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02:09:44

텍스 에이버리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 데이브 플라이셔 월터 란츠 텍스 에이버리 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 아트 배빗 윈저 맥케이 그림 네트윅 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 페이스 허블리 노먼 맥라렌 로버트 캐넌 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 마이클 말테스 조지 팔 워드 킴볼 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 멜 블랭크 오스카 피싱거 빌 스콧 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 어브 아이웍스 딕 휴머 칼 스탈링 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 빌 멜렌데즈 매 퀘스텔 오토 메스머 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 칼 하워드 폴 줄리안 라번 하딩 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 빌 타이틀라 존 휘트니 켄 헤리스 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 준 포레이 도날드 W. 그레이엄 마크 데이비스 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 클라렌스 내쉬 볼프강 레이더먼 레오 살킨 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 다우스 버틀러 데이비드 핸드 잭 키니 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 리처드 윌리엄스 해밀턴 러스크 로버트 아벨 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 존 핼러스 스털링 홀러웨이 짐 맥도날드 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 프레더릭 백 샤머스 컬해니 윌리엄 T. 허츠 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 존 란즈베리 폴 드리센 잭 해나 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 켄 오코너 노먼 퍼거슨 멜 쇼 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 티사 데이비드 가와모토 기하치로 버질 로스 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 알렉스 로비 돈 메식 데즈카 오사무 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 허버트 클린 밥 커츠 유리 노르슈테인 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 레스 클라크 스탠 프레버그 데이비드 힐버만 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 잭 잰더 에드 베네딕트 아서 데이비스 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 반스 게리 댄 맥로린 메리 블레어 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 윌리스 H. 오브라이언 마이런 왈드먼 폴 윈첼 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 어니스트 핀토프 레이 패터슨 마르셀 얀코비츠 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 호이트 커틴 루실 블리스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 피트 알바라도 밥 기븐스 진 하젤튼 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 진 디치 존 헨치 썰 라벤스크로프트 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 아놀드 스탱 코니 콜 프레드 크리펜 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 겐디 타르타콥스키 빌 플림턴 존 케인메이커 글렌 킨
2007년2008년 2009년
존 크릭팔루시 마이크 저지 존 라세터 닉 파크 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 브루스 팀 브래드 버드 에릭 골드버그 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 뵈르게 링 로널드 설 테리 길리엄 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 2014년
마크 헨 오토모 카츠히로 스티븐 스필버그 필 티페트 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 리 멘델슨 조 랜프트 필 로먼 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 캐롤라인 리프 오시이 마모루 제임스 백스터 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 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 안드레아 로마노 프랭크 브랙스톤 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 론 클레먼츠 존 머스커 윌리 이토 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 2022년
브루스 W. 스미스 루벤 A. 아퀴노 릴리언 슈워츠 스즈키 토시오 피트 닥터
2022년2023년
에블린 램바트 크레이그 맥크라켄 로테 라이니거 히사이시 조 마시 페이지
}}}}}}}}} ||
}}}}}}}}} ||


파일:external/pbs.twimg.com/CcL5j4zWwAAlxsl.jpg
Red Hot Riding Hood 제작 이후 인터뷰 중의 모습.

1. 개요2. 생애3. 평가4. 여담5. 관련 인물6. 참여 작품들7. 다큐멘터리

1. 개요

Tex avery

1908.2.26 ~ 1980.8.26

본명은 Frederick Bean Avery(프레더릭 빈 에이버리), 텍사스 주 출신 미국인 애니메이터 & 성우 & 애니메이션 감독.

