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0:59:15

테라리아/보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테라리아
[[테라리아/둘러보기|
파일:Terraria/검색.png
]]
[[테라리아|
파일:테라리아 로고.png파일:테라리아 로고(발광 버섯).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아이콘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tablebgcolor=#FFF,#2D2F34><tablewidth=100%>
생물 관련
[[플레이어(테라리아)|
파일:Terraria/플레이어/아이콘.png
플레이어]]
[[테라리아/NPC|
파일:Terraria/간호사/아이콘.png
NPC]]
[[테라리아/소동물|
파일:Terraria/토끼.png
소동물]]
[[테라리아/몬스터|
파일:Terraria/초록 슬라임.png
몬스터]]
[[테라리아/보스|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아이콘.png
보스]]
[[테라리아/이벤트|
파일:Terraria/고블린 부대/아이콘.png
이벤트]]
환경 관련
[[테라리아/세계|
파일:Terraria/대형 세계.png
세계]]
[[테라리아/지형|
파일:Terraria/나무(오브젝트)/아이콘.png
지형]]
아이템 관련
[[테라리아/아이템|
파일:Terraria/전체.png
아이템
]]
[[테라리아/아이템/무기|
파일:Terraria/무기(모바일).png
무기]]
[[테라리아/아이템/방어구|
파일:Terraria/방어구(모바일).png
방어구]]
[[테라리아/아이템/치장품|
파일:Terraria/치장품(모바일).png
치장품]]
[[테라리아/아이템/블록|
파일:Terraria/블록(모바일).png
블록]]
[[테라리아/아이템/가구|
파일:Terraria/가구(모바일).png
가구]]
[[테라리아/아이템/장신구|
파일:Terraria/장신구(모바일).png
장신구]]
[[테라리아/아이템/장비|
파일:Terraria/장비(모바일).png
장비]]
[[테라리아/아이템/소모품|
파일:Terraria/소모품(모바일).png
소모품]]
[[테라리아/아이템/도구|
파일:Terraria/도구(모바일).png
도구]]
[[테라리아/아이템/재료|
파일:Terraria/재료(모바일).png
재료]]
[[테라리아/아이템/기타|
파일:Terraria/기타(모바일).png
기타]]
[[테라리아/수식어|
파일:Terraria/리포징.png
수식어]]
[[테라리아/조합법|
파일:Terraria/유리병/설치 모습(작업대).png
조합법]]
기타
[[테라리아/시스템|
파일:Terraria/영구 파워업.png
시스템]]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
파일:Terraria/아늑한 불길.png
버프 및 디버프]]
[[테라리아/도전 과제|
파일:Terraria/도전자.png
도전 과제]]
[[테라리아/OST|
파일:Terraria/묶음음표.png
OST]]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
파일:Terraria/에필로그.png
업데이트 내역]]
[[테라리아/공략|
파일:Terraria/물음표.png
공략]]
유저 콘텐츠
[[테라리아/모드|
파일:Terraria/모바일.png
모드]]
[[테라리아/리소스 팩|
파일:Terraria/오염 확산.png
리소스 팩]]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텍스트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tablebgcolor=#FFF,#2D2F34><colbgcolor=#599A5D,#526FDD"><colcolor=#FFF,#EFEFEF><tablewidth=100%>
생물 관련
<colbgcolor=#FFF,#2D2F34><colcolor=#212529,#E0E0E0>플레이어 · NPC (가이드) · 소동물 · 몬스터 (던전) · 보스 (달의 군주) · 이벤트
환경 관련
세계 (시드) · 지형 · 액체 · 오브젝트
아이템 관련
아이템 (무기 (근접 · 원거리 · 마법 · 소환) · 방어구 (하드모드) · 치장품 · 블록 (벽면) · 가구 (작업 · 저장 · 전기 · 장식) · 장신구 (이동 · 전투) · 장비 · 소모품 (포션 · 소환) · 도구 (기본) · 재료 (광물) · 기타) · 수식어 · 조합법
기타
시스템 · 낚시 · 전기 · 버프 및 디버프 · 도전 과제 · OST · 업데이트 내역 · 공략
유저 콘텐츠
모드 · 리소스 팩}}}}}}}}}{{{#!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표기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3px; padding: 1px; background: rgb(0 0 0 / 0.7); font-size: 1em"
}}}}}}}}}}}}


1. 개요2. 특징
2.1. 출현과 퇴장2.2. 보스 소환 아이템
3. 보스 목록
3.1. 왕 슬라임(King Slime)3.2. 크툴루의 눈(Eye of Cthulhu)3.3. 세상을 먹는 자(Eater of Worlds)3.4. 크툴루의 뇌(Brain of Cthulhu)3.5. 여왕벌(Queen Bee)3.6. 스켈레트론(Skeletron)3.7. 외눈사슴(Deerclops)3.8. 월 오브 플레시(Wall of Flesh)3.9. 여왕 슬라임(Queen Slime) 3.10. 기계 보스(Mechanical Bosses)
3.10.1. 쌍둥이(The Twins) 3.10.2. 파괴자(The Destroyer) 3.10.3. 스켈레트론 프라임(Skeletron Prime)
3.11. 플랜테라(Plantera) 3.12. 골렘(Golem) 3.13. 빛의 여제(Empress of Light) 3.14. 피시론 공작(Duke Fishron) 3.15. 미친 광신도(Lunatic Cultist) 3.16. 달의 군주(Moon Lord)
4. 특수 시드 전용 보스
4.1. 메크두사(Mechdusa)
5. 이전 버전 / 콘솔판 보스
5.1. 오크람(Ocram) 5.2. 레퍼스(Lepus)5.3. 배은망덕한 투르코(Turkor the Ungrateful)
6. 보스 가이드
6.1. 왕 슬라임6.2. 크툴루의 눈6.3. 세상을 먹는 자6.4. 크툴루의 뇌6.5. 여왕벌6.6. 스켈레트론6.7. 외눈사슴6.8. 월 오브 플레시6.9. 여왕 슬라임6.10. 기계 보스
6.10.1. 쌍둥이6.10.2. 파괴자6.10.3. 스켈레트론 프라임
6.11. [🎮] 오크람6.12. 플랜테라6.13. 골렘6.14. 빛의 여제6.15. 피시론 공작

1. 개요

보스는 강력하고 각자만의 패턴을 가진 대형 몬스터로 테라리아 내에서는 콘솔/3DS 전용 보스 3종, 특수 시드 전용 보스까지 포함하여 22종이 존재한다.[1] 각각 보스를 소환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며, 직접 소환하는 방식이 아닌 보스가 플레이어를 공격하기 전에는 미리 경고의 메시지를 띄워준다. 보스를 처치하는 데에 성공할 시 물리쳤다는 축하 메시지를 띄워주며 대량의 동전과 체력 하트, 희귀 자원, 그리고 전용 보상 아이템을 떨어뜨린다.

세계 생성 시에 선택할 수 있는 전문가, 마스터 모드에서는 보스의 체력과 공격력이 대폭 증가하고 변칙적인 패턴이 추가되어 플레이어는 더욱 강해진 보스들에 맞서 격퇴해야 한다. 또한 전문가, 마스터 세계의 멀티플레이 환경에서는 보스의 체력이 플레이어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니 주의할 것. 대신 전문가 이상의 난이도에서 보스를 처치할 시 보스별 고유 보상을 얻을 수 있다.

2. 특징

2.1. 출현과 퇴장

"<Name of boss> has awoken!"
"<보스의 이름>이(가) 깨어났습니다!"
"<Name of boss> has been defeated!"
"<보스의 이름>이(가) 쓰러졌습니다!"
대부분의 보스는 플레이어가 보스 소환 아이템을 사용하거나 보스 출현 트리거를 작동시키면 출현한다. 간혹 출현 조건을 만족시킨 채로 기다리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보스도 있지만 자연 스폰되는 보스는 초반 몇 개체, 중후반 몇 개체를 제외하곤 드물다.

대부분의 보스들은 출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크툴루의 눈스켈레트론에만 출현할 수 있고, 세상을 먹는 자크툴루의 뇌는 각각 오염지대진홍지대에서만 출현할 수 있다. 이렇게 출현 환경이 정해져있는 보스와 싸우는 도중에 환경에서 이탈할 경우 몇몇 보스는 보스전을 중단하고 도망치기도 하고, 몇몇 보스는 광폭화해서 공격력이 대폭 뛰어오르거나 전투 패턴들이 복잡해진다. 굉장히 특이한 경우로 월 오브 플레시는 소환하는 순간[2] 플레이어에게 두려움이라는 디버프가 걸리며, 플레이어나 월 오브 플레시 둘 중 하나가 죽어서 해당 디버프가 풀리기 전까지는 지하세계에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3]

보스 출현 조건만 만족된다면 이미 전투 중인 보스가 존재하더라도 다른 보스를 출현시키는 데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오염 지대에서 수상해 보이는 눈벌레 먹이를 연이어서 사용할 경우, 크툴루의 눈세상을 먹는 자가 연이어 출현하여 두 보스와 1:2 전투를 벌일 수 있다. 이렇게 두 종류 이상의 보스가 동시에 출현할 경우 하단 체력바는 가장 최근에 대미지를 입힌 보스를 기준으로 표시된다. 이런 식으로 기계 보스 3종을 전부 소환한 뒤 처치하면 달성하는 도전과제도 존재한다.

마법 거울이나 텔레포트를 사용해서 먼 곳으로 순간이동을 하거나 단순히 빠르게 이동해서 보스를 따돌리게 되면 갑자기 보스가 사라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보스전을 원한다면 너무 빠르게 이동하지는 말자. 하지만 이 점을 역이용해서 하드모드에서 아이템 만들기 전에 오는 보스들을 굳이 죽일 필요가 없이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세계에 살아있는 플레이어가 남아있지 않을 경우[4]에도 사라진다. 다만 달의 군주는 플레이어가 순식간에 멀리 도망쳐도 순간이동해서 쫓아오며, 여왕벌은 한 번 소환되면 플레이어가 멀리 도망쳐도 직접 날아서 추격해오고, 월 오브 플레시는 앞서 언급했듯 플레이어가 월 오브 플레시로부터 도망치는 것을 틀어막는다. 달의 군주와 여왕벌처럼 한 쪽이 죽을 때까지 추격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빛의 여제도 플레이어가 도망칠 때 추격하는 범위가 넓다. 수틀리면 그냥 메인 화면으로 돌아왔다가 다시 들어가면 보스가 사라져 있으니 그냥 껐다 키는 것도 좋다.

하룻밤에 한 보스를 잡고 바로 다시 소환하면 정말 가끔 소환이 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참을성을 갖고 약간씩 간격을 둬가면서 보스를 한 마리씩 잡는 걸 추천한다.

2.2. 보스 소환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테라리아/아이템/소모품/소환 문서
번 문단을
보스 소환 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당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 이외의 소환 방법은 각 보스 문단에서 따로 서술한다.

3. 보스 목록


달의 군주를 포함한 이벤트 보스들에 대해서는 이벤트 문서 참고.

보스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보스
일반 보스
파일:Terraria/왕 슬라임/아이콘.png왕 슬라임 (가시 슬라임) •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아이콘.png크툴루의 눈 (크툴루의 하인) •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아이콘.png세상을 먹는 자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아이콘.png크툴루의 뇌 (크리퍼) • 파일:Terraria/여왕벌/아이콘.png여왕벌파일:Terraria/스켈레트론/아이콘.png스켈레트론파일:Terraria/외눈사슴/아이콘.png외눈사슴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아이콘.png월 오브 플레시 (더 헝그리더 헝그리 II거머리)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아이콘.png여왕 슬라임 (수정 슬라임천상의 슬라임탄력있는 슬라임) • 기계 보스 (파일:Terraria/쌍둥이/아이콘.png쌍둥이파일:Terraria/파괴자/아이콘.png파괴자 (프로브)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아이콘.png스켈레트론 프라임) • 파일:Terraria/플랜테라/아이콘.png플랜테라파일:Terraria/골렘/아이콘.png골렘파일:Terraria/빛의 여제/아이콘.png빛의 여제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아이콘.png피시론 공작 (샤크론) • 파일:Terraria/미친 광신도/아이콘.png미친 광신도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달의 군주
특수 시드 전용 보스
메크두사
이전 버전 보스 / 콘솔판 보스
오크람레퍼스배은망덕한 투르코

3.1. 왕 슬라임(King Slime)

<colcolor=#fff> King Slime
왕 슬라임
파일:Terraria/왕 슬라임.webp
정보
<colbgcolor=#999,#4B4C51> AI 타입 왕 슬라임 AI
공격력 40 / 64 / 96
체력 2,000 / 2,800 / 3,570
방어력 1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 쉬머링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왕 슬라임).png 보물 가방 (왕 슬라임) 100% 1
파일:Terraria/로얄 젤.png 로얄 젤 100% 1
파일:Terraria/왕 슬라임 유물.png 왕 슬라임 유물 100% 1
파일:Terraria/왕실의 별미.png 왕실의 별미 25% 1
<colbgcolor=#999,#4B4C51> 파일:Terraria/닌자 후드.png 닌자 후드 33.33%[A] / 67%[B] 1
파일:Terraria/닌자 셔츠.png 닌자 셔츠 33.33%[A] / 67%[B] 1
파일:Terraria/닌자 바지.png 닌자 바지 33.33%[A] / 67%[B] 1
파일:Terraria/슬라임 갈고리.png 슬라임 갈고리 33.33%[C] / 50% 1
파일:Terraria/슬라임 총.png 슬라임 총 66.67%[C] / 50% 1
파일:Terraria/응고기.png 응고기 100% 1
파일:Terraria/끈적한 안장.png 끈적한 안장 25% / 50% 1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왕 슬라임 마스크.png 왕 슬라임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왕 슬라임 트로피.png 왕 슬라임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왕 슬라임/아이콘.png
Spiked Slime
가시 슬라임
파일:Terraria/가시 슬라임.gif
정보
AI 타입 슬라임 AI
공격력 285074 / 4275111 (접촉)
36 / 54 (가시)
체력 50[5] / 100220330 / 150330495
방어력 51015
넉백 저항 10% / 20%
면역 파일:Terraria/독.png 파일:Terraria/쉬머링.png
드롭 아이템
【아이템】    【수량】    【확률】
파일:Terraria/젤.png (1-2) (100%)
파일:Terraria/슬라임 스태프.png 슬라임 스태프 (0.014%)
슬라임은 일반적으로 지능적이지 않지만, 때로는 서로 합쳐져 모든 것을 삼키는 강력한 힘이 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왕관을 쓴 거대한 파란색 슬라임. 슬라임 왕관을 사용하여 소환하거나, 슬라임 장마 이벤트에서 보스로 출현하며, 낮에 맵 가장자리의 잔디가 있는 곳에서 낮은 확률로 자연적으로 출현하기도 한다.

AI는 보스 중에서 제일 단순한 보스이기에 그만큼 약한 편이지만 공격력은 그렇지 않다. 크툴루의 눈의 공격력이 변형 전에는 15, 변형 후에는 23인데에 비해 왕 슬라임은 무려 40이나 되는, 하드모드 초기 수준의 공격력을 지녔으므로 초반에 공략할 거라면 주의해야 한다. 체력이 낮아지면 크기가 작아지고 점프가 더 빨라지기도 하니까 체력이 상당히 높지 않은 이상 근접전은 봉인하자. 게임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극초반에 슬라임 장마가 발생해서 소환되거나, 바다로 탐사를 나갔다가 운없게 소환되면 사신이 따로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도 쉽게 디스폰되지 않고 끝까지 쫓아오기 때문. 그래서 1.4 버전 이후로 조금만 플레이어의 시야에서 벗어나면 사라지게 바뀌었다. 지형 굴곡이 심한 경우 소환했는데도 미니맵에조차 안보이고 보스 음악만 잠깐 들리다가 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 이왕이면 평지에서 소환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난감한 특수 패턴을 가진 다른 보스들과 달리 가시 박힌 파랑 슬라임 소환 패턴만 추가되었다.
패턴 설명
기본 동작 플레이어를 향해 5블록 정도의 점프를 2번, 3블록 정도의 점프를 1번[6] 4번째 점프는 15블록 정도로 높게 점프를 해오는 것을 반복한다. 블록을 관통하지는 못하며,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블록[7]이라면 플레이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플레이어보다 낮거나 같은 y축으로 이동한다.
텔레포트 플레이어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진다면, 왕관을 그 자리에 남기고 분열해서 사라진 뒤 플레이어 근처에 있는 블록 위로 새 왕관과 함께 텔레포트를 한다. 블록이 1개라도 있으면 주위가 공중이든지 좁은 땅굴이든지간에 어디든지 텔레포트한다. 텔레포트의 거리 제한도 없어서 플레이어가 귀환의 포션 같은 것을 써서 텔레포트를 해도 맵 끝에서부터 쫓아온다.
파랑 슬라임 피해를 입어서 체력이 닳을 때마다 파랑 슬라임을 소환하며, 본체의 크기가 작아지고 동작이 재빨라진다.
가시 슬라임 전문가 모드에서는 파랑 슬라임 일부가 가시 슬라임으로 대체된다. 가시 슬라임은 능력치가 높고, 디버프에 면역을 가지고 있으며, 가시를 발사한다. 또한, 로얄 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8]

아무래도 가장 쉬운 보스이기 때문인지 보상은 애매한 편이다. 무기 및 재료를 드랍하지 않고, 닌자 갑옷은 풀 세트를 맞추기 위해서 극초반에 왕 슬라임을 여러 번 잡는 게 귀찮다 보니 은 이상의 광물 갑옷에 밀린다. 전문가 모드 드랍 아이템인 로얄 젤도 얻어두면 유용하지만 필수까지는 아니다. 거기에 트로피도 주고 마스크도 주는 엄연한 보스 몬스터이지만 드라이어드의 입주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예외적으로 탈것 아이템인 끈적한 안장은 탑승 시 압도적인 상승/하강 속도를 보여주어 고인물 유저들이 굉장히 애용하는 탈것이다.

왕 슬라임은 모든 플레이어가 죽을 경우 순간이동을 하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주변을 벽으로 막아두면 디스폰을 막을 수 있다.

1.0.4 버전 패치로 처음 추가되었을 당시에는 그냥 큰 슬라임에 닌자 한 명 들어있는 모습이었고, 소환 방법은 그저 맵 가장자리에서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었다. 1.1 버전 패치로 소환 아이템인 슬라임 왕관이 생겼지만, 만들기도 어렵고[9] 보상은 당시 순수 치장 아이템이였던 닌자 장비가 전부라 초보들은 존재를 몰라서, 고수들은 수집가가 아니고서야 잡을 이유가 없어서 버려진 비운의 보스였다. 또한 이때는 텔레포트 패턴이 없었기 때문에 지형이 좁거나 나쁜 곳에서 소환시키면 운이 나쁠 시 아예 안 나오는 버그가 있기도 했었다. 1.2 버전에서는 보스 트로피가 추가되었으나, 정작 왕 슬라임에게는 트로피조차도 없고 일반 슬라임 취급이라서 죽이면 0.5% 확률로 슬라임 배너만 줬었다. 이후 1.2.4 버전에서 여러 가지 슬라임 장비와 무기 및 보스 트로피가 드롭 목록에 추가되고, 1.3 버전 패치로 왕답게 커다란 황금 왕관을 쓰고 나오게 바뀌었으며 최종 보스로 왕 슬라임이 나오는 슬라임 장마 이벤트를 추가하는 등 현재는 게임 플레이 중에 한 번은 싸우게 될 어엿한 초반 보스가 되었다.

싸우면 대량의 슬라임을 떨구는데다 소환하면 나타나는 장소에 제한이 없어서, 어떤 몬스터든 해치우기만 하면 일정 확률로 드롭되는 아이템,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할로윈 시즌 아이템, 요요, 지형 열쇠 등을 파밍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1.4 버전 이전에는 전염지대나 신성지대 깊은 지하로 내려간 다음에 왕 슬라임을 불러내 잡으면 대량으로 출몰하는 파랑 슬라임들에게서 짭짤한 영혼을 모을 수 있었지만, 1.4 버전 패치로 더 이상 왕 슬라임에게서 나온 슬라임들은 영혼을 드롭하지 않게 바뀌어 영혼 파밍은 불가능해졌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크기가 엄청나게 커진 상태로 등장한다.

왕 슬라임 안에 들어있는 닌자의 정체는 오래도록 수수께끼였다. 왕 슬라임을 처치하는 Slippery Shinobi 도전과제 이미지에도 닌자가 중심으로 그려져있는 점이나 왕 슬라임 내부에서 눈을 부릅 뜨고 있는 점을 볼 때 뭔가 왕 슬라임의 심볼격인 인물인 것은 틀림없지만, 그 이상 알려진 것은 전혀 없었다. 뭔가 설명이 있을법한 도감 설명에도 "슬라임들은 보통 지성이 없지만, 간혹 더 강해져 모든 것을 집어삼키기 위해 서로 융합하기도 한다.(Slimes normally aren't intelligent, but occasionally they merge together to become a powerful force to swallow all things.)"라는 설명만 있을 뿐 닌자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다. 그러다가 2021년 10주년 기념 Q&A에서 킹 슬라임과 싸우다 패배하여 안에 갇힌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거 있었던 redigit의 언급에 따르면 이 닌자는 가이드의 형제라고 한다. 처치할 시 슬라임과 함께 터지면서 복장만 드랍하는 것을 보면, 이미 죽어서 시체가 된 것 같다.

3.2. 크툴루의 눈(Eye of Cthulhu)

Eye of Cthulhu
크툴루의 눈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페이즈 1).webp
정보
AI 타입 크툴루의 눈 AI
체력 2,800 / 3,640 / 4,641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크툴루의 눈).png 보물 가방 (크툴루의 눈) 100%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방패.png 크툴루의 방패 100%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 유물.png 크툴루의 눈 유물 100% 1
파일:Terraria/수상하게 웃는 눈.png 수상하게 웃는 눈 25% 1
파일:Terraria/0x33의 조종사 안경.png 0x33의 조종사 안경 100% 1
파일:Terraria/데모나이트 광석.png 데모나이트 광석 100%[A] 30-90
파일:Terraria/오염된 씨앗.png 오염된 씨앗 100%[A] 1-3
파일:Terraria/부정한 화살.png 부정한 화살 100%[A] 20-50
파일:Terraria/크림테인 광석.png 크림테인 광석 100%[B] 30-90
파일:Terraria/진홍색 씨앗.png 진홍색 씨앗 100%[B] 1-3
파일:Terraria/쌍안경.png 쌍안경 2.5% / 3.33% 1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Badger의 모자.png Badger의 모자 100%[C]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 마스크.png 크툴루의 눈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 트로피.png 크툴루의 눈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아이콘.png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페이즈 2)/아이콘.png
크툴루의 눈 (페이즈 1) 크툴루의 눈 (페이즈 2)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크툴루의 눈(페이즈 2).webp
정보
AI 타입 크툴루의 눈 AI AI 타입 크툴루의 눈 AI
공격력 15 / 30 / 45 공격력 23 / 36 / 54
40 / 60 (체력이 1/25에 도달했을 경우)
체력 2,800 / 3,640 / 4,641 체력 1,400/2,800 / 2,366/3,640 / 3,016/4,641
방어력 12 방어력 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Servant of Cthulhu
크툴루의 하인
파일:Terraria/크툴루의 하인.gif
정보
AI 타입 비행 AI
공격력 12 / 24 / 36
체력 8 / 12 / 15
방어력 0
넉백 저항 0% / 10% / 20%
면역 파일:Terraria/혼란.png 파일:Terraria/쉬머링.png
수 세기 전, 유혈이 낭자한 전쟁에서 크툴루의 몸에서 뜯겨나간 것으로 밤을 배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로 숙주 모색과... 복수를 위해서!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크툴루의 눈에서 탄생한 이 어린 악마의 눈들은 주인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크툴루의 하인)
“You feel an evil presence watching you...”
“당신을 주시하고 있는 악의 기운이 느껴진다...”

