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1:12:07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2회 2014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예브게니 플루셴코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옐레나 일리니크 /
니키타 카찰라포프
23회 2018 평창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패트릭 챈 24회 2022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네이선 첸,
빈센트 저우
케이틀린 오스먼드,
가브리엘 데일먼
카렌 첸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알렉사 니어림 /
브랜던 프레이저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26회 2030 알프스 파일:국기.svg ? ?
? ?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수상자인 카밀라 발리예바에게서 금지 약물 복용이 확인됨에 따라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포인트 삭감. 이에 따라 미국이 금메달을 돌려받게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2회 1976 인스브루크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13회 1980 레이크플래시드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리니츄크 / 겐나디 카포노소프 14회 1984 사라예보 파일:영국 국기.svg 제인 토빌 / 크리스토퍼 딘
15회 1988 캘거리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16회 1992 알베르빌 파일:오륜기.svg 마리나 클리모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17회 1994 릴레함메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8회 1998 나가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9회 2002 솔트레이크시티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20회 2006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21회 2010 밴쿠버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2회 2014 소치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3회 2018 평창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4회 2022 베이징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26회 2030 알프스 파일:국기.svg ?
  • 아이스 댄스는 1976년 인스브루크 올림픽 때부터 추가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2회 2014 소치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패트릭 챈,
케빈 레이놀즈
케이틀린 오스먼드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
커스틴 무어-타워즈 /
딜런 모스코비치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8 평창 파일:오륜기.svg OAR 미하일 콜랴다 24회 2022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우노 쇼마,
카기야마 유마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알리나 자기토바
히구치 와카바,
사카모토 카오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
나탈리야 자비야코 /
알렉산더 엔베르트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고마츠바라 미사토 /
티모시 콜레토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26회 2030 알프스 파일:국기.svg ? ?
? ?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수상자인 카밀라 발리예바에게서 금지 약물 복용이 확인됨에 따라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포인트 삭감. 이에 따라 일본이 은메달을 돌려받게 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2회 1976 인스브루크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모이세예바 / 안드레이 미넨코프
13회 1980 레이크플래시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크리스티나 레고시 / 안드라스 샐리 14회 1984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15회 1988 캘거리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클리모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16회 1992 알베르빌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벨 듀셰내이 / 폴 듀셰내이
17회 1994 릴레함메르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야 우소바 / 알렉산더 줄린 18회 1998 나가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19회 2002 솔트레이크시티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20회 2006 토리노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21회 2010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2회 2014 소치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8 평창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4회 2022 베이징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빅토리아 시니치나 / 니키타 카찰라포프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26회 2030 알프스 파일:국기.svg ?
  • 아이스 댄스는 1976년 인스브루크 올림픽 때부터 추가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7회(1952년) ~ 100회(199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7회 1952 파리 파일:영국 국기.svg 진 웨스트우드 / 로렌스 데미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8회 1953 다보스 파일:영국 국기.svg 진 웨스트우드 / 로렌스 데미
59회 1954 오슬로 파일:영국 국기.svg 진 웨스트우드 / 로렌스 데미 60회 1955 빈 파일:영국 국기.svg 진 웨스트우드 / 로렌스 데미
61회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영국 국기.svg 파멜라 웨이트 / 폴 토마스 62회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영국 국기.svg 준 마크햄 / 커트니 존스
63회 1958 파리 파일:영국 국기.svg 준 마크햄 / 커트니 존스 64회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영국 국기.svg 도린 데니 / 커트니 존스
65회 1960 밴쿠버 파일:영국 국기.svg 도린 데니 / 커트니 존스 66회 1961 프라하 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 1962 프라하 파일:체코 국기.svg 에바 로마노바 / 파벨 로만 68회 1963 코르티나담페초 파일:체코 국기.svg 에바 로마노바 / 파벨 로만
69회 1964 도르트문트 파일:체코 국기.svg 에바 로마노바 / 파벨 로만 70회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체코 국기.svg 에바 로마노바 / 파벨 로만
71회 1966 다보스 파일:영국 국기.svg 다이앤 톨러 / 버나드 포드 72회 1967 빈 파일:영국 국기.svg 다이앤 톨러 / 버나드 포드
73회 1968 제네바 파일:영국 국기.svg 다이앤 톨러 / 버나드 포드 74회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영국 국기.svg 다이앤 톨러 / 버나드 포드
75회 1970 류블랴나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76회 1971 리옹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77회 1972 캘거리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78회 1973 브라티슬라바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79회 1974 뮌헨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80회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모이세예바 / 안드레이 미넨코프
81회 1976 예테보리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82회 1977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모이세예바 / 안드레이 미넨코프
83회 1978 오타와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리니츄크 / 겐나디 카포노소프 84회 1979 빈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리니츄크 / 겐나디 카포노소프
85회 1980 도르트문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크리스티나 레고시 / 안드라스 샐리 86회 1981 하트퍼드 파일:영국 국기.svg 제인 토빌 / 크리스토퍼 딘
87회 1982 코펜하겐 파일:영국 국기.svg 제인 토빌 / 크리스토퍼 딘 88회 1983 헬싱키 파일:영국 국기.svg 제인 토빌 / 크리스토퍼 딘
89회 1984 오타와 파일:영국 국기.svg 제인 토빌 / 크리스토퍼 딘 90회 1985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91회 1986 제네바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92회 1987 신시내티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93회 1988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베스테미야노바 / 안드레이 부킨 94회 1989 파리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클리모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95회 1990 핼리팩스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클리모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96회 1991 뮌헨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벨 듀셰내이 / 폴 듀셰내이
97회 1992 오클랜드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마리나 클리모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98회 1993 프라하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야 우소바 / 알렉산더 줄린
99회 1994 치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00회 1995 버밍엄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
101회(199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 101회 1996 에드먼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2회 1997 로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03회 1998 미니애폴리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104회 1999 헬싱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105회 2000 니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106회 2001 밴쿠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바라 푸자르-폴리 / 마우리치오 말가글리오
107회 2002 나가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108회 2003 워싱턴 D.C.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109회 2004 도르트문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10회 2005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11회 2006 캘거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알베나 덴코바 / 막심 스타비스키 112회 2007 도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알베나 덴코바 / 막심 스타비스키
113회 2008 예테보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벨 델로벨 / 올리비에 쇤펠더 114회 2009 로스앤젤레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115회 2010 토리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6회 2011 모스크바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17회 2012 니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8회 2013 런던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19회 2014 사이타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나 카펠리니 / 루카 라노테 120회 2015 상하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121회 2016 보스턴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122회 2017 헬싱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23회 2018 밀라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124회 2019 사이타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125회 2020 몬트리올 취소COVID-19 126회 2021 스톡홀름 파일:FSR.svg 빅토리아 시니치나 / 니키타 카찰라포프
127회 2022 몽펠리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128회 2023 사이타마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129회 2024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130회 2025 보스턴 파일:국기.svg ?
131회 2026 프라하 파일:국기.svg ? 132회 2027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4회 2002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5회 2003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6회 2004 해밀턴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7회 2005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10회 2008 고양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회 200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2회 2010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5회 2013 오사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17회 2015 서울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19회 2017 강릉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2회 2020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3회 2021 시드니 취소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스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6회 2024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5-96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1996-97 해밀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3회 1997-98 뮌헨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4회 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5회 1999-00 리옹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6회 2000-01 도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바라 푸자르-폴리 / 마우리치오 말가글리오
7회 2001-02 키치너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회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9회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0회 2004-05 베이징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1회 2005-06 도쿄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2회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알베나 덴코바 / 막심 스타비스키
13회 2007-08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14회 2008-09 고양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벨 델로벨 / 올리비에 쇤펠더
15회 2009-10 도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6회 2010-11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7회 2011-12 퀘벡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8회 2012-13 소치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9회 2013-14 후쿠오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회 2014-15 바르셀로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1회 2015-16 바르셀로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2회 2016-17 마르세유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7-18 나고야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4회 2018-1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25회 2019-20 토리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6회 2020-21 베이징 취소COVID-19
