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4:47:08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어스라이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파일:어스라이즈 로고.png

1. 개요2. 특징3. 제품 목록
3.1. 배틀 마스터
3.1.1. 웨이브 13.1.2. 웨이브 23.1.3. 웨이브 3
3.2. 마이크로마스터
3.2.1. 웨이브 13.2.2. 웨이브 23.2.3. 웨이브 3
3.3. 디럭스
3.3.1. 웨이브 13.3.2. 웨이브 23.3.3. 웨이브 3
3.4. 보이저
3.4.1. 웨이브 13.4.2. 웨이브 23.4.3. 웨이브 3
3.5. 리더
3.5.1. 웨이브 13.5.2. 웨이브 2
3.6. 커맨더3.7. 타이탄3.8. 한정판
3.8.1. 아마존3.8.2. 월그린3.8.3. 해즈브로 펄스3.8.4. 타깃3.8.5. 사이버트로니안 빌런즈 (타깃)3.8.6. 갤럭틱 오디세이 (아마존)
4. 외부링크

1. 개요

War for Cybertron: Earthrise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アースライズ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어스라이즈 완구화 시리즈의 제품 목록을 다루는 문서.

2. 특징

파일:워포사 어스라이즈 일러스트.jpg
라인업 첫 공개 당시 일러스트

시즈의 후속 라인업으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전개됐다. 클래스는 그대로 배틀마스터, 마이크로마스터, 디럭스, 보이저, 리더, 커맨더, 타이탄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어스'라이즈라는 이름인 만큼 '시즈'와는 달리 사이버트론 비클이 아닌 지구의 비클을 스캔한 형태를 하고 있다.[1]

어스라이즈부터는 전작의 제품을 박스만 바꿔서(리패키지) 재판하는 경우가 생겼다. 타카라토미 판은 이 라인업부터 대부분의 제품들을 타카라토미몰 한정판으로 판매한다.

3. 제품 목록

정발된 제품들은 (*)표시
국내에 인증은 받았으나 정발되지 않은 제품은 (@)표시
일본판 넘버링은 []표시

3.1. 배틀 마스터

시즈의 배틀 마스터와 다르게 도로로 변신하고, 여러 개를 이어 도시처럼 꾸밀 수 도 있다.

3.1.1. 웨이브 1

파일:사운드배리어.jpg
* WFC-E1: 사운드배리어
방패로 변신하며 모듈레이터에 연결하여 도로로 활용할 수 있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출시되었다.
파일:transformers-war-for-cybertron-earthrise-WFC-E2-battlemaster-smashdown-box-package_1024x1024.webp
* WFC-E2: 스매시다운
WFC-S31 배틀 마스터 스매시다운의 리패키지 제품.

3.1.2. 웨이브 2

파일:슬리터팽.jpg
* WFC-E13: 슬리터팽
일본은 타카라토미몰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오토봇이나 디셉티콘이 아닌 쿠인테슨 소속 캐릭터이다.
파일:WFC-E14 배틀 마스터 렁 패키지.jpg
* WFC-E14: 렁
WFC-S45 배틀 마스터 렁의 리패키지 제품.

3.1.3. 웨이브 3

파일:더블크로서.jpg
* WFC-E39: 디셉티콘 더블크로서
머리가 두 개 달린 캐릭터로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이다. 이름처럼 교차로 형태의 방패로 변신한다.