세상을 먹는 자, 스켈레트론과 함께 초기 베타 시절부터 존재했던 보스. 크툴루 신화에 나오는, 르뤼에에 잠들어있는 그 크툴루와 표기가 같다. 영어권에서는 EOC, 한국에서는 크툴루라 불린다.[10]

크툴루의 눈은 처음 처치하기 전까지는 플레이어의 체력이 200 이상, NPC가 4명 이상[11], 방어력이 10 이상일 경우 자연적으로 마다 1/3 확률로 나타나며 이때 위의 메시지가 나타나며 그 후 시간이 대략 1분 정도 지나면 '크툴루의 눈이 나타났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출현한다. 이때는 지상에서만 출현하며, 소환됐어야 할 시간에 지하에 있었다면 지상으로 올라오자마자 나타난다. 단, 낮에 지상으로 올라왔을 경우 나타나지 않는다. 처치한 뒤에는 자연 소환되지 않으며, 이후에는 밤에 수상해 보이는 눈을 사용해야만 소환이 가능하다. 이때는 지형에 제약이 없어서, 지하세계 같은 곳에서도 밤에 수상해 보이는 눈을 사용하면 출현한다. 만약 수상해 보이는 눈으로 소환한 후 자연적으로 소환되면 2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스켈레트론과 같이 크게 달라진 보스로, 행동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졌으며, 전체적으로 소환하는 크툴루의 하인의 수가 대폭 늘었다. 또한 전투가 막바지에 다다를 땐 초고속 돌진도 시도하여 준비를 단단히 하지 않는다면 상대하기 힘들다.
패턴 설명
페이즈 1
돌진 플레이어에게 3번 돌진한 뒤 하인 소환 패턴을 시도한다.
하인 소환 플레이어 머리 위를 응시하면서 크툴루의 하인 3~4마리를 차례로 소환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1마리 더 많이 소환한다. 그 후 돌진 패턴을 다시 시도하며, 페이즈 2로 넘어갈 때까지 이를 계속 반복한다.
변신 전체 체력이 50% / 65% 이하가 되면 잠시 주춤하나 싶더니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눈 부분이 벗겨나 거대한 입이 드러난다. 공격력이 증가하는 대신 방어력이 사라진다. 이후 페이즈 2에 돌입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추가로 크툴루의 하인 10여 마리를 자신의 주위에 흩뿌리면서 변신한다.
페이즈 2
돌진 돌진 패턴에 기괴한 포효성이 추가되며, 페이즈 1일 때보다 저돌적이고 공격적인 돌진 공격을 3번 가한다.
초고속 돌진 전문가 모드에서는 돌진 3번을 한 뒤 갑자기 기존 포효성을 배속한 듯한 괴성을 지르며 초고속 돌진을 병행해서 사용하는데, 초고속 돌진의 속도가 일반 모드의 쌍둥이 이상의 속도를 자랑한다. 이 초고속 돌진은 플레이어의 위치를 미묘하게 빗겨나가기 때문에 운 나쁠 때 가끔 닿는 것만 빼면 계속 달리면 어떻게든 아슬아슬하게 빗겨나가지만, 체력이 낮아지면 이 초고속 돌진의 빈도가 더 늘어난다! 처음엔 일반 돌진 3번, 조금 쉰 뒤 초고속 돌진 2번, 체력이 더 깎이면 초고속 돌진 2번이 3번으로, 좀 더 깎이면 초고속 돌진 3번이 5번으로, 더 깎이면 아예 일반 돌진을 생략하고 초고속 돌진만 사용하고, 마지막으로는 초고속 돌진을 쉴틈없이 쓰며 무작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격력 증가 체력이 4% 이하로 내려갈 경우 공격력이 4 / 6 증가한다.

보상은 어느 정도 괜찮은 편이다. 전염 지형의 보스들을 잡아야 얻는 데모나이트/크림테인 광석을 미리 얻을 수 있으며[12], 부정한 화살을 오염지대 세계에서 드롭하는데 이게 대미지도 높고 관통이 달려 세상을 먹는자에게 쥐약이다.데모나이트 활을 만들어서 갈기면 세상을 먹는자를 쉽게 처치할 수 있다.광대의 화살이 너프를 먹어 더 좋아졌다.이것뿐 아니라 전문가 모드에서는 마스터 닌자 기어를 장비하기 이전까지 대체용으로 쓸 수 있는 크툴루의 방패가 드롭되어 반드시 잡게 되는 보스.

마스터 모드에서는 체력이 적게 남았을때 초고속 돌진보다 더 빠른 돌진을 죽을때까지 멈추지 않고 계속 해대는데 헤르메스 부츠를 신고 한 방향으로 달려도 어지간히 피할순 있지만 한대 맞으면 운 좋지 않는 이상 콤보로 얻어맞으며 순식간에 공중분해가 될수 있으니 주의.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페이즈 1일 때 크툴루의 하인을 더 많이 소환하며,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돌진 주기가 짧아진다.

1.4.3 버전 업데이트로 이루어진 테라리아와 Don't Starve의 크로스오버로 Don't Starve Together에 보스로 추가되었다. 이름은 '공포의 눈(Eye of Terror)'으로, 스토리 상의 흑막이 별도로 존재하는 게임이라서 크툴루의 이름은 빠진 듯하다.

3.3. 세상을 먹는 자(Eater of Worlds)

Eater of Worlds
세상을 먹는 자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png
정보
출현 오염지대
AI 타입 지렁이 AI
체력 10,050 / 15,120 / 19,224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세상을 먹는 자).png 보물 가방 (세상을 먹는 자) 100% 1
파일:Terraria/벌레 스카프.png 벌레 스카프 100% 1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 유물.png 세상을 먹는 자 유물 100% 1
파일:Terraria/꿈틀대는 사체.png 꿈틀대는 사체 25% 1
파일:Terraria/데모나이트 광석.png 데모나이트 광석 50%[A] 2-5
파일:Terraria/그림자 비늘.png 그림자 비늘 50%[A] 1-2 / 2-3
파일:Terraria/데모나이트 광석.png 데모나이트 광석 100%[B] 30-59
파일:Terraria/그림자 비늘.png 그림자 비늘 100%[B] 10-19
파일:Terraria/포식자의 뼈.png 포식자의 뼈 5% 1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 마스크.png 세상을 먹는 자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 트로피.png 세상을 먹는 자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아이콘.png
세상을 먹는 자 머리 세상을 먹는 자 몸통 세상을 먹는 자 꼬리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머리.png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몸통.png 파일:Terraria/세상을 먹는 자/꼬리.png
정보
출현 오염지대 출현 오염지대 출현 오염지대
공격력 22 / 48 / 72 공격력 13 / 20 / 31 공격력 11 / 17 / 26
체력 150 / 210 / 267 체력 150 / 210 / 267 체력 150 / 210 / 267
방어력 2 / 4 방어력 4 / 6 방어력 8 / 10
커럽션의 가장 어두운 악의로부터 탄생한 이 강력한 심연의 벌레는 모든 것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우기 위해 마구 땅굴을 만듭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A horrible chill runs down your spine...“
“등골이 오싹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Screams echo around you...”
“비명의 메아리가 당신 주변을 맴돈다...”
크툴루의 눈, 스켈레트론과 함께 초기 베타 시절부터 존재했던 보스. 이터 오브 월드, 줄여서 EOW라 부른다. 오염지대에 있는 그림자 구체를 3개씩 부술 때마다 나타나는 보스이며, 첫 번째와 두 번째에는 위의 메시지가 뜨다가 세 번째에는 '세상을 먹는 자가 나타났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출현한다. 벌레 먹이를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지렁이 AI를 가지고 있어 별다른 패턴은 없지만, 몸의 마디만 무려 50개나 된다. 머리>몸통>꼬리 순으로 공격력이 높아지는 대신, 체력과 방어력은 꼬리>몸통>머리 순이다. 따라서 공격력 20 정도 되는 검류 무기로 세상을 먹는 자의 머리를 계속 공격하면 순식간에 썰려나간다. 하지만 계속 맞아야 되므로 높은 체력과 방어력 10 정도는 필요하다. 각각의 부위를 모두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관통무기를 챙겼다면 제자리에서 맞아가며 공략해도 이기는 반면, 관통무기가 없다면 약간의 컨트롤은 필요하다.

그래도 일반 모드 기준으로 보스 중에서 난이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보스. 대충 크툴루의 눈보다 조금 어렵거나 비슷한 정도다. 템 조금만 맞추면 죽어나가니 파밍하기 가장 좋은 보스다. 체력과 맷집만 적당하다면 조금씩 피하면서 철퇴를 빙빙 돌리는 것만으로도 몸통이 마구 터져나간다. 덕분에 대충 중반만 가도 세상을 먹는 지렁이 취급을 당한다. 허구한 날 털리는 것이 일상일 정도다. 하드모드에서 지형 열쇠 얻으려고 잡히기도 하고, 신무기 나오면 성능 테스트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딴 보스 잡다 죽으면 화풀이로 털리기도 하고, 그냥 심심해서 한번씩 잡히기도 하고, 후술하듯 돈이 필요하면 훌륭한 돈 공급원이 되어주고, 심지어 그냥 매달려있는 플레이어 상대로 쩔쩔매다 털려나가는 불쌍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문가 모드에서는 난이도가 그나마 적게 상승한 크툴루의 뇌와 달리, 전체적으로 상당히 어려워졌다. 폭주시 공격력이 매우 강력한 침을 무더기로 발사해대서 지상에서 싸우기도 힘든 편인데, 커럽션 지하는 횃불을 박아도 침과 배경을 구분하기도 어려운데다 좁디좁은 커럽션 지하를 넓게 뚫어야 하는 것도 고역이며, 재수없게 나약함 디버프에 걸리면 스탯을 많이 올릴 수단이 없는 초반에는 매우 치명적이고 지속시간도 더럽게 길어서 전적으로도 크게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관통 무기로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최선. 다이아몬드 스태프를 제외하면 여다른 장거리 관통공격 수단이 없는 소서러는 백금이 생성되지 않는 세계에서 이 보스가 가장 큰 고비가 된다.그나마 타락가시를 얻얻다면 사거리가 짧아 맷집이 약하면 어려울수 있지만 관통에 다단히트로 대미지가 잘 들어가고 각을 맞춰 수평으로 갈기면 대미지를 크게 넣을수 있으니 조금 낫다.

또한 전문가 모드에서는 몬스터들이 동전을 줍기도 하는데, 세상을 먹는 자의 경우 관절 하나하나가 전부 동전을 줍기 때문에 여러모로 변수가 생긴다. 다른 보스들의 경우 플레이어가 죽으면 곧바로 퇴장하기 때문에 동전을 흘려도 회수할 수는 있는 경우가 많지만, 세상을 먹는 자는 몸 앞쪽으로 플레이어를 치어 죽이고 몸 뒤쪽으로 동전을 주운 뒤 튀어서디스폰돼버려서 땡전 한 푼 못 건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패턴 설명
기본 동작 지렁이 AI를 가진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땅속을 헤집고 다니면서 플레이어에게 머리로 돌진해서 공격을 시도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과 공격력이 늘어나고 이동속도가 빨라졌으며, 수류탄 같은 폭발성 무기에 최대 80%의 내성을 가진다.
몸통 분열 몸통을 자를 경우 지하의 지렁이처럼 죽는 것이 아니라 해당 파괴된 지점에서 새로운 세상을 먹는 자가 생겨난다. 세상을 먹는 자는 최소 2마디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1마디만 남아있을 경우 남은 마디는 함께 파괴된다.[13]
불쾌한 침 전문가 모드에서는 불쾌한 침[14]을 모든 몸 마디에서 발사한다. 불쾌한 침은 연사 속도가 높으며, 무기나 도구로 없앨 수 있다. 침의 공격력이 머리의 공격력(48)보다 높고, 중간 마디를 파괴할 수록 발사체 전부를 방어하기가 까다로워 진다.

그림자 비늘은 세상을 먹는 자가 유일하게 떨어뜨린다. 이 때문에 그림자 갑옷 세트나 악몽의 곡괭이를 만들기 위해선 세상을 먹는 자와 한 번은 싸워야 한다.[15] 세상을 먹는 자 격파 시 운석이 떨어지며, 술집 주인의 소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크기가 대폭 커지고 길이가 2배 길어진 상태로 등장하는데, 속도도 엄청 빨라진다. 몸통의 방어력 또한 소량 상승한다. 크기는 커진 반면에 보스가 공격받는 피격 판정은 이전과 동일한 주제에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접촉 판정은 크기 그대로라 전투가 심히 불리해진다.

3.4. 크툴루의 뇌(Brain of Cthulhu)

Brain of Cthulhu
크툴루의 뇌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페이즈 1).webp
정보
출현 진홍지대
AI 타입 크툴루의 뇌 AI
체력 1,250 / 2,125 / 2,709 (뇌)
3,250 / 5,525 / 7,029 (뇌+크리퍼)
넉백 저항 55% / 60% / 65%
면역 혼란
BGM Boss 3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크툴루의 뇌).png 보물 가방 (크툴루의 뇌) 100% 1
파일:Terraria/혼란의 뇌.png 혼란의 뇌 100%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 유물.png 크툴루의 뇌 유물 100% 1
파일:Terraria/병 속의 뇌.png 병 속의 뇌 25% 1
파일:Terraria/크림테인 광석.png 크림테인 광석 66.67%[A] 5-12 / 11-25
파일:Terraria/조직 샘플.png 조직 샘플 66.67%[A] 2-5 / 4-10
파일:Terraria/크림테인 광석.png 크림테인 광석 100%[B] 40-90
파일:Terraria/조직 샘플.png 조직 샘플 100%[B] 10-19
파일:Terraria/뼈 딸랑이.png 뼈 딸랑이 5% 1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 마스크.png 크툴루의 뇌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 트로피.png 크툴루의 뇌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아이콘.png
크툴루의 뇌 (페이즈 1) 크툴루의 뇌 (페이즈 2)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크툴루의 뇌(페이즈 2).webp
정보
출현 진홍지대 출현 진홍지대
AI 타입 크툴루의 뇌 AI AI 타입 크툴루의 뇌 AI
공격력 30 / 54 / 81 공격력 30 / 54 / 81
체력 1,250 / 2,125 / 2,709 (뇌)
3,250 / 5,525 / 7,029 (뇌+크리퍼)
체력 1,000 / 1,700 / 2,167
방어력 14 방어력 14
넉백 저항 - 넉백 저항 0%
Creeper
크리퍼
파일:Terraria/크리퍼.png
정보
출현 진홍지대
AI 타입 크리퍼 AI
공격력 20 / 36 / 54
체력 100 / 170 / 216
방어력 10
넉백 저항 20% / 28% / 36%
크툴루의 찢어진 한 조각입니다.
사악한 마스터마인드는 고통으로 요동치며, 크림슨이 주인의 복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크림슨의 군체 의식을 통해 조종되는 크리퍼들입니다.
뇌의 눈 역할을 하며 방어를 위해 떼지어 뇌의 궤도 주위를 돕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크리퍼)

1.2 버전에서 추가된, 오염지대에 대응하는 진홍지대의 보스로 보스 몬스터들 중 체력이 가장 낮다. 진홍지대에 있는 진홍색 심장을 3개씩 부술 때마다 나타나는 보스이며, 첫 번째와 두 번째에는 그림자 구체를 부술 때와 동일한 메시지가 뜨다가 세 번째에는 '크툴루의 뇌가 나타났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출현한다. 피투성이 등뼈를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세상을 먹는 자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보스이나, 간단한 아레나와 무기만 있어도 죽는 지렁이인 세상을 먹는 자에 비해 깡으로 맞붙기에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다. 특히 크툴루의 뇌 본체 부분의 공격력은 30으로 세상을 먹는자의 머리 접촉 피해량보다 8이나 더 높다![16]

동굴을 뒤져가면서 심장을 부수자마자 등장하는 크툴루의 뇌를 상대하기에는 지속적으로 순간이동을 하고 잡몹으로 휘몰아치는 특성상 대처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하지만 미리 싸우기 전에 대비를 해두어 관통 속성의 투척 무기와, 위아래로 쉽게 오가면서 상대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치해주면 난이도가 급격하게 내려간다. 또한 심장이 어디에 있을지도 확신하기 어렵고 동굴 안에서는 보스를 상대하기 적당한 진영을 구축하기 힘든 만큼 지상에서 영역을 확보한 뒤 진홍지대를 돌아다니며 재료를 모아 피투성이 등뼈를 만들어 불러내는 것이 더 편리하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공격 패턴은 일반 모드와 거의 동일하다. 크리퍼의 숫자가 조금 더 증가하고 크리퍼의 접촉 공격에 무작위 디버프 효과가 추가됐으며 체력과 공격력이 약간 상승했지만, 아레나를 잘 마련하고 관통 가능한 투척 무기 등을 잘 사용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다. 전문가 모드의 세상을 먹는 자처럼 지상으로 나온다고 폭주하지도 않으니 밝고 넓은 야외에서 상대하는 데에도 무리가 없다.
패턴 설명
페이즈 1
순간 이동 크툴루의 뇌는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대각선 4방향중 비어있는 공간이 있는 지점으로 순간 이동한다.[17] 이후 제일 가까운 플레이어[18]에게 다가가다 다시 순간이동을 반복한다.
크리퍼 본체 주변에는 20~30마리의 크리퍼가 크툴루의 뇌 주변의 궤도를 맴돌며, 궤도를 돌다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한다.[19] 크리퍼가 끝까지 돌진하거나 크리퍼를 공격하면 다시 크툴루의 뇌 주변의 궤도를 돌며 이를 반복한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피격시 혼란이나 독, 출혈, 암흑, 침묵, 부서진 갑옷, 나약 디버프를 부여한다.
변신 크리퍼가 전멸하면 괴성을 지르면서 본체가 심장을 드러내며, 페이즈 2에 돌입한다. 동시에 본체의 무적이 풀린다.
페이즈 2
순간 이동 순간 이동의 빈도와 플레이어에게의 돌진 속도가 높아진다. 크툴루의 뇌는 유일하게 넉백의 영향을 받는 보스이므로 작살 등의 무기를 이용해 밀어내면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20]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크리퍼와 마찬가지로 피격당하면 나약이나 침묵, 암흑 등의 디버프에 걸릴 수 있다.
환영 전문가 모드에서는 2페이즈 돌입 시 뇌의 환영이 생긴다. 플레이어를 중앙에 두고 총 3개의 환영이 생긴다.[21] 환영은 자체적인 공격 능력이 없으며 순전히 시각적으로 헷갈리게 하는 용도다. [22] 체력이 줄어들 수록 환영이 점차 짙어지며, 최종적으로 육안으로는 본체와 분간이 불가능 해 진다.

전리품인 조직 샘플세상을 먹는 자그림자 비늘에 대응하는 아이템으로, 진홍색 갑옷 세트나 죽음의 인도자 곡괭이를 만들기 위해선 크툴루의 뇌를 한 번은 소환해야 한다. 세상을 먹는 자 격파와 똑같이 크툴루의 뇌 격파 시 운석이 떨어지며, 술집 주인의 소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사족으로 크툴루의 뇌의 보물 가방은 분홍색 주머니에 하트 하나가 찍혀있는 스프라이트로, 크툴루의 뇌의 흉악한 비주얼과 비교하면 기이할 정도로 귀엽게 생겼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크리퍼가 20마리에서 40마리로 늘어나며, 전문가 모드부터는 처음부터 환영이 전부 뚜렷해진 채로 페이즈 2가 시작된다.

1.4.4 패치로 상향을 먹었다. 체력이 1000에서 1250으로 오르고 넉백 저항이 추가로 5%씩 더 생겼으며, 이제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 2페이즈의 남은 체력에 따라 환영이 뚜렷해지는 시기가 앞당겨짐과 더불어 맵 아이콘에 본체가 뜨지 않게 되어 더 이상 미니맵으로 환영 패턴 날먹은 불가능해졌다.[23]

3.5. 여왕벌(Queen Bee)

Queen Bee
여왕벌
파일:Terraria/여왕벌.webp
정보
출현 정글
AI 타입 여왕벌 AI
공격력 30 / 54 / 81 (접촉)
22 / 44 / 66 (독침)
체력 3,400 / 4,760 / 6,069
방어력 8 / 8-28 (체력과 반비례)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BGM Queen Bee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여왕벌).png 보물 가방 (여왕벌) 100% 1
파일:Terraria/벌꿀 가방.png 벌꿀 가방 100% 1
파일:Terraria/여왕벌 유물.png 여왕벌 유물 100% 1
파일:Terraria/반짝이는 꿀.png 반짝이는 꿀 25% 1
파일:Terraria/양봉가.png 양봉가 33%[A] 1
파일:Terraria/꿀벌 총.png 꿀벌 총 33%[A] 1
파일:Terraria/더 비즈 니스.png 더 비즈 니스 33%[A] 1
파일:Terraria/벌집 완드.png 벌집 완드 33%[B] / 100% 1
파일:Terraria/꿀벌 모자.png 꿀벌 모자 11%[B] / 33%[C] 1
파일:Terraria/꿀벌 상의.png 꿀벌 상의 11%[B] / 33%[C] 1
파일:Terraria/꿀벌 바지.png 꿀벌 바지 11%[B] / 33%[C] 1
파일:Terraria/허니콤.png 허니콤 33% 1
파일:Terraria/밀랍.png 밀랍 100% 16-26 / 17-29
파일:Terraria/꿀병.png 꿀병 100% 5-15
파일:Terraria/벌류탄.png 벌류탄 75% / 100% 10-30 / 10-29
파일:Terraria/꽃꿀.png 꽃꿀 6.7% / 11% 1
파일:Terraria/달콤한 고글.png 달콤한 고글 5% / 11% 1
파일:Terraria/여왕벌 마스크.png 여왕벌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여왕벌 트로피.png 여왕벌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여왕벌/아이콘.png
자신의 유충이 죽을 때 격렬하게 반응하는 매우 공격적인 괴물입니다. 꿀이 가득한 벌집은 그녀의 보금자리입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정글 지하에서 소형 지형으로 벌집을 찾아낼 수 있는데, 벌집 안으로 들어가보면 대량의 꿀과 함께 캐릭터와 비슷한 크기의 노란 유충이 들어있는 노랗고 반투명한 고치가 하나 있다. 이 고치를 터트리면 여왕벌이 플레이어 근처에서 소환된다. 이 고치는 잔디와 비슷한 판정이라, 칼질이나 원거리 무기 투사체, 심지어 갈고리질에도 쉽게 터진다. 때문에 실수로 고치를 터뜨리는 바람에[24] 정말 의도치 않게 보스전에 돌입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가끔 하나의 벌집에 2개의 고치가 생성되는 경우도 있는데,[25] 의도적으로든 실수로든 고치 2개를 둘 다 깨뜨리면 여왕벌이 두 마리 나타나 동시에 상대해야 하니 주의하는 게 좋다.

여왕벌을 더 잡고 싶은데 새로운 벌집도 그 안의 고치도 더 이상 안 보인다면, 어비미네이션을 만들어 낸 다음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세상을 먹는 자/크툴루의 뇌를 잡아 그림자 갑옷/진홍색 갑옷 정도는 맞추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불 디버프에 초당 21 피해량을 받으므로 악마의 활/힘줄의 활과 불화살로 쏘고 나서 멈추면 근접 무기로 딜을 넣어 주자. 대충 던전을 한차례 돈 이후로는 사실상 돈벌이용으로 학살하게 된다.

일반 모드에서는 벌집 안에 플랫폼을 3~4줄 설치하고 위아래 무빙을 치는걸로 여유롭게 돌진을 피할 수 있고, 벌은 칼 휘둘러서 잡으면 되니 독침만 어떻게 잘 피하면 그럭 저럭 높지 않은 난이도다. 보상도 상당히 좋으니 도전해보자. 재생 포션만 마셔주면 독도 큰 의미 없이 금방 회복할 수 있으니 편안하다. 참고로 워리어라면 칼로 여왕벌까지 잡을 생각은 관두자. 돌진 중에는 물론이요 날아다니는 특성상 어림도 없다.

1.4 버전 업데이트로 텍스처가 변경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정글 지하를 벗어나면 폭주하게 바뀌었다. 폭주한 여왕벌은 더욱 공격적이게 움직이고 독침을 더욱 빠르게 발사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잡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벌 소환 패턴 또한 일자 형식으로 소환하는 것이 아닌 산개 형태로 뿌리게 바뀌어 더 이상 프리딜을 넣기가 힘들어졌다. 설상가상으로 이제 여왕벌이 일단 한번 소환되면 플레이어나 여왕벌 한쪽이 죽기 전까지는 사라지지 않는다. 귀환 포션이나 마법 거울로 멀리 도망가도 그 자리에서 폭주한 상태로 빠르게 플레이어를 추격해 끝까지 따라온다. 전투 중에 악마의 소라고둥 등을 이용해 지하세계로 도망치면 말그대로 지옥까지 쫓아온다. 보스전 중에는 파일런도 활성화가 안되고, 하드모드 중에는 텔레포트를 할 수단이 거의 전무하기에 정글 지하에서 싸우다가 귀환 포션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후퇴해서 목숨을 아끼는 전략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

하드코어 플레이시 월 오브 플레시, 빛의 여제, 달의 군주와 같이 가장 주의해야 하는 보스로, 세 보스와 마찬가지로 처음 상대할때는 죽을 각오하고 싸워야 한다. 물론 게임 나갔다 들어오면 사라지긴 하고 귀환 포션으로 정글 지하에서 도망친거라면 여왕벌이 오기 전까지 충분한 재정비를 한 뒤 여왕벌이 오자마자 포탈로 다시 정글 지하로 들어가는 식으로 시간은 꽤 걸리지만 여유로운 상태에서 전투를 재개할 수 있다. 빛의 여제나 달의 군주처럼 순간이동하는 게 아니라 여왕벌이 직접 날아오는 식이므로, 멀리까지 도망쳤다면 추격해오기까지는 시간이 꽤 걸린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매우 강력해졌다. 체력이 낮아질수록 패턴이 강화되며 방어력 또한 계속 강해져서 원거리 무기로는 피해량이 아주 약해지며 지속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여왕벌이 소환하는 벌의 능력치가 상향되어 전체적으로 매우 어려워졌다. 독침에 맞으면 걸리는 디버프가 전문가 모드에서는 오래 가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상향된 부분도 있다.
패턴 설명
폭주 정글 지하에 있지 않고 지면 위로 올라와 있다면 폭주하기 시작한다. 더 빨리 이동하며 더 자주 공격하게 된다.
돌진 플레이어의 높이와 동일한 x축으로 이동하여 돌진 공격을 3회 가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여왕벌 본체에 피격당하면 디버프에 2~6초간 걸린다.
독침 사격 일정시간 동안 플레이어 위를 좌우로 배회하면서 독침을 수차례 사격한다. 피격당하면 디버프에 걸린다.[26] 플레이어의 위쪽이 블록으로 막혀있다면 플레이어에게 다가가며, 접촉피해를 입힌다.
벌 소환 플레이어의 위쪽에 자리를 잡을때까지 가속한다. 자리를 잡으면 감속하고 멈춰서서 소형 개체의 벌을 산개 형태로 수차례 소환한다. 벌을 전부 소환하기 전에 거리가 멀어지면 다시 자리를 잡는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몇몇 벌이 중형 개체로 대체되어 나온다.
패턴 강화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에 반비례하여 공격력과 방어력이 매우 상승한다. 동시에 패턴도 강화, 돌진을 제외한 패턴이 2배 까지 가속한다. 돌진은 속도가 3배까지 빨라지며, 돌진 사이 간격 또한 동일하게 감소한다.