27회 2021-22 오사카 취소COVID-19 28회 2022-23 토리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9회 2023-24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30회 2024-25 그르노블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31회 2025-26 나고야 파일:국기.svg ? 32회 2026-27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976년) ~ 50회(202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76 므제브 파일:영국 국기.svg 캐서린 윈터 / 니콜라스 슬래터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1977 므제브 파일:영국 국기.svg 웬디 세션 / 마크 리드
3회 1978 므제브 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두라소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두라소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5회 1980 므제브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바타노바 / 알렉세이 솔로비요프 6회 1981 런던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바타노바 / 알렉세이 솔로비요프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아넨코 / 바딤 카르카첸코 8회 1983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글라드코바 / 이고르 슈필반드
9회 1984 삿포로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
11회 1986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 12회 1987 키치너 파일:소련 국기.svg 일리오나 멜니첸코 / 겐나디 카스코프
13회 1988 브리즈번 파일:소련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알렉산더 치츠코프 14회 1989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안젤리카 커크매이어 / 드미트리 라구틴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일리야 아베부흐 16회 1991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알리키 스터기아두 / 유리 라즈굴리아예프
17회 1992 헐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일리야 아베부흐 18회 1993 서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스비리나 / 세르게이 사크노브스키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실비아 노박 / 세바스찬 콜라신스키 20회 1995 부다페스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올가 샤루텐코 / 드미트리 나움킨
21회 1996 브리즈번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다비도바 / 로만 코스토마로프 22회 1997 서울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나 울라노바 / 미하일 스티포닌
23회 1998 세인트 존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카 조셉 / 찰스 버틀러 Jr. 24회 1999 자그레브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미 실버스테인 / 저스틴 페카렉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로마니우타 / 다닐 바렌체프 26회 2001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로마니우타 / 다닐 바렌체프
27회 2002 하마르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28회 2003 오스트라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29회 2004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로마노브스카야 / 알렉산더 그라체프 30회 2005 키치너 파일:미국 국기.svg 모건 매튜스 / 막심 자보진
31회 2006 류블랴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33회 2008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 사뮤엘슨 / 에반 베이츠 34회 2009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그레그 주에를린
35회 2010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일리니크 / 니키타 카찰라포프 36회 2011 강릉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아 몬코 / 키릴 할리아빈
37회 2012 민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리아 시니치나 / 루슬란 지간신 38회 2013 밀라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39회 2014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40회 2015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야노브스카야 / 세르게이 모즈고프
41회 2016 데브레첸 파일:미국 국기.svg 로레인 맥나마라 / 퀸 카펜터 42회 2017 타이베이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첼 파슨스 / 마이클 파슨스
43회 201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스콥초바 / 키릴 알료신 44회 2019 자그레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죠리 라조이 / 재커리 라가
45회 2020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에이번리 응우옌 / 바딤 콜레스닉 46회 2021 하얼빈 취소COVID-19
47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우나 브라운 / 게이지 브라운 48회 2023 캘거리 파일:체코 국기.svg 카테리나 므라즈코바 / 다니엘 므라제크
49회 2024 타이베이 파일:미국 국기.svg 레아 네셋 / 아르템 마르켈로프 50회 2025 데브레첸 파일:국기.svg ? }}}}}}}}}
51회(202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2026 탈린 파일:국기.svg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7-98 로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데리카 파이엘라 / 루치아노 밀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1998-99 디트로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미 실버스테인 / 저스틴 페카렉
3회 1999-00 그단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로마니우타 / 다닐 바란체프 4회 2000-01 에어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5회 2001-02 블레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칼리아비나 / 막심 샤발린 6회 2002-03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7회 2003-04 말뫼 파일:헝가리 국기.svg 노라 호프만 / 아틸라 엘렉 8회 2004-05 헬싱키 파일:미국 국기.svg 모건 매튜스 / 막심 자보진
9회 2005-06 오스트라바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0회 2006-07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케이퍼 허벨
11회 2007-08 그단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몬코 / 일리야 트카첸코 12회 2008-09 고양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그레그 주에를린
13회 2009-10 도쿄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아 몬코 / 키릴 할리아빈 14회 2010-11 베이징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아 몬코 / 키릴 할리아빈
15회 2011-12 퀘벡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리아 시니치나 / 루슬란 지간신 16회 2012-13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17회 2013-14 후쿠오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야노브스카야 / 세르게이 모즈고프 18회 2014-15 바르셀로나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야노브스카야 / 세르게이 모즈고프
19회 2015-16 바르셀로나 파일:미국 국기.svg 로레인 맥나마라 / 퀸 카펜터 20회 2016-17 마르세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첼 파슨스 / 마이클 파슨스
21회 2017-18 나고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스콥초바 / 키릴 알료신 22회 2018-19 밴쿠버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피야 셰브첸코 / 이고르 예료멘코
23회 2019-20 토리노 파일:조지아 국기.svg 마리야 카자코바 / 기오르기 레비야 24회 2020-21 베이징 취소COVID-19
25회 2021-22 오사카 취소COVID-19 26회 2022-23 토리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디야 바신스카 / 피터 보몽
27회 2023-24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레아 네셋 / 아르템 마르켈로프 28회 2024-25 그르노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노에미 마리아 탈리 / 노아 라포르나라
29회 2025-26 나고야 파일:국기.svg ? 30회 2026-27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스케이트 캐나다.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4회(1947년) ~ 50회(196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34회 1947 토론토 마가렛 로버츠 / 브루스 하일랜드
35회 1948 캘거리 수잔 머로우 / 월리스 디에스텔마이어 36회 1949 오타와 조이스 퍼킨스 / 브루스 하일랜드
37회 1950 세인트캐서린스 피에레트 파킨 / 도날드 토빈 38회 1951 밴쿠버 피에레트 파킨 / 도널드 토빈
39회 1952 오샤와 |프란체스코 다포 / 노리스 보우덴 40회 1953 오타와 프랜시스 애봇 / 데이비드 로스
41회 1954 캘거리 프랜시스 애봇 / 데이비드 로스 42회 1955 토론토 린디스 존스턴 / 제프리 존스턴
43회 1956 갤트 린디스 존스턴 / 제프리 존스턴 44회 1957 위니펙 제랄딘 펜턴 / 윌리엄 맥라클런
45회 1958 오타와 제랄딘 펜턴 / 윌리엄 맥라클런 46회 1959 루인노랜다 제랄딘 펜턴 / 윌리엄 맥라클런
47회 1960 리자이나 버지니아 톰슨 / 윌리엄 맥라클런 48회 1961 라쉰느 버지니아 톰슨 / 윌리엄 맥라클런
49회 1962 토론토 버지니아 톰슨 / 윌리엄 맥라클런 50회 1963 에드먼턴 폴렛 도안 / 케네스 옴스비 }}}}}}}}}
51회(1964년) ~ 100회(201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1964 노스 베이 폴렛 도안 / 케네스 옴스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1965 캘거리 캐롤 포레스트 / 케빈 레스브리지
53회 1966 피터 버러 캐롤 포레스트 / 케빈 레스브리지 54회 1967 토론토 조니 그라함 / 돈 필립스
55회 1968 밴쿠버 조니 그라함 / 돈 필립스 56회 1969 토론토 도나 테일러 / 브루스 레니
57회 1970 에드먼턴 메리 처치 / 데이비드 서튼 58회 1971 위니펙 루이즈 소퍼 / 배리 소퍼
59회 1972 런던 루이즈 소퍼 / 배리 소퍼 60회 1973 밴쿠버 루이즈 소퍼 / 배리 소퍼
61회 1974 멍크턴 루이즈 소퍼 / 배리 소퍼 62회 1975 퀘벡바바라 베레조스키 / 데이비드 포터
63회 1976 런던 바바라 베레조스키 / 데이비드 포터 64회 1977 캘거리수잔 카캘런 / 에릭 길리스
65회 1978 빅토리아 로나 와이튼 / 존 다우딩 66회 1979 선더베이 로나 와이튼 / 존 다우딩
67회 1980 키치너 로나 와이튼 / 존 다우딩 68회 1981 핼리팩스 마리 맥네일 / 로버트 맥콜
69회 1982 브랜건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0회 1983 몬트리올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1회 1984 리자이나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2회 1985 멍크턴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3회 1986 노스 베이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4회 1987 오타와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5회 1988 빅토리아 트레이시 윌슨 / 로버트 맥콜 76회 1989 쉬꾸띠미 카린 가로시노 / 로드니 가로시노
77회 1990 서드베리 조앤 볼라세 / 마틴 스미스 78회 1991 서스캐처원 미셸 맥도날드 / 마틴 스미스
79회 1992 멍크턴 재클린 페트르 / 마크 야노샤크 80회 1993 해밀턴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1회 1994 에드먼턴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2회 1995 핼리팩스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3회 1996 오타와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4회 1997 밴쿠버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5회 1998 해밀턴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6회 1999 오타와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7회 2000 캘거리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88회 2001 위니펙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9회 2002 해밀턴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90회 2003 서스캐처원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91회 2004 에드먼턴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92회 2005 런던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93회 2006 오타와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94회 2007 핼리팩스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95회 2008 밴쿠버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96회 2009 서스캐처원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97회 2010 런던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98회 2011 빅토리아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99회 2012 멍크턴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00회 2013 미시소가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
101회(2014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1회 2014 오타와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2회 2015 킹스턴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03회 2016 핼리팩스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04회 2017 오타와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05회 2018 밴쿠버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06회 2019 세인트존스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07회 2020 미시소가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108회 2021 밴쿠버 취소COVID-19
109회 2022 오타와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110회 2023 오샤와 로렌스 포니어 뷔드리 / 니콜라이 쇠렌센
111회 2024 캘거리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112회 2025 라발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남자 싱글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06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020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2010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14T
여자 싱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9
페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00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2006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2010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T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14
1998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2002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022
기타
괄호 속의 숫자는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해이다.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로빈 졸코비와 올림픽을 제외한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했고,
브루노 마소와는 유럽선수권을 제외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을 했다.
T 표시는 올림픽 단체전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에 표시한다.
}}}}}}}}}}}} ||