3.2. 마이크로마스터

3.2.1. 웨이브 1

파일:WFC-E3 마이크로마스터 핫로드 패트롤 트립-업.jpg파일:WFC-E3 마이크로마스터 핫로드 패트롤 대디-오.jpg
트립-업 오토봇 대디-오
파일:WFC-E4 마이크로마스터 밀리터리 패트롤 봄쇼크.jpg파일:WFC-E4 마이크로마스터 밀리터리 패트롤 그라울.jpg
봄쇼크 디셉티콘 그라울

3.2.2. 웨이브 2

파일:WFC-E15 마이크로마스터 레이스 트랙 패트롤 롤러 포스.jpg파일:WFC-E15 마이크로마스터 레이스 트랙 패트롤 그라운드 호그.jpg
롤러 포스 디셉티콘 그라운드 호그
파일:WFC-E16 마이크로마스터 아스트로 스쿼드 푸저.jpg파일:WFC-E16 마이크로마스터 아스트로 스쿼드 블래스트 마스터.jpg
푸저 오토봇 블래스트 마스터

3.2.3. 웨이브 3

파일:reduced-image_17676_2_1602180763.png
* WFC-E40: 디렉트-힛, 파워 펀치 (배틀 스쿼드)
WFC-S47 마이크로마스터 디렉트-힛, 파워 펀치의 리패키지 제품이다.

3.3. 디럭스

시즈의 웨포나이저는 어스라이즈에서는 '모듈레이터'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본래 마이크로마스터 제품에 들어있는 건물이었지만 어스라이즈에서는 건물이 마이크로마스터의 이름을 붙이고 새롭게 로봇 모드도 추가되었다.

건물로 변신하는 모듈레이터와 도로로 변신하는 배틀마스터, 기타 제품의 조인트를 연결해 도시를 연출해줄 수 있다.

3.3.1. 웨이브 1

파일:어스라이즈-디럭스-호이스트.jpg
* WFC-E5: 호이스트 (*)
원작의 토요타 하이럭스와 비슷하게 생긴 가상의 차량으로 변신한다.
디럭스치고 키가 매우 큰데, 작은 보이저인 스타스크림과 별차이가 나지않는정도, 제품자체는 비클모드시 밑에 팔이 대놓고 보이는 것을 제외하면 매우 잘나왔다는 평이 대다수
파일:WFC-E6 디럭스 클래스 휠잭.jpg
* WFC-E6: 휠잭 (*)
원작의 란치아 스트라토스 터보와 비슷한 가상의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비클 전체에 데칼이 있는데 일본어로 사이버트론이라고 적혀있는등 오마주스러운 데칼들이 곳곳에 보인다.
파일:WFC-E7 디럭스 클래스 클리프점퍼.jpg
* WFC-E7: 클리프점퍼 (*)
원작의 포르쉐 924 터보와 비슷한 가상의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오랜만에 범블비의 색놀이에서 벗어난 고유의 조형으로 나왔으며[2], 다만 변형 기믹이 완벽하지 않아 로봇 모드로 변형할 때 차량 뒷부분을 탈착해야 한다. 그 말은 즉 부분 변형이기 때문에 파츠없이 완전 변형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아쉬운 퀄리티. 이 때문에 호불호가 다소 갈린다. 분리한 차 뒷부분은 방패처럼 손에 쥐어주거나 위 사진처럼 등에 끼울 수 있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파일:WFC-E8 디럭스 클래스 아이언웍스.jpg
* WFC-E8: 아이언웍스 (모듈레이터) (*)

3.3.2. 웨이브 2

파일:WFC-E17 디럭스 클래스 알시.jpg
* WFC-E17: 알시 (*)
로봇 모드는 늘씬한 알시의 모습을 잘 살렸다. 그러나 펨봇의 특성상 등짐이 어마무시하며, 등짐을 뗀 후 그 잉여 부품은 소위 '호버보드'로 퉁치는 등 처리가 미흡하기 때문에 혹평이 가득하다.
파일:WFC-E18 디럭스 클래스 에어웨이브.jpg
* WFC-E18: 디셉티콘 에어웨이브 (모듈레이터) (*)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파일:WFC-E19 디럭스 클래스 쿠인테슨 앨리콘.jpg
* WFC-E19: 쿠인테슨 앨리콘 (*)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파일:WFC-E20 디럭스 클래스 스모크스크린.jpg
* WFC-E20: 스모크스크린 (*)
원작의 닛산 280Z 레이싱카와 비슷한 가상의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3.3.3. 웨이브 3