보상은 대단히 좋다. 밀랍으로 벌류탄을 만들어놓으면 월 오브 플레시를 순식간에 찢어버리는 것은 당연지사고 양봉가는 벌 소환에 혼란 디버프까지 있는 강한 견제를 지닌 검이기에 범용성이 높다. 꿀벌 총은 적절한 공격력과 자동 공격, 유도 기능을 가지고, 마나 소모량까지 적은 만능 무기이며 더 비즈 니스는 하드모드 초반까지 책임지는 쓸모 있는 활이다. 특히나 하드모드 이전 보스 중 최초로 서머너 갑옷 재료를 드롭하기 때문에 서머너에겐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 탈것 수단인 달콤한 고글은 얻기는 힘들지만 벌이 생각보다 멀리까지 날 수 있기 때문에 운 좋게 얻으면 초반부에 날개 대신으로 쓸 수 있다. 또한 주술사의 입주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1.4.4 업데이트로 고유의 포효가 생겼다. 음성 변경 전에는 크툴루의 눈과 동일한 괴물 울음소리를 돌려썼는데 업데이트 이후에는 제대로 벌레가 찌르륵대는듯한 소리를 낸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풀 체력 상태에서도 돌진 속도가 더 빨라지고, 벌 소환시 더 많이 소환하며, 독침을 더 많이 발사한다.

not the bees 시드로 세계 생성시 여왕벌을 출현시키기 위한 고치가 벌집 뿐만 아니라 세상 곳곳에 지상과 지하를 불문하고 생성된다. 이 때문에 전혀 예상도 못 한 상황에서 여왕벌과 맞닥뜨리는 경우도 드물게 생긴다. 여왕벌 자체가 최초 조우시의 크툴루의 눈이나 랜덤 이벤트들처럼 랜덤으로 나타나게 되어있는 것은 아니나, 고치가 여기저기 존재하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미처 상상도 못 한 상황에서 고치가 터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정글 지하라는 보장도 없으니 폭주 상태로 나타나는 것은 덤.

3.6. 스켈레트론(Skeletron)

Skeletron
스켈레트론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png
정보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머리, 손)
관통됨, 피의 도살됨, 촉수 가시 (머리)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스켈레트론).png 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100% 1
파일:Terraria/뼈 장갑.png 뼈 장갑 100% 1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유물.png 스켈레트론 유물 100% 1
파일:Terraria/빙의된 해골.png 빙의된 해골 25% 1
파일:Terraria/Chippy의 카우치.png Chippy의 카우치[27] 14.29% 1
파일:Terraria/두개골의 서.png 두개골의 서 10.5% / 33%[A] 1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의 손.png 스켈레트론의 손 12.24% / 33%[A] 1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마스크.png 스켈레트론 마스크 14.29% / 33%[A] 1
파일:Terraria/치유 포션.png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트로피.png 스켈레트론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아이콘.png
스켈레트론의 머리 스켈레트론의 손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머리.png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손.png
정보
AI 타입 머리 AI AI 타입 스켈레트론 손 AI
공격력 32 / 70 / 105
1000 (낮일 때)
공격력 20 / 44 / 66
체력 4,400 / 8,800 / 11,220 체력 600 / 1,560 / 1,989
방어력 10
0 (회전)
생존한 손 하나 당 +25
9,999 (낮일 때)
방어력 14
폭군의 몸에서 분리된 뼈들은 너무나도 강한 증오에 휩싸였습니다. 뼈들은 던전을 지키는 강력한 저주를 남겼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크툴루의 눈, 세상을 먹는 자와 함께 초기 베타 시절부터 존재했던 보스. 맵의 던전을 지키는 노인의 주인[28]이다. 처음에는 던전의 입구에 있는 노인을 통해서만 소환이 가능한데, 에 말을 걸고[29] 저주를 선택하면 노인은 죽고, 그의 몸 속에 빙의한 스켈레트론이 소환된다.

1.2 버전부터는 의류상 부두 인형을 이용해서 스켈레트론을 재소환할 수 있다. NPC를 죽여서 소환하는 보스는 월 오브 플레시와 스켈레트론 둘 뿐이다.

두 손의 처치 유무와 상관없이 머리의 체력을 0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면 스켈레트론은 처치된다. 하지만 밤에 스켈레트론을 처치하는 데 실패하고 낮이 되면, 크툴루의 눈처럼 사라지는 대신 던전 가디언처럼 방어력이 9,999가 되고 플레이어가 맞을 때까지 계속 돌진하여 1,000의 공격력을 가진 일격을 가해 즉사시킨다. 즉, 아침이 되기 전에 처치해야 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하드모드 이전 보스 중에서 가장 크게 상향을 먹었다. 뭉그적거리며 만세하면서 덜렁거리다 죽는 일반 세계의 멍청이 스켈레트론을 생각하고 아레나 없이 보스전을 진행하면 순식간에 찢긴다. 아레나가 없으면 지하세계를 먼저 가서 지옥석 장비를 맞추고 도전해도 간당간당하다. 후술할 방어력 증가 효과 때문에 일단 손을 하나 이상 부수는 게 반쯤 필수적인데, 이 경우 스켈레트론의 실질적인 체력은 같은 난이도의 월 오브 플레시와 맞먹는다.
패턴 설명
손 공격 스켈레트론은 플레이어 위쪽으로 배회한다. 손은 플레이어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다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한다. 시간이 지나 손 공격이 끝날 때까지 머리 회전은 하지 않는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이 공격에 피격당하면 50% 확률로 둔화 디버프에 걸린다.
머리 회전 머리가 돌아가면서[30] 플레이어에게 접근하며 방어력이 10 떨어진다.[31] 피격당하면 100% 확률로 출혈 디버프에 걸린다.[32] 시간이 지나 머리 회전이 끝날 때까지 손 공격은 하지 않는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이동속도가 크게 상승, 플레이어와의 거리에 따라 추가로 상승한다.
저주받은 두개골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손이 파괴되었을 경우 손 공격 중에 저주받은 두개골(발사체)를 발사하기 시작한다. 약한 유도 성능이 있다. 발사 빈도는 손의 갯수, 스켈레트론의 체력에 반비례한다.
방어 증가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살아있는 손 하나당 25의 방어력을 얻는다.

자체 보상은 나쁜 편이다. 던전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 이 보스를 잡은 보상인 격.[33]

유난히 버그가 많은 보스였는데, 첫 전투 중 게임을 종료하면 노인이 리스폰이 안 된다거나, 밤에도 던전 가디언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지니거나, 재소환 시 가끔 양팔이 안 나오거나, 더 나아가 아예 스켈레트론이 나오지를 않는 등 치명적인 버그들이 많았다. 물론 이후 패치에서 모두 수정되었다.

크툴루의 눈, 크툴루의 뇌와 달리 이름에 크툴루가 들어가지도 않고 도감 설명을 봐도 크툴루가 직접 언급되진 않지만 정황상 스켈레트론 또한 크툴루와 관련이 있는 보스인 듯하다. 공식 로어에 따르면 테라리아 세계관에서 크툴루드라이어드족과의 싸움에서 눈, 뇌, 두개골을 잃고 달로 도망쳤다고 하는데, 이후 등장하는 스켈레트론 프라임이 크툴루의 두개골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보면 스켈레트론이 크툴루가 잃은 두개골로 보인다. 외형만 봐선 흔히 알려진 거대 문어의 두개골이라고 상상되진 않지만 그건 프라임도 마찬가지.

커뮤니티에선 샌즈라고 부르기도 한다. 프라임은 기계샌즈 또는 샌즈 프라임.

3.7. 외눈사슴(Deerclops)

Deerclops
외눈사슴
파일:Terraria/외눈사슴.png
정보
출현 설원
AI 타입 외눈사슴 AI
공격력 20 / 40 / 60 (접촉)
26 / 52 / 78 (얼음가시)
36 / 72 / 108 (파편)
20 / 40 / 60 (검은 손)
체력 7,000 / 11,900 / 15,172
방어력 1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쉬머링
BGM Deerclops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외눈사슴).png 보물 가방 (외눈사슴) 100% 1
파일:Terraria/뼈다귀 투구.png 뼈다귀 투구 100% 1
파일:Terraria/외눈사슴 유물.png 외눈사슴 유물 100% 1
파일:Terraria/외눈사슴 눈알.png 외눈사슴 눈알 25% 1
파일:Terraria/눈알 뼈.png 눈알 뼈 33% 1
파일:Terraria/눈우산.png 눈우산 33% 1
파일:Terraria/라디오 비슷한 무언가.png 라디오 비슷한 무언가 33% 1
파일:Terraria/Dizzy의 희귀한 게코 체스터.png Dizzy의 희귀한 게코 체스터 7.14% 1
파일:Terraria/퓨매틱 호른.png 퓨매틱 호른 25%[A] 1
파일:Terraria/웨더 페인.png 웨더 페인 25%[A] '1
파일:Terraria/하운디우스 슈티우스.png 하운디우스 슈티우스 25%[A] 1
파일:Terraria/도끼 루시.png 도끼 루시 25%[A] 1
파일:Terraria/치유 포션.png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외눈사슴 마스크.png 외눈사슴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외눈사슴 트로피.png 외눈사슴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외눈사슴/아이콘.png
먼 땅에서 온 이 외눈 괴물은 추운 곳에 잠복하며 그것을 방해하는 사람들을 해치웁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Don't Starve외눈사슴. 1.4.3 버전 업데이트로 Don't Starve Together와 공식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지면서 추가되었다. 이전의 다른 콜라보레이션 콘텐츠인 고대의 군단이 메인 게임과는 별도 처리된 이벤트 형식이었는데 비해 외눈사슴은 메인 게임 중에도 조우 가능한 정규 보스로 추가되었다.

설원에서 사슴 비슷한 무언가를 사용하면 소환되며, 근처에 NPC가 없고 방어력 9 또는 체력 200 이상의 플레이어가 눈보라가 치는 심야의 설원 지상에 있을 경우 드물게 자연 출현하기도 한다. 외눈사슴을 잡아야만 다음 보스나 이벤트로 넘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플레이어가 외눈사슴을 잡도록 유도해주는 요소도 따로 없기에 필수 보스라기보다는 보스의 존재를 아는 사람을 위한 챌린지 보스라고 할 수 있다.

테라리아에서는 드물게도 지상을 걸어다니기만 하는 뚜벅이 보스이자, 부속 몬스터를 대동하거나 분열하거나 하는 일없이 본체의 피지컬 하나로 압박하는 보스이기도 하다. 하지만 플레이어와의 거리가 멀거나 지형에 가로막혀 접근할 수 없게 되면 고대의 군단 몬스터들처럼 무적화하면서 지형을 무시하고 접근해오며 플레이어가 높은 곳에 있을 경우 접촉 피해와 동일한 피해량을 가진 검은 손을 소환해 공격하기도 하기 때문에 뚜벅이 보스라고 지형을 이용해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패턴으로는 플레이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지면을 내리찍어 얼음 가시를 내뿜는 공격을 하며, 플레이어가 멀리 있다면 포효해서 플레이어에게 둔화 디버프를 건 뒤 대량의 얼음 파편을 흩뿌리는 공격을 한다.

체력도 많고 패턴도 다채롭고 어려운 편이지만, 근거리 공격에 해당하는 접촉이나 얼음 가시의 대미지가 그리 치명적이지 않은 편이라 몰튼 갑옷급 방어구를 입고 모닥불, 하트 랜턴 등이 설치된 아레나를 만들어서 체력 재생 버프를 짱짱하게 받으며 맞다이를 건다면 잡는 것 자체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다만 각각의 패턴들이 하드모드 이전 보스치곤 범위가 넓고 발동이 빠른데다 포효 패턴 때문에 신발같은 이속 관련 템을 쓰레기로 만들어 패턴을 회피하기 어렵게 만드는 특성 때문에 한 대도 안맞고 잡기는 어려운 보스.

외눈사슴의 접촉 피해와 얼음 투사체들은 따뜻함의 포션으로 피해량을 줄일 수 있다. 둔화는 손난로를 사용하면 걸리지 않긴 하지만 크리스마스 기간을 제외하면 얻을 방법은 사실상 하드모드 극후반에나 가능. 신발을 쓰레기로 만들기 때문에 신발을 빼고 다른 악세사리를 넣는 것이 좋다. 예외적으로, 프로스트 스파크 부츠를 착용하고 바닥을 얼음으로 도배해놓으면 둔화가 걸려도 비교적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여 디버프를 약간이나마 억제할 수 있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이 두 배로 불어 하드모드 이전 마지막 보스인 월 오브 플레시보다도 튼튼한 맷집을 자랑하게 되며, 플레이어와 외눈사슴 간에 상당한 고저차가 있을 때만 소환하던 검은 손을 보스전 내내 주기적으로 소환한다.
패턴 설명
무적화 플레이어와 거리가 멀어지면 겨울 축제 스킨의 외눈사슴처럼 몸이 어두워지고 눈이 빛나며 무적 상태가 된다. 지형을 관통하며 플레이어에게 접근한다.
포효 잠시 제자리에 서서 화면을 진동시키며 포효한다. 근처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12 / 24 / 30초동안 둔화가 걸린다.
파편 플레이어와 x축 거리가 멀어지면 바닥에서 대량의 땅 파편들을 포물선으로 흩뿌린다. 파편들은 지형을 무시한다.
얼음가시 플레이어와 매우 가깝다면 바닥을 내리찍어 커다란 얼음 가시를 솟아오르게 한다. 얼음 가시는 외눈사슴에게서 가장 가까운 지면에서 부터 생성된다. 짧은 시간내에 3번 생성할 경우 얼음가시가 잠깐의 딜레이 후 외눈사슴 주위로 솟아오른다.
검은 손 플레이어가 외눈사슴 눈 위쪽에 있을때 포효 이후 플레이어 주위에 검은 손을 5체 소환한다. 소환된 검은 손은 일정하게, 감속하며, 급습하며 돌진/휘어지며 돌진/제자리에서 손목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섯 가지 패턴으로 움직인다.
검은 손 기존의 검은 손 패턴과 별개로,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플레이어의 위치와 무관하게 외눈사슴과 싸우는 내내 검은 손이 주기적으로 하나씩 소환돼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생성 주기는 외눈사슴의 체력과 반비례 한다.

사실상 챌린지 보스인만큼 보상들은 꽤 훌륭한 편. 도끼 루시150%라는 하드모드급 도끼 효율에 도끼치곤 굉장한 공격력과 공격 속도를 자랑하며, 펫 소환 아이템인 눈알 뼈실제로 아이템 수납이 가능한[34] 체스터를 불러내는 등, 하드모드 이전 보스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실용적인 아이템들을 드롭한다.

보스전 중에 플레이어가 전멸하거나 일정 거리 이상 도망치면 즉시 디스폰되는 여타 보스들과 달리 외눈사슴은 플레이어가 전멸하거나 인식 거리 밖으로 도망치더라도 1일동안 사라지지 않고 설원을 배회한다. 외눈사슴이 디스폰되기 전에 다시 접근하면 보스전이 재시작된다. 외눈사슴이 살아있는 동안은 하단에 보스 체력바가 계속 표시되며, 시간을 지체한다고 체력이 회복되거나 하지도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하드코어 캐릭터가 아니라면 외눈사슴을 첫 시도에 잡지 못해도 죽을 때마다 계속 찾아가 재도전하며 근성으로 잡아내는 것도 가능하다.

1.4.3.3 패치 이후로 전문가/마스터 모드에서의 보스 체력이 하향 조정되었다. 대신 자체 방어력이 0에서 10으로 상승. 또 설원에서 있을 때 자연소환 될 확률이 줄어들어 초반에 끔살당할 확률도 줄었다.

3.8. 월 오브 플레시(Wall of Flesh)

Wall of Flesh
월 오브 플레시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webp
정보
출현 지옥
AI 타입 월 오브 플레시 AI
공격력 50 / 150 / 225 (접촉)
체력 8,000 / 11,200 / 14,280 (2개의 눈과 1개의 입이 체력 공유)
방어력 12 / 18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불이야!, 지옥불
BGM Boss 2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월 오브 플레시).png 보물 가방 (월 오브 플레시) 100% 1
파일:Terraria/악마의 심장.png 악마의 심장 100%[A] 1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 유물.png 월 오브 플레시 유물 100% 1
파일:Terraria/염소 두개골.png 염소 두개골 25% 1
파일:Terraria/브레이커 블레이드.png 브레이커 블레이드 25%[B] 1
파일:Terraria/시계태엽 돌격소총.png 시계태엽 돌격소총 25%[B] 1
파일:Terraria/레이저 소총.png 레이저 소총 25%[B] 1
파일:Terraria/폭죽.png 폭죽 25%[B] 1
파일:Terraria/전사의 휘장.png 전사의 휘장 25%[C] 1
파일:Terraria/마법사의 휘장.png 마법사의 휘장 25%[C] 1
파일:Terraria/사수의 휘장.png 사수의 휘장 25%[C] 1
파일:Terraria/소환사의 휘장.png 소환사의 휘장 25%[C] 1
파일:Terraria/완승의 망치.png 완승의 망치 100% 1
파일:Terraria/Badger의 모자.png Badger의 모자 100%[D] 1
파일:Terraria/치유 포션.png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 마스크.png 월 오브 플레시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 트로피.png 월 오브 플레시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아이콘.png
월 오브 플레시의 눈 월 오브 플레시의 입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눈.png 파일:Terraria/월 오브 플레시/입.png
정보
출현 지옥 출현 지옥
AI 타입 월 오브 플레시의 눈 AI AI 타입 월 오브 플레시 AI
공격력 50 / 150 / 225 (접촉)
22-30 / 44-60 / 66-90 (레이저, 체력과 반비례)
공격력 50 / 150 / 225
방어력 0 / 6 방어력 12 / 18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The Hungry
더 헝그리
The Hungry II
더 헝그리 II
Leech
거머리
파일:Terraria/더 헝그리.gif 파일:Terraria/더 헝그리 II.webp
파일:Terraria/거머리.png
정보
출현 지옥 출현 지옥 출현 지옥
AI 타입 더 헝그리 AI AI 타입 악마의 눈 AI AI 타입 지렁이 AI
공격력 30 / 60 / 90[A]
45 / 90 / 135[B]
60 / 120 / 180[C]
공격력 30 / 60 / 90 공격력 26 / 52 / 78 (머리)
22 / 44 / 66 (몸통)
18 / 36 / 54 (꼬리)
체력 240 / 336 / 503 체력 80 / 112 / 168 체력 60 / 96 / 144
방어력 10 / 16[A]
20[B]
30[C]
방어력 6 방어력 2 (머리)
6 (몸통)
10 (꼬리)
넉백 저항 -10% / 1% / 12% 넉백 저항 20% / 28% / 36%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쉬머링 면역 혼란, 쉬머링 면역 혼란
세계의 핵심이자 수호자인 악마의 군주입니다.
강력한 고대의 영혼들을 봉인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월 오브 플레시의 정맥에 연결되어있는 수많은 입이며, 최후의 수단으로 숙주의 몸에서 떨어져나가 필사적으로 그들의 위협을 쫓아갈 수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더 헝그리)
월 오브 플레시에서 앞으로 튀어나오는 벌레 같은 기생충입니다. 숙주의 피로 가득 차 있으며, 이 피는 회복력을 제공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거머리)

하드모드 진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보스. 줄여서 WoF 또는 월오플로 부른다. 이름대로 고깃덩이로 이루어진 벽으로, 아주 징그럽게 생긴 외모 덕에 눈이 썩어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가이드 부두 인형을 지옥의 용암에다 빠뜨리면 소환할 수 있다. 또한 조건이 부두 인형을 이용하지 않아도 플레이어가 지옥에 있을 때 가이드가 죽기만 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옥을 돌아다니는 와중에 지상에서 가이드가 죽어도 소환되니 주의하자.[41] 또한 가이드를 지옥의 용암에 직접 빠뜨려 죽여도 소환된다.[42]

소환 시에는 소환 지점이 맵의 중앙을 기점으로 동쪽에 있다면 동쪽에서, 서쪽에 있다면 서쪽에서 나타난다. 하드모드 이전 최종 보스인 만큼, 탄탄한 준비를 갖추지 않는다면 쉽게 잡을 수가 없다.

지옥의 용암에 가이드 부두 인형을 던진 뒤 인형이 용암에 떨어지기 전에 재빨리 귀환 포션을 마셔 스폰 지점으로 귀환할 경우, 플레이어가 지옥에서 나간 뒤에 월 오브 플레시가 출현한다. 이 경우 플레이어가 월 오브 플레시의 인식 범위(900블록) 밖에 있으므로 두려움 디버프도 걸리지 않고, 보스전 BGM이나 월 오브 플레시의 체력바도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시점에서도 월 오브 플레시는 지옥 반대쪽을 향해 전진하고 있으며, 보스전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정되어 파일런 이용 등이 불가능해진다. 모든 플레이어가 전투불능[43]이 되면 월 오브 플레시는 사라지고 보스전 판정이 끝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하드모드 진입 보스답게 엄청나게 어려워졌다. 일단 접촉 피해량이 2배도 아니고 3배로 증가하며, 더 헝그리와 거머리가 더 강화되어 더 헝그리는 죽여도 끊임없이 재생한다. 여기에 보스 자체만 어려운 것이 아니고, 전문가 모드에서는 용암 슬라임을 처치하면 용암 반 블록 만큼이 떨궈지기 때문에 피하랴 공격하랴 정신이 없다. 당연히 나무 플랫폼으로 하면 용암에 다 부서지니 배로 어려워진다. 그야말로 초기 버전의 지옥을 상대하는 느낌이 들 것이다. 특히 직업 컨셉을 잡고 플레이할시 워리어나 서머너로는 잡기 정말 힘들어졌다. 워리어는 별 투사체를 위에서 떨구는 식으로 공격하는 스타퓨리가 그럭저럭 잘 먹히고, 서머너는 발리스타 막대까지 동원해야 잡히는 수준. 벌류탄으로는 300개 이상 사용하면 잡을 수 있다. 그나마 더 헝그리 강화 및 무한 재생같은 전투 시간 연장 요소가 있어서인지 WoF 본체의 체력 상승폭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편이다.
패턴 설명
기본 동작 수직으로 화면을 가로지르는 몸집을 이끌고 월드의 끝으로 전진한다.[44] 월 오브 플레시가 월드의 반대쪽 끝에 도달할 경우 특수한 사망 문구와 함께[45] 두려움 디버프에 걸린 모든 플레이어가 즉사한다. 눈은 뚫려있는 공간 내의 최 상단과 하단에 각각 1개씩 생성되며, 입은 눈 사이 중앙에 생성된다.[46] 플레이어는 벽 전체가 아닌 눈과 입만 공격할 수 있다. 월 오브 플레시의 이동속도는 체력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더욱 증가한다.
두려움 월 오브 플레시로부터 900블록 내에 있는 플레이어는 ‘두려움’ 디버프에 걸린다. 해당 디버프에 걸린 상태에서 대동굴 쪽으로 올라갈 경우 혓바닥에 붙잡혀 강제로 끌려내려간다. 장거리 순간이동을 할경우[47] 직후 즉사한다.
혓바닥 월 오브 플레시로부터 후방 900블록 내에 있는 플레이어는 ‘혓바닥’ 디버프에 걸린다. 이때 월 오브 플레시의 입에서 한 줄기의 촉수가 날아와 플레이어를 낚아채 지형을 무시하고 입 앞으로 끌어당긴다. 끌려가는 동안은 행동이 불가능하며, 초당 50의 피해를 받는다.
더 헝그리 더 헝그리들은 처음 스폰했을 때 본체와 서로 이어져 있으며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한다. 더 헝그리들은 이어져 있는 동안 월 오브 플레시와의 일정 거리를 벗어날 수 없으며, 월 오브 플레시의 체력과 반비례하여 공격력과 방어력이 높아진다. 월 오브 플레시를 처치할 경우 함께 처치된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월 오브 플레시가 살아있는 한 계속 리스폰된다.
더 헝그리 II 더 헝그리에게 일정 피해를 주면 월 오브 플레시와 이어져 있는 줄이 끊어지며 날아다닌다. 떨어진 더 헝그리들은 월 오브 플레시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움직일 수 있으며, 월 오브 플레시의 체력에 상관없이 능력치가 고정된다.
레이저 눈에서는 레이저를 발사한다. 체력이 낮아질수록 레이저를 발사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공격력도 상승한다.
거머리 입에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거머리를 생성한다.[48]

월 오브 플레시 처치에 성공하면 전리품이 용암에 빠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데모나이트 벽돌/크림테인 벽돌박스에 담겨서 생성된다.

하드모드로 넘어가는 관문에 해당하는 보스답게 전리품이 엄청나게 좋다. 완승의 망치는 하드모드 광석을 얻기 위한 주요 수단이며, 직업별 전용 무기들도 하드모드 초반에 쓰기 좋은 무기이고, 직업 휘장은 하드모드 후반에도 복수자의 휘장, 화염 건틀릿, 파괴자의 휘장, 천상의 휘장 등을 만들기 위해 종종 사용되는 장신구이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장신구 슬롯을 한칸 더 늘려주는 아이템을 캐릭터당 1회에 한정하여 드롭한다.

