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11:50:54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


파일:토마스와 친구들 영문 로고(2003).svg
토마스와 친구들의 증기기관차 팀
파일:토마스와친구들증기기관차팀시즌22.png
레베카 고든 니아 제임스 토마스 퍼시 에밀리
{{{#fff {{{#!folding [ 시즌 21 이전 팀 멤버 펼치기 · 접기 ]
파일:토마스와친구들증기기관차팀시즌21.png
헨리 고든 제임스 토마스 퍼시 에밀리 에드워드
}}}}}} ||

<colcolor=#fff> 토마스
Thomas
파일:토마스와친구들CGI토마스.png
<colbgcolor=#00a3e0> 토마스와 친구들에서의 모습
{{{#!folding [ 변천사 펼치기 · 접기 ]<colbgcolor=#00a3e0> 파일:토마스와친구들원작토마스(2~15권).png <colbgcolor=#00a3e0> 파일:토마스와친구들원작토마스(16~42권).png
철도 시리즈
(2권~15권)
철도 시리즈
(16권~42권)
파일:토마스와친구들시즌9토마스모형사진.webp 파일:AEGThomas.webp
토마스와 친구들
(1984~2008)
토마스와 친구들: 함께 달리자!
(2021~2025)
}}} ||
이름 <colcolor=#000,#fff>Thomas the Tank Engine
탱크 기관차 토마스
기반 모델 LB&SCR E2 클래스 탱크 기관차[1]
성별 남성
제작년도 1915년 6월 - 9월[2][3]
출신지 잉글랜드 브라이튼
이미지 컬러
파란색(#00A3E0)
차량번호 LB&SCR 70번(2009년 이후 토마스와 친구들 한정 설정)
NWR 1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거주지 잉글랜드 브라이튼소도어 섬
소속 소도어 섬 노스 웨스턴 철도
입환 기관차 → 파파카 지선
창조자 윌버트 오드리, 크리스토퍼 오드리
데뷔 철도 시리즈 2권 "탱크 기관차 토머스[4]"
성우 파일:영국 국기.svg 벤 스몰(2009~2015)존 하슬러[5](2015~2021)
→ 애런 바라시(2021~현재)
에디 글렌(Thomas and the Magic Railroad)[6]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T. 셔먼(2009~2015)조셉 메이(2015~2021)
→ 미샤 콘트레라스(2021~2023)
→ 데이비드 콜스미스(2023~현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용우(시즌 12~시즌 24)정유정(함께 달리자! 시즌 1~현재)
조연우(용감한 기관차와 괴물소동~우정의 대모험)
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케이코(1990~2007)히가 쿠미코(2008~2021)
타나카 미나미(함께 달리자! 시즌 1~현재)
1. 개요2. 작중 행적3. 특징
3.1. 차종
4. 기타5. 타 기관차들과의 관계6. 인터넷 밈7. 여담8. 장난감9. 고속

1. 개요

Thomas is a tank engine, who lives at a big station on The Island Of Sodor, he's a cheeky little engine; with six small wheels, a short stumpy funnel, a short stumpy boiler, and a short stumpy dome.
토마스는 소도어 섬에 큰 기차역에 사는 작은 기관차에요. 꼬마기관차 토마스는 6개의 작은 바퀴, 땅딸막한 굴뚝, 뭉뚝한 보일러와 동그란 지붕을 갖고 있죠.
토마스와 친구들 시즌 1, 1화 '토마스와 고든'의 첫 내레이션.
"I want to see the world!"
"난 더 넓은 세상을 보고 싶어!"
토마스와 친구들주인공. 파란색 1번 탱크 기관차이다.

보통은 애니 & 클라라벨이라는 객차들을 끌며 자신의 지선[7]을 달리지만 종종 화물차를 끌거나 주인공인 만큼 특별 임무를 받아 일한다.

거주하고 있는 차고지는 티드머스 차고지로, 그중 중심 부분이 토마스의 차고다.[8]

2. 작중 행적[주의]

소도어 섬의 아침, 토마스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작은 몸집에 호기심이 넘치지만, 아직은 기관차로서의 경험이 부족한 신참이었다.