<colbgcolor=#670d1f><colcolor=#ffffff>
파일:버모네4.jpg
이름 테사 제인 매코믹 버츄
Tessa Jane McCormick Virtue
스캇 패트릭 모이어
Scott Patrick Moir
출생 1989년 5월 17일 ([age(1989-05-17)]세)1987년 9월 2일 ([age(1987-09-02)]세)
온타리오 주 런던온타리오 주 런던[1]
신체 165cm179cm[2]
링크(개별)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링크(공통)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국적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종목 피겨 스케이팅
은퇴 2019년 9월 18일
1. 개요2. 선수 경력
2.1. 노비스 시절2.2. 2003-04 시즌2.3. 2004-05 시즌2.4. 2005-06 시즌2.5. 2006-07 시즌2.6. 2007-08 시즌2.7. 2008-09 시즌2.8. 2009-10 시즌2.9. 2010-11 시즌2.10. 2011-12 시즌2.11. 2012-13 시즌2.12. 2013-14 시즌2.13. 2016-17 시즌2.14. 2017-18 시즌
3. 기록4. ISU 공인 최고점수5. 프로그램6. 커리어7. 여담
7.1. 기타7.2. 테사 버츄7.3. 스캇 모이어7.4. 상세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前 아이스 댄스 팀으로 1997년 팀을 결성한 이래 단 한번도 파트너 교체나 팀 해체 없이 지금까지 한 팀으로 활동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자국에서 열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 금메달을 획득하여 역대 최연소 아이스 댄스 금메달리스트의 영광을 누렸다. 이는 아이스 댄스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불모지였던 북미권 출신 팀 사상 최초의 금메달이며, 또한 캐나다 역사상 최초의 아이스 댄스 금메달이기도 하였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은퇴하였다가 2016-17 시즌에 다시 하여 복귀 후에도 정상급의 성적을 보여줬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단체전 금메달과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최다 메달리스트에 등극했다.