해당 월드에서 처음으로 월 오브 플레시를 잡아냈다면 그 월드는 영원히 하드모드 월드가 된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입과 양 눈이 크기가 대폭 줄어든다. 눈과 입의 방어력이 추가로 더 상승하며, 더 헝그리는 커진 상태로 등장해 월 오브 플레시를 공격하기 까다롭게 만들었다. 난이도의 체력 보정과 별개로 총 추가 체력 100%가 상승하며 마스터 모드 기준 28,560의 체력을 가진다.

팬들이 만든 기계 버전도 있다. 이름은 월 오브 스틸.[49]

3.9. 여왕 슬라임(Queen Slime)

Queen Slime
여왕 슬라임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png
정보
AI 타입 여왕 슬라임 AI
공격력 60 / 120 / 180 (접촉)
80 / 160 / 240 (여왕의 강타)
60 / 120 / 180 (장엄한 젤)
체력 18,000 / 28,800 / 36,720
방어력 26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 쉬머링
BGM Queen Slime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여왕 슬라임).png 보물 가방 (여왕 슬라임) 100% 1
파일:Terraria/불안정한 젤라틴.png 불안정한 젤라틴 100% 1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 유물.png 여왕 슬라임 유물 100% 1
파일:Terraria/왕실의 진미.png 왕실의 진미 25% 1
<colbgcolor=#999,#4B4C51> 파일:Terraria/수정 암살자 후드.png 수정 암살자 후드 33.33%[A] / 67%[B] 1
파일:Terraria/수정 암살자 셔츠.png 수정 암살자 셔츠 33.33%[A] / 67%[B] 1
파일:Terraria/수정 암살자 바지.png 수정 암살자 바지 33.33%[A] / 67%[B] 1
파일:Terraria/불협화음의 갈고리.png 불협화음의 갈고리 25% / 50% 1
파일:Terraria/칼날 스태프.png 칼날 스태프 25% / 33% 1
파일:Terraria/반짝이는 슬라임 풍선.png 반짝이는 슬라임 풍선 100% 25-75
파일:Terraria/젤라틴 뒷안장.png 젤라틴 뒷안장 25% / 50% 1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 마스크.png 여왕 슬라임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 트로피.png 여왕 슬라임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아이콘.png
여왕 슬라임 (페이즈 1) 여왕 슬라임 (페이즈 2)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png
파일:Terraria/여왕 슬라임(페이즈 2).png
정보
AI 타입 여왕 슬라임 AI AI 타입 여왕 슬라임 AI
공격력 60 / 120 / 180 (접촉)
80 / 160 / 240 (여왕의 강타)
60 / 120 / 180 (장엄한 젤)
공격력 60 / 120 / 180 (접촉)
80 / 160 / 240 (여왕의 강타)
60 / 120 / 180 (장엄한 젤)
체력 18,000 / 28,800 / 36,720 체력 9,000/18,000 / 14,400/28,800 / 18,360/36,720
방어력 26 방어력 26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Crystal Slime
수정 슬라임
Heavenly Slime
천상의 슬라임
Bouncy Slime
탄력있는 슬라임
파일:Terraria/수정 슬라임.gif 파일:Terraria/천상의 슬라임.gif 파일:Terraria/탄력있는 슬라임.gif
정보
AI 타입 슬라임 AI AI 타입 박쥐 AI AI 타입 슬라임 AI
공격력 40 / 80 / 120 (접촉)
30 / 68 / 120 (가시)
공격력 50 / 100 / 150 공격력 40 / 80 / 120 (접촉)
30 / 80 / 150 (원거리)
체력 150 / 225 / 286 체력 120 / 180 / 229 체력 150 / 225 / 286
방어력 35 방어력 30 방어력 35
넉백 저항 0% / 10% / 20% 넉백 저항 20% / 28% / 36% 넉백 저항 0% / 10% / 20%
면역 , 혼란, 쉬머링 면역 , 혼란, 쉬머링 면역 , 혼란, 쉬머링
드롭 아이템
【아이템】    【수량】    【확률】
파일:Terraria/젤.png (1-2) (100%)
파일:Terraria/슬라임 스태프.png 슬라임 스태프 (0.01% / 0.014%)
신성한 슬라임들이 눈부신 수정들로 장식되어, 거만하고 파괴적인 힘으로 뭉친 모습입니다.
날개가 달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파란색 스펙트럼의 수정 슬라임들은 그들의 젤라틴 몸에서 뾰족한 수정 조각을 만들어내는 데 특화되어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수정 슬라임)
분홍빛 스펙트럼의 수정 슬라임들은 마치 종양같은 젤을 그들의 적에게 쏘아댑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탄력있는 슬라임)
보라빛 스펙트럼의 수정 슬라임들은 그들의 창조자처럼 날개를 펴고, 공중의 위협이 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천상의 슬라임)

1.4 버전에 추가된 하드모드 보스. 왕 슬라임의 하드모드 버전이자 하드모드 진입 직후와 기계 보스들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보스이다. 신성지대에서 젤라틴 수정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 있다.

점프만 해대다가 허무하게 죽는 왕 슬라임과 달리 제법 어렵다. 명색이 하드모드 보스라서 그런지 소환하는 잡몹들의 체력도 많은 편에, 공격도 전부 제각각에 공격 속도도 빠르며 대미지도 확연히 높다. 체력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면 날개가 생겨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를 추적하게 되기에 기동력을 높여주는 장비가 없으면 떨쳐내기 힘들다. 특히 날개를 구비하지 않고 상대하면 고난을 맛보게 된다. 패턴 특성상 피해를 입힐 때마다 소환되는 슬라임들과 화면 전체를 수놓는 대량의 투사체를 커버해낼 수 없다면 기계 보스보다 더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다.

페이즈 2가 시작되면 무조건 한쪽 방향으로 도망가는 것이 좋다. 여전히 여왕 슬라임은 플레이어를 추적하면서 맞을 때마다 슬라임을 떨구는데, 여왕 슬라임에게서 도망치다 반대 방향으로 도망가면 소환된 슬라임들이 탄막을 쏘고 길막을 하기 때문에 전투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최대한 아레나를 길게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설령 아레나가 끊겼다하더라도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도망가며 공격하는 것이 좋다.
패턴 설명
페이즈 1
기본 동작 왕 슬라임과 같이 플레이어를 향해 점프한다. 왕 슬라임보다 점프력과 이속이 훨씬 빠르고, 대미지가 높다.
텔레포트 왕 슬라임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와 멀리 떨어지면 텔레포트를 한다. 2페이즈부터는 텔레포트를 하지 않는다.
여왕의 강타 지형 미믹의 내려찍기와 비슷한 패턴으로, 플레이어와 여왕 슬라임이 수직으로 마주보는 상태일 경우 빠르게 높이 뛰어올라 몸뚱이로 플레이어를 내려찍는다. 맞으면 엄청난 대미지를 입으며, 여왕 슬라임이 내려찍은 양쪽 10 블록가량에도 충격파에 의한 공격 판정이 있으므로 주의.
장엄한 젤 발사 본체에서 기를 모아 전 방향으로 6발의 장엄한 젤을 발사한다. 이 장엄한 젤은 중력에 영향을 받으며, 지형에 닿을시 튕기는 성질이 있다. 여왕의 강타급은 아니지만 역시 대미지가 높으니 주의.
슬라임 소환 피해를 받아 체력이 줄어들때마다 아래의 세 가지 슬라임 중 하나를 소환한다.
수정 슬라임 수정 슬라임을 소환한다. 플레이어가 가까이 있으면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가시 여러 개를 위로 발사한다.
천상의 슬라임 천상의 슬라임을 소환한다. 오염지대의 슬라이머와 유사하게 비행하면서 플레이어에게 적극적으로 돌진한다. 아주 귀찮은 적이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해주는 게 좋다.
탄력있는 슬라임 탄력있는 슬라임을 소환한다. 여왕 슬라임처럼 지형에 부딪힐 시 튕기는 조그만한 젤라틴 투사체를 발사한다.
변신 체력이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즉시 날개가 자라나며 비행 상태가 되면서,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기본 동작 항시 비행상태가 되며, 플레이어를 빠르게 추격한다. 플레이어와 멀수록 이속이 빨라지며, 플레이어와 가까워지면 이속이 느려진다.
슬라임 소환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피해를 받을때마다 상기한 세 가지의 슬라임 중 하나를 소환한다.
장엄한 젤 발사 본체에서 기를 모아 전 방향으로 10발의 장엄한 젤을 발사한다.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장엄한 젤은 지형에 닿을시 튕긴다.
여왕의 강타 비행 상태에서 플레이어가 자신보다 아래에 있을시 깔아뭉개는 급강하 공격을 시전한다.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블록에 착지시 양쪽 10 블록 정도의 공간에도 충격파에 의한 공격 판정이 존재한다.

처치하면 장난감 소모품인 반짝이는 슬라임 풍선 십수개를 확정으로 드롭하고, 수정 암살자 갑옷의 세 부위중 하나를 랜덤하게 드롭한다. 또한 이 전리품들과는 무관하게 별개의 확률로 탈것 아이템인 젤라틴 뒷안장과 발사하여 블록에 고정되면 고정된 위치로 즉시 텔레포트하는 갈고리인 불협화음의 갈고리를 드롭한다. 탈것의 성능은 하드모드 이전 끈적한 안장의 상위호환격으로 하드모드 탈것치곤 미묘하지만[50] 불협화음의 갈고리의 경우 텔레포트 효과 덕에 여러모로 쓸 데가 많기 때문에 파밍할 가치가 있는 보스.[51]

Slayer of Worlds(모든 정규 보스 처치) 도전과제에 카운트되지 않는 보스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여왕의 강타 공격 발동시 내려찍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며, 장엄한 젤의 발사량[52]이 더욱 많아진다. 그 외에도 장엄한 젤 탄막의 방향이 랜덤하게 변하게 된다.

3.10. 기계 보스(Mechanical Bosses)

파일:Terraria/쌍둥이.png 파일:Terraria/파괴자.png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2).png
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
하드모드 초반에 조우하게 되는 보스 3개체. 하드모드 이전 보스들의 특징을 살린 외형에 로보틱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하드모드 진입 이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마의/진홍색 제단을 파괴하면 파괴한 시점으로 다음 날 밤부터 최초 격파되지 않은 기계 보스 1마리가 매일 10% 확률로 소환될 수 있다. 소환 아이템을 사용할 경우 하드모드 이전 세계에서도 소환이 가능하다.

물리치지 않은 기계 보스의 소환 아이템은 하드모드 이후의 모든 몬스터들이 낮은 확률로 떨군다.

기계 보스를 하나라도 처치하면 다음과도 같은 변화가 생긴다.
기계 보스 3종을 모두 처치하면 정글 지하플랜테라의 구근이 자라나기 시작해 플랜테라와의 전투가 가능해지며, 일식 이벤트 때 리퍼가 출현한다. 이외에도 기계 보스 처치와 직접 관계는 없으나 기계 보스를 전부 처치해서 3종류의 영혼들을 얻어야 비로소 복수자의 휘장신성한 주괴 도구인 곡괭이 도끼드랙스를 만들고 녹조류 광석를 캘 수 있게 된다.

기계 보스 3종을 동시에 소환해서 전부 다 처치하면 도전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기계 보스가 처음 추가된 1.1 버전만 해도 말도 안 되는 난이도를 자랑했지만 현재는 골렘~달의 군주 중간 정도의 스펙만 마련돼도 장난치듯이 여유롭게 상대할 수 있으니 자신있다면 도전해보자.

공식 로어에 따르면 이 기계 보스들은 기계공이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크툴루가 드라이어드들과의 싸움에서 잃은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들[53]인데, 물론 자의가 아닌 미친 광신도에 의해 던전에 갇힌 채[54] 강제로 만든 것이며, 크툴루의 뇌도 대체품이 만들어질 예정이었지만 플레이어가 그 전에 기계공을 구출해서 무산됐다고 한다.

1.4.5 업데이트로 3종의 기계보스 전원이 각자의 전투 BGM을 얻게 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는 쌍둥이 BGM만이 공개되었다.

3.10.1. 쌍둥이(The Twins)

The Twins
쌍둥이
파일:Terraria/쌍둥이(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쌍둥이(페이즈 2).webp
정보
체력 43,000 / 64,500 / 82,237 (총합)
방어력 10
넉백 저항 100%
면역 , 혼란
BGM Boss 2[55]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쌍둥이).png 보물 가방 (쌍둥이) 100% 1
파일:Terraria/기계 바퀴 부품.png 기계 바퀴 부품 100% 1
파일:Terraria/쌍둥이 유물.png 쌍둥이 유물 100% 1
파일:Terraria/눈알 한 쌍.png 눈알 한 쌍 25% 1
파일:Terraria/시야의 영혼.png 시야의 영혼 100% 25-40
파일:Terraria/신성한 주괴.png 신성한 주괴 100% 15-30 / 20-35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쌍둥이 마스크.png 쌍둥이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레티나이저 트로피.png 레티나이저 트로피 10%[A] 1
파일:Terraria/스파즈마티즘 트로피.png 스파즈마티즘 트로피 10%[A]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스파즈마티즘/아이콘.png 파일:Terraria/레티나이저/아이콘.png 파일:Terraria/스파즈마티즘(페이즈 2)/아이콘.png 파일:Terraria/레티나이저(페이즈 2)/아이콘.png
스파즈마티즘 (페이즈 1) 스파즈마티즘 (페이즈 2)
파일:Terraria/스파즈마티즘(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스파즈마티즘(페이즈 2).webp
정보
AI 타입 스파즈마티즘 AI AI 타입 스파즈마티즘 AI
공격력 50 / 85 / 127 (접촉)
50 / 88 / 132 (저주받은 불꽃)
공격력 75 / 127 / 190 (접촉)
60 / 108 / 162 (화염 방사)
체력 23,000 / 34,500 / 43,987 체력 9,200/23,000 / 13,800/34,500 / 17,594/43,987
방어력 10 방어력 28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레티나이저 (페이즈 1) 레티나이저 (페이즈 2)
파일:Terraria/레티나이저(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레티나이저(페이즈 2).webp
정보
AI 타입 레티나이저 AI AI 타입 레티나이저 AI
공격력 45 / 76 / 114 (접촉)
40 / 76 / 114 (레이저)
공격력 67 / 114 / 171 (접촉)
50 / 92 / 138 (데스 레이저)
36 / 68 / 102 (속사 레이저)
체력 20,000 / 30,000 / 38,250 체력 8,000/20,000 / 12,000/30,000 / 15,300/38,250
방어력 10 방어력 2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기계로 재탄생한 크툴루의 눈 한 쌍 중 하나이며 빠른 속도로 쫓아오며 저주받은 불꽃을 내뿜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스파즈마티즘)
기계로 재탄생한 크툴루의 눈 한 쌍 중 하나이며 에너지를 모아 강력한 레이저를 발사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레티나이저)
“This is going to be a terrible night...”
“끔찍한 밤이 될 것 같다...”

크툴루의 눈의 하드모드 버전으로, 위 문구가 뜬다면 쌍둥이가 습격해 온다는 신호이다. 또한 기계 눈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아침이 될 경우 위로 올라가 사라져 버리므로 해가 뜨기 전에 빨리 처치해야 한다.

크툴루의 눈과 마찬가지로 체력에 따라 페이즈가 나뉘는 보스로, 피격음도 페이즈에 따라 다르다. 페이즈 2 돌입 전에는 일반 몬스터들과 같은 살 찢는 소리가 나는 반면, 페이즈 2 돌입 후부터 비로소 다른 기계 보스들과 같은 금속성 피격음이 난다.

테라리아에서 유일하게 본체가 두 개인 보스. 따라서 트로피도 두 종류 있다.[56] 처치 기준은 가장 마지막으로 처치한 눈을 기준으로 삼으며, 전리품도 마지막으로 처치한 눈에서 나온다. 트로피는 각각 따로 주어진다. 따라서 2개 모두 처치해야 한다. 양 쪽 모두 처치하지 않으면 장식용 가구인 트로피를 제외하곤 아무 보상도 얻을 수 없다. 두 눈은 모두 각각 다른 패턴을 갖고 있어 두 눈의 공격을 한꺼번에 피해야 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레티나이저의 레이저 연사 속도가 더 빨라지며, 체력이 적어질 수록 돌진 거리가 길어진다. 스파즈마티즘은 2페이즈의 돌진 속도가 빨라진다. 허나 여전히 거리를 두며 공격하는 방식에 취약하고 레티나이저는 여전히 플레이어 사이에 블록이 있으면 공격을 하지 못하기에 기동성만 갖추면 난이도가 한결 낮아진다.

쌍둥이 중 한쪽인 스파즈마티즘(Spazmatism)은 경련(Spasm)과 난시(Astigmatism)의 합성어다. 다음은 패턴.
패턴 설명
페이즈 1
저주받은 불꽃 플레이어와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좌나 우에서 자리잡고 저주받은 불꽃으로 이루어진 화염구를 여러 발 발사한다. 화염구에 피격당하면 50% 확률로 저주받은 불길 디버프에 걸린다. 이후 아래의 돌진을 시도.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에 비례하여 불꽃 발사속도가 더 빨라진다.
돌진 돌진을 10번 시도한다. 레티나이저보다 돌진 거리가 짧은 대신 횟수가 많다. 그 후 불꽃 패턴을 다시 시도하며, 페이즈 2로 넘어갈 때까지 이를 계속 반복한다.
변신 체력이 40%가 되면 잠시 주춤하나 싶더니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눈 부분이 벗겨나 기계로 된 입이 드러난다. 이후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화염 방사 화염방사기처럼 일정 거리까지 나아가는 저주받은 불꽃을 방사한다.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피격당하면 50% 확률로 저주받은 불길 디버프에 걸린다. 이때는 속도가 느려지므로 거리를 두면 안전해진다. 이후 아래의 돌진을 시도.
돌진 돌진을 6회 시도한다. 돌진 속도와 거리가 무시무시하므로 주의하자. 설상가상으로 전문가 모드에서는 돌진 속도가 더 빨라졌다. 그 후 화염 방사 패턴을 다시 시도하며, 죽을 때까지 계속 반복한다.

쌍둥이 중 다른 한쪽인 레티나이저(Retinazer)는 망막(Retina)과 레이저(Laser)의 합성어다. 다음은 패턴.
패턴 설명
페이즈 1
레이저 플레이어의 대각선 위에 체공하면서 눈에서 레이저를 발사한다. 이때는 난사인지라 가만히 서 있을 경우에도 맞을 때가 적다. 이후 아래의 돌진을 시도.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에 비례하여 레이저를 더 빠르게 발사한다. 플레이어가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면 발사할 수 있어 어느 정도 거리를 벌리면 레이저를 발사하지 못한다.
돌진 돌진을 4번 시도한다. 스파즈마티즘보다 돌진 거리가 긴 대신 횟수가 짧다. 그 후 레이저 패턴을 다시 시도하며, 페이즈 2로 넘어갈 때까지 이를 계속 반복한다.
변신 체력이 40%가 되면 잠시 주춤하나 싶더니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기계로 된 레이저 포가 드러난다. 이후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데스 레이저 캐릭터 위쪽에서 데스 레이저를 정조준해서 발사한다. 이후 아래의 속사 패턴을 시도. 전문가 모드에서는 체력에 비례해 역시 레이저 발사가 빨라진다. 레이저는 벽을 관통하지 못하며, 역시 사정거리 안을 벗어나거나, 막힌 지형안으로 들어가면 레이저를 발사하지 못한다.
속사 레이저 캐릭터 양옆 방향중 한방향으로 이동해서 데스 레이저를 조준형식으로 20번 가까이 속사한다. 발사 빈도는 체력에 반비례하므로 체력이 낮아지면 속사하는 주기가 빨라진다. 막힌 지형으로 들어가면 이동은 하지만 레이저를 발사하지는 못한다. 그 후 위 패턴을 다시 시도하며, 죽을 때까지 계속 반복한다.

일반적으로는 스파즈마티즘이 더 인공지능이 똑똑하고, 공격력이 강력하며 벽을 관통하는 공격이 많아서 제일 먼저 잡게된다. 레티나이저의 경우 공격력도 약하고, 완전 막힌 곳으로 들어가면 어떤 공격도 못하는 바보가 되어버려서 나중에 잡는 편.

전리품인 시야의 영혼은 광원 펫인 요정의 종, 마법 무기인 무지개 막대마법의 하프, 소환 무기인 안구 스태프, 플레이어 센서 등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때문에 특히 소서러의 경우 처음 목표로 지정되며 거의 반드시 잡게 된다.

서머너의 경우에도 피시론 공작 처치 이전에 잡몹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안구 스태프를 만들기 위해서 첫 번째로 잡아야 하는 보스인데, 문제는 멍청한 소환수의 AI와 정신없이 비행하며 공격을 해대는 보스가 합쳐져 서머너에게는 그야말로 난공불락의 보스가 되기 쉽다. 용케 스파즈마티즘을 처리했다 하더라도 레티나이저가 워낙 쉴새없이 움직이는 보스인데다 약한 딜 특성상 부지런히 공격 못하면 아침이 되어서 도망가버린다. 이 때문에 숙련자들은 거미 스태프로 피시론 공작부터 잡고난 뒤 태풍의 스태프를 획득해 이 녀석을 상대하지만, 애초에 쌍둥이를 잡지 못하는 초보자들은 거미 스태프로는 기계 보스보다 먼저 피시론 공작을 잡을 수가 없어서 어차피 거기서 거기다. 정말 정 안되겠다면 간호사의 도움이라도 받아보자. 그래도 1.4 버전 패치로 채찍과 칼날 스태프, 피의 스태프가 추가되어 공략하기 훨씬 편해졌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두 보스 모두 크기가 작아진 상태로 등장한다. 공격을 더 맞추기 힘들게 되었으니 주의.

1.4.3 버전 업데이트로 이루어진 테라리아와 Don't Starve의 크로스오버로 Don't Starve Together에 크툴루의 눈과 함께 보스로 추가되었다. 이름은 Twins of Terror(공포의 쌍둥이)'. 각 눈알 개체의 이름은 동일하나 패턴은 게임에 맞춰 변경되어 있다.[57]

3.10.2. 파괴자(The Destroyer)

The Destroyer
파괴자
파일:Terraria/파괴자.png
정보
AI 타입 파괴자 AI
체력 80,000 / 120,000 / 153,000
넉백 저항 100%
면역 채찍 디버프를 제외한 모든 디버프
BGM Boss 3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파괴자).png 보물 가방 (파괴자) 100% 1
파일:Terraria/기계 왜건 부품.png 기계 왜건 부품 100% 1
파일:Terraria/파괴자 유물.png 파괴자 유물 100% 1
파일:Terraria/기능정지된 탐사정.png 기능정지된 탐사정 25% 1
파일:Terraria/힘의 영혼.png 힘의 영혼 100% 25-40
파일:Terraria/신성한 주괴.png 신성한 주괴 100% 15-30 / 20-35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파괴자 마스크.png 파괴자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파괴자 트로피.png 파괴자 트로피 10% 1 }}}}}}}}}
파일:Terraria/파괴자/아이콘.png
파괴자의 머리 파괴자의 몸통 파괴자의 꼬리
파일:Terraria/파괴자/머리.png 파일:Terraria/파괴자/몸통.png 파일:Terraria/파괴자/꼬리.png
정보
공격력 70 / 280 / 420 (접촉) 공격력 55 / 93 / 140 (접촉)
44 / 72 / 108 (레이저)
공격력 40 / 68 / 102 (접촉)
방어력 0 방어력 30 방어력 35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Probe
프로브
파일:Terraria/프로브.png
정보
AI 타입 비행 AI
공격력 50 / 80 / 120 (접촉)
50 / 88 / 132 (레이저)
체력 200 / 300 / 450
방어력 20
넉백 저항 20% / 28% / 36%
면역 채찍 디버프를 제외한 모든 디버프
크툴루의 척추를 기계로 재현한 것으로, 레이저 무장과 피해를 받으면 분리되는 프로브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파괴자의 몸에서 분리된 단일 프로브는 종종 다른 프로브들의 무리에서 원격 레이저 배터리 역할을 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프로브)
“You feel vibrations from deep below...”
“땅속 깊은 곳이 진동하는 것 같다...”[58]
“You feel a quaking from deep underground...”
“깊은 지하에서의 진동이 느껴진다...”[59]

세상을 먹는 자의 하드모드 버전으로[60], 위의 두 문구 중 하나가 뜬다면 파괴자가 습격해 온다는 신호이다. 또한 기계 벌레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아침이 될 경우 땅 속으로 재빠르게 도망가 버리므로 해가 뜨기 전에 빨리 처치해야 한다. 처치 시 전리품은 플레이어에게 가장 가까운 부위에서 나온다.[61]

세상을 먹는 자처럼 머리 1개, 몸통 80개, 꼬리 1개로 총 82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상을 먹는 자보다 1.5배는 더 길다. 각각 서로 다른 공격력과 방어력을 가졌으나 세상을 먹는 자와는 달리 몸통을 잘라 분열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는 머리, 몸통, 꼬리까지 체력을 서로 공유한다는 것이므로 어디든지 마구 때려도 된다. 고로 말뚝딜에 제일 약한 보스. 1.2.1.2 버전 이전에는 디버프에도 취약했으나 패치 이후 모든 디버프에 대해 면역성을 가지게 되었다.[62]
모든 기계 보스들중 가장 쉽지만 하드모드 초반에는 어려운 보스니 하드모드 장비를 구한 후 잡는 게 좋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추가 패턴은 생기지 않았으며, 프로브의 개수도 늘어나지 않았다. 마디도 더 늘어나거나 하지도 않았다. 대신 체력이 1.5배인 120,000으로 상승했다. 달의 군주를 제외하면 몇 안 되는 총합 체력이 10만 대를 돌파하는 보스. 게다가 전문가 모드에서는 머리 부분 공격력이 일반 모드에서보다 4배나 높은 280, 마스터 모드에서는 무려 6배나 높은 420이기 때문에 어지간히 높은 체력과 방어력을 갖고있지 않는 이상 서너 방 맞으면 데스메세지와 함께 붉은 숫자만 보고 있어야하므로 무슨 일이 있더라도 머리 부분만큼은 부딪히지 말아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돌진을 피하기가 그렇게까지 어렵지는 않다는 것.