2. 생애

에이버리가 애니메이션 경력을 시작한 때는 1928년으로, 처음엔 로스앤젤레스에서 몇 달간 자동차 페인트칠, 창고 작업, 야간 부두 작업, 과채상 보조 등의 여러 질낮은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 멀지 않은 곳에 있던 윙클러 스튜디오에 입사해 오스왈드 단편의 셀 잉크 작업을 맡기 시작했고, 얼마 뒤 유니버설 스튜디오 카툰즈로 이직해 본격적인 애니메이터 활동을 시작했다. 처음엔 잉크 작업 담당으로 일했으나 이듬해(1931년)부터 4년여 간 빌 놀런(Bill Nolan) 휘하에서 원화 애니메이터로 활동하며 오스왈드 래빗 단편[1]의 원화를 그렸다. 한창 애니메이터 업무를 하고 있던 1933년 여름, 스튜디오 내부 사무실에서 잠시 장난을 치던 순간 종이 클립 1개가 에이버리의 왼쪽 눈으로 날아가는 바람에 시력을 잃었지만 다행히도 활동에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2] 유니버설에서 일을 하면서 점점 작품에 대한 자신의 더 많은 통제권을 원하기 시작했고, 오스왈드 단편 중 두 편에서 사실상 감독으로 연출을 맡았으나 훗날 인터뷰에서 두 작품에 대해 끔찍했었다고 회상한 바 있다.[3]


벅스 버니의 공식 데뷔작 A Wild Hare 영상.

급료적인 면에서 점차 불만족스러움을 느끼자 약 6주간 일부러 분량 이하의 작업을 한 뒤에 1935년 4월 해고당해 유니버설 스튜디오 카툰즈를 떠났다. 바로 이틀 뒤에 미리 만나고 있던 여자친구와 결혼해 오리건에서 신혼생활을 즐겼지만, 지니던 자금이 떨어지자 일자리를 구하러 로스엔젤레스로 돌아와 당시 워너 브라더스의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였던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 구직을 요청했다.[4] 하먼-아이싱 콤비와 얼 듀발, 톰 팔머가 떠나 감독이 2명뿐이었던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서 프리즈 프레렝, 잭 킹에 이어 3번째 정규 연출가로 배정되었고, 근무하는 직원 규모가 늘어난 관계로 새 스탭이 일할 작업 공간이 협소한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 스튜디오 주변에 있던 5평 크기의 벙갈로로 밥 크렘펫, 척 존스, 버질 로스(Virgil Ross), 시드 서덜랜드(Sid Sutherland)와 함께 이사하였다.[5]

워너에서의 첫 연출 작품으로 에이버리는 Gold Diggers of `49[6] 편 이후에서부터 포키 피그를 디즈니 풍의 현실적인 묘사에서 밥 크렘펫의 캐릭터 디자인을 수용해 만화풍 캐릭터로 변경하는 것과 에이버리 자신의 독보적인 개그와 액션을 작품들에 덧입히면서 서서히 애니메이션 연출가로써의 역량을 발휘해 나갔고, 1937년 개봉 작품 Porky`s Duck Hunt에서 이름없는 단역 캐릭터로 처음 등장한 대피 덕한테 통제불능적 성격과 마구 웃음을 지르는 묘사를 덧입혀 대피가 관객들의 주목을 얻게끔 유도해줬다. 이후 1940년 개봉 작품 A Wild Hare에서 이름없는 단역 토끼에 불과했던 벅스 버니의 디자인과 엘머 퍼드의 디자인을 변경함과 동시에 What's up, Doc?이란 캐치프레이즈를 추가해 관객들의 호응을 얻은 캐릭터로 자리매김해주기도 했다.


jerky turkey 영상.

1941년 개봉된 The Heckling Hare에서 결말의 개그 씬이 개봉되기 전에 편집당한 것과[7] 에이버리 본인이 제안한 실사 영상의 동물에 입술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으로 그리는 플롯의 시리즈 제작을 반대한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와 큰 말싸움을 벌였고, 4주 동안 정직 상태에 있다가 워너브라더스를 떠나 잠시 파라마운트에 있을 때 친분이 있던 제리 페어뱅크스에게 본인의 아이디어를 설명해주었고, 페어뱅크스는 전해들은 플롯에 만족하며 그에 기반해 Speaking of Animals 시리즈를 연출 & 제작하게 된다. 에이버리는 이 시리즈의 첫 3편을 작업한 후[8] 같은해 가을 메트로-골드윈-메이어로 이직해 mgm 카툰 스튜디오의 제작자 프레드 큄비와 접촉한 다음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써의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다.