2. 선수 경력

2.1. 노비스 시절

2002 노비스 캐나다선수권에서 동메달, 2003 주니어 캐나다선수권에서 7위를 기록했다. 이고르 슈필반드에서 마리나 주에바로 코치를 바꾸었다.

2.2. 2003-04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각각 4위와 6위를 기록했고, 2004 주니어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

2.3. 2004-05 시즌

시니어로 출전할 수 있었으나 주니어에 잔류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따며 2004-05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은메달을 땄다. 뒤이어 2005 캐나다선수권에 시니어로 출전하여 4위를 했다. 200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4. 2005-06 시즌

파일:2005 JGP 안도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5-06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6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5 JGP 안도라 2005-06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2006 사대륙선수권
여전히 주니어로 남아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고 2005-06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도 우승했다. 2006 캐나다선수권에서 동메달을 땄다. 시니어 첫 대회로 2006 사대륙선수권에도 출전해 동메달을 땄다. 200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5. 2006-07 시즌

파일:2006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7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6 스케이트 캐나다 2007 사대륙선수권

시니어로 올라와 스케이트 캐나다와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각각 2위와 4위를 기록했다. 2007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고 2007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2007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를 했다.

2.6. 2007-08 시즌

파일:2007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7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7 스케이트 캐나다 2007 NHK 트로피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NHK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해 진출한 첫 시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4위를 했다.
파일:2008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8 사대륙선수권 2008 세계선수권
이후 2008 캐나다선수권과 2008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하여 모두 우승을 차지했고 2008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땄다.

2.7. 2008-09 시즌

파일:2009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9 월드 팀 트로피 캐나다.jpg
2009 사대륙선수권 2009 세계선수권 2009 월드 팀 트로피
만성적인 구획 증후군으로 인한 테사의 건강 문제로 그랑프리 시리즈를 스킵했다. 10월에 수술을 마쳐 12월에 링크로 다시 돌아왔고 2009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라이벌인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에게 밀려 은메달을 땄다. 뒤이은 2009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2009 월드 팀 트로피에 참가하여 개인과 팀 모두 2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8. 2009-10 시즌

파일:2009 트로피 에릭 봉파르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9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09-10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9 트로피 에릭 봉파르 2009 스케이트 캐나다 2009-10 그랑프리 파이널
이 시즌은 올림픽 시즌으로 정말 중요한 시기였다. 2009 트로피 에릭 봉파르2009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좋은 출발을 했다. 2009-10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에게 져서 은메달을 땄다. 이후 2010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챔피언 타이틀을 방어했다.
파일: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파일:201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2010 세계선수권
대망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컴펄서리 댄스 2위, 오리지널 댄스 1위, 프리 댄스 1위[3], 총점 221.57점을 받아 2위인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를 5.83점 차이로 이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뒤이어 출전한 2010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컴펄서리 댄스 44.13점, 오리지널 댄스 70.27점, 프리 댄스에서 110.03점, 총점 224.43점을 받음과 동시에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4]

2.9. 2010-11 시즌

파일:201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1 세계선수권
버츄의 다리 수술로 인해 그랑프리 대회와 캐나다선수권을 기권했다. 2011 사대륙선수권에서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 쇼트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프리 경기에서 버츄의 부상으로 인해 기권했다. 2011 세계선수권에서는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져 은메달을 땄다.

2.10. 2011-12 시즌

파일:2011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1-12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1 스케이트 캐나다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와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모두 우승하고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져 은메달을 땄다.
파일:2012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2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2 사대륙선수권 2012 세계선수권
2012 캐나다선수권에서 4번째로 우승하였다. 2012 사대륙선수권에서 쇼트 2위, 프리 1위를 차지하며 2008년 이후로 2번째 사대륙선수권 타이틀을 얻었다. 뒤이어 2012 세계선수권에 참가하여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우승했다. 2012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2위, 팀은 3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2.11. 2012-13 시즌

파일:2012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2 스케이트 캐나다 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
스케이트 캐나다와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 참가하여 모두 우승을 했다.
파일:2012-13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3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2-13 그랑프리 파이널 2013 캐나다선수권
2012-13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져 은메달을 땄다. 2013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하며 5번째 내셔널 챔피언 타이틀을 얻었다.
파일:2013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3 사대륙선수권 2013 세계선수권
2013 사대륙선수권에서 프리 경기 도중 테사의 다리에 경련이 와서 경기를 잠시 중단했다가 재개했고 은메달을 땄다. 뒤이어 버츄와 모이어의 고향인 캐나다 온타리오 주 런던에서 열린 2013 세계선수권에서 쇼트와 프리 모두 2위로 은메달을 땄다.

2.12. 2013-14 시즌

파일:2013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3 스케이트 캐나다 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
8월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와 트로피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모두 우승했다.
파일: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4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png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2014 캐나다선수권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2위를 차지했다. 2014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하며 6번째 내셔널 챔피언 타이틀을 얻었다. 캐나다선수권 기간 동안 한 방송사와의 인터뷰에 소치 동계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할지도 모른다고 얘기했다.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캐나다2.jpg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단체전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인전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단체전과 개인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후 두 시즌 동안 경기에 참여하지 않았다.

2.13. 2016-17 시즌

파일:2016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파일:2016 NHK 트로피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2016 스케이트 캐나다 2016 NHK 트로피
2016년 2월 20일, CBC의 한 스포츠 방송을 통해 2016-17 시즌에 경기에 복귀함을 알렸다. 그 해 스케이트 캐나다와 11월에 열린 NHK 트로피에서 모두 우승했다.
파일:2016-2017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버모네3.png
2016-2017 그랑프리 파이널 2017 캐나다선수권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쇼트 점수와 총점에서 모두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며 시니어 데뷔 이후 처음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2017 캐나다선수권에서도 우승했다.
파일:2017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2017 사대륙선수권 2017 세계선수권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 우승했다. 2017 세계선수권 쇼트 경기에서 82.43점으로 이전 세계신기록을 경신하며 1위를 차지했는데, 2위인 프랑스의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비해 무려 5.5점이나 앞선 점수였다.[5] 프리 경기에서는 모이어의 실수로 2위를 차지하여 총점 198.62점으로 자신들이 이전에 세웠던 세계신기록을 경신하며 우승하여 3번째 세계선수권 타이틀을 가져갔다. 이로써 2개의 그랑프리, 그랑프리 파이널, 사대륙선수권,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우승하며 시즌 스윕을 이뤄냈다.