파일:어스라이즈-디럭스-트레일브레이커.jpg
* WFC-E34: 트레일브레이커 (*)
호이스트의 리툴 제품. 호이스트와 마찬가지로 원작의 토요타 하이럭스와 비슷한 가상의 차량으로 변신한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파일:WFC-E35 디럭스 클래스 패스트트랙.jpg
* WFC-E35: 디셉티콘 패스트트랙 (*)
원본은 스콜포녹에 동봉된 제품. 스콜포녹에게 창으로 변신하여 쥐어줄 수 있다.
파일:어스라이즈-디럭스-썬스트리커.jpg
* WFC-E36: 썬스트리커 (*)
원작의 람보르기니 쿤타치와 유사한 가상의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제품
파일:WFC-E37 디럭스 클래스 러너먹.jpg
* WFC-E37: 러너먹 (*)
원작의 폰티악 파이어버드 트랜스 앰과 비슷하게 생긴 가상의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3.4. 보이저

3.4.1. 웨이브 1

파일:어스라이즈 스타스크림.jpg
* WFC-E9: 스타스크림 (*)
구조자체는 과거 헨케이 스타스크림의 조형을 증강개수한 느낌이다.
원작의 F-15와 비슷한 전투기로 변신한다. 신금형이지만 2003년 클래식 디럭스 조형의 자체 증강판에 가까울 정도로 전체적인 변신 과정 등 많은 부분을 참고한 디자인이며, 사이즈가 커진 만큼 목, 발목, 날개 등에 관절이 추가되었다. 깔끔한 변신 과정도 호평을 받았다. 다만, 가동률이 시즈에 미치지 못하며, 허리 회전이 안되고, 몸통이 통째로 하단으로 이동해서 비클 아랫부분은뚱뚱한 모습이며 빨간 도색이 된 부분이 랜딩 기어 없이 그대로 땅바닥에 닿기 때문에 도색이 까질 염려도 있다. 또한 콕핏 부분이 통째로 등짝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등 뒤가 상당히 못생겼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파일:WFC-E10 보이저 클래스 그래플.jpg
* WFC-E10: 그래플 (*)
원작의 미쓰비시 후소 T951 크레인과 비슷하게 생긴 가상의 크레인으로 변신한다. 다만 크랙이 생기는 이슈가 있다. 후에 킹덤 라인업에서 나온 인페르노 제품은 크랙 이슈가 없어졌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3.4.2. 웨이브 2

파일:어스라이즈 스냅드래곤.jpg
* WFC-E21: 디셉티콘 스냅드래곤 (*)
원작에서 에이프페이스와 함께 호러콘의 일원이었던 헤드마스터이자 트리플 체인저이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3.4.3. 웨이브 3

파일:어스라이즈 쿠인테슨 판사.jpg
* WFC-E22: 쿠인테슨 판사 (*)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파일:WFC-E38 보이저 클래스 메가트론.jpg
* WFC-E38: 메가트론 (*)
시즈 메가트론의 리툴 제품. 얼굴이 좀 구수하고[3] 주포를 무장으로 장착하는 방식이 시즈 때보다 성의없어져서 호불호가 갈린다. 그래도 시즈의 목 부분 문제점은 해결되었다.