마스터 모드에서는 이 보스가 가장 무서워진다. 체력도 체력이지만 프로브의 스탯이 폭증하며, 파괴자가 발사하는 레이저는 피하기도 어려운데 공격력도 부담스러울 정도로 늘어나서, 서머너 같은 특정 클래스의 경우 특정 무기가 없을시 난공불락의 보스로 변한다. 잡기 좋은 무기들을 가지고 여유로운 상태에서도 잘못해서 머리에 한 대 맞으면 즉사하거나 전투에서 엄청나게 불리해질 정도로 빈사가 되므로 방심은 절대 금물. 파괴자보다 최우선적으로 프로브가 나오는 족족 처리하는 것이 그나마 오래 버티는 길이다.
패턴 설명
기본 동작 지렁이 AI를 가진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땅속을 헤집고 다니면서 플레이어에게 머리를 돌진해서 공격을 시도한다. 세상의 먹는 자와 달리 분열은 하지 않는 대신, 몸은 무려 86마디나 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머리의 공격력이 대폭 상승되었다.
레이저 파괴자의 각 마디마다 프로브가 박혀 있으며 안에서 레이저를 발사한다. 이 레이저는 블록 관통이 불가능하다.
프로브 각 마디에 어느 정도의 피해를 가할 경우[63] 그 마디에 박혀있는 프로브가 빠져나와 파괴자와 별개로 플레이어를 레이저로 공격한다. 프로브는 하트를 33% 확률로 떨어뜨린다.[64]

전리품인 힘의 영혼은 부메랑인 빛의 원반, 강력한 총인 메가샤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메가샤크는 하드모드 중반을 책임지는 훌륭한 무기가 되어준다. 또한 쌍둥이스켈레트론 프라임은 파괴자보다 상당히 골때리는 녀석들이므로 파괴자를 한번만 잡지 말고 여러 번 잡아서 신성한 갑옷 세트를 맞추는 것이 좋다.

1.2 버전 패치로 체력이 60,000로 하락되었으나, 1.2.3 버전 패치로 체력이 80,000로 되돌아왔다. 그리고 프로브를 죽이면 하트가 나올 확률이 33%로 줄어들었으며, 부위별 공격력도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마디가 160마디로 두 배 가량 늘어난다. 더 많이 때릴 수 있지만 그만큼 프로브도 더 많이 나온다는 소리. 체력이 워낙 많은 보스이다 보니 마스터 모드인 세계에 이 시드가 적용되면 20만 4천 정도의 체력을 가지게 된다.여행 모드인 세계에 이 시드를 적용하면 솔플 기준 30만 6천이다

이 모든 공략이 다 어렵고 무슨 수를 써도 못 잡겠다 싶으면, 파티 걸이 판매하는 폭죽 로켓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전기 장치를 이용해서 파괴자에게 전탄이 명중하도록 발사하자. 강력한 150~300 데미지가 기다란 지렁이형 적에게 스플래시로 꽂히기 때문에 엄청난 프레임 드랍 폭풍만 잠깐 견디고 나면 잔해만 남은 파괴자를 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지고 있는 장신구 모두 접두사를 '수호의'로 바꾸고, 스타 캐논으로 스폰킬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만약 스폰킬을 실패하더라도 스타캐논의 관통 데미지가 강력하기 때문에 더 쉽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테라리아 무기를 설명한 문서에 들어가 보면 파괴자를 잘 잡는 무기가 많다고 작성되어 있다. 이것만 보면 파괴자는 완전히 호구로 볼 여지가 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그 이유는 파괴자는 다관절 몬스터다보니 관통형 무기에 극히 취약한 건 사실이나 파괴자를 잘 잡는 무기가 프로브까지 잘 잡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가령, 프로스트브랜드는 한 방에 프로브를 죽일 수 있으나 검기가 관통이 안 되기 때문에 파괴자를 잘 못 잡으며, 비도는 무기가 계속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프로브를 잘 못 잡는다. 따라서, 파괴자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파괴자를 잘 잡는 무기와 프로브를 잘 잡는 무기 2개를 준비해야 한다. 파괴자를 막 잡을 시점에서는 두 가지를 한 번에 만족하는 무기가 별로 없기 때문.

다관절 형태의 적 중에서도 가장 크고 긴 보스인 관계로 지형을 넘나드는 범위가 매우 넓은 탓에 집 근처에서 싸웠다간 NPC들이 사망하기 쉬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파괴자가 여기저기 돌진을 해대며 교전하다가 우연찮게 집 쪽으로 박치기를 시전한다면 화면 하단에 빨간 글씨가 계속해서 나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3.10.3. 스켈레트론 프라임(Skeletron Prime)

Skeletron Prime
스켈레트론 프라임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webp
정보
체력 28,000 / 42,000 / 53,55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머리, 손)
관통됨, 피의 도살자, 촉수 가시 (머리)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png 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 100% 1
파일:Terraria/기계 배터리 부품.png 기계 배터리 부품 100% 1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 유물.png 스켈레트론 프라임 유물 100% 1
파일:Terraria/기계 두개골.png 기계 두개골 25% 1
파일:Terraria/공포의 영혼.png 공포의 영혼 100% 25-40
파일:Terraria/신성한 주괴.png 신성한 주괴 100% 15-30 / 20-35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 마스크.png 스켈레트론 프라임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 트로피.png 스켈레트론 프라임 트로피 10% 1 }}}}}}}}}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아이콘.png
스켈레트론 프라임의 머리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머리.webp
정보
AI 타입 스켈레트론 프라임의 머리 AI
공격력 47 / 79 / 119
94 / 158 / 238 (회전)
1,000 (낮일 때)
체력 28,000 / 42,000 / 53,550
방어력 24 (평시)
48 (회전)
9,999 (낮일 때)
넉백 저항 100%
프라임 레이저 프라임 대포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프라임 레이저.png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프라임 대포.png
정보
AI 타입 프라임 레이저 AI AI 타입 프라임 대포 AI
공격력 29 / 49 / 73 (접촉)
50 / 100 / 150 (데스 레이저)
공격력 30 / 51 / 76 (접촉)
80 / 160 / 240 (폭탄)
체력 6,000 / 9,000 / 11,475 체력 7,000 / 10,500 / 13,387
방어력 20 방어력 23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프라임 톱 프라임 바이스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프라임 톱.gif 파일:Terraria/스켈레트론 프라임/프라임 바이스.gif
정보
AI 타입 프라임 톱 AI AI 타입 프라임 바이스 AI
공격력 56 / 95 / 142 공격력 52 / 88 / 132
체력 9,000 / 13,500 / 17,212 체력 9,000 / 13,500 / 17,212
방어력 38 방어력 34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크툴루를 부활시키기 위해 기계로 재구성된 이 스켈레트론은 전보다 더 많은 팔과 다양한 흉기들을 갖고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You feel the air getting colder around you...”
“주변의 공기가 차가워지는 것 같다...”
“The air is getting colder around you...”
“당신 주변의 공기가 차가워져 간다...”

스켈레트론의 하드모드 버전으로, 위의 두 문구 중 하나가 뜬다면 스켈레트론 프라임이 습격해 온다는 신호이다. 또한 기계 두개골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아침이 될 경우 스켈레트론과 마찬가지로 던전 가디언의 능력치를 가지고 빠른 속도로 돌진해서 플레이어를 한 방에 즉사시킨다. 쌍둥이, 파괴자처럼 바로 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아침이 되어도 어떻게든지 계속 싸울 수 있는 보스.

스켈레트론에서 2개의 손이 추가되었으며, 단순히 서로 같은 손이 아닌 서로 모두 다른 4개의 손이 나타난다. 머리와 손이 따로 노는 보스이므로 1.2 버전 이전에는 제일 어려운 보스였다. 포탄 피하고 레이저 피하고 톱이랑 바이스 피하고 머리 저격하고 돌면 뒤로 가면서... 게다가 그때는 장비도 무기도 지금보다 부실한 시절이었기 때문에 상대하기가 껄끄러웠다. 하지만 1.2 버전 이후에는 메가샤크보다 좋은 총들이 대거 추가되어서 수정 총알이나 이코르 총알을 대량으로 준비한 뒤면 쉽게 잡을 수 있다. 그래도 본체로 향하는 공격을 네 개의 손이 어느 정도 막아주기까지 하면서 네 손이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도 아니고 별도로 다가오는 손의 공격도 피하려고 움직이다 보면 본체도 함께 신명나게 움직이는 덕에 상상 이상으로 어렵다. 아레나는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더 길게 만드는 것이 중요한게, 팔은 플레이어가 아무리 빨리 달려도 따라오면서 천천히 팔을 높이 들면서 공격하기 때문에 피하려면 위/아래로 가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최대한 옆으로 가면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무기로 공격하다 크툴루의 방패/갈고리로 급정지하며 내려가면 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손들의 공격력이 부담스럽게 올라갔기 때문에 생각없이 교전을 하다간 의문사를 면치 못한다. 머리 회전도 대단히 위협적으로 변했는데, 이때는 대부분 흑요석 방패 정도는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머리에 끼었을 때 대시만 하지 않으면 끼이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다. 다만 속도가 엄청 빠르므로 기동성을 충분히 갖추어야 한다.
패턴 설명
프라임 바이스 기본 행동 양상은 스켈레트론의 손과 비슷하나 훨씬 공격 빈도가 높으며, 머리 회전시에도 쉴새없이 플레이어를 후려친다.
프라임 톱 평상시에는 프라임 바이스와 비슷하게 주기적으로 플레이어 쪽을 후려치며, 머리 회전시 플레이어를 향해 날을 세우고 접근한다.
프라임 캐논 중력의 영향을 받는 포탄을 공중으로 발사한다. 포탄은 블록이나 플랫폼 윗면에 착탄하면 즉시 폭발하며 스플래시 피해를 가한다. 머리 회전시 공중이 아닌 플레이어를 향해 직접 발포한다.
프라임 레이저 기본적으로는 떠다니며 플레이어를 향해 레이저를 발사한다. 머리 회전시 더 빠른 주기로 레이저를 난사한다.
머리 회전 스켈레트론과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동안 날아다니다가 머리에 가시가 돋친 채로 플레이어에게 돌진해댄다. 다만 이때 방어력이 0이 되는 스켈레트론과 달리 공격력과 방어력이 2배가 되고, 스켈레트론의 머리 회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돌진하며, 회전 중에 공격하지 않는 스켈레트론의 양손과 달리 머리 회전시 프라임의 손들도 AI가 훨씬 호전적으로 변하며 총공세에 들어간다.
머리 회전 속도 증가 머리 회전시 일반 모드에 비해 돌진 속도가 두 배 빨라진다.

전리품인 공포의 영혼화염방사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극후반에 프로스트 문 이벤트 발생 아이템인 장난스러운 선물을 만드는 데에도 들어가므로 프라임을 학살하는 때가 올 수도 있다.

1.2 버전 이전에는 30,000의 체력을 가져서 그 당시의 하드모드 보스 중에서는 체력이 가장 적었지만 네 개의 손과 그에 따르는 패턴 덕에 기계 보스 중 난이도 자체는 가장 높았다. 여기에 1.2.3 버전 패치로 머리의 체력이 25,000에서 28,000으로 상향되고[65], 공격력도 약간 상향되었다. 이후 1.3 버전 패치로 외형이 훨씬 날카롭게 변했으며, 1.4 버전 패치로 프라임 캐논의 포탄 발사 수가 감소한 대신 이제 플랫폼에도 닿으면 폭발하게 변경되었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프라임 캐논의 폭탄이 지형을 파괴한다. 아레나를 만들어도 순식간에 파괴되기 때문에 최대한 아레나를 넓게 만들거나, 집에서 먼 곳에 던전 벽돌[66]로 이루어진 아레나를 만들어야 한다.

과거 비공식 한글패치에서는 스켈레트론 총리 로 오역된 적이 있어 가끔씩 총리로 불리기도 한다.

3.11. 플랜테라(Plantera)

Plantera
플랜테라
파일:Terraria/플랜테라(페이즈 1).webp
정보
출현 정글 지하
AI 타입 플랜테라 AI
체력 30,000 / 42,000 / 53,550 (총합)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BGM Plantera[67]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플랜테라).png 보물 가방 (플랜테라) 100% 1
파일:Terraria/포자 주머니.png 포자 주머니 100% 1
파일:Terraria/플랜테라 유물.png 플랜테라 유물 100% 1
파일:Terraria/플랜테라 묘목.png 플랜테라 묘목 25% 1
파일:Terraria/시들러.png 시들러 14.29%[A] 1
파일:Terraria/플라워 파우.png 플라워 파우 14.29%[A] 1
파일:Terraria/네틀 버스트.png 네틀 버스트 14.29%[A] 1
파일:Terraria/리프 블로어.png 리프 블로어 14.29%[A] 1
파일:Terraria/말벌 총.png 말벌 총 14.29%[A] 1
파일:Terraria/유탄 발사기.png 유탄 발사기
파일:Terraria/로켓 1.png 로켓 1
14.29%[A] 1
50-149
파일:Terraria/비너스 매그넘.png 비너스 매그넘 14.29%[A] 1
파일:Terraria/사원 열쇠.png 사원 열쇠 100% 1
파일:Terraria/피그미 스태프.png 피그미 스태프 25% / 50% 1
파일:Terraria/묘목(아이템).png 묘목 5% / 6.67% 1
파일:Terraria/가시 갈고리.png 가시 갈고리 10% 1
파일:Terraria/디 액스.png 디 액스 2% / 5% 1
파일:Terraria/재피네이터.png 재피네이터 1.25%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1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플랜테라 마스크.png 플랜테라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플랜테라 트로피.png 플랜테라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플랜테라/아이콘.png 파일:Terraria/플랜테라(페이즈 2)/아이콘.png
플랜테라 (페이즈 1) 플랜테라 (페이즈 2)
파일:Terraria/플랜테라(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플랜테라(페이즈 2).webp
정보
출현 정글 지하 출현 정글 지하
AI 타입 플랜테라 AI AI 타입 플랜테라 AI
공격력 50 / 100 / 150 (접촉)
44 / 76 / 114 (씨앗)
54 / 96 / 144 (독성 씨앗)
62 / 108 / 162 (가시 공)
공격력 70 / 140 / 210 (접촉)
체력 30,000 / 42,000 / 53,550 체력 15,000/30,000 / 21,000/42,000 / 26,775/53,550
방어력 36 방어력 1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Plantera's Hook
플랜테라의 갈고리
Plantera's Tentacle
플랜테라의 촉수
Spore
포자
파일:Terraria/플랜테라/갈고리.png 파일:Terraria/플랜테라/촉수.png 파일:Terraria/포자.png
정보
출현 정글 지하 출현 정글 지하 출현 정글 지하
AI 타입 플랜테라의 갈고리 AI AI 타입 플랜테라의 촉수 AI AI 타입 포자 AI
공격력 60 / 120 / 180 공격력 60 / 138 / 206 공격력 70 / 140126 / 210189
체력 4,000 / 8,000 / 12,000 체력 1,000 / 2,000 / 2,550 체력 1
방어력 24 방어력 20 방어력 0
넉백 저항 0% / 10% / 20% 넉백 저항 0% / 10% / 2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면역 혼란, 면역 혼란
크툴루의 기계화 계획이 파탄나며, 잠들어있던 강력한 꽃의 수호자가 깨어났습니다. 정글 전역에 걸쳐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The jungle is growing restless...
정글이 쉬지 않고 자라나고 있다...
1.2 버전 이후 추가된 보스이며, 정글 지하에 있는 플랜테라의 구근이 어떤 방식으로든 파괴되면 등장하는 보스이다. 커다란 꽃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동할 때는 갈고리처럼 줄기를 블록에 뻗어서 잡고 이동하는 형식이다.

파일:Terraria/플랜테라의 구근.webp 플랜테라의 구근(Plantera's Bulb)
파일:Terraria/플랜테라의 구근/예시.png
하드모드 기계 보스(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 3체 모두 한 번씩이라도 처치하는 즉시 위의 메시지가 나오고 정글 지하 곳곳에 플랜테라의 구근이 피어나게 된다. 이 구근을 곡괭이로 파괴하면 플랜테라가 즉시 소환된다. 자체적으로 분홍색 빛을 내기 때문에 찾기가 꽤 쉽다. 잡초 청소를 자주 해서 구근이 생성될 장소를 만들어주자. 성장이 느리므로 간단한 정글 아레나를 만들어도 좋다.

간혹 구근을 부쉈고 플랜테라가 깨어났다는 메시지도 떴는데 BGM만 요란하게 나오다가 플랜테라가 나오지도 않고 끝나는 경우도 있다.[68] 그러므로 일단 구근을 부순 다음에 미니맵(또는 전체맵)을 보면서 플랜테라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하자. 사냥꾼의 포션으로 적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구근은 깊이가 0피트 미만이면서 정글 잔디가 심어진 진흙 위이라면 어디서든 자랄 수 있지만, 다른 구근으로부터 302×302블록 이내에는 자라지 않는다. 즉, 모든 구근은 최소 151타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자란다.
패턴 공격력
파일:Terraria/플랜테라/갈고리.png 갈고리 60 / 120 / 180
파일:Terraria/씨앗(플랜테라).gif 씨앗 44 / 76 / 114
파일:Terraria/독성 씨앗.gif 독성 씨앗 54 / 96 / 144
파일:Terraria/포자.png 포자 70 / 140126 / 210189
파일:Terraria/가시 공(플랜테라).png 가시 공 62 / 108 / 162
파일:Terraria/플랜테라/촉수.png 촉수 60 / 138 / 206

플랜테라는 하드모드 극후반을 진행하기 위한 콘텐츠를 잇는 중요한 보스 중 하나로, 플랜테라 격파 이후의 여파는 아래와 같다.
패턴 설명
광폭화 정글 지하를 벗어난 채로 보스를 대면하게 되면 광폭화 상태가 된다. 모든 공격력과 방어력이 기본으로 2배 올라가며 보스의 이속이 대폭 빨라지고, 인공지능이 매우 호전적으로 변한다. 이 상태로 페이즈 2에 돌입하면 방어력이 무려 4배가 올라간다.
페이즈 1
기본 행동 갈고리가 이동 반경 내에 있는 한 플레이어를 향해 다가가며 접촉하려고 시도한다.
갈고리 이동 수단으로 플랜테라의 몸체에 3개가 붙어있고, 플레이어 방향을 향해 가까운 블록에 갈고리를 붙이고 디뎌가면서 이동한다. 플랜테라는 적어도 갈고리 1개가 유지하고 있는 이동반경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
독성 씨앗 발사 플레이어를 향해 독성 씨앗을 빠르게 발사한다. 분홍색 씨앗과 초록색 씨앗이 있으며, 초록색 씨앗에 맞으면 독 디버프에 걸린다. 속도는 빠르나 블록을 관통하지는 못한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씨앗이 블록을 관통하며, 약한 유도성능을 가진다.
가시공 발사 씨앗을 발사하는 중에 가시공을 섞어서 뱉어낸다. 가시공은 중력 영향을 받으며, 바닥에 닿으면 통통 튀어다닌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유도 성능을 가져 플레이어의 x축으로 향한다.
변신 체력이 절반 이하로 넘어가면 소리없이 꽃잎을 벗고 바로 변신하여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기본 행동 더욱 빨라진 이동 속도로 동일하게 플레이어를 향해 다가오며 접촉하려고 시도한다.
갈고리 플레이어 방향을 향해 가까운 블록과 더불어 벽지에도 갈고리를 붙이고 디뎌가면서 이동한다.
촉수 분사 몸통에서 대여섯개의 촉수를 빼낸다. 촉수는 플랜테라에 붙어 마구 요동치며, 별도의 체력을 갖고 몬스터처럼 접촉 판정이 존재한다.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는 각각의 갈고리에서도 대여섯개의 촉수가 나온다.
포자 분사 플랜테라는 중간중간 포자를 뱉어낸다. 포자는 거대 버섯 구근의 포자처럼 항시 위로 발사되어 천천히 아래로 내려오며, 체력은 1로 고정되어 있고 부술수 있다.

듀크 피시론과 마찬가지로 전투 장소인 정글 지하를 벗어나면 보스가 폭주하여 매우 강력해진다. 최종급 아이템을 장비한 수준이 아니라면 대단히 강력하여 순식간에 패배할 수 있기 때문에 초회차라면 정글안에서 싸워야 한다. 광폭화 인식 범위가 매우 특이하여, 정글 잔디와 같은 정글 구성 블록이 부족한 지역은 그냥 대동굴로 인식하여 폭주하므로, 아레나를 만들때 다이너마이트로 지나치게 맵을 크게 파는 것은 오히려 안좋을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아레나 플랫폼 밑에 정글 잔디를 깔고[69] 작동기로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으로 정글 판정을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리석 동굴이나 화강암 동굴 지역또한 폭주하므로 공간이 넓다고 해서 이 동굴들을 아레나로 이용할 생각은 일치감치 접어두는 것이 좋다. 추천하는 방법으로는 정글 중간에 생성된 벌집 내의 여왕벌을 소탕한 후 꿀을 빼내면 적당한 공간이 나오니 적당히 손을 본다면 충분히 아레나의 역할을 해 준다. 아니면 정글 지하의 넓은 공간을 개조해서 만들어도 좋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대단히 강력한 보스로 변하여 어중간하게 아레나를 팠다가는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된다. 현명하게 아레나를 건설하자.

이름은 판테라(Pantera)라는 그루브 메탈 밴드에서 유래했으며, 테라리아의 개발자들 중 하나이자 메인 개발자 Redgit의 아내이기도 한 Cenx가 좋아하는 밴드라고 한다. 드롭 아이템 중에 판테라의 기타리스트 다임백 대럴이 자주 사용하는 일렉기타 모양의 "디 액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Cenx의 언급에 따르면 플랜테라는 암컷이라고 한다.

플랜테라가 드롭하는 무기들의 성능은 크게 강력한 편은 아니지만 정글 사원에 들어갈 수 있는 사원 열쇠가 대부분의 의미를 갖게 되며, 이 보스를 잡은 직후에야 지형 열쇠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홍지대에서 시작한 워리어의 경우 눈에 쌍심지를 켜고 찾아서 잡게 된다. 레인저의 경우 이 보스가 드롭하는 유탄 발사기를 얻어야만 런처 레인저로써의 시작이 가능하며, 소서러의 경우 피시론 공작을 쉽게 잡을수 있는 무기인 리프 블로어를 드롭하므로 두 직업으로 플레이할거라면 노가다를 좀 해야한다. 서머너의 경우에도 피그미 스태프를 드롭한다. 최근 PC판에서도 비너스 매그넘이 자동 공격이 되도록 상향을 먹어 운 좋게 바로 얻었다면 메가샤크는 이제 창고에 넣어도 된다.

참고로 그럴 일은 없겠지만,이미 플랜테라가 월드에 스폰되어있는 시점에서 구근을 한 번 더 부순다면, 그냥 구근만 날아가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3.12. 골렘(Golem)

Golem
골렘
파일:Terraria/골렘.png
정보
출현 리자드 사원
AI 타입 골렘의 몸통 AI
체력 60,000 / 90,000 / 114,749 (총합)
25,000 / 37,500 / 47,812 (머리)
15,000 / 22,500 / 28,687 (몸통)
10,000 / 15,000 / 19,125 (각 주먹)
면역 혼란, , 불이야!, 지옥불, 쉬머링
BGM Golem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골렘).png 보물 가방 (골렘) 100% 1
파일:Terraria/빛나는 돌.png 빛나는 돌 100% 1
파일:Terraria/골렘 유물.png 골렘 유물 100% 1
파일:Terraria/수호자 골렘.png 수호자 골렘 25% 1
파일:Terraria/픽소우.png 픽소우 25% / 33.33% 1
파일:Terraria/골렘 주먹.png 골렘 주먹 14.29%[A] 1
파일:Terraria/빙의된 손도끼.png 빙의된 손도끼 14.29%[A] 1
파일:Terraria/스팅어.png 스팅어
파일:Terraria/스팅어 볼트.png 스팅어 볼트
12.5%[A] 1
60-99
파일:Terraria/대지의 지팡이.png 대지의 지팡이 14.29%[A] 1
파일:Terraria/히트 레이.png 히트 레이 14.29%[A] 1
파일:Terraria/태양의 돌.png 태양의 돌 14.29%[A] 1
파일:Terraria/골렘의 눈.png 골렘의 눈 14.29%[A] 1
파일:Terraria/딱정벌레 껍질.png 딱정벌레 껍질 100% 4-8 / 18-23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골렘 마스크.png 골렘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골렘 트로피.png 골렘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A] 지정된 아이템 중 1개 무조건 드롭}}} }}}}}}}}}
파일:Terraria/골렘/아이콘.png
골렘의 머리 골렘의 주먹
파일:Terraria/골렘/머리.png 파일:Terraria/골렘/주먹.png 파일:Terraria/골렘/주먹(우).png
정보
출현 리자드 사원 출현 리자드 사원
AI 타입 골렘의 머리 AI AI 타입 골렘의 주먹 AI
공격력 64 / 102 / 153 (접촉)
36-58 / 72-116 / 108-174 (화염구, 체력과 반비례)
56 / 112 / 168 (안구 빔)
공격력 59 / 94 / 141
체력 25000 / 37,500 / 47,812 체력 10,000 / 15,000 / 19,125
방어력 20 방어력 28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골렘의 몸통 분리된 골렘의 머리
파일:Terraria/골렘/몸통.png
파일:Terraria/골렘/머리(페이즈 2).webp
정보
출현 리자드 사원 출현 리자드 사원
AI 타입 골렘의 몸통 AI AI 타입 분리된 골렘의 머리 AI
공격력 72 / 115 / 172 공격력 80 / 128 / 192
체력 15,000 / 22,500 / 28,687 체력 16,000 / 24,000 / 30,600
방어력 26 방어력 32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리자드 종족이 만들어낸 인상적인 독창성의 예시로, 리자드 동력 전지로 구동되어 사원을 지킬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골렘은 1.2 버전에 새로 추가된 보스 몬스터로, 리자드 사원 안에 있는 리자드 제단리자드 동력 전지를 넣으면 소환된다.