2.14. 2017-18 시즌

파일:2017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7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7 스케이트 캐나다 2017 NHK 트로피
유독 프랑스의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게 판정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심판들이 또 수작질을 부리는가 하고 팬들을 걱정스럽게 만들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매 대회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 난도를 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프리 프로그램은 음악 재편집 및 섬세한 안무까지 수정해왔다. 그 때문에 이 시즌에 출전한 대회들을 쭉 보면 프리 프로그램의 경우 대회마다 각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버모네1.jpg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2018 캐나다선수권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018 캐나다선수권 프리 프로그램에서는 아이스 댄스 신채점제 역사상 최초로 만점을 받았다.[6]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캐나다 2.jpg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인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캐나다 국가대표 팀의 원로이자 레전드 답게 버츄와 모이어 두 사람이 개막식 공동 기수를 맡았다. 단체전 금메달에 기여하며 캐나다에게 금메달을 하나 더 추가시켜주었고 메인 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전에서 역시 역대급 경기를 보여주며 세계신기록을 경신하고 쇼트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위인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가 바짝 붙어있는 상황이라 소치 동계올림픽처럼 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프리에서는 마지막 순번을 배정받았으며 말그대로 레전드 급의 무대를 보여주며 금메달을 획득, 마지막 올림픽을 원하던 대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이날의 무대는 관중 반응만으로도 요약할 수 있는데, 타국 아이스 댄스 팀 중에선 거의 유일하게 국내 팬덤이 존재하는 인기팀이라는 것도 있긴 하겠지만, 아리랑을 선곡해서 자국 관중들에게 열렬한 환호를 받은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조를 제외한다면 가장 반응이 뜨거웠으며 환호 소리도 엄청났다. 해설위원들 역시 관중들은 이미 금메달리스트를 정한 것 같다고 했을 정도였다. 기술 점수에서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보다 다소 의문스럽게도 짠 점수를 받으면서 2위를 하긴 했지만 총합에서 이들을 넘어서며 총합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이 금메달로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조 이후로 올림픽 금메달을 2개나 가져간 아이스 댄스 팀이 되었으며, 밴쿠버 올림픽 금, 소치 올림픽에서의 단체전 은, 개인전 은, 평창 올림픽에서의 단체전 금, 개인전 금까지 무려 5개의 메달을 확보하며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최다 메달리스트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19년 9월 18일, 테사가 트위터로 팀의 공식 은퇴를 발표했다.

3. 기록

시니어 아이스 댄스 총점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8.02.20 206.07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년 3월 24일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의해 경신.
2017.10.28 199.86 2017 스케이트 캐나다2017년 11월 4일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의해 경신.
2017.04.01 198.62 2017 세계선수권
2016.12.10 197.22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2016.11.27 195.84 2016 NHK 트로피
2013.12.07 190.00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2011.04.30 181.79 2011 세계선수권
시니어 아이스 댄스 쇼트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8.02.19 83.67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년 3월 23일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의해 경신.
2017.10.27 82.68 2017 스케이트 캐나다
2017.03.31 82.43 2017 세계선수권
2016.12.09 80.50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2016.11.26 79.47 2016 NHK 트로피
2013.12.06 77.59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같은 대회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조에 의해 경신.
2011.04.29 74.29 2011 세계선수권70점을 넘은 최초의 팀.
2011.02.17 69.40 2011 사대륙선수권
시니어 아이스 댄스 프리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4.02.17 114.66 2014 소치 동계올림픽같은 대회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의해 경신.
2011.12.11 112.33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같은 대회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의해 경신.
2011.04.30 107.50 2011 세계선수권같은 대회에서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의해 경신.
시니어 아이스 댄스 오리지널 댄스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0.03.25 70.27 2010 세계선수권2009-10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
다음 시즌부터 아이스 댄스의 프로그램 구성이 변경됨.

4.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670d1f><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83.67(2018 평창 동계올림픽)
프리 122.40(2018 평창 동계올림픽)
총점 206.07(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09-10 시즌 이후로 폐지된 오리지널 댄스 세계기록 보유자[7]