MGM은 에이버리가 워너브라더스에서 일하던 때보다 많은 예산과 수준 높은 제작 환경을 지원했고, 같은 해 일어난 파업으로 인해 MGM에 이적한 여러 디즈니 애니메이터들의 숙련된 드로잉이 어우러져 보다 창의성 높은 개그 유머와 애니메이션 연출 역량 활용의 촉매제 역할을 해줬다. 그 결과로 1942년 개봉된 선전 애니메이션 the blitz wolf는 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수상 후보작으로 지명되기도 했었고,[9] 드루피, 나사빠진 청설모(Screwy Squirrel), 고양이 블래키(Blackie the Cat), 조지와 주니어(George and junior) 단편을 포함해 Red Hot Riding Hood 편에서 시작된 빨간 두건을 기반으로 각색한 단편 연작들은 에이버리의 대표격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초창기 MGM 단편에선 다채로운 색상과 사실적인 배경의 작품들이 많았지만, 년도를 거듭하며 좀 더 단색적이고 덜 사실적인 방식을 시도했는데 스타일을 바꾼 것은 높아지던 UPA의 명성과 영향, 제작 예산 증가로 인한 비용 절감의 필요성, 현실에 얽매이지 않는 작품을 만들고자 했던 본인의 열망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했다. 에이버리는 미래의 기술을 주제로 다룬 여러 단편들을 만들기도 했다.(The House of Tomorrow, The Car of Tomorrow, The Farm of Tomorrow, TV of Tomorrow)

1950년 애니메이션 작업 중에 누적되던 자신의 피로를 풀기 위해 1년을 휴식했고, 그 사이 월터 란츠 스튜디오에서 이직한 애니메이터 딕 런디(Dick Lundy)가 드루피 & 바니 베어(Barney Bear) 단편의 감독을 맡으면서 복귀 후엔 그와 공동 감독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임했다. 1948년의 파라마운트 판결로 인한 카툰 제작 예산 감소로 작품에 나오는 캐릭터 디자인과 배경이 기존의 풀 애니메이션이 아닌 리미티드 애니메이션화되기 시작한 이래, 1950년대 초기 에이버리는 중대한 슬럼프에 빠졌으며[10] 1953년 MGM을 나와 옛 일터인 유니버설 픽쳐스(의 월터 란츠 스튜디오)로 이직했지만 칠리 윌리 등의 단편을 포함해 몇 편만 제작에 참여했고, 1955년 유니버설에서 다시 빚어진 급여 분쟁으로 월터 란츠 스튜디오를 떠난 이후 극장용 애니 제작에선 물러났으며 10여 년 동안 레이드, 프리토-반디토(frito-bandito), 쿨에이드 등의 TV 광고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에 집중했다.

마이클 배리어 웹페이지 에세이 자료에 의하면, 1970년대 초기 아들이 자살한 것과 이혼을 겪은 것으로 인해 말년 즈음엔 내적으로 우울하고 괴로운 시기를 보내야 했다.[11] 1973년엔 잠시 본인의 회사인 텍스 에이버리 카툰스의 광고를 제작하기도 했으나 1978년 애니메이션 부서를 폐쇄하고 다시 외부 기업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임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그와 업계에서 함께했던 많은 연출가들과 애니메이터들한테 많은 경의를 받으며 교류를 지속하고 있었고, 프리즈 프레렝한테 드패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에서 글을 써달란 제안을 받았지만 이에 흥미가 없어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79년부터 MGM에서 톰과 제리로 활약했던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 콤비가 설립한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작품들의 제작에 참여하면서 말년(1980년)엔 The Kwicky Koala Show[12]의 원작자를 맡았고, 제작 중에 있던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TVA에 등장할 cave mouse란 캐릭터를 개발 중이던 상황에서 같은 해 한 주차장 안에서 갑자기 쓰러졌으며 8월 26일 악화된 폐암으로 인해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한 세인트 조셉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13] 시신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포레스트 라운 메모리얼 파크에 안장되었다.