골렘은 주먹 2개와 몸통, 머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첫 번째 형태에서는 우선 두 주먹이 플레이어를 향해 발사된다. 그리고 몸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플레이어를 향해 점프를 한다. 머리는 불덩어리를 발사하나 체력이 절반이 되면 레이저를 발사한다. 각 부분이 입은 피해가 늘수록 공격의 빈도가 높아진다. 쌍둥이 눈알을 생각해보면된다.
패턴 설명
광폭화 정글 지하를 벗어난 채로 보스를 대면하게 되면, 골렘이 더 빨리 뛰어다니고 머리의 체력이 절반 이하이면 레이저를 더 빨리 발사한다.
페이즈 1
기본 행동 플레이어를 향해 점프하며 접촉을 시도한다.
머리 머리는 이따금씩 입에서 불덩이를 발사하며, 불덩이는 벽에 2회 튕기면 사라진다. 불덩이에 맞으면 불이야! 디버프에 걸린다. 체력이 절반 이하로 내려가면 머리가 양옆으로도 회전하게 되며, 눈에서 빠른 속도로 레이저를 플레이어를 조준해 발사한다. 레이저는 체력에 반비례해 발사 속도가 더 빨라진다.
주먹 플레이어에게 주먹을 빠르게 날린다. 0.5초 동안 시각 효과를 내고 주먹을 날리며 주먹은 한번 날아가면 다시 되돌아올때도 판정이 존재한다. 다만 연결된 사슬에는 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체력이 적을수록 주먹을 날리는 속도가 빨라지고, 페이즈 2에 돌입하면 체력에 상관없이 주먹을 날리는 속도가 최대 속도로 고정된다.
변신 머리의 체력을 전부 깎으면 머리와 몸통이 분리되면서,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몸통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에게 점프해댄다. 다만 점프 주기가 훨씬 빨라졌다.
분리된 머리 페이즈 2에 돌입하는 순간 머리가 몸통에서 분리되어 둥둥 떠다닌다. 머리는 항상 플레이어 위로 향하도록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플레이어를 향해 레이저를 발사하거나, 불덩이를 입에서 발사한다. 체력에 비례하여 패턴 발동 주기가 더 빨라진다.

플렌테라 이후에 상대하는 보스지만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체력이 떨어졌을 때 머리가 난사하는 레이저가 조금 까다롭지만, 적응하다보면 금방 피해진다.

물몸에다 딜도 안되는 서머너를 제외하면 적정 티어의 장비를 갖춘 이상 그냥 그 자리에서 소환해서 잡아도 쉽게 잡을수 있고, 전문가 모드에서도 버프 포션 자체도 필요없이 잡을 수 있을 정도. 그나마 난이도에 보탬이 되는 점이라면 싸울 공간이 좁다는 점과 픽소우를 얻기 전까지는 제단을 캐서 가져갈 수 없기 때문에 전투 장소가 강제된다는 점, 그리고 전투중 강력한 몬스터들이 등장해서 방해할 수 있는 점들인데, 픽소우 드롭 후 리자드 제단은 캐 갈수 있어 그나마도 큰 문제가 안되고, 잡몹들의 경우는 그냥 보스방 입구를 블록으로 막으면 끝.

이 보스를 잡은 이후에 최종 콘텐츠들이 열리기 때문에, 난이도와 달리 매우 중요한 보스다. 골렘 격파 이후의 여파는 아래와 같다.

전투 지형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난이도가 워낙 쉬웠고 심지어 작동기와 전선, 스위치나 레버만 있으면 픽소우 없이 제단을 캐서 지상으로 가져가 더 편하게 싸울수 있었다. 제작진들도 인정했는지, 1.4 버전에서 더욱 강해졌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플레이어 수가 많아질 때마다 공격성이 늘어나고, 정글 지하 이외의 바이옴에서 소환되면 폭주하게 되고, 필요하면 블록을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패턴이 바뀐건 없어서 여전히 난이도는 최하. 1.4.4 버전에선 체력이 더욱 상승하고 더 이상 주먹이 공격 받았다고 경직되지 않는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월 오브 플레시, 쌍둥이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대폭 작아진 상태로 등장한다. 패턴 또한 강화된다.

리자드 제단픽소우부터 회수가 가능해서 나중에 들고 밖에 나가서 소환할 수 있다. 만약 운 좋게 리자드 제단 밑의 블록이 나무 가시로 되어 있다면 픽소우 없이도 가시를 캐서 회수가 가능하다. 지형 관통 공격이 눈에서 발사하는 레이저밖에 없으므로 배선과 스위치를 잔뜩 가져가서 가시 공 트랩을 보스 방에 적당히 설치하고 안전지대를 만들어서 레이저만 피한다면 무기를 쓰지 않고도 이길 수 있다.

난이도에 비해서 떨어뜨리는 아이템의 성능이 강력한 편이다. 리자드 벽돌을 채굴할 수 있는 최강의 채굴기인 픽소우를 비롯하여 극딜을 노린다면 반드시 써야 할 장신구인 천상의 돌의 재료인 태양의 돌, 봄버 레인저가 중반에 써먹을 수 있는 유용한 무기 스팅어 등이다. 특히 픽소우는 리자드 벽돌 채굴이 가능하므로 중반에 골렘에게서 원하는 아이템이 나오지 않았거나, 리자드 동력 전지가 부족하다면 다시 다른 맵에 들어가서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달의 군주 처치 이전까진 상당히 유용한 이중 도구이다.

전문가 모드에서 얻을 수 있는 빛나는 돌은 가만히 서 있을수록 체력 재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장만해두는 게 좋다. 체력이 낮을 때 이거 끼고 안전한 곳에 가만히 서서 회복하거나 보스전 후 많이 떨어진 체력을 빨리 보충하고 신속히 다시 전투할 수도 있고, 체력 재생 속도를 늘리기 위해 배부름 버프에 의존할 필요도 없어진다. 다만 1.4 이후로 소셜 슬롯칸에 장비할 수가 없게되어 즉각 교체가 안돼 좀 불편해졌다.

잡으면 돈을 꽤 많이 주고 드롭템들도 하나에 10골드 넘게 팔수 있어 돈이 잘벌리는 보스중 하나다.돈이 궁히다면 호구렘을 학살해 보자.순식간에 펌킨문 한번 정도의 돈이 벌린다.

1.4 업데이트로 텍스처가 변경되었다. 또한 아이템의 드롭 목록에서 픽소우가 분리되었다. 이전에는 8종의 아이템 중에서 하나 드롭으로 꽤나 낮았지만, 이제 따로 계산되기 때문에 얻기가 더 쉬워졌다.

1.4.4 이후 몸통의 체력이 9000에서 15000으로, 머리의 체력이 16000에서 25000으로, 주먹의 체력이 7000에서 10000으로 대폭 상승하였고 주먹이 공격을 가하기 전에 밝게 빛을 내는 대신 반사가 불가능하게 바뀌었다. 중요성에 비해서나 잡는 시점에 비해서나 굉장히 약한 보스라는 평이 많았기 때문인지 큰 버프를 받았지만 기본적으로 수치적인 변경이 대부분이고, 공략법 자체가 수정된 것은 아니라서 많이 달라진 것은 없다.

3.13. 빛의 여제(Empress of Light)

Empress of Light
빛의 여제
파일:Terraria/빛의 여제.webp
정보
AI 타입 빛의 여제 AI
체력 70,000 / 98,000 / 124,950 (총합)
방어력 5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BGM Empress of Light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빛의 여제).png 보물 가방 (빛의 여제) 100% 1
파일:Terraria/활공의 휘장.png 활공의 휘장 100% 1
파일:Terraria/빛의 여제 유물.png 빛의 여제 유물 100% 1
파일:Terraria/빛의 보석.png 빛의 보석 25% 1
파일:Terraria/야광.png 야광 25%[A] 1
파일:Terraria/별빛.png 별빛 25%[A] 1
파일:Terraria/만화경.png 만화경 25%[A] 1
파일:Terraria/황혼.png 황혼 25%[A] 1
파일:Terraria/여제의 날개.png 여제의 날개 6.67% / 10% 1
파일:Terraria/분광 염료.png 분광 염료 25% 1
파일:Terraria/무지개 커서.png 무지개 커서 5% 1
파일:Terraria/별의 선율.png 별의 선율 2% / 5% 1
파일:Terraria/테라프리즈마.png 테라프리즈마 100%[B] 1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빛의 여제 마스크.png 빛의 여제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빛의 여제 트로피.png 빛의 여제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빛의 여제/아이콘.png
빛의 여제 (페이즈 1) 빛의 여제 (페이즈 2)
파일:Terraria/빛의 여제.webp
파일:Terraria/빛의 여제(페이즈 2).webp
빛의 여제 (페이즈 2) (광폭화)
파일:Terraria/빛의 여제(페이즈 2)(광폭화).webp
정보
AI 타입 빛의 여제 AI AI 타입 빛의 여제 AI
공격력 80 / 110 / 165 (근접)
120 / 165 / 248 (돌진)
90 / 120 / 180 (프리즘 볼트)
100 / 140 / 210 (태양의 춤)
90 / 120 / 180 (영원의 무지개)
100 / 120 / 180 (천상의 창)
공격력 80 / 110 / 165 (근접)
120 / 165 / 248 (돌진)
100 / 140 / 210 (프리즘 볼트)
120 / 160 / 240 (태양의 춤)
100 / 140 / 210 (영원의 무지개)
120 / 140 / 210 (천상의 창)
130 / 120 / 180 (천상의 창 2)
체력 70,000 / 98,000 / 124,950 체력 35,000/70,000 / 49,000/98,000 / 62,475/124,950
방어력 50 방어력 6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신성지대의 아래에 있는 모든 거짓을 정화하고 이 땅의 불순물들을 씻어내려는 복수심에 불타는 여신입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1.4 버전으로 추가된 신성지대 보스. 직접 소환해야 마주할 수 있다. 플랜테라 처치 이후 밤 시간대의 신성지대 지상에서 나오는 선명한 풀잠자리를 죽이면 즉시 소환된다. 선명한 풀잠자리는 신성지대를 벗어나면 즉시 사라지기 때문에 여제를 소환하고 싶으면 신성지대에서 죽여야 한다.

광활한 범위 공격때문인지 의외로 지형을 벗어나도 폭주하지는 않지만 플레이어가 멀리 도망가도 그 즉시 텔레포트로 쫓아오므로 도주전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 다만 정말 플레이어와 보스 중 한쪽이 죽을 때까지 추격하는 몇몇 보스와 달리 추격하는 범위에 한계가 있는지 정말 멀리까지 텔레포트해서 도망치면 그냥 보스전이 끝나기도 한다. 낮에 소환하여 해당일 낮까지 잡지 못한다면 그 즉시 사라진다.
패턴 설명
폭주 밤이 아닌 낮에 빛의 여제를 소환할 시, 빛의 여제의 접촉 대미지와 모든 공격의 대미지가 즉사급 대미지로 변경. 또한 모든 공격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특정 패턴이 강화되거나 몇몇 패턴이 추가된다.
페이즈 1
돌진 전신에서 잔상이 나온뒤 플레이어와 y좌표를 맞춘 후 수평으로 빠르게 돌진한다. 피하기는 어렵지 않으나 맞으면 대미지가 엄청나므로 주의하자. 패턴이 하나 끝날때마다 한 번씩 시전한다.
프리즘 볼트 빛의 여제가 처음 첫 번째로 꺼내는 패턴으로, 십수발의 유도 발광체를 발사한다. 이 발광체는 느리게 이동하다 이후 빠르게 플레이어에게 유도되어 나간다. 두 번째 패턴을 반복할때부터는 영원의 무지개를 추가로 전개한다.
태양의 춤 빛의 여제가 두 번째로 꺼내는 패턴. 빛의 여제가 상공에 멈추어 거대한 빛 줄기를 6갈래씩 다방향으로 3차례 전개한다. 폭주시 빛줄기를 8갈래로 전개한다.
영원의 무지개 빛의 여제가 세 번째로 꺼내는 패턴. 나선 형태로 퍼지는 별을 13개 발사한다. 이 별은 잔상을 그리며 앞으로 나아가다 다시 나온 자리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보인다. 범위가 굉장히 넓은 데다 지속 시간도 길고, 잔상에도 판정이 있으니 주의.
천상의 창 플레이어를 조준하는 빛의 창을 넓은 범위로 수십 발 발사한다. 이 창은 공격전에 발사 경로를 알려주므로 보고 피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첫 번째 패턴으로 넘어가 반복된다.
발사 방향은 플레이어의 이동방향을 따르며, 플레이어가 이동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경우 플레이어를 원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날아온다.
변신 체력이 절반으로 깎이면 모든 패턴이 취소되고 잠시동안 사라진 뒤 각성 상태가 되면서,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돌진 페이즈 1일때와 달리, 패턴 하나당 꺼내지 않고 특정 패턴이 끝날때마다 돌진한다.
장판형 천상의 창 페이즈 2의 여제가 첫 번째로 꺼내는 패턴. 페이즈 1일때의 천상의 창과 달리 십수개의 창을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생성한 뒤 날리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하는데, 가로로 2번, 대각선으로 2번 총 4번 날아온다. 폭주시에는 플레이어를 조준하는 십수개의 창을 일렬로 소환하여 X자를 그리듯이 날리는 식으로 변하며, 이를 각기 다른 방향[70]으로 6번 반복한다.
프리즘 볼트 페이즈 2의 여제가 두 번째로 꺼내는 패턴. 페이즈 1일때의 프리즘 볼트보다 속도가 훨씬 빠르다. 다만 선회 속도는 느려졌다. 이 패턴 이후 돌진을 시전한다.
정조준 천상의 창 폭주 상태에서만 꺼내는 패턴으로, 프리즘 볼트 발사이후 바로 전개된다. 플레이어를 조준하는 십수개의 창이 순차적으로 날아온다. 페이즈 1일때의 천상의 창과 달리 플레이어를 정조준해서 날린다. 플레이어가 이동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경우 창을 날리지 않는다.
공격 동시 전개 페이즈 2의 여제가 세 번째로 꺼내는 패턴. 영원의 무지개, 프리즘 볼트를 동시에 전개한뒤 플레이어에게 근접해 태양의 춤을 곧바로 시전한다.
천상의 창 페이즈 2의 여제가 다섯 번째로 꺼내는 패턴. 페이즈 1일때의 천상의 창과 동일한 패턴으로 날아온다. 이후 돌진을 시전하는 건 같지만 페이즈 1일때보다 돌진을 약간 일찍 시작하기 때문에 더 맞기 쉬워졌다.
프리즘 볼트 페이즈 2의 여제가 마지막으로 꺼내는 패턴. 프리즘 볼트를 원 모양으로 흩뿌린다. 그 전에 쓰던 프리즘 볼트에 비해 플레이어에게 유도되기까지의 딜레이가 2배 가까이 빠른 것도 모자라 탄속 역시 페이즈 1일때의 프리즘 볼트보다 훨씬 빠르므로 주의하자. 이 패턴 이후 다시 페이즈 2의 첫 번째 패턴으로 돌아간다. 폭주시 뿌리는 프리즘 볼트의 개수가 증가한다.
패턴 강화 전문가 모드 이상부터는 빛의 여제의 패턴이 항시 폭주 상태의 패턴으로 변경된다. 패턴만 변동되며, 대미지는 낮이 되기 전에는 변동되지 않는다.

탄막과 돌진 패턴들이 특징인 보스. 이론적으로는 플랜테라만 처치하면 조우가 가능한, 골렘과 비슷한 위치의 보스지만 후술하듯 실질적으로는 듀크 피시론처럼 골렘 장비 정도는 갖추고 상대하는 것이 권장되는 보스이다. 클래식 난이도와 전문가 모드와의 차이가 굉장히 큰 보스중 하나로, 클래식의 경우는 패턴이 덜 빡센 편이라 회피가 쉬운 편이나 전문가 모드 이상부터는 패턴이 크게 달라져서 다른 회피법을 고수해야 하기 때문.

플랜테라 이후의 보스답게 매우 다양한 패턴을 가지고 있고 피해량도 큰 편인데, 체력은 듀크 피시론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많은 편이고, 여러 패턴이 겹치면서 플레이어를 곤경으로 몰아넣는 경우가 많다. 패턴에 익숙하지 않으면 비슷한 권장 스펙의 듀크 피시론은 물론이고 달의 군주보다도 어려울수 있는 상위권 난이도의 보스. 패턴 자체는 고정되어 있지만, 가짓수가 워낙에 많고 앞에서 서술한 많은 체력 때문에 장기전이 되기 쉬운데, 그렇게 계속 전투를 이어나가다 보면 패턴을 헷갈려서 맞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악명높은 패턴은 페이즈 2의 세 패턴을 한번에 전개하는 패턴으로, 영원의 무지개를 깔고 프리즘 볼트를 뿌린 뒤 빠르게 근접하여 태양의 춤을 시전하는데, 각 패턴간 상호 보완이 엄청나서[71] 파훼법을 모를 경우 도저히 답이 안 나온다. 페이즈 2에 돌입한 빛의 여제의 공격 패턴은 하나같이 공격력이 높고 패턴 회전률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별다른 회피수단이 없다면 여기서 한 두대씩 맞고 골골대다가 죽는 것이 일상.
클래식 모드의 낮 버전이거나 전문가 모드 이상의 난이도인 경우 위의 3가지 패턴 이전에 천상의 창을 정조준으로 발사하는 패턴까지 추가되는데, 이것 때문에 여제에게서 단순히 일자로만 거리를 벌리는 것이 통하지 않게 되고, 천상의 창의 시전을 마친 후 바로 영원의 무지개를 뿌리기 때문에 무지개를 원하는 곳에서 쓰도록 만들기가 힘들어지는 등 더욱 골때리게 변한다. 바로 전 패턴에서 빛의 여제와 거리를 벌린뒤 유도탄이 날아올때 대각선 아래로 대쉬해 유도탄과 빛줄기를 동시에 피하거나, 태양의 춤을 시전하는 순간 불화의 지팡이로 순간이동하는 전법이 있다.

소환 생물인 선명한 풀잠자리를 아침에 풀어놓고 죽여서 낮에 전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빛의 여제가 폭주하여 패턴이 강화되고 모든 공격의 대미지가 4~5자리 수로 폭증한다.[72] 일반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최대 체력이 겨우 600밖에 안 되는 특성상 한 대만 맞으면 반드시 즉사하므로 노 히트가 강제되는데, 이속도 빠르고 패턴마저 난잡하기에 멍청하게 일직선으로 따라오기만 하는 던전 가디언 따위와는 비교할 수 없다. 그나마 다행히도 체력과 방어력은 밤에 싸울 때와 동일하다.

하지만 이 끔찍한 난이도를 극복하고 낮에 격파하는 데 성공할 경우 매우 강력한 고유 소환무기인 테라프리즈마를 무조건 드롭하기 때문에 컬렉션이 목적이라면 한번쯤은 낮에 소환해서 잡아야 한다. 반드시 낮에 소환해서 밤이 오기 전에 잡아야만 드롭하기 때문에 밤에 소환해서 체력을 많이 빼놓고 낮까지 기다리다가 죽이는 꼼수는 통하지 않는다. 반드시 정공법으로 싸워야 한다.

쉽게 낮에 소환해서 잡고 싶다면, 가장 쉬운 방법은 역시 테라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DPS를 가진 무기인 제니스를 장비한뒤 극딜 세팅으로 맞춰 순식간에 녹여버리는 것이다. 빛의 여제가 테라프리즈마를 드롭하는 것은 모드 난이도에 제약을 두지 않으므로 클래식 난이도로 가서 집중딜을 하면 순식간에 처리할 수 있다.

일정 확률로 공격을 회피해주는 마스터 닌자 장비, 블랙 벨트, 혼란의 뇌는 1.4.4 버전 이후 즉사 공격을 회피하지 못한다. 즉, 다른 기동성/공격 관련 장신구/장비를 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마스터 닌자 장비는 대시능력이 있는지라 취향에따라 선택하면 된다

순간이동으로 공격을 쉽게 회피할 수 있는 불화의 지팡이/조화의 지팡이를 챙기면 훨씬 쉽게 상대할 수 있다. 특히 여러 패턴이 겹치면서 속수무책으로 죽는 일이 잦은 페이즈 2에서 불화의 지팡이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굉장히 크다. 불화의 지팡이를 연속으로 사용하면 체력이 약간 감소하지만, 보스에게 한 대 맞고 그 자리에서 즉사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으므로 불화의 지팡이의 체력 감소 디버프에 큰 부담을 가지지 않고 위험하다 싶을땐 여러번 연속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빛의 여제 패턴 공략 플랜테라 처치 직후 정공법으로 잡기

무시무시한 난이도에 비해 대부분의 드롭 아이템들은 듀크 피시론이 주는 무기에 비해서 성능이 떨어지는 편이 많은지라 클래식 모드에서는 그다지 잡을 필요가 없으나, 전문가 모드부턴 보물 가방에서 지급되는 솟구치는 휘장의 성능이 사기급이라 한번쯤은 잡게된다. 이 휘장은 단일로 있을때는 이속 보너스와 개구리 다리와 비슷한 성능을 지니지만, 비행이 가능한 부츠나 날개를 같이 착용하는 순간 무한히 비행할 수 있게 된다. 기동성 면에서는 원탑. 또한 낮은 확률로 드롭되는 마법 무기인 별의 선율의 성능이 쓸만하다. 그리고 기본 드롭 중 하나인 근접 무기 별빛은 멀리 나가는 투사체가 없어 원거리 견제에 약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근거리에서만큼은 악취의 바그나우를 능가하는 연사력으로 루나 이벤트 이전 무기로는 따라가기 어려운 화력을 자랑한다. 그리고 만화경과 테라프리즈마를 제외한 모든 드롭 무기들이 전부 자신의 패턴과 비슷한 공격 방식을 가지는 게 특징이다.

서머너의 경우 최종 채찍무기인 만화경 획득을 위해서라도 파밍하면 좋고, 폭주한 빛의 여제 역시 테라프리즈마를 드롭하기 때문에 잡으면 좋겠지만, 달의 군주를 클리어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굳이 빛의 여제를 낮에 소환해서 잡을 필요는 없다.

폭주한 여제의 난이도는 매우 어렵고, 여제와 달의 군주의 중간 시기쯤에 서머너가 쓸수 있는 가장 좋은 소환 무기는 골렘까지 잡고 화성인 이벤트로 얻을수 있는 제노 스태프인데, 1.4 패치 이후로 화성인 우주선이 강화되어 제노 스태프를 구하기가 쉬운 편이 아니고 이걸 얻었다면 차라리 빠르게 펌킨문을 파밍한뒤 루나 이벤트를 진행하여 소성단 세포 스태프와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태프를 준비해 달의 군주를 잡는 것이 훨씬 쉽기 때문이다.
사실상 제노 스태프를 얻어서 빠르게 격파한다고 해도, 테라프리즈마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남은 구간은 펌킨 문과 천체의 기둥전뿐이다.[73] 다만 그 이벤트 하나에서만큼은 세포 지팡이는 따위로 보일정도로 무시무시하게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므로[74] 자신의 컨트롤이 충분하다면 낮에 빛의 여제를 소환해서 도전을 해보자.

빛의 여제와 낮에 전투할 경우, 어떤 공격이든 맞으면 한 방에 즉사한다는 특성은 NPC에게도 예외가 없는 데다 모든 공격 패턴이 범위도 광활하고 지형 관통까지 달고 있어 파괴자 이상으로 NPC를 쉽게 살해하는 보스이기도 하다. NPC가 죽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NPC의 집에서 최대한 떨어진 곳에 아레나를 짓고 싸우자.

Slayer of Worlds(모든 정규 보스 처치) 도전과제에 카운트되지 않는 보스다.

for the worthy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패턴을 전개하기 전 가만히 있는 시간이 50% 가량 짧아진다.[75] 쉽게 설명하자면, 여제가 한 패턴의 시전을 마치고 나면 플레이어 쪽으로 순간이동에 가까운 속도로 달라붙는 행동을 취한 뒤 아주 조금 뜸을 들이다가 다음 패턴을 시전하는데, 이 뜸을 들이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이다. 눈에 잘 띄지 않는 변경점이라 보기만 해서는 체감하기 힘들지만 직접 해보면 상당히 체감되는데, 가만히 있는 시간이 적어지는 만큼 다음 패턴이 빨리 나오기에 패턴의 회전 속도도 눈에 띄게 빨라지는 데다 다음 패턴에 대처할 시간이 0.몇 초 줄어든다는 것도 0.1초 차이가 큰 테라리아에선 의외로 상당한 상향점이기 때문에 파훼법을 알고도 아차 하는 순간 맞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꽤나 어려워진 편.