토마스는 들뜬 목소리로 말하며, 선배 기관차들 주위를 바삐 돌아다녔다. 하지만 너무 서두른 탓일까. 어느날, 그는 실수로 객차를 허락 없이 연결해버린다. 분노한 곤트가 외쳤지만, 이미 토마스는 출발해버린 뒤였다. 그의 실수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화물 작업을 하던 도중, 말썽꾸러기 화차들을 잘못 다루며 엄청난 혼란을 초래하고 만다. 말썽꾸러기 화차들이 서로 밀치며 토마스를 당황하게 만들자, 선배 기관차들은 혀를 찼다. 하지만 토마스는 낙담하지 않았다. 오히려 실수 속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지를 생각했다.

어느 날, 제임스가 위험에 빠졌다. 낡은 나무 브레이크에 불이 붙은채, 선로 위를 정신없이 질주하고 있었던 것이다. 토마스는 두려움을 무릅쓰고 제임스를 뒤쫓았다. 불꽃이 튀고 연기가 자욱한 그 순간, 그는 침착하게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임스를 무사히 멈춰세웠다. 그날 이후, 토마스는 소도어섬의 모든 기관차들이 인정하는 ‘쓸모 있는 기관차’가 되었다. 토팜 햇 경은 토마스에게 애니 & 클라라벨을 얻게되었다.

3. 특징

3.1. 차종

차륜배열 0-6-0 소형 탱크 기관차이며 사이드 탱크가 창착되어있다. 모티브인 LB&SCR E2 와는 달리 엄청나게 길이가 압축된 형태이며 안전 밸브나 앞계단 등 여러 요소가 빠져있다. 석탄 벙커도 원래와는 더 길며 실제와는 다르게 옆에 창문이 두개나 있으며[10] 하나인 기적 또한 두 개나 갖고 있다. 실제 기관차가 보유하지 않은 휠 아치 또한 갖고 있으며 요약하자면 실제와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원래 용도는 주로 각 철도역사나 화물 터미널의 구내에서 화차나 객차를 요리조리 단거리 이동시키는 입환기(shunter 또는 switcher라고 한다) 기관차지만 단거리 화물노선에서 뛰기도 한다. 기관차 내에 석탄과 급수 탱크를 가지로 있어서 따로 석탄차나 급수차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얼굴 양옆의 사각형 부분이 물을 담는 급수 탱크이다.

차색은 노스 웨스턴 기관차들의 표준색인 파란색이며 붉은색 줄무늬를 하고 있다. 차량 번호 1번은 밖에 붉은색 테두리를 한 노란색이다. 초기 시즌들에서는 석탄 벙커 뒤에 사각형 붉은색 줄무늬를 하고 있었지만 시즌 3 여행을 꿈꾸는 덕 편에서부터 제거된다. 이후 2015년 극장판 The Adventure Begins에서 다시 돌아온다.

The Adventure Begins[11]에서 보여진 초기 색깔은 초록색에 흰 줄무늬였으며 차량번호 70번인데, 이는 70주년을 의미한다.[12]
원식이다.

4. 기타

5. 타 기관차들과의 관계


나쁜 성격이 아니고 누군가를 대체로 무시하는 것도 아니여서 대부분과 사이가 좋다.[39]