3. 평가

"In a cartoon you can do anything."
그가 연출한 단편 screwball squirrel에서 나온 대사. 훗날(1975년) 출간된 Tex Avery: King of Cartoons에도 이 대사가 서술되면서 에이버리와 그의 작품들에 대한 영향력을 상징하는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윈저 매케이의 애니메이션 업계 활동을 밑거름으로 제작된 플라이셔 스튜디오, 디즈니 단편의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1920년대 후기 무렵 침체의 조짐이 보였던 미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재활성화에 크게 기여했으나, 내적으론 정석적이고 평면적인 연출의 스토리텔링과 뮤지컬에 치중된 경향에서 정체하고 있었다. 에이버리는 활동할 당시의 인기 대중매체인 영화에서 나오던 슬랩스틱 개그를 본인의 스타일로 광폭화시켰고, 기존의 애니메이션에서 두드러진 공식들을 연이어 뒤집고 풍자하는 변혁적인 연출을 발현해냈으며, 터마이트 테라스에서 함께 지냈던 밥 크렘펫, 척 존스 등의 동료 연출가들과 업계에서 일하던 애니메이터, 연출가들의 작품에 선구적으로 무수한 영향을 주었다. 사후 제작된 여러 다큐멘터리 등지에서 그의 작품을 감상한 많은 사람들이 에이버리의 애니메이션 연출에 대해 언급하며 호평하는 등 전반적인 재조명을 받았다.

에이버리가 첫 번째로 주역에 데뷔시킨 캐릭터이며 옷가지 없이 마구 웃어대는 대피 덕이 등장한 지 얼마 뒤, 월터 란츠 스튜디오에서도 비슷한 민폐형 캐릭터가 활약하는 딱따구리를 데뷔시킨 것과 디즈니 스튜디오, 하먼-아이싱 프로덕션, 컬럼비아 픽처스 등의 다른 회사에서 일하던 애니메이터들한테도 참고 작품이자 모방 작품으로 이목을 얻었으며, 업계에서 돋보인 에이버리의 만화적 표현이 담겨진 코미디 & 개그 연출들은 현대기의 미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에서도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 톰과 제리가 슬랩스틱 코미디로써의 캐릭터 & 전개 설정의 표본이자 오마주로 자리매김했다면, 텍스 에이버리가 연출한 작품들은 현재 미국 애니메이션의 (슬랩스틱 코미디와 관련된 유머들의) 구조와 공식의 정체성을 만드는 데에 이바지했으며 톰과 제리의 제작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파일:external/orig01.deviantart.net/tex_avery_by_htfman114-d5rqw3q.jpg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필름의 셀을 벗어났다 들어오는 것과 관객들에게 캐릭터 혹은 나레이터가 농담을 건네는 제4의 벽 연출, 과장된 캐릭터 동작에 어우러진 비현실적인 개그의 보편화와 매케이 & 디즈니 & 플라이셔 형제 등의 프로듀서가 청중의 이명을 얻던 추세를 뒤집고, 창의적인 구조의 연출로 애니메이션 감독이 업계 내외의 이명을 얻는 추세를 만든 것에 크게 공헌한 점으로도 후대의 애니메이션 업계인들과 역사가들한테 칭송을 얻었다. 생전엔 에이버리의 명성이 현재처럼 주목받진 못했지만[14] 60년대 후기부터 애니메이션 역사가들이 그와의 교류를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 전문 매거진에 차츰 에이버리의 작품들을 언급하기 시작했고, 사후 80년대 후기(현대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다큐멘터리와, 에이버리가 연출한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카툰네트워크, 부메랑 등지의 케이블 채널에서 재방영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기 MGM/UA에서 VHS를 발매한 것은 그의 팬덤이 형성되기 시작한 기반이 되었으며, 2000년대 중기엔 DVD 발매 등의 작품에 대한 광매체화와 인터넷의 영향으로 에이버리의 작품들에 대한 손쉬운 시청이 가능해졌다. 2005년부턴 밥 크렘펫 인도주의상(1984년)과 프리즈 프레렝 평생 공로상(1994년)에 이은 텍스 에이버리 상이 애니메이션 업계인들한테 수여되기 시작했다. 최초로 이 상을 받은 사람은 브래드 버드이며, 이후 헨리 셀릭, 피트 닥터, 딘 드블루아 & 크리스 샌더스, 존 크릭팔루시, 필 로드 & 크리스토퍼 밀러도 상을 수여받았다.