5. 프로그램

<colcolor=#ffffff><rowcolor=#ffffff> 시즌 갈라(EX)
<colbgcolor=#670d1f> 2019-2020 Wish You Were Here by 핑크 플로이드
Fix You by 콜드플레이
Sway by 마이클 부블레
2018-2019 Dark Times by Weekend
You Rock My World by 마이클 잭슨
<rowcolor=#ffffff> 쇼트(SD) 프리(FD) 갈라(EX)
2017-2018 • Samba: Sympathy for the Devil
by 롤링 스톤스
• Rhumba: Hotel California
by 이글스
• Cha Cha: Oye Como Va
by 산타나
물랑 루즈 OST
• The Show Must go On
• 록산느의 탱고
• Come What May
by 데이비드 윌슨
• I Dreamded a Dream,
• You raised me Up
물랑 루즈 OST
You Rock My World
by 마이클 잭슨
Long time Running
by The Tragically Hip
2016-2017 • Hip Hop: Kiss,
• Blues: 5 Women,
• Blues/Rock: Purple Rain
by 프린스
• Pilgrims on a Long Journey
by Cœur de pirate
• Shadows/You Upset My Life
by Karl Hugo
• Latch(어쿠스틱)
by 디스클로저
Sorry
by 저스틴 비버
2015-2016 경기 불참 Sorry
by 저스틴 비버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by 그래험 라일, 테리 브리튼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
2014-2015 Say It Right
by 넬리 퍼타도
Stay
by 리한나
Good Kisser
by 어셔
How Will I Know
cover by 샘 스미스
All We Have
2013-2014 • Dream a Little Dream of Me
by 엘라 피츠제럴드 & 루이 암스트롱
• Muskarat Ramble
by 루이 암스트롱
• Cheek to Cheek
by 엘라 피츠제럴드 & 루이 암스트롱
• The SeasonsAutumn - Adagio
by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Piano Concerto No.1 in B Flat minor, op.23-1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 Waltz in Concerto No.2
by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The SeasonsSummer - Coda
by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Piano Concerto In F
by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Into the Mystic
by 밴 모리슨
Top Hat and Tails
by 루이 암스트롱
Stay
by 리한나
2012-2013 And The Waltz Goes On
by 안소니 홉킨스
카르멘
by 로디온 셰드린
카르멘
by 조르주 비제
Stay
by 리한나
할렐루야
by 레너드 코헨
2011-2012 • Hip Hip Chin Chin
by 클럽 데 벨루가
• Temptation
by 다이애나 크롤
• Mujer Latina
by 탈리아
• Funny Face
by 조지 거슈윈
• Basal Metabolism
by 아돌프 도이치
• 'S Wonderful
by 조지 거슈윈
할렐루야
by 레너드 코헨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by 마빈 게이
I Want to Hold Your Hand
by 비틀즈
2010-2011 • Schenkst Du Beim Tango Mir Dein Hers
by Dajos Bela &
Sein Tanzorchester
• Nights and Days
by Waldemar Kazanecki
• Hip Hip Chin Chin
by 클럽 데 벨루가
• Temptation
by 다이애나 크롤
• Mujer Latina
by 탈리아
I Want to Hold Your Hand
by 비틀즈
<rowcolor=#ffffff> 오리지널(OD) 프리(FD) 갈라(EX)
2009-2010 Farrucas
by 페페 로메로
Symphony No. 5
by 구스타프 말러
Everybody Dance Now
by C & C 뮤직 팩토리
Symphony No. 5
by 구스타프 말러
Jack & Diane
by 존 멜렌캠프
2008-2009 The Boy Friend OST
• Overture,
• Won't You Charleston with Me?
• The Great Gig in the Sky,
• Money
by 핑크 플로이드
Jack & Diane
by 존 멜렌캠프
2007-2008 Dark Eyes쉘부르의 우산
by 미셀 르그랑
I Could Have Danced All Night
by 제이미 컬럼
Dare You to Move
by 스위치풋
2006-2007 어쎄신 탱고
by 루이스 바칼로프
슬픈 왈츠
by 장 시벨리우스
Black Magic Woman
by 산타나
테네시 왈츠
by 홀리 콜 트리오
2005-2006 • Beautiful Maria
by 더 맘보 킹스
• Do You Only Wanna Dance
by Julio Daviel Big Band
말라게냐
by 라울 디 블라지오
No Me Ames
by 제니퍼 로페즈, 마크 앤소니
Everybody Dance Now
by C & C 뮤직 팩토리
2004-2005 • Call Me Irresponsible
by 바비 다린
• Puttin' On the Ritz
아디오스 노니노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Everybody Dance Now
by C & C 뮤직 팩토리
2003-2004 • Tears on My Pillow
by 리틀 안소니
• Tutti Frutti
by 리틀 리처드
러시안 메들리
by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 Tears on My Pillow
by 리틀 안소니
• Tutti Frutti
by 리틀 리처드
2002-2003 • Les Poissons
• Concerto Sopra Motivi dell'Opera
• La Favorita di Donizetti-Variazioni
by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 말라게냐
by 라울 디 블라지오
• Eres Todo En Mi
by 안나 가브리엘
• Tres Deseos
by 글로리아 에스테판
-

6. 커리어

<colcolor=#000000> 대회
올림픽<colbgcolor=#ffe970,#c3a100> 3 <colbgcolor=#c0c0c0,#555555> 2 <colbgcolor=#d7995b,#6d441a> 0
세계선수권 3 3 1
사대륙선수권 3 2 2
그랑프리 파이널 1 5 0
월드 팀 트로피 0 1 1
주니어 세계선수권 1 1 0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1 1 0
합계 12 15 4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 2010 밴쿠버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8 평창단체전
금메달 2018 평창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4 소치단체전
은메달 2014 소치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0 토리노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2 니스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7 헬싱키아이스 댄스
은메달 2008 예테보리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1 모스크바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3 런던아이스 댄스
동메달 2009 로스엔젤레스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08 고양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7 강릉아이스 댄스
은메달 2009 밴쿠버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3 오사카아이스 댄스
동메달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아이스 댄스
동메달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16-17 마르세유아이스 댄스
은메달 2009-10 도쿄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1-12 퀘벡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2-13 소치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3-14 후쿠오카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7-18 나고야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 2009 도쿄단체전
동메달 2012 도쿄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6 류블랴나아이스 댄스
은메달 2005 키치너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05-06 오스트라바아이스 댄스
은메달 2004-05 헬싱키아이스 댄스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6–17 17–18
올림픽 1st 2nd 1st
세계선수권 6th 2nd 3rd 1st 2nd 1st 2nd 1st
사대륙선수권 3rd 3rd 1st 2nd WD 1st 2nd 1st
GP 파이널 4th 2nd 2nd 2nd 2nd 1st 2nd
GP 로스텔레콤 컵 1st
GP NHK 트로피 2nd 1st 1st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4th 1st WD 1st 1st
GP 스케이트 캐나다 2nd 1st 1st WD 1st 1st 1st 1st 1st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1st 1st
핀란디아 트로피 1st WD 1st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11th 2nd 1st
JGP 파이널 2nd 1st
JGP 스페인 1st
JGP 캐나다 1st
JGP 중국 1st
JGP 프랑스 2nd
JGP 크로아티아 4th
JGP 슬로바키아 6th
국내대회
캐나다선수권 3rd N 7th J 1st J 4th 3rd 2nd 1st 1st 1st 1st 1st 1st 1st 1st
단체전
올림픽 2nd T
2nd P
1st T
1st P
월드 팀 트로피 2nd T
2nd P
3rd T
2nd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7. 여담

7.1. 기타

7.2. 테사 버츄

파일:tessa.jpg
스캇 모이어의 파트너다. 원래는 발레리나를 지망하여 발레피겨 스케이팅을 병행하였으나 이후 피겨 스케이팅으로 완전 전향했다.[13]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 선보인 갈라 <Everybody Dance Now>에서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콘셉트를 차용한 아이스하키 선수와 발레리나 이야기는 실제 두 선수의 일화를 차용한 것이다. 시니어 데뷔 2년차가 됐을 때부터 만성적인 구획증후군을 앓기 시작했다. 만성 구획증후군은 완치가 안 되기 때문에 평소 꾸준히 관리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최선인데, 하루에 몇 시간씩 스케이트를 타야하는 운동선수인 만큼 이 병 때문에 커리어 내내 몸고생, 마음고생을 했다. 특히 2009-10 시즌엔 프로그램 하나조차 런스루할 수 없을 정도였지만 특유의 정신력으로 이겨내어 당당히 금메달을 따냈다.

부상으로 인해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복귀하기 전까지 커리어 내내 약간 저평가 당한 감이 있긴 하지만, 실력이 굉장히 좋은 선수로 특히 안무 구사력이 매우 뛰어나다. 기본 춤 실력 자체가 좋고, 동작이 많이 들어가거나 격한 안무의 프로그램에선 테사만 보인다는 팬들까지도 있을 정도다. 커리어 초기엔 안무 소화력과 기본기가 상당하여 탑 선수라는데는 이견이 없었지만 수줍음이 많아 표현력이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평을 종종 들었으나 최근엔 표현력도 물이 올라 파트너인 스캇 모이어와 함께 아이스 댄스 레전드의 계보를 잇는 최고의 선수라는 극찬을 받았다.