6. 인터넷 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인터넷 밈 & 2차 창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인터넷 밈 & 2차 창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인터넷 밈 & 2차 창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영화에서는 이 조건들이 지켜졌다. 토마스는 스콧이나 대런 어느 한 쪽 편이 무기로 쓴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 전투의 배경처럼 쓰였다. 스콧이 조종하는 개미들도 토마스에게 깔려죽거나 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대런에 의해 죽었으며, 이 때 토마스를 이용하지도 않았다. 다만 1번은 조금 애매한데, 일단 대런이 토마스에게 치이긴 치였기 때문. 다만 작아졌어도 강화복을 입고 있어서 사실상 그냥 사람을 장난감 기차로 친 수준이라, 오히려 토마스가 선로에서 탈선해버리고 멀리서 보면 엄청 하찮게 보이는 개그로 나왔다. 이 정도는 괜찮았던 듯. 참고로 원래 해당 역할은 카 시리즈보안관이 출연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8. 장난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장난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장난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장난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고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속 기관차 토마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속 기관차 토마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속 기관차 토마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정확히는 물탱크가 더 확장된 후속 E2 기종이 토마스의 모티브다.[2] 토마스는 1915년에 제작되었고 기존 E2의 후속 기종으로, 물탱크가 더 확장되어 있다. 후속 기종은 105번과 106번으로 각각 1915년 6월과 9월에 제작되었다. 토마스는 이 둘 중에서 하나일 확률이 높다.[3] 하지만 네티즌들은 토마스를 LBSC 105번과 107번으로 많이 표시를 한다[4] 현재는 '토마스'라고 부르긴 하지만 원작 철도 시리즈가 처음 한국에 수입 된 년도인 1996년 당시 중앙교육연구원이 표기했던 명칭이다.[5] 뽀롱뽀롱 뽀로로 영어 더빙판에서 해설을 맡은적이 있다.[6] 초기엔 존 벨리스(John Bellis)가 연기하였으나, 테스트 상영회에서 너무 나이가 들어보인다는 의견 하에 변경되었다. 이후 에디 글렌은 토마스와 친구들 함께 달리자!에서 토비를 연기하게 된다.[7] CGI 시리즈에선 본선에서도 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8] 시즌 2에서는 가끔 티드머스 역 근처에 있는 차고지에서 퍼시와 토비랑 함께 거주하는 묘사가 나오곤 했다.[주의] 여기선 "어드벤처 비긴즈"에서의 스토리만 서술한다. 주의하도록.[10] 원래 하나다.[11] 철도 시리즈 70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2015년 단편 영화. 한국 미개봉.[12] 다만 토마스가 소도어에 온 해가 1915년이었고 그 당시 LBSC 소속 기관차들은 검은색이 주색이었다. 해당 도색 장면에서 도색을 위해서 기존칠을 벗겨내고 방수 페인트를 칠한 다음에 상징적인 파란 도색을 입히게 된다.[13] 시즌 11 '숨바꼭질' 에피소드에서는 교활하게 거짓말을 하여 숨어있는 다른 기관차를 꾀어내 찾아낸다. '75주년 기념 에피소드'에서도 '네가 친구를 찾을 수 없으면 그 친구가 나를 찾게 만드는 건 어떨까?'하면서 거인이 되고 싶다는 소원을 빌기도 했다. 또한 세계 여행 시리즈의 '미국' 편에서도 사막에서 조난을 당하자 자신의 증기를 이용해 조난 신호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생각했다. 