4. 여담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HOTO_16346505_66470_18660554_ap.jpg

5. 관련 인물

6. 참여 작품들

MGM 관련 연출 작품 목록 (접기 클릭)
* blitz wolf, the early bird dood it(1942)
  • dumb-hounded, Red Hot Riding Hood, who killed who, one ham's family, what's buzzin' buzzard(1943)
  • screwball squirrel, batty baseball, happy-go-nutty, big heel-wahta(1944)
  • the screwy truant, the shooting of dan mcgoo, jerky turkey, swing shift cinderella, wild and woolfy(1945)
  • lonesome lenny, the hick chick, northwest hounded police, henpecked hoboes(1946)
  • hound hunters, red hot rangers, uncle tom's cabana, slap happy lion, king-size canary(1947)
  • what price fleadom, little 'tinker, half-pint pygmy, lucky ducky, the cat that hated people(1948)
  • bad luck blackie, senor droopy, the house of tomorrow, doggone tired, wags to riches, little rural riding hood, out-foxed, the counterfeit cat(1949)
  • ventriloquist cat, the cuckoo clock, garden gopher, the chump champ, the peachy cobbler(1950)
  • cock-a-doodle dog, daredevil droopy, droopy's good deed, symphony in slang, car of tomorrow, droopy's double trouble(1951)
  • Magical Maestro, one cab's family, rock-a-bye bear(1952)
  • little johnny jet, t.v. of tomorrow, the three little pups(1953)
  • drag-a-long droopy, billy boy, homesteader droopy, the farm of tomorrow, the flea circus, dixieland droopy(1954)
  • field and scream, the first bad man, deputy droopy, cellbound(1955)
  • millionaire droopy(1956), cat's meow(1957)

에이버리의 작품에서 나온 연출 기법 & 공식을 탐구해 보려면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Creator/TexAvery를 참조할 것.