얼굴의 V자 픽셀이 입인지 코인지 논쟁이 조금 있었다. 비슷한 보스인 얼음 여왕의 스프라이트를 보아 코라고 하는 의견도 있지만, 정작 마스터 난이도의 빛의 여제가 드롭하는 빛의 여제 석상은 방긋 웃고있는 얼굴이기에 입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그런데 개발자가 직접 코라고 언급하면서 사실상 종결되었다.[76]

1.4가 출시되기 전에 Cenx라는 개발자가 "그녀는 아름다운 탄막 지옥 보스가 될 것이다"라고 먼저 언급한 적이 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중 한 명인 Crowno에 의하면 빛의 여제는 놀랍게도 동방 프로젝트에서 영감을 얻은 보스라고 한다. 실제로도 탄막 위주의 공격 패턴을 가진 여성형 보스라는 점, 미리 예고선을 보여주고 탄막을 날리는 패턴의 존재 등 동방 프로젝트 시리즈의 보스전과 유사점이 꽤 있는 편.

하드모드에 진입하자마자 소환이 가능한 피시론 공작처럼 보스 티어가 애매한 위치에 있는 보스인데, 드롭되는 동전의 양이 25골드로 피시론 공작과 동일하므로 피시론 공작과 똑같이 골렘 이후 보스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77]

3.14. 피시론 공작(Duke Fishron)

Duke Fishron
피시론 공작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페이즈 1).webp
정보
출현 바다
AI 타입 피시론 공작 AI
체력 60,000 / 72,000 / 91,800 (총합)
넉백 저항 100%
BGM Duke Fishron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피시론 공작).png 보물 가방 (피시론 공작) 100% 1
파일:Terraria/새우 송로버섯.png 새우 송로버섯 100% 1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 유물.png 피시론 공작 유물 100% 1
파일:Terraria/바다의 돼지고기.png 바다의 돼지고기 25% 1
파일:Terraria/피시론의 날개.png 피시론의 날개 6.67% / 10% 1
파일:Terraria/플레어론.png 플레어론 20%[A] 1
파일:Terraria/쓰나미.png 쓰나미 20%[A] 1
파일:Terraria/면도날 태풍.png 면도날 태풍 20%[A] 1
파일:Terraria/비눗방울 총.png 비눗방울 총 20%[A] 1
파일:Terraria/태풍의 스태프.png 태풍의 스태프 20%[A] 1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 마스크.png 피시론 공작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 트로피.png 피시론 공작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아이콘.png
피시론 공작 (페이즈 1) 피시론 공작 (페이즈 2) 피시론 공작 (페이즈 3)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페이즈 2).webp 파일:Terraria/피시론 공작(페이즈 2).webp
정보
출현 바다 출현 바다 출현 바다
AI 타입 피시론 공작 AI AI 타입 피시론 공작 AI AI 타입 피시론 공작 AI
공격력 100 / 140 / 210 (접촉)
200 / 280 / 420 (광폭화 시 접촉)
80 / 100 / 150 (샤크네이도)
공격력 120 / 201 / 302 (접촉)
200 / 280 / 420 (광폭화 시 접촉)
160 / 200 / 300 (크툴루네이도)
공격력 184 / 277
200 / 280 / 420 (광폭화 시 접촉)
체력 60,000 / 72,000 / 91,800 체력 30,000/60,000
/ 36,000/72,000
/ 35,900/91,800
체력 10,800/72,000 / 13,770/91,800
방어력 50
100 (광폭화 시)
방어력 40
100 (광폭화 시)
방어력 0
100 (광폭화 시)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면역 혼란, 기절 면역 혼란, , 불이야!, 서릿불, 부식성 맹독, 기절 면역 혼란, , 불이야!, 서릿불, 부식성 맹독, 기절
Detonating Bubble
폭발성 방울
Sharkron
샤크론 (변종 1)
Sharkron
샤크론 (변종 2)
파일:Terraria/폭발성 방울.png
파일:Terraria/샤크론.png
파일:Terraria/샤크론.png
정보
출현 바다 출현 바다 출현 바다
AI 타입 폭발성 방울 AI AI 타입 샤크론 AI AI 타입 샤크론 AI
공격력 100 / 150 / 225 공격력 100 / 150 / 225 공격력 120 / 180 / 270
체력 1 체력 100 / 150 / 225 체력 100 / 150 / 225
방어력 0 방어력 100 방어력 10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면역 - 면역 혼란 면역 혼란
희귀하고 풍미있는 지렁이를 찾아 심해에서 해수면까지 올라온 피그론의 수중 변이체입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
피시론 공작의 키메라적인 형태는 자손들이 좀 더 상어와 같은 모습을 취하게 했으며, 이들은 하수인으로서 전투에 참여합니다.
생물 도감에서의 설명(샤크론)

1.2.4 패치로 추가된 보스, 명칭 피시론(Fishron)은 피그론(Pigron)처럼 물고기(Fish)와 용(Dragon)의 합성어로 이름에 걸맞게 그 두가지 특징들이 뒤섞인 듯한 생김새의 생물이다. 소환 방법이 꽤나 특이한데, 버섯 지형송로버섯 지렁이를 미끼로 사용해 바다에서 낚시하면 소환된다. 낚아올리면 바닷속에서 비범하게 떠올라 짧은 시간 동안 가만히 있다가 돌진한다. 또한 플랜테라와 마찬가지로 바다 지형에서 벗어날 시 폭주하기 시작한다.
이벤트 보스나 낮에 소환한 빛의 여제를 제외한 일반 보스들 중에서는 가장 강하지만 의외로 하드모드 특정 보스를 잡아야 한다던지 하는 소환 조건같은 것이 없다. 때문에 빛의 여제보다도 이른 시기에 싸울 수 있으며, 기계 보스 이전 스펙으로 피시론 공작을 잡아 굉장히 강력한 무기들을 빠르게 얻고 골렘까지 빠르게 양학하는 사람도 종종 볼 수 있다. 물론 컨트롤이 좋을 때의 얘기.
패턴 설명
광폭화 바다가 아닌 지형에서 전투할 경우, 어떤 페이즈던 모든 패턴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매우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에게 돌진하는 것만 반복한다. 페이즈 3에서도 순간이동은 생략되고 오로지 돌진만 반복한다. 돌진 주기도 엄청나게 빠른데다 접촉 피해량이 두 배로 올라가기 때문에 특수한 방법이 아닌 이상 오래 버티기 힘들다. 바다로 돌아가면 해제된다.
페이즈 1
기본 동작 몸통 박치기. 나타나자마자 플레이어를 향해 빠른 속도로 5번 돌진한다. 돌진후 아래의 패턴 2개 중 1개를 사용한뒤, 다시 돌진으로 넘어간다. 몸통 박치기에 맞으면 출혈 디버프에 걸린다.
폭발성 방울 발사 돌진 후 플레이어를 향해 폭발성 방울을 여러 개 발사한다. 방울은 유도성을 가져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며, 체력은 1로 고정되어 어떠한 무기로도 파괴할 수 있다.
샤크네이도 돌진 후 잠시 동안 멈춘 다음 면도날 방울을 2개 뱉어낸다. 방울은 확산하여 아래로 내려가며, 바닥에 닿으면 토네이도가 생성된다. 토네이도는 생성이 완료된 후 플레이어를 향해 유도성이 있는 샤크론을 1마리씩 3번 발사한다. 토네이도는 일정시간동안 맵에 남아있다가 사라진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샤크론에 접촉하면 광견병 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변신 체력이 절반 이하로 넘어가면, 패턴이 중단된 이후 잠시동안 가만히 있다가 눈이 빛나며 페이즈 2에 돌입한다.
페이즈 2
기본 동작 몸통 박치기. 페이즈 1일때와 방식은 비슷하지만 더 빠르고 더 먼 거리까지 플레이어에게 돌진한다. 다만 돌진 횟수는 3번으로 감소했다. 돌진이 끝난 이후 아래의 2개의 패턴중 1개를 발동하고, 다시 돌진으로 넘어간다.
폭발성 방울 난사 돌진 후 공중제비를 빠르게 3바퀴 돌면서 폭발성 방울을 페이즈 1일때보다 더욱 많이 난사한다. 페이즈 1일때와 마찬가지로 방울은 유도 성능이 있고, 무기로 파괴할 수 있다.
크툴루네이도 돌진 후 큰 면도날 방울을 1개 뱉어낸다. 이 방울은 유도성이 있어 플레이어를 향해 빠른 속도로 날아가며, 방울이 플레이어와 부딪히면 그 부딪힌 자리와 수직으로 마주하는 블록에서 페이즈 1일때보다 더 큰 토네이도가 생성된다. 이 토네이도는 유도성이 있는 샤크론을 빠른 속도로 20마리 가까이 난사하며, 페이즈 1일때의 토네이도보다 훨씬 더 오랜시간동안 맵에 남아있는다.
변신 전문가 모드에서 체력이 10800 이하로 내려가면, 패턴이 중단된 이후 잠시동안 가만히 있다가 페이즈 3에 돌입한다.
페이즈 3
은신 기본적으로 맵에 존재하는 블록을 제외하고 모든 배경이 푸른색으로 변하고, 피시론 공작은 눈을 제외한 모든 부위가 투명한 은신 상태로 변한다. 이 상태는 돌진할 때를 제외하고는 항시 은신 상태를 유지하므로 피시론의 눈의 위치, 또는 미니맵의 아이콘으로만 피시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순간이동 후 돌진 플레이어를 향해 빠른 속도로 돌진한 뒤, 이후 플레이어의 양옆 상단 대각선 방향중 한 곳으로 순간이동하여[78] 돌진하는 것을 반복한다. 돌진 횟수는 페이즈 3에 진입한 뒤 1번, 이후 순간이동하여 2번, 이후 순간이동하여 3번 돌진을 한다. 다른 패턴은 일절 사용하지 않고 3번 돌진이 끝나면 다시 1번 돌진으로 돌아가 죽을 때까지 돌진과 순간이동을 반복한다.

패턴이 제법 까다롭고 대미지가 엄청나서 공략법이 보급이 되지 않은 1.2 첫 출시 당시엔 답이 없는 보스로 꼽혔고, 이후 아스팔트 공략법이 나온 이후에서도 전문가 모드가 갓 출시된 1.3 초반에는 아예 달의 군주를 먼저 잡고 최종 스펙으로 도전하는 사람도 꽤 있었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았다. 특히 광폭화 상태에서는 돌진 속도와 주기가 매우 빨라지고, 피해량이 증폭되어 오래 버티기가 힘들다. 여기에 광폭화 시키지않고 싸울수 있는 공간자체도 널널한 편은 아니라 라지 사이즈의 맵이 아니면 전투가 매우 불편해진다.

처치하면 돼지 멱 따는 소리와 비슷한 비명소리와 함께 시체가 갈기갈기 찢어져 저 멀리 날아간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속살이 붉은색이라서 매우 잔인했으나, 1.3 업데이트로 푸른색으로 바뀌었다.

적정 시기는 골렘 이후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송로버섯 지렁이가 하드모드가 시작되자마자 스폰되기 때문에 하드모드 극초반부터 소환할 수 있다. 즉, 초반에 피시론을 어떻게든 잡는데 성공한다면 이후의 무기 파밍은 사실상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러나, 이 시점에서의 플레이어의 스펙이라면 피시론보다 훨씬 빈약한 때이므로[79] 정공법으로 진행한다면 골렘 이전까진 쳐다보지도 않거나, 아예 스킵하고 문 로드로 가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도 매우 힘들 뿐이지,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라서 일부 고수들이 스피드런을 진행할 때 초반부터 피시론을 잡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이 보스는 모든 공격의 자체 피해량이 원체 높기 때문에 기동성과 딜을 제외하곤 아무리 방어력을 높게 맞춰도 2 ~ 4번 스치면 죽어서 의미가 크게 없다. 대신 패턴이 고정적이며, 파훼법이 매우 확실하다. 피시론의 돌진은 사람마다 다르게 피할 수도 있고[80] 거품은 공격 한 번이면 터지며, 토네이도는 아레나가 넓다면 거의 무의미하다.
따라서 만약 자신이 피시론의 패턴에 익숙해 거의 노히트가 가능하다면 기계 보스를 하나 잡은 뒤 아스팔트로 기동성을 확보하고 쉽게 잡거나 아예 기계 보스조차 잡지 않고 기동성 보정 요소를 갖춘뒤 프로스트 스파크 부츠 + 얼음 블록 일자 아레나나 플랫폼 아레나만 지어서 거의 한 대도 맞지 않고 잡을수 있을 것이다. 시간이 오래 걸려도 사라지거나 광폭화 하지 않으니 한번 익숙해지면 하드모드 초반부터 잡을수 있게 되는 것. 물론 피시론의 패턴에 익숙해지기 위해선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패턴 중 용오름풍이 샤크론을 휘감고 치솟아오르는 샤크네이도는 동명의 영화 시리즈의 패러디다.

1.4 업데이트 이후 전용 BGM이 추가되었다.

1.4.4 업데이트 이후 체력이 상승하였으며, 칼라미티 모드의 피시론과 비슷하게 페이즈를 전환할 때마다 무적 상태가 되게 변했기 때문에 전보다 더 녹이기 힘들어져 장기전으로 가게 되었다. 하지만 이제 크툴루네이도가 생성될 때 바닥이나 플랫폼 등이 없으면 플레이어의 아래에서부터 생성되게 변해 거품이 플레이어에게 닿자마자 막강한 피해를 가하는 억까 상황이 없어져 결과적으로 더 쉬워진 부분도 있다.

3.15. 미친 광신도(Lunatic Culti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테라리아/이벤트 문서
번 문단을
미친 광신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달의 군주(Moon Lor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의 군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특수 시드 전용 보스

4.1. 메크두사(Mechdusa)

Mechdusa
메크두사
파일:Terraria/메크두사.png
정보
체력 256,800 / 327,420 / 436,560
넉백 저항 100%
면역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보물 가방 (파괴자).png 보물 가방 (파괴자) 100% 1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쌍둥이).png 보물 가방 (쌍둥이) 100% 1
파일:Terraria/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png 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 25% 1
파일:Terraria/와플의 철.png 와플의 철 100% 1
파일:Terraria/대형 치유 포션.png 대형 치유 포션 100% 5-15 }}}}}}}}}
What a horrible night to have a curse.
저주받기 딱 좋은 끔찍한 밤이다.

테라리아 관련 커뮤니티에서 기계 보스들의 공식 설정인 '기계공이 강제로 만들게 된 크툴루의 몸체'를 소재로 하여 기괴하게 합쳤던 밈을 토대로 만들어진 조크성 보스. get fixed boi 시드가 적용된 월드에서만 오크람의 면도날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 있다.

해당 시크릿 시드가 적용된 월드에서는 일반 기계 보스 소환 아이템이 사용되지 않고 오크람의 면도날을 만들기 위한 재료에 지나지 않는다. 즉 메크두사를 제외한 일반 기계 보스를 절대 소환할 수 없으며, 반대로 메크두사 소환 아이템을 다른 월드로 가져가서 사용해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제단을 부순 후 자연스폰되는 기계 보스도 이 녀석 뿐이며, 자연 스폰 예고 시에 나오는 문구는 그 유명한 What a horrible night to have a curse 다.[81]

스켈레트론 프라임의 눈에 쌍둥이가 달려있고 프라임의 머리 아래로 파괴자가 연결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런 형태 때문에 스켈레트론 프라임을 처치하면 쌍둥이와 파괴자는 따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프라임보단 파괴자나 쌍둥이를 먼저 잡는 것이 나은 편. 각각의 보스는 원래 있던 패턴을 그대로 쓰며 패턴이 겹쳐 피하기 힘든 상황도 자주 생긴다. 게다가 제니스 시드에서만 소환 가능한 만큼 적어도 전문가 이상의 스펙이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보스가 합쳐진만큼 여러 부위를 타격할 수 있는 관통 무기나 범위 무기가 효과가 좋다.

전리품은 모든 기계 보스들의 보물 가방[82]과 근접 무기인 와플의 철이다. 다만 와플의 철은 테라리아 크리에이터 헌정 무기인 만큼 성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한번 잡으면 기계 보스 3종의 보물 가방을 모두 준다는 점이 그나마 메리트가 있는 편.

5. 이전 버전 / 콘솔판 보스

해당 보스들은 3DS, 콘솔, 모바일 버전에만 존재했으나, 콘솔과 모바일이 1.3 버전으로 업데이트됨에 따라 이제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PS3),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PS VITA),파일:Xbox 360 로고.svg(XBOX 360),파일:Wii U 로고.svg(Wii U),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3DS)버전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 거기에 오크람을 제외한 나머지 둘은 3DS에서만 상대가 가능하다.

5.1. 오크람(Ocram)

Ocram
오크람
파일:Terraria/오크람.webp
정보
AI 타입 오크람 AI
체력 35,000
면역 혼란
BGM Queen Bee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재앙의 영혼.png 재앙의 영혼 100% 5-16 🎮
15-25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파일:Terraria/아다만타이트 광석.png 아다만타이트 광석 100% 10-38
파일:Terraria/공허의 화살.png 공허의 화살 100% ~28
파일:Terraria/드래곤 마스크.png 드래곤 마스크 3.6%[A] 1
파일:Terraria/드래곤 흉갑.png 드래곤 흉갑 3.6%[A] 1
파일:Terraria/드래곤 각반.png 드래곤 각반 3.6%[A] 1
파일:Terraria/공허의 헤드기어.png 공허의 헤드기어 3.6%[B] 1
파일:Terraria/공허의 갑옷.png 공허의 갑옷 3.6%[B] 1
파일:Terraria/공허의 서브리갈.png 공허의 서브리갈 3.6%[B] 1
파일:Terraria/타이탄 헬멧.png 타이탄 헬멧 3.6%[C] 1
파일:Terraria/타이탄 쇄자갑.png 타이탄 쇄자갑 3.6%[C] 1
파일:Terraria/타이탄 각반.png 타이탄 각반 3.6%[C] 1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15
파일:Terraria/오크람 마스크.png 오크람 마스크 14.29% 1
파일:Terraria/오크람 트로피.png 오크람 트로피 10% 1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3DS 보스.png
오크람 (페이즈 1) 오크람 (페이즈 2)
파일:Terraria/오크람(페이즈 1).webp 파일:Terraria/오크람(페이즈 2).webp
정보
AI 타입 오크람 AI AI 타입 오크람 AI
공격력 65 공격력 130 (접촉)
180 (악마의 낫)
140 (레이저)
체력 35,000 체력 17,500/35,000
방어력 20 방어력 20
Servant of Ocram
오크람의 하인
파일:Terraria/오크람의 하인.gif
정보
AI 타입 비행 AI
공격력 20
체력 450-600
방어력 5

콘솔판 테라리아의 보스. 이름의 유래는 프로그래머 이름 Marco를 뒤집은 Ocram. 수상해 보이는 두개골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 있다. 패턴으로는 오크람의 하인 소환, 돌진, 레이저 발사가 있다. 체력이 절반으로 떨어지면 오크람의 하인을 소환하며 레이저 탄막을 뿌리는데 그야말로 악랄하기 그지없는 패턴. 레이저를 쏠 때에는 멈춰 있어 언제 쏘는지 알 수는 있지만 이게 피해량도 사악한 데다가 탄막 뿌리듯이 미친 듯이 쏴대서 그냥 맞을 수밖에 없다. 페이즈 2로 들어서면서 멈춰있을 때 최대한 고화력의 무기로 체력을 최대한 깎아놔야 한다. 또 악마의 낫을 소환하며 돌진한다.

레퍼스배은망덕한 투르코와 달리 보너스 격 보스인데도 이 녀석이 드롭하는 재앙의 영혼으로 제작하는 장비들이 나름대로 실전성이 있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세 가지 갑옷 세트 모두 각 직업의 1.3 이전 최종 장비를 맞추기 전까지는 주력 장비로 써도 될 수준이며, 드래곤 갑옷은 방어력 자체는 당연히 딱정벌레 세트에 밀리긴 하나, 워리어 갑옷 중 공격 스탯 버프용으로는 따라올 자가 없기에 딱정벌레 갑옷을 만든 후로도 극딜 워리어를 만들 때 종종 쓰이며, 공허의 갑옷은 적어도 소서러가 유령 세트를 모으기 전까지는 쓸 만 하고, 타이탄 갑옷은 쉬루마이트 세트와 비교해도 크게 꿇리지는 않는 성능을 자랑한다.

콘솔 1.3 업데이트 때 삭제되어 이 업데이트를 적용받지 않은 콘솔판들과 업데이트가 중단된 3DS에서만 만날 수 있다. PC판에서는 비록 오크람 자체는 삭제...는 커녕 나온 적도 없지만, 오크람의 이름이 언급되는 제목 표시줄 문구가 몇 개 있고, 1.4.4에서 추가된 Get Fixed Boi 시드 월드 전용 보스 메크두사의 소환 아이템인 오크람의 면도날(Ocram's Razor)에 그 이름만 남았다.

5.2. 레퍼스(Lepus)

Lepus
레퍼스
파일:Terraria/레퍼스.png
정보
출현 지상
AI 타입 레퍼스 AI
공격력 50
체력 9,000
방어력 8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수상해 보이는 알.png 수상해 보이는 알 100% 1
파일:Terraria/알 대포.png 알 대포 50%[A] 1
파일:Terraria/오스타라의 부츠.png 오스타라의 부츠 50%[A] 1
파일:Terraria/토끼 후드.png 토끼 후드 10% 1
파일:Terraria/닌자 후드.png 닌자 후드 3% 1
파일:Terraria/닌자 셔츠.png 닌자 셔츠 3% 1
파일:Terraria/닌자 바지.png 닌자 바지 3% 1
파일:Terraria/힘의 영혼.png 힘의 영혼 1% 3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20
{{{#!wiki style="margin: -6px"{{{#fff}}} }}}}}}}}}
파일:Terraria/3DS 보스.png
수상해 보이는 알 재앙 토끼
파일:Terraria/수상해 보이는 알.png 파일:Terraria/재앙 토끼.png
정보 정보
공격력 0 공격력 20
체력 25 체력 70
iOS와 안드로이드에만 등장했던 보스다. 현재는 테라리아 모바일 버전이 1.3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삭제되었고, 이제는 3DS에서만 볼 수 있다.

부활절 이벤트 기간 중 재앙 토끼가 낮은 확률로 드롭하는 수상해 보이는 알을 사용하여 소환할 수 있다. 소환 시 플레이어 주변 가까운 곳에 스폰된다. 미니맵을 보면 어디 있는지 알 수 있으니 미니맵을 애용하자. 가끔 운이 나쁘게 하늘섬에서 스폰되는 경우도 있다.

패턴은 옆으로 조금씩 이동하다가 알을 뱉고 플레이어 쪽으로 점프한다. 알은 시간이 지나면 부화하는데 작은 알은 재앙 토끼가 나오고 큰 알은 또 다른 레퍼스(!)[83]가 나온다. 알에서 나온 레퍼스도 능력치는 동일하며 이런 점 때문에 늦게 찾으면 여러 마리의 토끼가 반겨주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 내뱉은 알은 공격으로 파괴 가능하니 큰 알을 뱉었다면 당장 부수자.

잡을 때마다 수상해 보이는 알을 주니 소환되지 않는 버그가 일어나지 않을 때를 제외하면 무한대로 잡을 수 있다. 1.2 패치로 능력치가 하드모드 보스급 으로 상당히 상승했다.[84] 크툴루의 눈 급이라고 무시하다 끔살당하니 주의하자.

참고로 Lepus는 토끼자리를 뜻하는 영어의 단어이다. 정확히는 라틴어로 토끼가 lepus이고 별자리는 대부분 라틴어로 지어졌기에 토끼자리를 뜻하기도 하는 것.

보스 중에서 투르코와 마찬가지로 트로피와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보스. 1.2.12785 기준으로 과거엔 드롭되었던 닌자 세트힘의 영혼드롭되지 않는다. 덕분에 잡을 가치가 더 떨어지게 되었다.

5.3. 배은망덕한 투르코(Turkor the Ungrateful)

Turkor the Ungrateful
배은망덕한 투르코
파일:Terraria/배은망덕한 투르코.png
정보
공격력 15
체력 7,000
방어력 ?
넉백 저항 100%
BGM Boss 1
드롭 아이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템 확률 수량
파일:Terraria/풍요의 뿔.png 풍요의 뿔 100% 1
파일:Terraria/깃털.png 깃털 100% 1-5
파일:Terraria/소형 치유 포션.png 소형 치유 포션 100% 5-20 }}}}}}}}}
파일:Terraria/3DS 보스.png
투르코의 머리 투르코의 몸통
파일:Terraria/배은망덕한 투르코/머리.png
파일:Terraria/배은망덕한 투르코/몸통.png
정보
공격력 38 공격력 15
체력 2,500 체력 7,000
방어력 ? 방어력 50 (머리가 있음)
0 (머리가 없음)
넉백 저항 100% 넉백 저항 100%

추수감사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3DS판 테라리아의 보스. 추수감사절 시즌에만 소환 가능하다. 딱 보면 칠면조라는 걸 알 수 있다. 방어력이 낮으면 꽤나 까다롭다. 칠면조 머리의 공격력이 무려 38이나 되기 때문. 방어력을 30은 넘기고 잡는 것을 추천한다. 하드모드를 가서 잡으면 수월하다. 상인에게서 살 수 있는 칠면조 깃털을 사서 펫 칠면조를 소환하고, 몬스터에게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저주받은 속을 사용하여 소환하는데, 이때 칠면조 깃털은 사라지게 되지만, 펫을 소환해놓기만 하면 소환할 수 있어서, 깃털을 상자에 넣어 놓는 것으로 깃털을 지킬 수 있다. 머리는 플레이어를 계속 쪼아대는데, 요게 은근히 아프니 조심해야 한다. 체력 포션을 빨면서 갈겨주자. 머리를 격파하기 전엔 몸통에 아무리 공격을 퍼부어도 1밖에 안 들어온다. 머리를 격파하면, 몸통을 공격할 수 있게 된다. 방어력이 0이라 잡는 건 쉽지만, 머리를 격파하고 25초가 지나기 전에 잡지 못하면 목에서 새로운 머리 3개가 튀어나온다. 이 패턴이 아주 까다롭다. 공격력과 속도가 어느 정도 받쳐 줘야 한다. 다행히 몸통은 접촉 외엔 아무런 공격도 없고, 움직이지도 않는다.