유사하게 끊어진 철길로 들어서서 탈선하는데 주변에 헤롤드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서 증기를 내뿜어서 헤롤드가 산불을 의심하게 만들었고 그와 동시에 기적을 울려서 자신의 위치를 알린 적도 있다. 극장판 '빅 월드 어드벤처'에서 생선 화물차를 옮기라는 명령을 듣기 싫어서 몰래 고든의 객차 뒤에 생선 화물차를 옮겨놓고 혼자 다른 곳으로 가기도 했다. 그 이유가 고든이 가는 길이랑 화물차의 목적지랑 같았기 때문이라고 한다.[14] 이러한 이타적인 행동으로 사장님이 토마스에게 큰 칭찬을 해 줌과 동시에 토마스에게 고유한 지선을 배정해 주고 '애니'와 '클라라벨'이라는 객차를 끌 수 있게 해 줬다.[15] 시즌 1 '물고기 소동(Thomas goes fishing)' 편에서 물이 거의 다 떨어져 가던 토마스를 강가에 세워 기관사와 화부가 강물을 양동이로 낚시하듯이 퍼올려 토마스의 물탱크에 채워졌는데 하필 그 과정에서 물고기가 양동이에 잡혀 그대로 토마스의 물탱크 속에 들어갔는데 그 물고기가 토마스의 보일러 탱크의 구멍을 막아 고장을 냈다.[16] 시즌 4 '생선 열차(Fish)' 편에서도 토마스가 덕에게 이전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보일러 안에 물고기가 들어가면 괴롭다고 조심하는 게 좋다고 주의를 주기도 했으며, 시즌 7 '생선 냄샌 싫어!(Something fishy)' 편에서는 생선 열차를 밀고 가다가 방파제 아래로 떨어져서 아서가 생선 열차를 대신 끌어주기도 했다.[17] 사실 에피소드 전체에서 이제는 생선 열차가 잘 보이지 않는다.[18] 여담으로 사고가 나는 장면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토마스와 친구들 최초의 대형사고다. 다만 사고 장면이 보여지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면 시즌 1 '토마스와 구조열차' 편에서 제임스가 탈선한 것이 처음이다.[19] 원작에서는 섬 동쪽에 있는 큰 역인 비카스타운 역에서 일했으나 TV판에서는 본선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종착역으로 나온다.[20] 고든이나 제임스 같은 크기의 텐더 기관차가 자신들이 끌고 갈 객차들이나 화물차들을 입환하기에는 본체 뒤에 달린 탄수차 때문에 뒤로 막 달리면 탄수차가 탈선되거나 찌그러져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입환역할은 앞뒤 상관 없이 달려도 탄수차와 관련된 문제가 전혀 없는 탱크기관차가 주로 맡는 것으로 보인다.[21] 물론 본토로 가던 도중 토마스가 안개섬으로 표류한다.[22] 모형 기차 시리즈에선 기차 모형을 활용해 촬영하다 보니까 모형의 동력이 물리적으로 끌 수 있는 한계가 있었지만 CGI에선 그렇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3] 헨리는 토마스와 엮이는 일이 없는 것도 있지만, 터널 사건 때 헨리와 객차를 밀어 터널 밖으로 내보내러 온 토마스에게까지 객차까지 연결된 상태로 꿈쩍 안해 힘들게 해 민폐 끼친 적이 있었고, 고든은 첫 에피소드 때 자기한테 장난쳤다고 참교육을 시키고, 제임스는 토마스 못지 않게 서로 티격대는 사이라 해당 안됐다. 반면에 에드워드는 토마스가 세상 밖으로 달리고 싶다고 투덜대는 걸 듣고 자신이 끌려던 화차들을 끌라고 양보해주는 등 사이가 가장 좋았다.[24] 토마스가 고든에게 객차를 연결하고 있는데, 아예 토마스를 끌고 빠르게 달렸다.[25] 현실의 영국 본토이다. 때문에 본토 또는 영국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26] 원작 철도 시리즈 책에서는 후반부로 갈수록 토마스의 거만한 성격 때문에 퍼시와 서로 싸우는 모습이 굉장히 많이 나왔다. 극장판 용감한 기관차와 괴물 소동 편에서는 토마스가 퍼시의 말을 믿지 않아 친구관계가 끝날 뻔했다. 그리고 철도 시리즈 원작을 기반으로 한 2기에서 싸우는 장면이 가장 많이 나왔다. 나중에는 TV 시리즈가 둘을 메인 캐릭터들로 엮어 친해지게 된 셈이다.[27] 유일하게 활동하는 탱크 기관차 시절이기도 했다.[28] 이 때 도널드의 화난 모습이 잠깐 에드워드의 얼굴로 나오기도 했다.