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0:11:11

플레이타임 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ffcf10><colcolor=#000>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cf10> 파일:Poppy_Playtime_Logo.png파피 플레이타임
관련 문서
}}}
게임 설정 등장인물(장난감) · 플레이타임 사 · · VHS 테이프 · 아이템 · ARG
게임 스토리 챕터 (1 · 2 · 3 · 4 · 5) · PROJECT: PLAYTIME · POPPY PLAYTIME : FOREVER
기타 요소 미디어 믹스 (포스터) · OST · 논란 및 사건사고
<colcolor=#000><colbgcolor=#FFE302> 레이타임
Playtime {{{#00BFFF Co}}}rporation[1]

파일:플레이타임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1950년 로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950년 플레이타임.png
}}}}}}}}}
창설일 1930년
폐업일 1995년 8월 8일 (유력)[2]
창업주 엘리엇 루드윅
CEO 엘리엇 루드윅 (초대, 1930년 ~ 1960년 이후)
레이스 피에르 (2대, 1980년 이후 ~ 1995년)
본사
[[미국|]][[틀:국기|]][[틀:국기|]] 미국 동부[3]
유형 주식회사, 다국적 기업
규모 대기업
업종 완구 제조 및 유통

1. 개요2. 특징3. 시설4. 문제점
4.1. 근무 환경4.2. 커다란 신체 계획(B.B.I)
5. 몰락, 그리고 폐쇄6. 기타

[clearfix]

1. 개요

MOB Games - It's {{{#FF0000 P}}}laytime[4]
"What's the time? Playtime!"
"무슨 시간? 플레이타임!"
플레이타임 사()의 캐치프레이즈
파피 플레이타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장난감 회사.

2. 특징

파일:플레이타임 공장_전성기.png
엘리엇 루드윅이 1930년에 설립한 회사로, 전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을 모토로 삼았으며 당시 가장 유명한 장난감 제조 회사였다. 이후 수십 년간 허기 워기[5]를 포함한 수많은 장난감들을 판매하며 성장했고, 1인당 2.99달러에 공장 견학을 제공하기도 했다.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그 규모는 국제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챕터 2에서는 러시아어로 적힌 상자가 등장했으며 이 영상에서는 독일어가 나오기도 한다. 루드윅 사후에는 혁신부서장으로서 회사의 2인자였던 레이스 피에르가 그 뒤를 이어 공장을 운영해나갔다. 또한 고아들을 돌보기 위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가르칠 학교와 고아원, 놀이 시설 및 상담 시설을 합친 복합 시설 '플레이케어'를 운영하면서[6] 중고등부 나잇대의 몇몇 아이들을 선정해 인재 발굴 프로그램을 거친 후 공장의 정식 직원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어느 날 모든 직원이 실종되는 대사건이 일어난 이후 공장은 폐쇄되었다. 공장이 폐쇄된 정확한 시점은 불명이나, 2023년 3월 4일자에 공개된 영상의 비명 소리와 챕터 1의 검은색 테이프의 비명 소리가 동일한 점, 챕터 3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1 초반과 본편 플레이 중 상담사 사무실의 테이프에서 나온 EAS에서 1995년 8월 8일[7]에 발령되었다는 문구가 있다는 점, 그리고 홈 스위트 홈 복도 구간의 알 수 없는 소리를 역재생한 음성을 전부 고려하면 1995년 8월 8일에 전 직원 실종 이후 공장이 바로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3.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피 플레이타임/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문제점

챕터 1이 출시된 시점에서는 플레이타임 사가 단순히 고아들로 실험체들을 만들었고, 그것들이 탈출하였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적었으나, 이후 챕터 2와 3, 외전이 출시되고 관련 ARG들이 공개되면서 비윤리적인 인체실험 외에도 내부적으로 문제가 상당히 많은 기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설상가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한 번에 해결할 '해결책'으로 제안된 방법이 '직원들을 살아있는 장난감으로 대체한다'는 비상식적인 방법이며, 이를 경영진들이 승인했다는 점에서부터 플레이타임 사의 경영진들이 직원들을 무엇으로 생각하고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4.1. 근무 환경

챕터 1, 2에서 입수할 수 있는 테이프에서 마커스 브릭클리라는 직원의 녹화본을 들어보면, PJ 퍼그 어 필러의 출현을 목격하고 상부에 보고하지만 헛소리로 취급되고, 기밀로 유지하라며 압박까지 넣는다. 빅 스파이더(Big Spider) 테이프에서는 마미 롱 레그에 대한 수많은 불만들도 임원들의 기밀 유지를 위해 무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NFT 포스터의 허기 워기 포스터에는 휴식 시간이 10분을 넘길 수 없다고 적혀있다.[8]

직원 안전 규칙에는 "우리 장난감 생산에 사용된 유해 물질 및/또는 위험 물질에 대한 보고는 완전히 조작되었으며 과장되었습니다."라고 명시되어있으나, 막상 직원의 환각 및 정신분열증 증상을 신고하라는 말도 덧붙여져 있다. 이는 플레이타임 직원이 독성이 높고 매우 위험한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셈이다. 또한 해당 영상에서 직원들의 안전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으므로 직원의 부상이나 사고, 심지어는 사망에 대해 회사는 어떠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VHS#1에서는 안전수칙이 무용지물인 것은 물론, 인력 부족에 직원들의 소송에 시달린다는 것이 언급된다. 거기다가 공장 내 장난감 공정 시설도 안전 설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았는지, 실제로 플레이타임 사에 견학을 왔던 한 아이가 부모님이 한눈을 판 사이 그만 공정 시설 내부로 추락해 사망한 사고도 있었다고 한다.

