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08:52:55

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파일:대한민국 천주교 상징.svg 한국천주교 교구
서울관구 서울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대구관구 대구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광주관구 광주 · 전주 · 제주
교황청 직속 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밑줄: 대교구
※ 위 첨자: 침묵의 교회

한국천주교 주교좌 성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서울관구
서울대교구 인천교구 수원교구 의정부교구 춘천교구
명동대성당 답동대성당 정자동성당
조원동성당
의정부성당 죽림동성당
서울관구 대구관구
원주교구 대전교구 대구대교구 부산교구 안동교구
원동성당 대흥동성당 계산대성당
범어대성당
남천성당
중앙성당
목성동성당
대구관구 광주관구
마산교구 청주교구 광주대교구 전주교구 제주교구
양덕성당 내덕동성당 임동대성당
북동성당
중앙성당 중앙성당
교황청 직속
군종교구
국군중앙성당
}}}}}}}}}||


파일: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전경.jpg
성당 전경

파일: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내부.jpg
성당 내부

파일: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제대.jpg
성당 제대

파일: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미사전례 모습.jpg
주일미사 모습
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Parroquia San Juan Nam
Comunidad Católica Coreana en Paraguay
교구 천주교 아순시온대교구
주보성인 성 남종삼 세자요한
E-Mail [email protected]
주임사제 오창영 바오로 신부
사목회장 조기만 파우스티노
본당의 날 9월 20일
신자 수 약 1천여명
소재 남아메리카, 파라과이, 아순시온
주소 Magallanes 2045 C/ Campo Vía,
Bo. San Vicente
Asunción Paraguay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전례 시간표
2.1. 미사시간2.2. 고해성사
3. 역대 주임 신부4. 연혁5. 성전 건축물/교회시설6. 대중문화 속에서
6.1. 다큐멘터리

1. 개요

성 남종삼 요한 성당(Parroquia San Juan Nam)은 파라과이의 수도 아순시온에 있는 한인 성당이다. 이 성당은 파라과이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위한 본당이므로 이곳에서는 전례(미사를 비롯한 일곱 성사)가 한국어로 거행된다.

파라과이 아순시온대교구(Arquidiócesis de la Santísima de Asunción)가 이 성당을 관할하지만,[1] 성당의 사목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에서 파견된 사제가 한다. 시우다드델에스테(Ciudad del Este), 엥카르나시온(Encarnación), 페드로후안카바예로(Pedro Juan Caballero) 등 한인들이 거주하는 도시에 공소를 두고 있다.

주보성인인 남종삼 요한은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 박해로 서소문 밖에서 참수형을 받은 순교자이다.

2. 전례 시간표

2.1. 미사시간

2.2. 고해성사

3. 역대 주임 신부

<rowcolor=#FFFFFF> 순서 사진 이름과 세례명 재임기간
초대 파일:하비에르 미로 신부.jpg Rvdo. Francisco Javier Miró
(하비에르 미로)[2]
1968-1969. 10
1976. 7.-1980. 1.
제2대 파일:진성만 베드로 신부.jpg Rvdo. Pedro Chin
(진성만 베드로)[3]
1980. 1.-1983. 2.
제3대 파일:양덕배 요한 신부.jpg Rvdo. Juan Yang
(양덕배 요한)[4]
1983. 2.-1985. 11.
제4대 파일:민정식 라파엘 신부.jpg Rvdo. Rafael Fernandes Maquieira
(민정식 라파엘)[5]
1985. 4.-2002. 9.
제5대 파일:카를로스 하비에르 미란다 신부.jpg Rvdo. Carlos Javier Miranda Encina
(카를로스 하비에르 미란다)[6]
2002. 9.-2003. 3.
제6대 파일:차광철 베다 신부.jpg Rvdo. Beda Cha Kwang-Chul
(차광철 베다)[7]
2003. 3..4.-2006..1. 17.
제7대 파일:안영배 요한 신부.jpg Rvdo. John An Young-Bae
(안영배 사도 요한)[8]
2006. 2.-2010. 2. 14.
제8대 파일:양호준 델피노 신부.jpg Rvdo. Delphinus Yang Ho-Jun
(양호준 델피노)[9]
2010. 3. 1.-2013. 9. 4.
제9대 파일:김춘수 이냐시오 신부.jpg Rvdo. Ignacio Kim
(김춘수 이냐시오 로욜라)[10]
2013. 9. 4.-2014. 9. 4.
제10대 파일:정도영 베드로 신부.jpg Rvdo. Petrus Jeung Do-young
(정도영 베드로)[11]
2015. 2. 25.-2019. 2. 10.
제11대 파일:박재식 토마스 신부.jpg Rvdo. Thomas Park Jea-Sik
(박재식 토마스)[12]
2019. 2.10.-2022. 3.20.
제12대 파일:오창영 바오로 주임 신부.jpg Rvdo. Pablo Chang Young Oh
(오창영 바오로)[13]
2022. 8. 10.-현재

4. 연혁

5. 성전 건축물/교회시설

한국에서 오랜 생활을 했으며 건축에 조예가 깊은 스페인 신부가 건축 설계를 해 파라과이에선 오히려 이국적으로 보인다.