7. 다큐멘터리



[1] 이 시기에 제작된 오스왈드 래빗 단편은 월트 디즈니가 판권을 상실하여 유니버설 내부 스튜디오에서 제작 중이던 상태였다.[2] 이런 사고가 일어난 배경은 에이버리와 인터뷰를 나눈 경력이 있던 마이클 배리어가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당시 유니버설 스튜디오 내부 애니메이터들이 종종 고무줄이나 종이 도구로 일하던 동료 아티스트의 머리를 겨누는 장난을 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한 애니메이터는 종이 클립을 사용해 장난을 1단계 발전시키기로 했다. 사고가 일어나기 직전, 에이버리는 한 아티스트가 조심하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을 때 뒤로 돌아봤었는데 그 순간 날아온 종이 클립이 에이버리 본인의 왼쪽 눈을 강타했었다고 한다.[3] Tex Avery, King of Cartoons - 1975(저자 조 아담슨), 애니메이션 역사가 마이클 베리어(Michael Barrier)의 언급(2003)) 출처.[4] 에이버리는 면접 과정에서 리언 슐레진저한테 자신이 경험 많은 감독이라고 살짝 거짓말로 설명했으나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고용되었다고 한다.(마이클 배리어의 언급(2003))[5] 여기서 만들어진 사무실은 'termite terrace'(터마이트 테라스, 열악한 사무실의 환경상 흰개미가 들끓었던 작업소라는 의미.)란 별명을 얻었다.[6] 여기서 49는 골드 러쉬가 시작된 1849년을 의미.[7] 영어 위키피디아 문서의 오리지널 결말 문단 참조. 원본(감독판) 필름은 유실된 상태이다.[8] 애니메이터 마사 시걸(martha sigall)의 언급(2005년)[9] 총통각하의 낯짝에 밀려 수상받진 못했다.[10] 1988년 방영된 Tex Avery: The King of Cartoons 다큐멘터리의 후반부에서 언급되는 내용에 의하면 자신이 아는 지인들한테 사용할 수 있는 개그는 모두 사용했으며 얼마나 신선하게 이를 유지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고 말한 일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그의 모습이 반영된 작품은 유니버설에서 다시 활동할 때의 작품 중 sh-h-h-h-h-h-h-h 단편이라고 할 수 있다.[11] 다행히도 딸인 낸시 에이버리 어클리(Nancy Avery Arkley)와 그녀의 자녀들은 생존해 있다.[12] 에이버리가 작고한 뒤, 이듬해(1981년)에 방영했다.[13]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보이는 스튜디오에서 일할 때 흡연하는 모습들로 보면 이 습관이 악영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14] 다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러 차례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으로 후보에 올랐던 것과 당대 미국 애니계의 흐름을 보면 주목받지 못했다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도 있다.[15] Above all,(Avery) steered the Warner Bros. house style away from Disney-esque sentimentality and made cartoons that appealed equally to adults, who appreciated Avery's speed, sarcasm, and irony, and to kids, who liked the nonstop action. Disney's "cute and cuddly" creatures, under Avery's guidance, were transformed into unflappable wits like Bugs Bunny, endearing buffoons like Porky Pig, or dazzling crazies like Daffy Duck. Even the classic fairy tale, a market that Disney had cornered, was appropriated by Avery, who made innocent heroines like Red Riding Hood into sexy jazz babes, more than a match for any Wolf. Avery also endeared himself to intellectuals by constantly breaking through the artifice of the cartoon, having characters leap out of the end credits, loudly object to the plot of the cartoon they were starring in, or speak directly to the audience.[16] 이후 에이버리의 작품들에서 드러난 연출 기법과 공식들을 분석한 도서 Le Mystère Tex Avery를 쟝 두셰, 쟝 피에르 베르토메, 마르셀 고트리브와 협력으로 집필해 1988년에 발간하기도 했다.[17] 안노 히데아키는 1996년 당시의 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톰과 제리랑 텍스 에이버리의 작품들을 좋아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으며, 유아사 마사아키도 영향을 주로 받은 작품으로 인터뷰에서 텍스 에이버리의 작품을 언급하기도 했다.[18] 단, 창작자는 이 작품을 텍스 에이버리 작품에 대한 오마쥬라고 소개했으며, 텍스 에이버리의 딸이었던 낸시 에이버리가 자녀들의 대학 등록금을 부담하고자 작품에 텍스 에이버리의 이름을 쓰는 데 동의했다.#[19] 에이버리의 작품들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1920~30년대의 미국 영화들과 할리우드에서 활동한 인기 코미디 영화 배우들이었다.