3.5. 리더

3.5.1. 웨이브 1

파일:WFC-E11 리더 클래스 옵티머스 프라임.jpg
* WFC-E11: 옵티머스 프라임 (*)
원작의 프레이트라이너트럭과 닮은 가상의 트럭으로 변신한다. 역대급으로 잘나온 G1 옵티머스중 하나로 꼽을 정도로 잘왔다는 평이 많다. 본체는 보이저급이지만 리더급으로 판매되었는데, 정말 간만에 전개 가능한 트레일러가 동봉되어 있기 때문. 가슴을 열면 매트릭스도 들어 있다. G1 디자인을 잘 재현하면서 가동률도 뛰어난 수준이기 때문에 평가가 굉장히 좋다. 단, 일반판에선 도끼와 롤러는 없고 온라인 독점으로 판매하는 무기 웨폰 팩으로 별도로 판매한다.
호평을 많이 받아서인지 어스라이즈 웨이브 2에서 재판, 킹덤에서 리패키지 재판, 넷플릭스버전으로 재도색, 섀터드글래스버전으로 재도색해서 재판 2번에 색놀이도 벌써 2번이나 했다. 심지어 트레일러(...)만 재탕해 네메시스 프라임도 나왔다.[4] 여담으로, 트랙터 앞바퀴를 제외한 나머지 바퀴들은 전부 스튜디오 시리즈 옵티머스 프라임의 바퀴를 재탕했다.[5]

파일:WFC-E12 리더 클래스 아스트로트레인 박스.jpg

3.5.2. 웨이브 2

파일:WFC-E23 리더 클래스 더블딜러.jpg
* WFC-E23: 더블딜러 (*)
해당 캐릭터의 첫 리뉴얼 제품이다. 당연하지만 트리플체인저답게 차 외에도 괴조로 변신할 수 있다. 가슴 부분에 별도로 판매하는 카세트 병사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며, 무장도 많이 있지만 다리 부분의 조인트가 쉽게 빠지는 경우가 있으며 변신 시킬 경우 옆구리 부분이 비어있는 듯한 느낌이 있다. CG 이미지에서는 오토봇 심볼이 있으나 용병으로 등장한 설정에 걸맞게 경첩을 아래로 접어 디셉티콘으로 바꿀 수 있지만 WFC 애니메이션의 용병 마크는 미구현.

3.6. 커맨더

파일:WFC-E24 커맨더 클래스 스카이 링크스.jpg
* WFC-E24: 스카이 링크스
제트파이어와 같은 커맨더급 완구로 매우 큰 제품이다. G1 완구와 애니메이션처럼 괴조와 스라소니로 분리가 가능하며, 우주왕복선 발사 기지로도 변신하는 기능도 추가되어 호평일색이다. 스라소니 몸통 내부에는 작은 피규어 하나를 수납할 수 있다. 정확히는 수납이 가능하긴 한데 트랜스포머에서 가장 작은 피규어 중 하나인 헤드마스터 피규어도 구겨넣어야 간신히 들어가는 수준이다. 여담으로, 다른 커맨더 클래스 제품들이 정발할때 혼자서만 정발하지 못했다(...) 2022년 재판되었다.

3.7. 타이탄

파일:WFC-E25 타이탄 클래스 스콜포녹.jpg

3.8. 한정판

3.8.1. 아마존

파일:리더 클래스 평행 세계 옵티머스 프라임.jpg
* 평행세계 옵티머스 프라임
WFC-E11 리더 클래스 옵티머스 프라임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으로, 트랜스포머 더 무비에서 사망해 검은색이 되어버린 옵티머스를 재현했다. 때문에 헤드 조형 자체도 원본과 다른데, 귀의 안테나 부분이 찌그러진 모습으로 되어 있다.
파일:WFC-E27 보이저 클래스 램젯.jpg파일:WFC-E27 보이저 클래스 더지.jpg
램젯 더지
파일:WFC-E31 디럭스 클래스 아이언하이드.jpg파일:WFC-E31 디럭스 클래스 프라울.jpg
아이언하이드 프라울

3.8.2. 월그린

파일:어스라이즈 블루스트릭.jpg
* WFC-E32: 블루스트릭
WFC-E20 디럭스 클래스 스모크스크린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비클모드의 단차가 벌어진다. 이 제품도 구입시 주의바람.

