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1:05:20

시우다드델에스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52b12 70%, #d52b12 80%, #FFFFFF 80%, #FFFFFF 90%, #0038a9 90%, #0038a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수도(Distrito Capital)
파일:아순시온 시기.svg
아순시온
동부 주(Departamento)
파일:콘셉시온주기.jpg 파일:산페드로주기.svg 파일:코르디예라주기.svg 파일:과이라주기.svg
콘셉시온
[[콘셉시온|파일:콘셉시온시장.png
콘셉시온
]]
산페드로
[[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파일: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시장.png
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
]]
코르디예라
[[카쿠페|파일:카쿠페시장.png
카쿠페
]]
과이라
[[비야리카|파일:비야리카시장.png
비야리카
]]
파일:카과수주기.svg 파일:카사파주기.svg 파일:이타푸아주기.png 파일:미시오네스주기.svg
카과수
[[코로넬오비에도|파일:코로넬오비에도시장.png
코로넬오비에도
]]
카사파
[[카사파|파일:카사파시장.png
카사파
]]
이타푸아
[[엥카르나시온|파일:엔카르나시온시장.png
엥카르나시온
]]
미시오네스
[[산후안바우티스타(파라과이)|파일:산후안바우티스타시장.png
산후안바우티스타
]]
파일:파라과리주기.svg 파일:알토파라나주기.png 파일:센트랄주기.svg 파일:녬부쿠주기.jpg
파라과리
[[파라과리|파일:파라과리시장.png
파라과리
]]
알토파라나
파일:시우다드델에스테시장.png [[시우다드델에스테|
시우다드델에스테
]]
센트랄
[[아레과|파일:아레과시장.png
아레과
]]
녬부쿠
[[필라르|파일:필라르시장.png
필라르
]]
파일:아맘바이주기.svg 파일:카닌데유주기.svg
아맘바이
[[페드로후안카바예로|파일:페드로후안카바예로시장.png
페드로후안카바예로
]]
카닌데유
[[살토델과이라|파일:살토델과이라시장.png
살토델과이라
]]
서부(차코) 주(Departamento)
파일:프레시덴테아예스주기(신).png 파일:알토파라과이주기.png 파일:보케론주기.svg
프레시덴테아예스
[[비야아예스|파일:비야아예스시장.png
비야아예스
]]
알토파라과이
[[푸에르테올림포|파일:푸에르테올림포시장.png
푸에르테올림포
]]
보케론
[[필라델피아(파라과이)|파일:필라델피아시장.png
필라델피아
]]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의 도시
파일:알토파라나주기.png 알토파라나주의 주도 · 최대도시
시우다드델에스테
Ciudad del Este | Táva Kuarahyresẽme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시우다드델에스테시기.png 파일:시우다드델에스테시장.png
<rowcolor=#fff> 시기(市旗) 시장(市章) }}}
<nopad>
위치
<colbgcolor=#6da888><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라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라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토파라나
면적 149㎢
하위 행정구역 44개 구
별명 Ciudad Jardín
인구 도시 325,819명 (2022)
광역 578,920명 (2022)
인구 밀도 2282명/km²
시간대 UTC-03:00 (PYT)[1]
한국과 시차 -12시간
기후 온난 습윤 기후(Cfa)
1인당
평균 소득
$13,900 (2023)
GDP $4억 7천 (2023)
시청 소재지 F9PP+C6, Av. Pioneros del Este y, Cd. del Este
시장 <colbgcolor=#fff,#191919> 미겔 프리에토
시의회[2]
(12석)
[3] 6석
<colbgcolor=#fff,#191919>

[[콜로라도당(파라과이)|
콜로라도당
]][4]
5석


[[정통급진자유당|
정통급진자유당
]][5]
1석
우편번호 100101~100185
지역번호 061
언어 스페인어, 과라니어, 포르투갈어[6]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mcde.gov.py/las-calles-de-ciudad-del-este-ya-muestran-un-interesante-movimiento-desde-el-pasado-fin-de-semana-por-la-llegada-de-la-megaliquidacion-_595_355_102256.jpg

1. 개요2. 치안3. 교통4. 기타

1. 개요

파라과이 제2의 도시이자 알토 파라나 주의 주도이다. 국토의 동쪽 끝에 있는데 이름도 그에 걸맞게 "동쪽의 도시"라는 뜻이다.

