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9a121e><colcolor=#ffffff> | ||
이름 | 타티야나 알렉산드로브나 납카 Татья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Навка Tatiana Aleksandrovna Navka | 로만 세르게예비치 코스토마로프 Роман Серге́евич Костомаров Roman Sergeyevich Kostomarov |
출생 | 1975년 4월 13일 ([age(1975-04-13)]세) | 1977년 2월 8일 ([age(1977-02-08)]세) |
소련 우크라이나 SSR 드니프로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신체 | 170cm | 182cm |
이전 파트너 | 삼벨 게잘리안[1] 니콜라이 모로조프[2] | 예카테리나 다비도바 안나 세메노비치 |
링크 | | |
국적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1991) [[벨라루스| ]][[틀:국기| ]][[틀:국기| ]] (1992~1998)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1998~)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1991)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1991~)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
은퇴 | 2006년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2. 기록
- 2009-10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11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시니어 아이스 댄스 총점 기록 | |||
날짜 | 점수 | 대회 | 비고 |
2005.03.18 | 227.81 | 2005 세계선수권 | 2009-10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 |
2003.11.23 | 225.79 | 2003 컵 오브 러시아 | |
시니어 아이스 댄스 컴펄서리 댄스 기록 | |||
날짜 | 점수 | 대회 | 비고 |
2005.03.15 | 45.97 | 2005 세계선수권 | 2009-10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 |
2004.11.26 | 44.69 | 2004 컵 오브 러시아 | |
2003.11.21 | 42.40 | 2003 컵 오브 러시아 | 2004년 10월 21일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조에 의해 경신. |
2003.11.06 | 41.52 | 2003 컵 오브 차이나 | |
시니어 아이스 댄스 오리지널 댄스 기록 | |||
날짜 | 점수 | 대회 | 비고 |
2005.03.17 | 68.67 | 2005 세계선수권 | 2010년 3월 25일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에 의해 경신. |
2004.11.27 | 66.77 | 2004 컵 오브 러시아 | 2005년 3월 17일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조에 의해 경신. |
2004.11.19 | 66.53 | 2004 트로피 에릭 봉파르 | |
2003.11.22 | 66.25 | 2003 컵 오브 러시아 | |
시니어 아이스 댄스 프리 댄스 기록 | |||
2003.11.23 | 117.14 | 2003 컵 오브 러시아 | 2009-10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 |
3.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9a121e><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 |
컴펄서리 | 45.97(2005 세계선수권) |
오리지널 | 68.67(2005 세계선수권) |
프리 | 117.14(2003 컵 오브 러시아) |
총점 | 227.81(2005 세계선수권) |
4. 커리어
올림픽 | ||
금메달 | 2006 토리노 | 아이스 댄스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4 도르트문트 | 아이스 댄스 |
금메달 | 2005 모스크바 | 아이스 댄스 |
유럽선수권 | ||
금메달 | 2004 부다페스트 | 아이스 댄스 |
금메달 | 2005 토리노 | 아이스 댄스 |
금메달 | 2006 리옹 | 아이스 댄스 |
동메달 | 2003 말뫼 | 아이스 댄스 |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 아이스 댄스 |
금메달 | 2004-05 베이징 | 아이스 댄스 |
금메달 | 2005-06 도쿄 | 아이스 댄스 |
은메달 |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 아이스 댄스 |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98–99 | 00–01 | 01–02 | 02–03 | 03–04 | 04–05 | 05–06 |
올림픽 | 10th | 1st | |||||
세계선수권 | 12th | 12th | 8th | 4th | 1st | 1st | |
유럽선수권 | 11th | 9th | 7th | 3rd | 1st | 1st | 1st |
GP 파이널 | 2nd | 1st | 1st | 1st |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1st | ||||||
GP 컵 오브 차이나 | 1st | 1st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1st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4th | 2nd | |||||
GP NHK 트로피 | 5th | 6th | 2nd | ||||
GP 컵 오브 러시아 | 3rd | 4th | 4th | 2nd | 1st | 1st | 1st |
친선경기 | 3rd | ||||||
국내대회 | |||||||
러시아선수권 | 3rd | 2nd | 2nd | 1st | 1st | 1st | |
GP=그랑프리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2회 | 1976 인스브루크 | |||
13회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14회 | 1984 사라예보 | |||
15회 | 1988 캘거리 | 16회 | 1992 알베르빌 | |||
17회 | 1994 릴레함메르 | 18회 | 1998 나가노 | |||
