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박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슬레이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1. 개요
중국 전통편경의 모습 |
연주할 때는 뿔로 만든 망치인 각퇴(角槌)로 세로획 부분의 아래 끝부분을 치면서 연주한다.
바리에이션으로 경돌이 1개만 있는 특경이 있다.
경돌의 두께는 제일 얇은 것이 2.4 cm, 제일 두꺼운 것이 6 cm라고 한다.
특이한 점으로는 경돌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더욱 높은 음이 난다는 것이다.
앞에서 본 기준 ㄷ자 모양으로 음정이 올라간다.
2. 설명
체명악기의 일종으로, ㄱ자 모양으로 깎은 경돌(옥) 16개를 두 단으로 된 나무 틀에 위아래 여덟 개씩 매단 악기다. 나무틀의 발 부분은 기러기(鵝) 모양 받침대에 각각 꽂아 놓는다. 틀 위쪽 양편에는 봉황의 머리 모양으로 조각하고, 꼭대기에는 공작 다섯 마리와 꿩 깃으로 만든 술로 장식한다. 경돌은 ㄱ자 모양에서 세로 획 부분이 긴 모양인데, 세로 획과 가로 획의 비율은 음이 높아짐에 따라 작아진다. 조율할 때는 소리가 높으면 돌을 갈아서 얇게 하고, 소리가 낮으면 세로획 부분을 잘라서 음을 맞춘다. 고로 조율이 무척 어려워서 정확한 음정으로 편경을 조율하기는 매우 힘들다. 하지만 돌로 만들었기 때문에 음정이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덜 받으므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2007년 제작된 국립국악원 편경의 조율 방법은 이렇다. 먼저 조율하기 전 경석을 갈아낼 부분을 감안하여 넉넉한 두께로 재단한 다음, 3차에 걸쳐 연마하며 재단한다. 1차 조율은 대형 그라인더를 동원하여 갈아내는데 이때 마찰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을 뿌리면서 습식으로 연마한다. 조율할 때 경돌이 물을 많이 흡수함을 감안하여 음정을 확인한다. 이후 약 보름간 건조하여 튜너로 음을 확인하고, 세로 부분 길이와 경돌의 두께를 조절하며 다시 조율한다. 물론 갈 때 열이 많이 나기 때문에 식혀가면서 조율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3차 조율은 정밀기기를 동원하여 센트 단위까지 정밀조율한 후, 습기를 머금어 음이 변함을 막고자 광택제를 뿌려 마무리한다.
3. 역사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 이전에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자가 편경을 연주했다는 기록이 사기에 나와 있다.한반도에는 12세기 초 고려 예종대에 북송에서 처음 들어왔고, 공민왕 때와 태종대에도 편종과 함께 수입되었다고 한다.
재료가 일종의 옥인 만큼 재료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조선 세종 이전까지는 중국에서 수입해다 썼는데, 수입만으로는 수요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궁여지책으로 흙으로 빚어서 기와처럼 구워 만든 개와경도 만들어 썼다. 당연히 흙은 구울 때 수축하기도 하고 구운 후에 조율할 수도 없어 음정은 엉망이었다. 결국 국내에서 백방으로 경석이 나는 곳을 수소문한 결과 세종 7년(1425) 남양(南陽: 현재 화성의 일부)에서 좋은 옥이 발견되었다. 세종 9년(1427)에 처음으로 국산 편경을 제작하였는데, 중국산보다 음색이나 음정이 훨씬 좋았다고 전한다. 이후 현재까지도 편경에 쓰는 옥은 옛 남양인 수원과 화성 근처 옥 광산에서 캐서 쓴다.[1] 일제강점기에 편경 재료의 산지와 제작기술이 실전되고, 한국에서 재료의 산지를 찾지 못해 대신 중국 방방곡곡을 뒤져 적합한 돌이 나는 산지를 찾아내 재료를 수입해서 제작기술만을 복원했다가 오랫동안 잊혔던 국내 산지를 다시 발견해 다시 국산화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재료가 재료이다보니 악기가 무척 귀해서 편경을 파손시킨 사람은 곤장 백 대에 3년 동안 귀양을 보낸다는 형조가 대전통편에 있다. 그리고 대전통편에는 전란이 일어나면 가장 먼저 편경을 숨기라는 내용도 있다.[2] 악기의 기준음에 해당하기에 편경만 무사하면 나머지 악기를 다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경이 국보급 악기로서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
현재는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 보허자, 낙양춘, 여민락 계열 악곡[3]에 편성되고 취타를 대편제로 연주할 때도 간혹 편성된다.
편경과 관련해서 세종대왕의 음악적 재능을 보여준 일화가 있는데 박연이 편경과 편종을 새로이 만들고 시험연주를 했는데 이에 세종대왕은 칭찬하면서도 "다만 이칙(夷則)[4] 1매(枚)가 그 소리가 약간 높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 라고 물어 박연이 확인해보니 과연 그 자리는 아직 미처 다 갈리지 않아 먹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다시 갈고 연주했더니 그제서야 소리가 바르게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