독재자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가 지은 체제선전성 도시였으며, 자기 이름을 대놓고 붙인 "푸에르토 프레시덴테 스트로에스네르[7])"였다. 하지만 1989년 스트로에스네르 축출 이후 지금의 이름으로 다시 바뀌었다.

2. 치안

파라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만나는 삼국 접경지라는 특성상 지리적 요충지이자 남미 밀수 범죄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상반된 정체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

일반적인 치안 면에서는 파라과이 치안이 중남미에서 나은 것치고는 좋진 않은 편이다. 특히 오토바이를 이용한 무장강도(Motochorros)는 이 도시의 상징처럼 여겨질 정도인데, 2인 1조로 탄 범죄자들이 인적 드문 골목이나 시내 버스 정류장 등에서 갑자기 나타나 총기를 들이대고 휴대폰, 지갑, 가방 등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피해자는 반항할 틈도 없이 빼앗기고, 저항하면 실제로 발포하는 일도 발생한다. 이는 밤낮을 가릴 것 없이 발생하기에 특히 심각하다. 게다가 외국인 관광객은 지역 주민보다 더 자주 타겟이 된다. 일부 범죄자들은 쇼핑몰 입구, 환전소, ATM 근처에 상주하며 외국인 고객을 노리는 수법을 쓴다. 여권, 외화, 고가의 전자기기 등을 소지하고 다닐 경우 더욱 위험하다.

이 외에도 외국인을 노리는 차량 유리창 깨기 후 절도, 쇼핑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조직적 소매치기, 브라질 범죄자들의 도피처 역할을 하는 불법 은신처 등 강도, 절도, 사기, 인신매매 등 모든 종류의 범죄가 전방위적으로 발생한다.

방문 시에는 주의가 필수적인데, 현금 소지는 최소화하되 중남미 특성상 강도에게 줄 최소의 금품은 남겨야하며, 고가의 스마트폰은 숙소에 두고 현지에서 선불폰을 구매하여 다니는 것이 좋다. 또한 중남미 어느 국가나 그렇듯이 Uber 등 콜택시가 권장되며 의심되는 택시는 강도 위험이 크기 때문에 타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오후 6시 이후에는 특히 시장 근처를 가지 않는 것이 좋으며, 브라질 국경 다리 인근 환전소 이용 시에는 주변 감시가 필요하다.

물론 브라질이나 온두라스 같은 다른 중남미 국가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낫다만, 소매치기 정도만 조심하면 되는 아순시온이나 엥카르나시온 등 파라과이 내의 다른 도시들과 동일한 수준의 치안 감각으로 방문했다가는 큰코 다칠 수 있다. 실제로 이과수 폭포를 방문할 때도 델에스테로 넘어가는 것은 잘 추천되지 않는다.

파라나 강을 사이에 둔 다리 하나만 건너면 바로 브라질의 포즈두이과수로 갈 수 있기 때문에 브라질과의 국경을 통한 불법 거래가 활발하며, 마약, 무기, 담배, 전자제품, 외화 등 온갖 밀수품이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오간다. 이런 상황은 범죄 조직에게는 천국과 다름없고, 법 집행 기관에게는 악몽이다. 똑같이 밀매가 많은 콘셉시온이나 다른 국경 도시들과 비교했을 때 밀매의 분야와 밀수량이 훨씬 더 많다.

볼리비아 등에서 생산된 코카인과 마리화나가 파라과이의 그란 차코를 통해 브라질, 유럽, 아프리카로 흘러가는 주요 중간 경유지이며, 특히 브라질의 PCC(Primeiro Comando da Capital), Comando Vermelho(CV) 등의 대형 범죄조직뿐 아니라, 콜롬비아 카르텔, 볼리비아 조직, 심지어 멕시코 시날로아 카르텔까지 이 지역에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헤즈볼라 같은 국제 테러 조직도 이 지역에서 활동한 전적이 있다. 2000년대 초반, 이란-레바논계 무역업자들이 이곳에서 다량의 외화를 획득해 중동으로 송금하고 있다는 보고가 미국 재무부와 인터폴을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 실제로 이 지역은 국제 금융 범죄, 자금세탁, 신분세탁, 위조문서 제작 등의 불법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일종의 회색지대로 간주되고 있다.

