, 수입의 77%는 미국제상품이었다.-서용석 (1997). 22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