19회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0회 | 2006 토리노 | |||
21회 | 2010 밴쿠버 | 22회 | 2014 소치 | |||
23회 | 2018 평창 | 24회 | 2022 베이징 | |||
25회 |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 26회 | 2030 알프스 | |||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7회(1952년) ~ 100회(1995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7회 | 1952 파리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8회 | 1953 다보스 | ||
59회 | 1954 오슬로 | 60회 | 1955 빈 | |||
61회 |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62회 |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 |||
63회 | 1958 파리 | 64회 |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 |||
65회 | 1960 밴쿠버 | 66회 | 1961 프라하 | 취소사베나 548편 사고 | ||
67회 | 1962 프라하 | 68회 | 1963 코르티나담페초 | |||
69회 | 1964 도르트문트 | 70회 |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 |||
71회 | 1966 다보스 | 72회 | 1967 빈 | |||
73회 | 1968 제네바 | 74회 |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 |||
75회 | 1970 류블랴나 | 76회 | 1971 리옹 | |||
77회 | 1972 캘거리 | 78회 | 1973 브라티슬라바 | |||
79회 | 1974 뮌헨 | 80회 |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 |||
81회 | 1976 예테보리 | 82회 | 1977 도쿄 | |||
83회 | 1978 오타와 | 84회 | 1979 빈 | |||
85회 | 1980 도르트문트 | 86회 | 1981 하트퍼드 | |||
87회 | 1982 코펜하겐 | 88회 | 1983 헬싱키 | |||
89회 | 1984 오타와 | 90회 | 1985 도쿄 | |||
91회 | 1986 제네바 | 92회 | 1987 신시내티 | |||
93회 | 1988 부다페스트 | 94회 | 1989 파리 | |||
95회 | 1990 핼리팩스 | 96회 | 1991 뮌헨 | |||
97회 | 1992 오클랜드 | 98회 | 1993 프라하 | |||
99회 | 1994 치바 | 100회 | 1995 버밍엄 | }}}}}}}}} | ||
101회(1996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 101회 | 1996 에드먼턴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2회 | 1997 로잔 | ||
103회 | 1998 미니애폴리스 | 104회 | 1999 헬싱키 | |||
105회 | 2000 니스 | 106회 | 2001 밴쿠버 | |||
107회 | 2002 나가노 | 108회 | 2003 워싱턴 D.C. | |||
109회 | 2004 도르트문트 | 110회 | 2005 모스크바 | |||
111회 | 2006 캘거리 | 112회 | 2007 도쿄 | |||
113회 | 2008 예테보리 | 114회 | 2009 로스앤젤레스 | |||
115회 | 2010 토리노 | 116회 | 2011 모스크바 | |||
117회 | 2012 니스 | 118회 | 2013 런던 | |||
119회 | 2014 사이타마 | 120회 | 2015 상하이 | |||
121회 | 2016 보스턴 | 122회 | 2017 헬싱키 | |||
123회 | 2018 밀라노 | 124회 | 2019 사이타마 | |||
125회 | 2020 몬트리올 | 취소COVID-19 | 126회 | 2021 스톡홀름 | ||
127회 | 2022 몽펠리에 | 128회 | 2023 사이타마 | |||
129회 | 2024 몬트리올 | 130회 | 2025 보스턴 | |||
131회 | 2026 프라하 | 132회 | 2027 | }}}}}}}}}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4회(1954년) ~ 50회(1940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64회 | 1954 볼자노 | |||
65회 | 1955 부다페스트 | 66회 | 1956 파리 | |||
67회 | 1957 빈 | 68회 | 1958 브라티슬라바 | |||
69회 | 1959 다보스 | 70회 | 1960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71회 | 1961 서 베를린 | 72회 | 1962 제네바 | |||
73회 | 1963 부다페스트 | 74회 | 1964 그르노블 | |||
75회 | 1965 모스크바 | 76회 | 1966 브라티슬라바 | |||
77회 | 1967 류블랴나 | 78회 | 1968 베스테로스 | |||
79회 | 1969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80회 | 1970 레닌그라드 | |||
81회 | 1971 취리히 | 82회 | 1972 예테보리 | |||
83회 | 1973 쾰른 | 84회 | 1974 자그레브 | |||
85회 | 1975 코펜하겐 | 86회 | 1976 제네바 | |||
87회 | 1977 헬싱키 | 88회 | 1978 스트라스부르 | |||
89회 | 1979 자그레브 | 90회 | 1980 예테보리 | |||
91회 | 1981 인스브루크 | 92회 | 1982 리옹 | |||
93회 | 1983 도르트문트 | 94회 | 1984 부다페스트 | |||
95회 | 1985 예테보리 | 96회 | 1986 코펜하겐 | |||
97회 | 1987 사라예보 | 98회 | 1988 프라하 | |||
99회 | 1989 버밍엄 | 100회 | 1990 레닌그라드 | }}}}}}}}} | ||
101회(1991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1회 | 1991 소피아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2회 | 1992 로잔 | ||
103회 | 1993 헬싱키 | 104회 | 1994 코펜하겐 | |||
105회 | 1995 도르트문트 | 106회 | 1996 소피아 | |||
107회 | 1997 파리 | 108회 | 1998 밀라노 | |||
109회 | 1999 프라하 | 110회 | 2000 빈 | |||
111회 | 2001 브라티슬라바 | 112회 | 2002 로잔 | |||
113회 | 2003 말뫼 | 114회 | 2004 부다페스트 | |||