성당 정면 왼측에 성모동굴[15]이 위치해 있으며, 오른편으로 주보성인 성남종삼 세자요한의 흉상이 있다. 성당 안쪽으로 고인이 된 신자들을 위한 영안실과 안치시설인 봉안당(납골당)이 있다.

가톨릭센터 건물에 포함된 시설로는 사제관과 교우 공동체가 함께 식사할 수 있는 식당, 교리 교실, 레지오 회합실, 제단체 회의실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한인 교우들의 여가선영을 위해 베드민턴 코트 등으로 이용 되거나 본당 주관으로 개최하는 바자회와 같은 행사들이 개최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파일:재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봉안당 01.jpg
봉안당

파일:재파라과이 한인천주교회 성남종삼요한성당 봉안당 02.jpg
봉안당

6. 대중문화 속에서

파라과이에서 소리 없이 착한 사람으로 살았던 김용현씨의 다큐멘터리의 촬영장소가 되었다.

6.1. 다큐멘터리


[1] 아순시온대교구 홈페이지 참조.[2] 출생: 1920년(스페인 Alicante) / 스페인 내전 참전 / 사제 수품: 1950년 / 살레시오회 소속 / 70년간 파라과이 선교활동 / 사망일: 2002. 9. 24 (향년 82세)[3] 1915년, 경상남도 거제시 출생 / 예수회 입회: 1940년 / 사제 수품: 1949년 / 일본 오노다본당 주임 / 광주대건신학대학 강사 / 서울 명동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지도 / 예수회 말씀의 집 원장 / 성모병원 원목 / 인천교구 영종본당 사목 / 사망일: 2008. 8. 2. (향년 93세)[4] 1936. 4. 평안남도 진남포시 출생 / 부산교구 / 사제 수품: 1966. 12. 16. / 경북 성주본당 보좌 / 장승포·청학본당 주임 / 부산교구 재경부장 / 서대신·월평·삼랑진·구포·김해본당 주임 / 제주 서귀포본당 주임 / 미국 마이애미 한인본당 주임 / 반여·양정본당 주임 / 푸른군대 교구 지도신부 / 가야·주례·사상·야음·송도·금정·동항본당 주임 / 사망일: 2012. 1. 3. (향년 76세)[5] 1930. 5. 2. 스페인 출생 / 살레시오 수도회 소속 / 마산교구 고현성당 초대 주임 / 국민훈장 숭례장 포상 / 2011. 3. 3. 사망 (향년 81세)[6] 사제 수품: 1994. 4. 10. / 파라과이 Fuerza Aérea Paraguaya (공군부대) 군종 신부[7] 안동교구 / 사제 수품: 1998. 6. 24. / 축일: 5. 25. / 교정사목위원회 / 문경대학교 가톨릭학생회 담당 / 점촌동 본당 주임 / 진보본당 주임[8] 안동교구 / 사제 수품: 2002. 7. 5. / 축일: 12. 27. / 가톨릭 농민회 (농민 사목 전담) 담당 / 우리농촌살리기 운동본부 담당 / 우리농 생활공동체 담당 / 한국가톨릭농민회협의회 담당사제[9] 안동교구 / 사제 수품: 1998. 6. 24. / 축일: 12. 24. / 골롬반회 지원사제 / 영양본당 주임 / 점촌 보좌 / 가톨릭상지대학교 교목실 담당 / 남성동 본당 주임 / 안계 본당 주임[10] 안동교구 / 남성동본당 보좌 / 사벌퇴강본당 주임 / 영양성당 주임[11] 안동교구 / 사제 수품: 2000. 6. 29. / 축일: 6. 29. / 풍양농촌선교 본당주임 겸 농민사목전담 / 여우목 성지와 옛교우촌 담당 / 진안리 성지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사망지) 담당/ 마원성지 담당[12] 안동교구 / 사제 수품: 1997. 7. 25. / 축일: 7. 3. / 페루 선교 / 사벌퇴강본당 주임 / 네바다 라스베가스 성 정하상 바오로성당 주임[13] 대구대교구 / 사제 수품: 2011. 6. 23. / 축일: 6. 29. / 성주본당 보좌 / 신서성당 보좌 / 볼리비아 선교 / 산타크루즈 Nuestra Señora de Aparecida 본당 주임[14] 한국/중남미 사제: 최창호 야고보, 김현섭 요셉, 오창영 바오로, 송준민 안토니오, 배영인 바오로, 김현준 베네딕토, 이재호 가브리엘, 정재훈 가브리엘 / 북미 사제: 김성래 하상 바오로 (볼티모어), 이종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몬트레이), 이영승 아우구스티노 (네쉬빌), 박재희 세례자 요한 (클리브랜드), 서대원 스테파노 (페이엣빌), 권호섭 스테파노 (그린즈버러), 장승희 라이문도 (엘에이), 한덕현 파비아노 (클리브랜드)[15] 성모동굴은 성모 마리아 상이 모셔져 있는 작은 동굴을 뜻한다. 성모 신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로, 천주교 신자들이 기도하고 신심 행사를 거행하는 곳이다. 성모동굴은 박해의 시대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어두운 동굴 속으로 들어가야 했던 초기교회 신자들을 이끌어준 성모에 대한 신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