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0 02:47:45

카바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채소에 대한 내용은 카사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아시아의 체명악기
동아시아 목어 · 목탁 ·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동남아시아 떠릉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유럽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아프리카 마림바 · 음비라(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아메리카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지역 공통
셰이커 · 주즈하프
막명​악기 아시아의 막명악기
동아시아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중앙아시아 도이라
남아시아 타블라 · 바얀
서아시아 다르부카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유럽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아프리카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쿠이카 · 랄리 · 티파
타현악기
양금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기명악기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1 {{{#00adc7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00adc7 }}} 악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메리카
타악기 <colcolor=#000,#fff>구이로 · 글라스 하모니카 · 레인스틱 · 마라카스 · 비브라폰 · 봉고 · 스틸팬 · 워터폰 · 카바사 · 카시롤라 · 카혼 · 쿠이카 · 클라베스 · 피들스틱
현악기 만돌린 · 밴조 · 베림바우 · 차랑고
오세아니아
관악기 디저리두
타악기 랄리 · 티파 · 파테
현악기 우쿠렐레 · 벨렘바오투얀 }}}}}}}}}

파일:mc6000-01.jpg

1. 개요2. 연주법

1. 개요

포르투갈어 : cabaça
영어 : cabasa

라틴 타악기의 종류. 포르투갈어로 표주박이란 뜻으로 체명악기이며 무율 타악기이다.

기원이 되는 악기는 서아프리카의 아그베(Agbe)로 그 지역마다 부르는 명칭이 조금씩 다르다. 라틴 아메리카에 전파되어선 체케레(chekeré), 아게(aggué)[1], 세케레(xequerê), 아폭세(Afoxé)[2] 등으로 불린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선 카바사와 체케레를 구분하는데, 이는 카바사가 위에서 언급한 타악기를 기반으로 새로이 개발된 악기이기 때문이다. 세계대전이 종식되고 냉전시대에 접어들면서 미국 재즈계는 보사노바 열풍에 빠지는데 60년대 미국과 쿠바 간 무역이 단절되며 정통 라틴 악기를 수입할 무역로가 끊기게 됐다. 이에 1964년 타악기 전문 제조사 'Latin Purcussion' 사가 설립되고 이를 필두로 미국 내 자체적인 라틴 타악기 생산을 시작했다. 이 시기 LP사의 설집자인 '마틴 코헨(Martin Cohen)'이 대량 생산 가능한 방향으로 고안한 게 현대의 카바사다.

버스킹을 다니는 길거리 뮤지션들에게는 비교적 익숙한 악기인데, 버스킹 퍼커션의 주류인 카혼 악세사리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실내악에서도 자주 쓰이는 편인데, 식물성 재질이 아닌 금속 재질의 몸체와 볼 체인으로 소리를 내 훨씬 또렷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소리를 내는 셰이커마라카스 또한 사용되나 연주 방법면에서 더 유연하게 사용 가능하다.

악기는 마이너하지만 초보자가 다루기 쉽고[3] 소리가 분명하며 연주법 또한 다양해 음악치료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2. 연주법



[1] 체케레와 아게는 쿠바에서의 명칭.[2] 셰케레와 아폭세는 브라지에서의 명칭. 단, 이 둘의 경우 크기에 따라 구분해 부르는데 조금 더 작은 쪽이 아폭세다.[3] 셰이커마라카스의 경우 몸체 안에 든 씨앗 또는 구슬을 직접 손으로 만져가며 조작할 수 없는 탓에 제대로 된 소리를 내기 위한 숙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