115회 | 2005 토리노 | 116회 | 2006 리옹 | |||
117회 | 2007 바르샤바 | 118회 | 2008 자그레브 | |||
119회 | 2009 헬싱키 | 120회 | 2010 탈린 | |||
121회 | 2011 베른 | 122회 | 2012 셰필드 | |||
123회 | 2013 자그레브 | 124회 | 2014 부다페스트 | |||
125회 | 2015 스톡홀름 | 126회 | 2016 브라티슬라바 | |||
127회 | 2017 오스트라바 | 128회 | 2018 모스크바 | |||
129회 | 2019 민스크 | 130회 | 2020 그라츠 | |||
131회 | 2021 자그레브 | 취소COVID-19 | 132회 | 2022 탈린 | ||
133회 | 2023 에스포 | 134회 | 2024 카우나스 | |||
135회 | 2025 자그레브 | 136회 | 2026 셰필드 | |||
137회 | 2027 로잔 | 138회 | 2028 | }}}}}}}}}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회(1993년) ~ 50회(2023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0회 | 1993 체랴빈스크 |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 |||
21회 | 1994 상트페테르부르크 |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 22회 | 1995 모스크바 |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 ||
23회 | 1996 사마라 |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 24회 | 1997 모스크바 |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 ||
25회 | 1998 모스크바 |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 26회 | 1999 모스크바 |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 ||
27회 | 2000 모스크바 |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 28회 | 2001 모스크바 |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 ||
29회 | 2002 모스크바 |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 30회 | 2003 카잔 |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 ||
31회 |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 32회 | 2005 상트페테르부르크 |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 ||
33회 | 2006 카잔 |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 34회 | 2007 미티시 |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 ||
35회 | 2008 상트페테르부르크 | 야나 호클로바 / 세르게이 노비츠키 | 36회 | 2009 카잔 | 야나 호클로바 / 세르게이 노비츠키 | ||
37회 | 2010 상트페테르부르크 |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 38회 | 2011 사란스크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
39회 | 2012 사란스크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40회 | 2013 소치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
41회 | 2014 소치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42회 | 2015 소치 | 옐레나 일리니크 / 루슬란 지간신 | ||
43회 | 2016 예카테린부르크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44회 | 2017 첼랴빈스크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
45회 | 2018 상트페테르부르크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 46회 | 2019 사란스크 | 빅토리아 시니치나 / 니키타 카찰라포프 | ||
47회 |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 빅토리아 시니치나 / 니키타 카찰라포프 | 48회 | 2021 첼랴빈스크 |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 ||
49회 |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 50회 | 2023 크라스노야르스크 | 옐리자베타 후다이베르디예바 / 이고르 바진 | }}}}}}}}} | |
51회(2024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 2024 첼랴빈스크 |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2025 옴스크 |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남자 싱글 | |||
2002 | 2018T | |||
2006 | 2020 | |||
2010 | 2022 | |||
2014T | ||||
여자 싱글 | ||||
2010 | 2019 | |||
페어 | ||||
2002 | 2014 | |||
2002 | 2018T | |||
2006 | 2018 | |||
2010 | 2022 | |||
2014T | ||||
아이스 댄스 | ||||
1996 | 2014 | |||
1998 | 2016 | |||
2002 | 2018T | |||
2006 | 2022 | |||
기타 | ||||
● 괄호 속의 숫자는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해이다. ●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로빈 졸코비와 올림픽을 제외한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했고, 브루노 마소와는 유럽선수권을 제외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을 했다. ● T 표시는 올림픽 단체전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에 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