4.2. 커다란 신체 계획(B.B.I)

Bigger Bodies Initiative

냉전이 막바지에 접어들었을 시점에 회사는 수익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말단 사원들이 기밀 실험을 목격하는 등 여러 실책을 범하며 몰락하고 있었다. 이때 과거 플레이타임 사에서 진행한 영재 발굴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신경외과 의사 할리 소이어는 회사의 임원들에게 임금 체불, 집단 소송을 비롯하여 현재 회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간을 장난감으로 개조하여 직원들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9][10]

이후 첫 번째 성공작인 박시 부가 제작되면서 실효성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자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플레이타임 사는 실험체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사내 고아원 플레이케어를 설립해 고아들을 수용한 후[11], 게임 스테이션을 통해 고아들의 적성을 점검하며 여러 실험을 진행 시켰다. 하필 실험 대상으로 고아들을 고른 이유는 쉽게 길들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 회사가 얼마나 악독한 지 드러나는 부분.[12]

위에서 서술된 일부 내용은 아직까지 추측에 불과하기에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반란의 주동자가 프로토타입이며, 원인 제공을 플레이타임 사에서 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후 챕터 3에서 자세한 내막이 밝혀지면서 이는 진실로 밝혀졌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5. 몰락, 그리고 폐쇄

파일:플레이타임 공장.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쁨의 시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1] 혹은 company. 일반적으로는 Co.로만 불린다.[2] 프로토타입의 주도하에 일어난 '기쁨의 시간(The Hour of Joy)' 학살 사건으로 인해 회사 전 직원이 살해된 날이라 이 날 이후 회사는 사실상 폐업한 것과 같다.[3]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나, 챕터 3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의 TV의 EAS에서 "11:00:00 EST"라는 문구가 있다. 적어도 본사가 미국 동부 어딘가에 위치한 것은 확실하다.[4] 1편과 2편의 배경에서 흘러나오는 곡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시리즈의 메인 테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챕터 3 공개 이후 나온 공식 뮤직비디오인 'Sleep Well'도 이 테마를 리믹스한 것이다.[5] 회사의 히트작이자 인기 제품.[6] 어마어마한 규모의 공장을 만든 것도 모자라, 그곳에서 대규모 생체실험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전성기에는 돈을 말 그대로 쓸어담았던 모양이다.[7] 전술한 영상의 후반부에서 비명 소리가 들린 시점도 1995년 8월 8일이다.[8] 미국의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5시간 이상 근로시 30분 가량의 점심 시간을 제공해줘야 하지만, 4시간 이상의 경우에는 10분 정도의 유급 휴식 시간만 제공해도 근로법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다. 무엇보다 포스터에서 명시하는 휴식 시간이 점심 시간을 포함한 것인지, 아니면 제외하고 계산한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9] 정확히는 직원들을 거대한 장난감들로 대체하는 것. 이 외에도 회사의 기밀사항을 목격한 직원을 처분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회사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10] 외전에서 찾을 수 있는 VHS#1에서 이 과정이 자세히 묘사된다.[11] NFT 포스터의 내용을 고려하면 직원들이 고아들을 위탁 양육하거나 입양하면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고아들을 수급한 것으로 추정된다.[12] 참고로 챕터 4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고아만 모집한 게 아닌 멀쩡한 부모와 가정이 있는 애까지 냅다 데려다가 실험체로 써먹었다. 심지어 입막음을 위해 부모까지 죽여버린 건 덤.[13] 챕터 2에서 주인공이 진행한 3가지 게임이 바로 이것이다.[14] 엘리엇 루드윅, 레이스 피에르, 스텔라 그레이버, 할리 소이어.[15] 다만 엘리엇 루드윅은 말년에 회의감을 느끼고 프로젝트를 중단하려고 하였다고 한다. 정작 간부들은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16] 그나마 할리 소이어는 실험체로 개조되고 결국 주인공에게 최후를 맞으면서 대가를 치르기는 했다만, 레이스 피에르는 아예 기쁨의 시간에서 피해를 받지 않고 잘 살아있는 걸로 나왔으며 엘리엇 루드윅은 이미 고인이고 스텔라 그레이버는 생사 여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17] 다만 B.B.I에 자원한 것으로 명확하게 언급된 직원은 브론이 된 토마스 클라크뿐이며, ARG와 비디오 테이프에서 높으신 분들이 기를 쓰고 실험체들의 존재를 은폐하려고 하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하층부 직원들은 회사에서 벌이는 비윤리적 연구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18] 해당 회사에는 '플레이케어 (Play-Care)', 즉 고아들을 위한 보육시설과 학습시설에 있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 아이들을 위해서 필수로 존재해야 했던 Care(보호)라는 단어의 뜻과 전혀 일맥상통하지 않은 기이한 행보를 보이는 악덕 회사라는 평들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