굉장한 미녀로도 유명하다. 딱 봐도 연예인 뺨치는 미모의 소유자인데다 본인도 패션 등에 관심이 많아 화보에도 자주 등장한다. 최근에는 캐나다 모델이 되기도 했다. 케이티 페리와 닮은 꼴로도 유명하다.

평소 패션에 관심이 많은데,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쥬얼리 브랜드와 안경 브랜드와 함께 디자인 콜라보를 하여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라인 론칭을 하기도 했다.

7.3. 스캇 모이어

파일:scott.jpg
테사 버츄의 파트너다. 스케이터 집안 출신[14]으로, 아이스하키 선수를 지망하여 입문 절차로 피겨 스케이팅에 발을 들였다가 이후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전향했다. 본인의 언급에 따르면 정작 아이스 하키 하는데는 전혀 도움이 안 되었다고 한다.[15] 모이어의 경우, 아이스 댄스 팬덤 사이에서도 역대급의 선수라고 칭찬이 많은데 가장 큰 장점은 리프트 등에 있어서의 안정성이다. 여자 파트너가 편하게 경기할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선수라고 요약할 수 있는데, 남성 선수의 역량이 중요한 리프트 등의 고난도 동작에 있어서 큰 장점이 된다.[16] 다만 실제 경기에서는 다른 동작들에서 잔실수가 나오기도 했다.

파트너 테사 버츄와는 소꿉친구이자 20년 동안 파트너쉽을 유지한 오래된 팀메이트다. 파트너인 테사를 늘 배려하는 매너와 의리로 유명하기도 하다. 긴장을 많이하고 자신감이 없는 테사를 위해 늘 경기 시작 전 긴장을 풀어주기 위한 말을 해주거나 테사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테사가 부상으로 인한 첫번째 수술을 마친 이후 잠시간의 공백기를 가질 동안 다른 파트너를 구하거나 연습 대타조차도 구하지 않은 채 홀로 샌드백을 이고 연습을 하는 의리를 보여준 것이 상당히 인상적인 일화로 남아있다.[17] 심지어 여러번 공개 연애를 한 적이 있음에도[18] 테사에 대해 로맨스 소설에나 나올법한 말들을 서슴없이 하는지라 둘 사이가 정말 파트너에 불과한 것이 맞는지 꾸준히 의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차분하고 말수가 적은 테사와는 달리 유쾌하고 활달한 성격으로, 깨방정도 부리고 장난도 자주 치지만 가끔 연습 중 잘 안 풀릴 땐 곧잘 짜증을 내는 예민한 모습도 보여줬다. 그래서 한 때 국내팬들 사이에서 '모초딩' 이나 '못난놈'[19]으로 불리기도 했다. 복귀 후엔 성숙한 모습이 강조되어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유쾌한 모습을 보여줬다.

7.4. 상세

혼성 종목에서 보기 드물게도, 단 한번도 팀을 깨거나 파트너를 바꾸지 않고 데뷔 이래 지금까지도 한팀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파트너로서 활동해온 기간만 20년이 넘었다. 두 선수 모두 온타리오 주 런던의 10분 거리에 있는 같은 동네에서 자란 소꿉친구 출신이며 두 사람의 가족들도 서로 잘 아는 이웃 사이였다고 한다. 스캇 모이어의 경우 아이스하키 선수를 지망하여 입문 단계로 피겨 스케이팅을 배웠으며, 테사 버츄의 경우 발레와 피겨 스케이팅을 병행하였고 실제로 내셔널 발레 스쿨에도 입단이 확정되었지만 스케이팅에 전념하기 위해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프로 선수의 길을 걷게 된다. 이미 아이스 댄스 선수로서 교육을 받고 있던 스캇 모이어가 파트너와 갈라서는 바람에[20] 친척들의 권유로 마침 같은 링크장에서 훈련하던 테사 버츄와 팀을 짜게 되었고 그 이후 지금에 이르렀다.

레전드로 평가받는 팀 답게 아이스 댄서들로써의 실력은 당연히 역대급이며, 기술성과 예술성을 모두 갖춘 올라운더라는 평을 받는다. 특히 '사교춤' 으로써의 아이스 댄스 장르 고유의 매력을 잘 살려내서 팬들이 열광하는 팀이기도 했다. 컴펄서리 댄스[21]가 없어져 버린 것이 이 팀에겐 큰 손해였다. 물론 아크로바틱한 안무나 화려한 리프트에도 능하다. 2012-13 시즌 프리인 카르멘만 봐도 알 수 있다. 클래식한 프로그램부터 관능적이고 리드미컬한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골라보는 재미가 있으며 팬들 사이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불호가 거의 없는 편이다.
파일:virtuemoir_daviswhite.jpg
서로 라이벌이었던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와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커리어 내내 경쟁상대였던 미국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와의 라이벌로도 유명하다.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 이 두 팀의 기묘한 인연 역시 화제였는데, 일단 버츄와 모이어 조처럼 데이비스와 화이트도 부모들끼리 친구 사이였고 10분 거리 같은 동네의 가까운 이웃에서 살던 소꿉친구 출신이며 팀 결성 시기 역시 1997년~1998년 정도로 거의 동일하다. 또한 버츄와 모이어 조처럼 데이비스와 화이트도 은퇴할 때 까지 팀을 해체하거나 파트너를 바꾼 적이 없다. 거기다 두 팀의 코치가 마리나 주에바[22]로 같은 사람이었다 보니 가장 격한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는 두 팀이 같은 코치 휘하에서 매일 같은 훈련장의 옆자리에서 훈련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23]

혼성팀이고, 두 선수 모두 외모가 매우 출중한데다 아이스 댄스라는 종목 특성상 연인 연기를 할 때가 많다보니 팬들 사이에서 사귀는 거 아니냐, 이제 그만 인정하고 결혼하라는 이야기가 매우 자주 나오는데 실제로는 그냥 친구 사이고 사귄적이 없다고 한다. 매우 오랫동안 한팀으로 활동해온데다 케미스트리도 굉장히 좋고 실제로도 소꿉친구라서 사적으로도 사이가 굉장히 좋아서 나오는 이야기다. 하지만 영상이나 사진 등을 보고 당연히 사귈 거라고 생각했다가 놀라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꽤 많았다.