처치하면 꽤나 쓸모 있는 무한 사용이 가능한 체력 포션, '풍요의 뿔'이 나온다. 이 아이템 말고는 별로 쓸 만한 게 없다. 풍요의 뿔이 나오는데 왜 소형 치유 포션이 여기 전리품으로 나오는지는 의문. 근데 하드모드 후반에는 대부분 대형 치유 포션을 사용하게 된다.

6. 보스 가이드

각 보스들을 상대하기 위한 공략법들.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해당 보스와의 최초 대면시를 기준으로 한다.[85]
각 보스별 추천되는 장신구와 무기도 추가로 작성되어 있으며, 하드모드 이전부터 클래스 컨셉 플레이를 하는 것은 보스 가이드가 가장 필요할 초보 유저들에겐 일반적으로 기피되는 플레이이므로 하드모드 이후 보스들에 한해서만 클래스별로 추천 무기를 나누어서 작성하였다.

6.1. 왕 슬라임

6.2. 크툴루의 눈

6.3. 세상을 먹는 자

6.4. 크툴루의 뇌

6.5. 여왕벌

6.6. 스켈레트론

6.7. 외눈사슴

6.8. 월 오브 플레시

6.9. 여왕 슬라임

6.10. 기계 보스

난이도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파괴자→프라임→트윈즈 순으로 쉽다.[96]

6.10.1. 쌍둥이

6.10.2. 파괴자

6.10.3. 스켈레트론 프라임

6.11. [🎮] 오크람

6.12. 플랜테라

6.13. 골렘

6.14. 빛의 여제

6.15. 피시론 공작


[1] 이벤트 보스(화면 아래에 별도의 체력바가 뜨는 몬스터) 14종까지 포함하면, PC 1.4.4버전 기준 총 36종이 있다.[2] 정확히는 월 오브 플레시가 살아있는 동안 전방 900블록 이내에 진입하는 모든 플레이어에게.[3] 대동굴 쪽으로 올라가려하면 월 오브 플레시의 혓바닥에 붙잡혀 그쪽으로 끌려가며, 마법 거울 등의 텔레포트 아이템으로 억지로 도망치려 하면 이동이 완료되자마자 즉사한다.[4] 즉, 플레이어가 보스에게 전멸당한 경우.[5]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가시 슬라임을 일반 세계에서 소환하는 데 성공했을 경우 해당 체력을 가진다.[6] x축 이동 거리는 1,2번째 점프와 같다.[7] 플랫폼, 작업대 등등[8] 정글 지하나 설원 지하에서 보이는 그 슬라임들과 같다.[9] 지금보다 금/백금 주괴 25개, 젤 79개를 더 요구했다.[10] 가끔 쿠툴루, 크툴후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는데 황금가지판 표기는 '‘크툴루’이지만 다른 출판사가 출판한 크툴루 신화 관련 작품에서는 마구 바뀌는데다 원작자인 러브크래프트 본인은 말할 때마다 발음이 달랐다고 하고 설정상으로도 인간은 발음할 수 없는 외계의 언어를 음차한 것뿐이라 아무렇게나 불러도 틀린 건 아니다. 설정상 인간이 발음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그래서인지 이 게임의 상인도 크툴루의 명칭을 정확히 발음하지 못한다.[11] 노인, 행상인, 마을 펫은 이 숫자에 포함되지만, 해골 상인은 포함되지 않는다.[12] 다만 갑옷과 곡괭이를 만드는데 필요한 그림자 비늘/조직 샘플은 드롭하지 않아서 대부분은 무기나 낚싯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3] 최소로 파괴해야 하는 마디는 25개, 최대로 파괴해야 하는 마디는 49개다.[14] 하드모드에서 나오는 커럽터의 발사체와 동일하다.[15] 세상을 먹는 자의 마디 하나하나를 파괴하기만 해도 데모나이트 광석과 그림자 비늘을 떨구므로 반드시 완전히 처치해야할 필요는 없다.[16] 테라리아 초보는 시작 옵션으로 오염지대를 크림슨으로 하지를 말기를 바란다. 차라리 세상을 먹는자를 잡을꺼면 광질로 킹슬라임을 잡아 슬라임 안장을 먹은뒤 머리를 적당이 피하면서 활만 쏴주면 된다.[17] 3방향이 두껍게 벽으로 막혀있을 경우 남은 1방향으로만 순간 이동하며, 4방향이 전부 막혀있는 경우 랜덤하게 순간 이동한다.[18] 멀티 플레이어에선 우선도가 제일 높은 플레이어, 우선도가 동일하다면 제일 가까운 플레이어[19] 도중에 경로를 바꾸지 않는다.[20] 극단적으로, 나무 요요만 가지고도 2페이즈를 잡을 수 있다.[21] 환영이 생기는 위치는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대칭된 x축, y축이며, 본체와 플레이어간 거리가 달라지면 환영도 같은 거리를 이동한다.[22] 미친 광신도와는 달리 분신을 쳐도 페널티가 없다. 또,마우스를 올리면 환영에는 이름이 뜨지 않는다.[23] 다만, 마우스를 올리면 알 수 있는 것은 다르지 않다.[24] 스타퓨리의 별똥별을 불빛삼아 정글을 탐험하다 우연히, 벌집 안으로 물이 흘러들어서 생긴 꿀 블록을 부수려고 곡괭이를 휘두르다가 실수로, 아레나를 만드는 과정에서 위로 올라가기 위해 고치 바로 아래의 1타일짜리 블록에 갈고리를 날렸는데 갈고리 대가리가 워낙 큰 탓에 블록을 뚫고 고치가 터져버리기도 한다. 처음 시작한 뉴비들은 아무것도 모른채 그냥 뭔가싶어 터뜨려버리기도 한다.[25] 원래 일정 간격을 떨어뜨리고 벌집들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모종의 이유로 위치상 가까운 벌집 두 개가 겹쳐서 생성된 것이다. 벌집이 엄청나게 거대해지는 05162020 시드가 적용된 세계에서는 이런 경우가 흔히 보인다.[26] 일반 모드에선 10초, 전문가 모드에선 20초.[27] 1.4 버전에 추가된 소파로, 외국의 유명한 테라리아 유투버인 Chippy Gaming의 대른 채널 Chippy's Couch의 오마주이다. Chippy의 캐릭터가 의류상을 닮았기 때문에 스켈레트론이 주는 듯.[28] 자신의 주인을 소환하기 위해서는 밤에 찾아와야 한다는 대사를 보면 알 수 있다.[29] 낮에 올 경우 밤에 다시 오라고 한다.[30] 던전 가디언 처럼[31] 일반 모드, 손을 전부 파괴한 전문가 모드 이상에서 방어력은 0까지 떨어진다.[32] 일반 모드는 3~5초, 전문가 모드는 6~10초.[33] 사실 던전 입장 권한까지 합친다면 프리 하드모드 기준으로 월 오브 플레시(하드모드 해금)다음으로 좋은 보상이다. 던전에는 유용한 탁자인 황홀한 탁자연금술 탁자, 중후반 파밍의 핵심인 물 양초가 있어 떼어갈 수 있다. 플랜테라 처치 이후에는 심령체를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지형 열쇠로 특별한 상자들을 열 수 있다.[34] 돼지 저금통과 내용물을 공유한다.[A] 월 오브 플레시 본체의 체력이 75% 이상[B] 월 오브 플레시 본체의 체력이 50% 이상 75% 미만[C] 월 오브 플레시 본체의 체력이 25% 이상 50% 미만[A] [B] [C] [41] 사실 그런 경우는 매우 드물다.[42] 이를 이용해 지옥에 집을 짓고 가이드를 거주시킨 다음 바닥을 스위치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만들어 월오플을 잡아야 할때 바닥을 열어 빠뜨려 죽이는(...) 방법도 있다.[43] 사망(월 오브 플레시가 지옥 끝에 도달해도 자동 발동) 또는 세계에서 로그아웃.[44] 스폰 위치와 돌진 방향은 월드 중앙을 기준으로 결정된다.[45] <플레이어 이름>은 삼켜졌다(<Player Name> was licked)[46] 눈과 입의 위치는 공간의 상하 크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움직인다. 눈과 입은 위아래가 많이 좁다면 두 눈과 입이 한곳에 몰려 좀 우스꽝스럽기도 하다. 물론 아무리 좁아져도 눈과 입이 겹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치트를 통해 실험해 본 결과, 사이 간격이 늘어나는 것은 제한이 없는지 지하세계에서부터 우주 층까지 블록을 싹 없애고 월오플을 소환하면, 눈과 입 사이가 한참을 가야 보일 정도로 벌어진다... #[47] 마법 거울[48] 거머리를 처치하면 회복 하트를 일반 모드에서 항상, 전문가 모드 20%확률로 드롭한다.[49] 기계 보스를 합친듯한 모습이다.[50] 성능 자체는 꽤나 훌륭한 편이다. 기본 이동 속도가 테라스파크 부츠급이고, 날개 기능도 가지고 있다.[51] 다만 이건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갈고리 여러 개로 중심잡기나 훅 부스터가 안되는 걸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탈것의 이동 기능이 괜찮다고 느껴지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52] 페이즈 1일때는 8발, 페이즈 2일때는 15발로 증가한다.[53] 쌍둥이는 , 스켈레트론 프라임은 두개골, 파괴자는 척추. 다만 앞의 둘과 달리 세상을 먹는 자가 크툴루의 척추였던 것은 아니고, 도감에 실린 설명상 파괴자가 척추의 대체품이라고 나와있다.[54] 또한 작중 대사로 보아 그녀를 던전에 가둔 실행범은 던전의 노인인 듯하다.[55] BGM이 변경될 예정이다.[56] 스켈레트론, 스켈레트론 프라임은 손이 졸병에 속하며 머리가 본체이다. 머리만 부숴도 끝난다는 것. 세상을 먹는 자는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세상을 먹는 자의 "마디를 격파하여 없어질 때" 처치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이 역시 예외.[57] 레티나이저의 변신 형태는 레이저포가 드러난 형태가 아닌 스파즈마티즘과 똑같이 입이 드러난 형태이다.[58] 지상에 있을 경우.[59] 지하에 있을 경우.[60] 날아다니는 눈알 모양 부하인 프로브들을 소환하는 점에서는 기계 보스화되지 않은 크툴루의 뇌의 특징도 섞였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파괴자가 추가된 게 하드모드가 처음 업데이트된 1.1 버전인 데 비해 크툴루의 뇌는 1.2 버전에서 진홍지대와 함께 등장했으니 의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61] 1.2 버전 이전에는 기존 지렁이형 적이 그렇듯 머리에서만 전리품이 나타났었다. 이 때문에 파괴자를 다 처치하기 직전에 머리를 지상 위로 유도해서 처치해야 전리품을 온전히 제대로 얻을 수가 있었다.[62] 거대 지렁이 같은 다관절 형태의 적은 디버프에 의한 피해를 관절 수만큼 추가로 받는다. 즉, 1씩 받는다 해도 파괴자라면 무려 86씩의 피해가 들어간다는 것이다.[63] 이때 가하는 피해의 양은 실질적 파괴자에게 주는 피해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공격력이 매우 낮은 무기로 마디를 공격하면 프로브가 나올 확률이 높으며 반대로 공격력이 매우 높아 파괴자를 단번에 파괴 가능한 무기를 사용하면 프로브가 거의 나오지도 않은 채 죽는다.[64] 데스크톱 1.2.3 이전 버전이나 콘솔은 100% 확률.[65] 그래도 손들만 제외하면 하드모드 보스 중에서는 가장 체력이 낮다. 참고로 쌍둥이는 2개 모두 본체이므로 쌍둥이의 총 체력은 43,000.[66] 어떤 폭발에도 파괴되지 않고 던전 벽돌 뒤의 블록의 파괴도 막아준다.[67] 오크람이 삭제되어버려 사실상 전용 브금이 되어버린 여왕벌을 제외하면 보스들 중 최초로 전용 BGM이 배정된 보스다. 1.1 버전 이후 거의 1년 만에 대규모로 업데이트된 1.2 버전의 대표격 보스인만큼 그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가 메탈 그룹이라서 그런지 BGM 테마도 메탈 같은 느낌. 처음부터 드럼 비스무리한 소리로 시작하는 것이 그 증거. 추후 아더월드 사운드트랙에서도 기존에 전용 BGM이 있던 보스들을 포함해 다른 보스들 대부분이 대부분 소수의 OST를 돌려썼는데 비해 플랜테라는 Rage of Taruunk라는 전용 BGM을 부여받았다.[68] 보통 보스를 포함한 모든 NPC는 항시 플레이어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나타나고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사라진다. 플랜테라는 플레이어에게 다가가는 속도가 느리기에 빠른 기동성을 지닌 플레이어가 플랜테라를 직접 찾으려다가 오히려 멀어져서 사라지는 것이다.[69] 주로 버섯 잔디를 깔고 정화액을 뿌려서 해결한다.[70] 순서는 왼쪽에서 오른쪽 → 오른쪽에서 왼쪽 →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 →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 →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71] 영원의 무지개는 매우 넓은 범위와 오랫동안 필드에 머무는 특성을 이용해 뒤에 나올 두 패턴을 피할 퇴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프리즘 볼트는 플레이어가 정신없이 움직일 것을 강요하지만 그 만큼 정신없이 움직이면 쉽게 피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고, 태양의 춤은 플레이어가 빛 사거리 내에서는 움직임이 많이 제한되게 만들지만 빛을 따라 돌면서 조심조심 움직이면 쉽게 피할 수 있다는 각각의 약점이 있는데, 프리즘 볼트를 뿌리고 바로 빠르게 태양의 춤으로 연계하여 정신없게 움직이자니 빛줄기에 맞고, 빛줄기에 안 맞겠다고 조심조심 움직이면 프리즘 볼트에 맞는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72] 그 강력한 던전 가디언의 즉사 피해량이 겨우(?) 1000이다. 다만 던전 가디언의 경우, 원래 공격력은 9000이었지만 거북이 갑옷의 반사 피해로 가디언을 잡는 꼼수를 막기 위해서 낮아졌다.[73] 달의 군주전은 드래곤의 공격이 더 강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차라리 드래곤을 쓰는 것이 더 낫다.[74] 티키 갑옷에 소환수 최대 증가 악세사리를 장비한뒤 버프까지 두르면 마스터 모드 기준으로도 적들이 플레이어에게 다가오지도 못하고 썰려나간다.[75] 평상시 0.75초→0.33초, 폭주시 0.38초→0.17초로 줄어든다.[76] 다만 1.4.1 업데이트로 추가된 빛의 여제를 처치하는 도전과제 이미지에선 웃는 얼굴로 나왔다.[77] 플랜테라와 골렘은 15골드의 동전을 드롭한다.[78] 정확히는 순간이동을 한 시점에서 플레이어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뒷쪽으로 순간이동 한다.[79] 워리어 시점으로 본다면 사실상 아직 밤의 칼날을 쥐고 있을 시절이다.[80] 제트팩의 순간 가속을 이용하여 첫 번째와 두 번째를 씹고 떨어지며 나머지를 피한다던지 삼각형 무빙을 한다든지(돌진을 대각선으로 올라가 피하고 다시 대각선으로 내려오며 또 피하고 마지막으로 대시를 이용해 원래 자리로 돌아가며 다시 한번 피하는 것.)x자 대시를 한다든지. 사람마다 손에 익는 방법이 다르다.[81] 해외 밈들 중 기괴하고 뒤틀리거나 너무할 정도로 마음이 아픈 등, 뭐라 형용할 수 없는 부류에 '저주받은(cursed)'을 붙인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 쪽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높다.[82] 해당하는 부분을 격파할때 개별로 떨어진다. 특정한 보스의 가방만 필요하다면 그 부분만 격파한 후 보스를 디스폰시키는 방법도 있다.[83] 단 큰 알에서 나온 레퍼스는 이름이 회색으로 되어 있으며 죽여도 아이템이 드롭되지 않는다.[84] 팔라딘, 머리 없는 기사, 해적 선장의 체력이 각각 5천, 1만, 3천인 것을 생각해보면 결코 낮은 수치는 아니다.[85] 예를 들어 하드모드 이전에는 새내기 날개 외의 날개를 구할 수 없으므로 하드모드 이전 보스에 대한 가이드에서 날개를 이용한 공략법은 배제한다.[86] 다만, 1.3 이후 추가된 이벤트 슬라임 장마로 인해 왕 슬라임을 먼저 만날 수도 있긴 하다.[87] 물론, 땅에서 잡는 것이 아니라면 아래로 원거리 무기를 발사하여 공격이 가능하다.[88] 정확히는 광폭화 단계 자체도 정글과의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는 듯한데, 정글 지상에서 광폭화한 여왕벌과 숲에서 광폭화한 여왕벌은 공격 속도 차이가 확연하다.[89] 방어력은 극초반에 8, 극후반에 20이 된다. 이 말인 즉슨 여왕벌에게 들어가는 피해량이 15 정도 줄어듦을 의미한다.[90] 운석 갑옷 풀 세트의 효과를 받으면 마나 소모가 사라져 노 코스트로 쓸 수 있는 데다 무기 자체도 긴 사거리와 무한 관통 기능 덕분에 여왕벌 본체를 공격하는 것과 여왕벌이 소환하는 벌을 정리하는 것 양면으로 매우 잘 해내므로 여왕벌을 여러 번 잡으면서 파밍할 때에는 이것 만한 게 없다.[91] 관통 기능도 있어 벌들을 쓸어담기 좋고 블록에 맞으면 이리저리 튕겨다니며 계속 딜을 넣기 때문에 어떻게든 얻을 수만 있다면 성능 자체는 거의 여왕벌 하드 카운터 수준이다. 다만, 1.4 이후로는 이걸 얻으려면 반드시 스켈레트론 먼저 잡아야 하고 정글 지하보다 더 위험하면 위험한 던전을 다녀와야 하기 때문에 첫 대면 추천 무장으로서는 좀 애매해진 감이 있다.[92] 물론 체력과 방어력이 낮아도 밤에 스켈레트론을 불러내서 싸우는 것 자체는 문제없다. 어디까지나 주의를 주는 것.[93] 플레이어가 점프해서 위쪽 플랫폼이나 고지로 올라갈 경우 얼음 가시도 플레이어를 추격하듯이 플레이어와 가까운 쪽 타일에서 솟아난다.[94] 물론 WoF가 난이도에 따른 체력 증가치가 낮은 것은 WoF 특유의 보스전 구조의 영향도 있긴 하다.[95] 이때문에 단순한 고속도로 아레나뿐만 아니라 철도를 깔아서 카트를 타고 일정한 속도로 후진하며 보스전을 치르는 방법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96] 사실 전부 정석대로 잡는다면, 프라임→트윈즈→파괴자 순으로 쉽다. 파괴자가 다관절 보스라 폭죽의 딜을 100% 받는 것을 이용해 녹여버리거나,땅이 있어야 이동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하늘과 지상의 경계쯤에 아레나를 만들어두면,간단하게 처치할 수 있다는 점,레이저가 블록관통을 못한다는 약점 때문에 여러 꼼수가 쉽게 먹혀 너무나도 쉽게 처치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인 것. 사실 낮은 곳에 아레나를 짓고, 폭죽이나 벽을 이용한 꼼수 없이 잡는다면,몸이 길어서 쉽게 갇혀버린다거나,미친듯한 레이저 폭풍으로 플레이어를 갈아버리고,마스터모드의 머리 접촉대미지는 300이라는, 정말 말 그대로 미친 딜을 박아버리기 때문에 엄청나게 어려운 보스다. 하지만 그 꼼수들을 굳이 쓰지 않을 이유가 없다.[97] 어떠한 블록으로 지어도 된다.[98] 머리가 오는 타이밍을 모르겠다면, 미니맵을 주시하자. 파괴자 표시가 떠있는 곳이 곧 머리이므로 이게 캐릭터의 아이콘으로 돌격한다면 머리가 오는 것이다.[99] 지렁이 적 중 블록을 통해서 다가오는 몹은 모니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특정 영역 밖에 있으면 블록이 없는 허공이라도 무조건 올라오게 되어 있다.[100] 광대의 화살은 적을 관통할 때마다 대미지가 10%씩 줄어서 종국에는 1 피해밖에 못 주게 되고, 신성한 화살은 별똥별에 관통 판정이 없어졌다,. 폭죽도 약해졌다[101] 이때,크툴루의 방패를 와이번/프로브 회피용으로 사용할 것이라면,맨 밑 3칸은 호익 없이 두자. 돌진하다가 나가져서 망한다.[102] 사실상 이 방식의 가장 큰 걸림돌이자 진보스이다.[103] 유도되는 성질이 있어 파괴자와 프로브를 동시에 1타2피로 공격 가능하고, 몸통 딜도 잘 넣어주어 의외로 파괴자에게 강하다.[104] 이 둘은 타 클래스도 소환만 해놓고 다른 무기로 공격하면 큰 도움이 된다.[105] 자신이 컨트롤이 좋다면 티타늄 혹은 신성한 갑옷 세트를 입고 싸워도 좋다.[106] 당연하지만 물 속에서 싸울 경우 질식 + 이속감소가 걸리니 넵튠의 조개는 필수. 아니면 생노가다로(...) 물을 다 빼면 넵튠의 조개 없이도 이길 수 있다. 바다 끝자락에서 헬레베이터를 뚫으면 욕조 배수구를 여는 것처럼 물이 지옥까지 쭉 내려가 증발한다. 다만, 바다 한 쪽이 사라지게 되어 그닥 추천하진 않는 방법이다.[107] 이 때 팁이라면, 프리즘 볼트가 날아오는 방향의 안쪽을 파고드는 각도가 되도록 대각선 아래로 낙하하는 것이다. 페이즈 2의 프리즘 볼트는 탄속이 매우 빠르지만 방향을 트는 속도는 생각보다 느리기 때문에 안쪽으로 파고들면 플레이어를 알아서 피해가준다.[108] 과거에는 마스터 모드의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이 드롭하는 위험지대로도 비슷한 짓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위험지대의 속도가 너프를 먹어 완전히 피할 수 없다.[109] 다만 빛의 여제는 텔레포트하는 플레이어를 추격하는 거리에 제한이 있으니 너무 넓게 만들면 안 된다. 그렇다고 너무 가까우면 탄막이 텔레포트 위치까지 닿을 수 있으니, 대략 100×100타일 내외로 잡으면 적당하다.[110] 플랜테라전 직후에 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요요로는 하드모드 던전 몬스터들이 떨구는 크라켄이나 일식모스론이 떨구는 크툴루의 눈이 있다.[111] 이 패턴은 오른쪽으로 가고있든 왼쪽으로 가고있든 중간에 딱 한 번 플레이어 쪽으로 날아오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만 살짝 점프해서 피해주면 된다.[112] 해당 모드로 설정시 일반모드에 비해 몹 스펙이 6배 가량 증가한다.[113] 전문가 모드 기준으로 개인차에 따라 패턴을 외우기만 하면 그나마 쉽게 피할 수 있는 피시론 공작보다 랜덤성이 심하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전투가 강제되는 플랜테라를 더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다. 피시론을 잡아 쓰나미를 획득하면 플랜테라는 그야말로 녹아내린다.[114] 이게 사실 제일 중요하다. 경험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이 답이긴 하지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돌진을 피할 땐 날거나 떨어지고 있어야 하고 피시론이 멀리 있을 땐 피시론 반대 방향으로 돌진하다 피시론이 가까이 오면 돌진 타이밍에 맞춰 맞돌진을 하면 된다. 피시론 가까이에서 타이밍 맞춰서 맞돌진하면 대미지를 입는 것이 아니라 크톨루 방패 효과로 패링이 되거나 x자로 엇갈려서 오히려 거리가 벌어지기 때문.[115] 참고로 해당 공략에서는 회피 효과가 있는 티타늄 갑옷을 사용했는데, 1.4 버전 이후 해당 효과는 신성한 갑옷 세트로 옮겨갔다.[116]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획득할 수 있는 레이저 머신건 + UFO 탈것의 조합도 좋은 편이다.[117] 테라 블레이드로 잡을 것이라면 듀크 피사론의 위치를 잘 파악해서 갈겨야 할 것인데, 발악 패턴일 때는 이게 힘들다. 페이즈 1,2일때에는 어느 정도 위치가 고정되어있으니 테라 블레이드로도 상대 가능한데 페이즈 3일때에는 포기할 수 밖에 없다.[118] 그래도 피해량을 적게 받기 위해 수식어는 Warding으로 하는 게 좋다. 과감히 Lucky로 맞춰 흡혈귀의 단검의 피흡량을 늘려 커버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우주선 열쇠가 없다면 날개는 장비하도록 하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