3.8.3. 해즈브로 펄스

파일:WFC-E33 디럭스 클래스 센추리온 드론.jpg파일:WFC-E33 디럭스 클래스 센추리온 드론 액세서리.jpg
센추리온 드론 액세서리
파일:1594916502-e8852-prod-tra-quintesson-pit-of-judgment-67488-online-300dpi-1229183-jpeg.jpg
* 쿠인테슨 핏 오브 저지먼트
-쿠인테슨 판사
-쿠인테슨 검사
-쿠인테슨 집행관
-샤크티콘
-크라닉스[6]
트랜스포 더 무비의 쿠인테슨이 재판하는 장면을 재현한 제품.
완전 신규 조형인 쿠인테슨 검사, 크라닉스와 어스라이즈 쿠인테슨 판사의 재도색, 앨리콘을 리툴한 쿠인테슨 집행관이 들어있다.
또한 박스는 쿠인테슨 행성의 집행장으로 되어있다.

3.8.4. 타깃

파일:WFC-E41 디럭스 클래스 러너바웃.jpg
* WFC-E41: 디셉티콘 러너바웃
러너먹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머리, 무장이 변경되었다. 원작에서는 로터스 에스프리로 변신하나 이 제품은 러너먹을 기반으로 재활용될 것을 고려해 비클 모드는 에스프리와 파이어버드의 디테일을 섞은 차량이 되었다. 또한, 현재 이 제품말고는 마땅한 G1 러너바웃의 제품이 적어서인지 프리미엄이 장난아니게 붙은 제품중 하나이다.

3.8.5. 사이버트로니안 빌런즈 (타깃)

파일:WFC-E26 보이저 클래스 스러스트.jpg
* WFC-E26: 스러스트
어스라이즈 스타스크림의 리툴 제품.
파일:WFC-E29 보이저 클래스 스카이워프.jpg파일:WFC-E29 보이저 클래스 썬더크래커.jpg
스카이워프 썬더크래커
파일:WFC-E30 디셉티콘 클론즈 파운스.jpg파일:WFC-E30 디셉티콘 클론즈 윙스팬.jpg
디셉티콘 파운스 윙스팬

3.8.6. 갤럭틱 오디세이 (아마존)

파일:어스라이즈 라쳇.jpg파일:어스라이즈 라이프라인.jpg
라쳇 라이프라인
파일:36a0c5e91d397d709e9999ef6d275c0f4ce07606.jpg
* Encounter 2: 마이크론 마이크로마스터
-파이어가드, 로드버너
-디셉티콘 러너, 모터헤드
-스팅레이서, 윈드스톰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바이오스페라 오토봇 클론 패스트레인.jpg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바이오스페라 오토봇 클론 클라우드레이커.jpg
패스트레인 클라우드레이커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도미너스 크리미널 퍼슈트 디럭스 클래스 바리케이드.jpg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도미너스 크리미널 퍼슈트 디럭스 클래스 펀치-카운터펀치.jpg
바리케이드 펀치 / 카운터펀치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디럭스 클래스 오버에어.jpg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디럭스 클래스 아이언웍스.jpg
오버에어 아이언웍스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푸저.jpg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블래스트 마스터.jpg
푸저 오토봇 블래스트 마스터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미사일 마스터.jpg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보트로폴리스 레스큐 미션 문락.jpg
미사일 마스터 문락

4. 외부링크



[1] 다만,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넷플릭스 범블비는 폭스바겐의 라이선스를 받아 원작의 비틀로 변신한다.[2] 어느 정도 사실이긴 하나, 나중에 범블비 또한 이 금형을 적용한 걸로 나온터라 정확히는 발매 순서가 거꾸로 된 셈이다.[3] 다만, 고증은 이쪽이 더 가깝게 나왔다.[4] 다만 역대급으로 재도색된 옵티머스는 아니다. 클래식과 마스터피스2.0 옵티머스의 재도색이 워낙 많아서(...)[5] 정확히는 5번, 32번, 44번 제품.[6] 더 무비에서 초반 유니크론에게 먹힌 행성의 생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