김연아와 연령대도 비슷한데다 동시기에 활동한 선수들이고, 커리어 적으로도 비슷한 구석이 많다 보니 국내에서의 호감도가 굉장히 높은 팀이다. 선수들 본인도 김연아와 친한 사이인지 스스럼없이 장난을 치는 모습이 여러번 보여졌고 김연아도 가장 좋아하는 아이스 댄스 팀으로 이 둘을 언급한 적이 있으며 국내 아이스 쇼에도 자주 출연했다. 이러다보니 국내 팬덤 사이에서도 매우 친숙한 선수들 중 하나. 부정 행위나 편파 판정에도 관여된 바가 없고, 선수 두 사람도 실력과 매너가 훌륭한데다 굉장한 미남 미녀들에 김연아와 안면까지 있는 사이라서 그런지 해외 피겨 선수들 중에서는, 특히 아이스 댄스 팀 가운데에서는 국내외를 통틀어서 독보적인 인기와 인지도를 누렸었다.

[1] 자란 곳은 런던 근교의 일더튼이다.[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공식 프로필 기준이다.[3] 프로그램 구성 요소로 4명들의 심판들로부터 10점을 받았다.[4] 오리지널 댄스와 프리댄스 프로그램 구성요소에서 10점을 많이 받았다.[5] 점프가 없는 아이스 댄스 종목 특성상 5점 이상의 점수 차가 나면 100% 우승이 확정이다.[6] 자국선수권이라 비공인 대회이기 때문에 공식 점수로 인정되지 않지만 팬들에게 한 줄기 희망을 주었다.[7] 2010 세계선수권에서 기록한 70.27점이다.[8] 항간에는 겨우 3일 만에 헤어졌다고 하지만 사실 무려 8달이나 사귀었다.[9] 당시 테사와 스캇은 싱글 스케이팅도 병행하고 있었다.[10] 주에바가 G&G를 위해 곡을 아껴 놓은 것은 아니고, 수많은 후보곡중 하나로 남겨 두었었다. 페어보다는 싱글 경기에 더 적합한 곡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11] 물랑 루즈 OST는 팬들 사이에서 일명 '사골곡' 중 하나라고 불릴 만큼 우려먹고 또 우려먹는 곡이기 때문에 친숙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반대로 신선하면서도 좋은 프로그램을 뽑아내기 힘들다. 프리 프로그램으로 물랑 루즈 OST를 선곡했다는 말이 나오자 팬들 사이에서도 반응이 좋지 않았다. 피겨 스케이팅에서 선곡은 늘 중요하지만 올림픽 프로그램인데다가 둘의 마지막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우려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했다.[12] 테사의 미들네임이기도 한 'McCormick'은 테사 어머니의 미혼 시절 성이다.[13] 9살 때 캐나다 국립 발레 학교에 합격했으나, 자기는 파트너가 있다며 입학을 거절하였다.[14] 스캇의 어머니와 이모는 쌍둥이인데, 두 분 다 어릴 때 피겨 스케이팅 선수였다. 이모인 캐롤은 일더튼 스케이팅 클럽에서 코치로 있었고, 스캇과 테사를 비롯한 동네 꼬마 수강생들을 가르쳤다. 어머니와 이모는 물론, 형과 사촌누나들 역시 피겨 스케이팅 선수였다.[15] 훗날 한 인터뷰에서 "하키는 제 첫사랑이에요. 하지만 한 예쁜 여자아이의 손을 잡고나서 제 인생이 바뀌었죠."라고 능글맞게 말했다. 피겨 선수가 된 이후, 하키는 휴일에 취미로 하고 있다.[16] 전직 미국 선수인 조니 위어는 "언제나 파트너를 보호하듯이 스케이팅하는 매우 신사적인 선수이며 여자 파트너가 역량을 발휘할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준다"라고 극찬했었다.[17] 페어와 아이스 댄스는 파트너를 바꾸는 것이 흔한 일이다. 올림픽 시즌이 얼마 남지 않았었고 테사의 부상이 꽤나 심각해서 테사가 선수 생활을 지속할 수 있을지 없을지도 불투명했기에 팀을 유지하기엔 다소 위험이 따르는 상황이었다.[18] 전직 캐나다 페어 스케이팅 선수인 제시카 듀베, 리얼리티쇼에 함께 출연한 여친인 카산드라라는 일반인 여성, 캐나다 국가대표 컬링선수 케이틀린 로우스 등이 있다.[19] 사실 이 별명은 매력이 넘치는 파트너를 앞에 두고도 다른 사람을 찾는 스캇이 안타까워 익살스럽게 붙인 별명이다.[20] 경기 당일날 모이어가 너무 긴장을 한 나머지 스텝을 모조리 까먹어서 경기를 말아 먹었다고 한다. 테사 버츄와 팀을 짠 이후에도 이런 일이 한번 있었지만 테사가 스캇 모이어의 스텝까지 외워와서 가르쳐준 덕에 잘 넘어갔다고 한다.[21] 약칭 은 CD다. 리프트나 스핀, 트위즐 같은 고난도 동작 없이 오직 정해진 스텝을 밟으며 링크를 두 바퀴 도는 종목으로, 가장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종목이다. 모두 똑같은 스텝을 밟지만 팀 별로 해석이 다르기 때문에 나름대로 보는 재미가 있었다. 시즌마다 정해진 테마가 돌아가며 선정되는데, 2009-10 시즌 이후 사라졌다.[22] 러시아 출신 아이스 댄스 선수였으나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경제가 안좋아지면서 북미로 건너가 2023년까지 코치로 활동했었다. 원래는 아이스 댄스가 주전공이나 싱글 및 페어 선수들의 안무를 짜주기도 했다.[23] 당연히도 버츄와 모이어 둘다 이런 상황이 달갑지는 않았고, 다큐멘터리와 자서전에서 보면 코치가 두 팀중 데이비스와 화이트 조를 편애하고 있는게 아닌지 심리적 갈등이 매우 심했다고 한다. 모이어가 털어놓은 바에 의하면 버츄와 프로그램을 위한 음악을 고르면 주에바 코치가 데이비스와 화이트 조와 음악이 비슷하다고 퇴짜까지 놓을 정도였다. 결국 소치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이런 의혹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후 마리나 주에바와는 그대로 끝을 맺어버렸다. 훗날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도 버츄와 모이어는 애증의 관계였던 전 코치 마리나 주에바의 또다른 제자들인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와 경쟁을 펼쳤다. 다만 이 때는 기존의 올림픽과는 달리 압도적인 실력으로 시부타니 남매조보다 우세를 보여 금메달을 차지하는 데 성공했고, 시부타니 남매조는 프랑스의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사실 이때 박빙의 라이벌이었던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는 소치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은퇴를 한 상황이었고, 버모네의 유력한 경쟁 상대는 시부타니 남매조가 아니라 무섭게 치고 올라와서 메이저급 대회를 휩쓸던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