[29] 눈이 곧 내릴 것 같으니 미리 제설기를 장착하라는 에밀리의 말을 듣고도 무시하다가 눈에 덮혀서 길가에 고립된 적도 있고, 비슷하게 제설기를 그냥 길가에 버려둔 채 다니다가 에밀리에게 꾸중을 듣고 다음날 에밀리가 애니와 클라라벨을 끌고 가는 일을 하자 제설기를 다시 찾으러 그냥 나서지만 또 그 사이에 눈이 내려서 길가에 고립된다. 아무래도 후자는 전자의 에피소드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30] 제설기와 관련된 일은 유난히 토마스를 우선적으로 챙긴다. 토마스가 특히나 친한 친구인 것도 있지만 제설기를 다는 것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진 기관차가 토마스 밖에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31] 거기다가 소도어 섬의 도로는 사실상 비포장 도로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32] 이 때문에 토마스는 다른 기관차들이 애니와 클라라벨을 끄는 것을 싫어한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는 에밀리, 네빌이 처음 등장했을 때, 극장판에서의 스탠리와 라이언 등이 있다. 허나 본인이 승낙한 경우나 도움을 준 경우, 철도 운영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끄는 경우에는 그닥 거부감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는 퍼시, 토비, 덕, 고든, 제임스, 히로, 데이지, 니아가 해당한다. 허나 정작 애니와 클라라벨은 퍼시, 토비, 덕, 니아가 끌었을 때만 별 말이 없었으며 그 밖으로는 토마스와 만나고 싶어했다.[33] 꼭 애인이 아니더라도 애니메이션의 방영 기간 정도를 생각해보면 굉장히 친한 소꿉친구 정도 겪은 된다.[34] 한 번은 토마스가 애니와 클라라벨이 너무 빠르다고 하자 속도를 한참 줄이고, 또 너무 느리다고 하니까 속도를 엄청 높이면서 장난을 쳤는데 그것 때문에 다음 일을 하러가기 늦어서 애니와 클라라벨을 아무 조차장에 잠시 두고가자 투덜대는 장면의 더빙이 마치 남친에게 서운함을 느끼는 여친의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35] 이유는 토마스가 다리를 견디기에 제일 무거워서;;[36] 원작에서는 토마스, 에드워드, 고든 뿐만 아니라 도널드와 더글라스도 파란색으로 도색되었다. 정말 파란색 기관차들이 많긴 많았던 셈.[37] 이 때 '으드득'거리는 소리가 났다고 표현되는데, 빌은 벤에게 이음매가 아픈 거냐고 묻지만, 사실 그 소리는 토마스가 이를 가는 소리였다. 얼마나 빡쳤는지 알 수 있는 부분.[38] 토마스랑 가까운 사이인 에드워드와 퍼시는 빌과 벤이랑 자주 엮이는 편이다.[39] 원작에서는 성격이 그렇게 착하진 않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성격이 좋아진다. 미키 마우스처럼 장난기 많은 악동 성격이었다가 의젓해진 것이다.[40] 이때는, 인터넷이고 뭐고 없다보니 직접 현장으로 돌아다니거나 사진으로 받아가며 작업해야했다.[41] 이 공착장은 크로반스 게이트 역에 위치해 있으며, 협궤 기관차들이랑 표준궤 기관차들이 만나는 역이다.[42] 원작의 토마스는 이 사건을 포함으로 총 2번의 개수를 받았다.[43] TV 시리즈에서는 예산 문제와 더불어 전개상의 문제 때문에 평판이 개수되지는 않았다.[44] 기관차를 아이, 사장님을 보호자로 본다면 어느 정도 말이 된다. 아이가 사라졌는데 안 찾고 내버려두는 부모가 어딧으랴...[45] 이 마법을 발동시키면 금빛 가루가 몸을 감싸는데, 이는 토마스와 마법 기차의 골드 더스트 개념을 갖고 온 것 같다.[46] 원작에서는 다른 기관차들과 마찬가지로 첫번째 등장과 마지막 등장 모습이 비교될 정도로 늙은 모습이 나온다.[47] 사용된 모델은 아무래도 버크맨 CGI 버전으로 보인다.[48] 이 뒤에 핌 입자의 영향으로 집채 만하게 거대해져 집을 박살 내버렸다.[49] 토머스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톰(Tom)'이라는 애칭도 있다. 톰과 제리 시리즈에 등장하는 의 본명이 '토머스 캣(Thomas Cat)'이다.[50] 사실상 철도 시리즈 동화책은 딱히 누가 주인공이라는 개념이 정해져 있지 않고, 그 동화책에 등장하는 모든 기관차 캐릭터들이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