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제과의 제품/과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갑과자/파이 | ||||
빅파이 | 롱스 | 크림블 | 크라운 쵸코파이 | 국희 땅콩샌드 | |
국희 쵸코샌드 | 뽀또 | 버터와플 | 크라운산도 | 쵸코하임 | |
화이트하임 | ᄎᆞᆷ크래커 | 쿠크다스 | 치즈샌드 | 그레이스 | |
오곡쿠키 | 오곡샌드 | 참ing | 소복소복 소보로 | ||
스낵 | |||||
죠리퐁 | 카라멜콘 땅콩 | 콘치ㆍ콘초 | 콘칲 | 못말리는 신짱! | |
츄러스 | 참쌀선과 | 참쌀설병 |
1. 개요
크라운제과에서 1961년부터 생산하는 샌드형 과자이다. 현재 판매되는 국내 업체의 과자류 중에서 두번째로 제조 역사가 오래되었다.[1]
2. 종류
- 크라운 산도 딸기
- 크라운 산도 크림
- 크라운 산도 초코 (단종)
- 크라운 산도 그린 (단종)
3. 상세
영어로는 Sandwich Cookie에 해당하며 일본인들이 '샌드위치'에서 자의적으로 '샌드'만 잘라낸[2]] サンド를 직수입해서 산도가 된 것이다. 한때(1990년대 초중반) '크라운 샌드'로 개명하고 탤런트 임현식을 기용한 CF도 나왔지만, 되려 매출이 떨어져 얼마 안 가(1990년대 중후반) 다시 산도로 돌아왔다.초창기엔 사각형이었지만, 1980년대 이후 익히 잘 알려진 원형으로 변한다. 크림의 종류에 따라 딸기크림치즈, 초코바닐라[3], 스윗밀크 등으로 나뉜다. 한때 홍삼 크림도 있었고 녹차맛 크림을 넣어서 '그린산도' 란 명칭으로 판매하기도 했다. 이 외에 산도가 아닌 샌드로 판매할 당시엔 바나나 샌드도 나왔었다. 그중에서 더 말할 것도 없이 가장 많이 팔리는 건 딸기맛이다.
그야말로 국민 과자라 불릴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우스개 소리로 '전국 팔도강산 어디를 가도 크라운 산도 껍데기가 있더라'라고 할 정도. 제사상에도 올라갈 정도로 대중적이었다.[4]
과자의 퍼석함을 크림의 달콤함이 커버해준다. 같은 샌드 형태의 과자인 오레오나 롯데샌드가 단단한 것과 달리 크라운 산도는 좀 더 부드러운 편이다. 오레오처럼 하나를 분리해서 크림 부분만 따로 핥아먹는식으로 먹는 사람이 꽤 있다.[5] 전유성이 출연한 광고에서는 옛날엔 이렇게 먹었다며 하나를 분리해서 그것으로 크림을 긁어 핥아먹는 장면을 보여줬다.
과거 크라운의 본사 및 제1공장이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에 있었고, 때문에 묵동 일대는 동네에 항상 크라운산도 냄새가 진하게 났다고 한다.
2011년 5월엔 출시 50주년을 기념해 "왕산도"라는 제품을 내놓았는데, 오리지널 크림산도와 비교하면 크림이 더 진하고 느끼하다. 왕산도는 새로운 맛 3가지가 있다. 마롱(밤)맛과 라즈베리, 그리고 일반 바닐라 크림맛이 존재했다. 왕산도는 이듬해 즈음에 단종되었다.
같은 크라운제과에서 만드는 빅파이에 들어가는 비스킷 또한 산도와 같은 종류로 보인다.
크라운의 대대적인 과자 맛 리뉴얼에 따라, 크라운산도도 맛이 리뉴얼됐다.
2024년 12월, 밤티라미수맛이 출시됬다.
크라운산도 훔쳐먹은 강아지 짤이 유명하다.#
[1] 첫번째는 해태제과의 연양갱. 우연히도 두 제품을 생산하는 해태와 크라운은 2000년대 이후로 한 가족이 되었다.[2] 비슷한 경우가 롯데제과의 빠다코코낫. 이건 일본 과자 이름을 그대로 들여온 것으로 버터코코넛이 아니다. 그런데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버터 코코넛이란 과자도 나왔었다. 물론 미투 상품..[3] 초코산도 이외에 국희 초코샌드도 있는데, 비스킷 형태는 물론 크림 맛도 약간 다르다.[4] 고인이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이면 한과 이외의 과자도 제사상에 올라갈 수도 있는거 아니냐고 생각할 순 있는데 제사상에 치킨, 피자, 바나나 등의 음식이 올라가는 걸 자연스럽게 여기기 시작한 게 201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인 걸 생각하면 파격적이면서도 그만큼 크라운산도의 인기가 엄청났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애당초 저 말이 나온 게 뉴스에서였는데, 말 그대로 뉴스에 나올 만큼 신기한 일이었다는 이야기...[5] 하지만 비스킷 부분이 상당히 약해서 분리 하려고 할 때 빈번히 부서져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