[20] 서로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의 '터마이트 테라스'라 불린 작업실에 같이 일했던 절친, 거의 말년(1975년)에 서로 밥 크렘펫에 대한 견해가 담긴 편지#를 보낸 일도 있었으며, 서로간의 말년까지 교류를 활발히 이어갔다. 척은 에이버리의 부고를 접하고 며칠 뒤 로스엔젤레스 트리뷰 지에 추모사를 기고했으며, 동시에 그한테 받은 6가지 영향점을 서술하기도 하였다. 기사 이미지 자서전 Chuck Amuck에서도 에이버리를 천재로 평가하며 그의 명석함에 대해 무지했었던 마이너 시절의 본인에게 애니메이션은 타이밍의 예술이며, 모든 코미디에도 적용할 수 있는 사실을 일깨워준 멘토이자 버스터 키튼, 찰리 채플린, 해리 랭던, 로렐과 하디와 같은 타이밍의 대가라고 서술하기도 했다.[21] 발언 원문: Avery was a genius. As one of his animators in the later 1930s (at Warner Bros.), I was as ignorant of his genius as I supposed Michelangelo Buonarroti's apprentices were oblivious to the fact that they, too, were working with a genius. But Avery's brilliance penetrated the husk of my self-assured ignorance, the ignorance that encases most twenty-year-olds. In spite of myself, I learned from him the most important truth about animation: animation is the art of timing, a truth applicable as well to all comedy. And the brilliant masters of timing were Keaton, Chaplin, Laurel and Hardy, (Harry) Langdon—and Fred (Tex) Avery.[22] 워너 브라더스에서 활동할 당시, 루니 툰 제작 과정에서 서로 교류했던 동료 애니메이션 연출가.[23] 원동화 애니메이터로써 실력이 드높은 애니메이터였으며, 당시 에이버리 본인이 연출한 작품들에서 주요 애니메이터로 기용했지만 프리즈나 척과 마찬가지로 허물없는 친구나 다름없이 지냈다.[24] 터마이트 테라스 내부의 애니메이터와 감독들과도 큰 탈 없이 원만한 사이였지만 크렘펫에 대해선 (위의 편지에서 나온 이야기로 인하여) 말년쯤엔 애매하게 생각했던 듯하다. 그래도 척 존스처럼 절연 관계까지 가진 않았으며, 이 사태는 크렘펫과 척 둘 중 어느 1명만 잘못이 있다고 판정지을 순 없다. 2년 후(1977년) 편지를 읽고 척에게 답변한 점들에 대해 같이 만난 밥의 지인 밀트 그레이(milt gray)한테 유감을 표하고 사과하기도 했다.[25] 194~50년대에 같은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안면을 쌓았으며, 훗날 에이버리를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의 작품 제작에 참여시켜주기도 했다.[26] 에이버리가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 연출가에서 은퇴한 이후 서로 교류하였던 애니메이터이자 친구.[27] 유니버설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하던 시기, 에이버리가 그의 휘하에서 원화 애니메이터로 일했었다.[28] 단편 카툰엔 별다른 관심이 없던 사람이었지만, 에이버리의 카툰은 사람들이 좋아할 것 같다고 예상하여 MGM 카툰 스튜디오에서 그의 작품들을 제작하는 제작자로 활동했다. 에이버리와 Blitz Wolf 단편 제작과 symphony in slang 단편 제작 전후에 불협화음을 빚은 적도 있었다고.(전자는 제작 완료 후에 아직 전쟁의 승패가 확실히 결정되지 않았는데 히틀러를 너무 거칠게 묘사했단 지적을 들었다고 하며, 후자는 작품의 플롯이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해 제작하는 것을 꺼렸다고 한다.)[29] 개인적으로 소심스러운 면이 공통적이었던 서로의 성격상 대놓고 경쟁하던 관계는 아니었지만 194~50년대에 디즈니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들이 제작에 참여한 디즈니 단편들에서 에이버리의 기법들이 오마쥬된 작품들이 많았고, 1970년대에 에이버리 또한 한 인터뷰에서 우리(터마이트 테라스)는 디즈니가 하지 못했던 것을 시도하러 노력했다고 언급한 장면이 있었다.[30]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193~50년대 음악 뮤지션.[31] MGM의 193~50년대 단편 카툰 음악 뮤지션.[32] 루니 툰 제작에서 활동한 몇 안되는 여성 직원이자 잉크 & 페인트 담당 직원으로, 그녀의 증언에 의하면 에이버리는 잉크 및 페인트 부서를 방문한 몇 안되는 연출가였으며, 질문에 대해 답변하고 유머러스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몇몇 아티스트가 에이버리의 연출 작품에서 나온 거친 액션을 비판할 때, 에이버리는 시간을 내어 그들한테 이론적 근거를 설명해주기도 했었다고 언급했다.[33] 에이버리가 작품을 만들 때 주로 기용한 스토리 작가1.[34] 에이버리가 작품을 만들 때 주로 기용한 스토리 작가2.[35] MGM에서 드루피를 담당한 전담 성우이자 영화 배우.[36] 애니메이션 역사가이자 웹사이트 CartoonResearch의 설립자.[37] 1966년 미국 최초의 애니메이션 전문 매거진을 발간한 애니메이션 역사가.[38] 원래는 로버트 매킴슨, 멜 블랭크, 척 존스도 인터뷰할 예정이었지만 끝내 이뤄지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