더불어서 시우다드델에스테는 중남미 최대의 무기 밀수 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일부 전자기기 매장은 사실상 무기 거래 중개소 역할을 하기도 하며, 군용 무기나 개조 권총 등이 은밀히 거래된다. 국제 NGO 보고서에 따르면, 이 도시를 통해 흘러들어간 무기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빈민가 파벨라에서 사용된 사례도 있다.

2024년 3월 범죄율 급증으로 인해 30일간의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순시온에서 약 200명의 경찰 병력이 파견되었으며, 이전에 관측되지 않았던 수준으로 강도가 늘어났다. 아순시온에서는 특수경찰 병력 200명 이상이 파견되었고, 시우다드델에스테에선검문소 강화, 통금시간 적용, 국경 감시 드론 도입, 일시적 상점 폐쇄조치 등 과감한 대응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비상사태가 끝나면 원래대로 돌아갈 뿐이라며 근본적인 구조 문제, 즉 부패, 사법 시스템, 밀수 통제력 부재 등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이 많이 나왔다.

3. 교통

지하철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버스 노선망은 존재한다.

도로 교통 상황은 아순시온보다는 나은 편이다. 일단 1945년에 건설된 도시로 수백년 전 건설된 아순시온에 비해 최근에 건설된 도시이기도 하며, 도시 당국에서도 주요 교차로에 고가도로를 건설하는 등 인프라 개선을 통해 교통 상황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택시는 일반 택시와 앱택시가 있으나 비용면에서 앱 택시가 훨씬 저렴하다. 현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앱으로는 우버, Bolt, Yango, Muv 등이 있다.

보통 시우다드델에스테에 오기 위해서는 브라질/아르헨티나에서 육로로 입국하거나 아순시온에서 비행기/차를 타고 오게 된다.

4. 기타

브라질과의 접경지역으로 주민들은 대학이나 직장을 브라질로 가는 경우가 많다. 반면 브라질에서도 낮은 물가로 인해 쇼핑여행을 많이 온다. 국경 다리 바로 옆에 쇼핑 델 에스테라는 쇼핑몰이 있는데, 브라질에서 쇼핑 여행을 오는 사람들을 겨냥한 명품샵과 전자제품 판매점으로 떡칠되어있다.

남미 특유의 교통과 도로상황에 맞물려서 오전 시간은 출근지옥 그 자체다보니 오토바이 택시라는 독특한 교통수단도 인기가 많다. 파라과이에서 이과수 폭포를 가는 통로이기도 하다.

중화민국(대만) 총영사관이 있다. 수교국이 12개국에 불과한 중화민국이 가진 유일한 총영사관이다.

파라과이의 제2의 도시로서, 대한민국부산이나 스페인바르셀로나와 비슷한 위치이다.


[1] 2024년부터 서머타임 미실시.[2] https://radioconcierto.com.py/2021/10/11/los-nuevos-concejales-de-ciudad-del-este/[3] 발레리아 로메로, 오스카 곤살레스, 세바스티안 마르티네스, 페드로 아쿠냐, 빅토르 토랄레스, 알리손 아니시모프 데 아게로[4] 엑토르 게린, 리차드 알폰소, 페데리코 곤살레스, 하이메 멘데스, 리스 마리아 페레이라[5] 마리아 포르티요[6] 공용어는 아니나 브라질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많이 쓰인다.[7] 스트로에스네르 대통령의 항구라는 뜻이다. 내륙국인데 왜 항구냐 하면, 도시 북동쪽에 파라나 강과 아카라이 강을 끼고 있다. 거기에 동파라나 강 쪽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는 파라나 강을 끼고 있어 진출 가능하다. 서울항과 유사한 하항(河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