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00:07:56

캐서린 타이

미합중국 제19대 무역대표부 대표
캐서린 치 타이
Katherine Chi Tai
파일:Katherine_Tai.jpg
<colbgcolor=#025091><colcolor=#E2D14F> 출생 1974년 3월 18일 ([age(1974-03-18)]세)
미국 코네티컷 주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재임기간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2021년 3월 18일 ~ 2025년 1월 25일
학력 예일 대학교 (역사학 / B.A.)
하버드 대학교 (법학 / J.D. )
소속

경력 미국 무역대표부 법률고문 (2007~2014)
미국 무역대표부 중국담당고문 (2011~2014)
연방하원 세입세출위원회 무역담당고문 (2014~2017)
연방하원 세입세출위원회 무역담당 수석고문 (2017~2018)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변호사이자 前 무역대표부 대표이다.

2. 생애

중국 , 대만계 미국인이다. 부모님의 조상은 중국인인데 국민당 지지자여서 부모는 중국에서 자라다가 대만으로 옮긴 외성인이라고 한다. 이후 미국으로 이민을 왔고 딸인 캐서린의 출생지는 코네티컷 주이나, 주로 워싱턴 DC에서 인생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일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했는데 , 학부생일때 2년간 휴학하고 중산대학 영어전임교원으로 일한적이 있다. 학부 졸업 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로스쿨을 졸업하였다.

변호사로 일하다가 2007년부터 무역대표부 법률고문으로 7년간 재직하였고 , 대 WTO , 대중국무역 업무를 전담하였다. 민주당원이며, 연방하원 세입세출위원회에서 고문으로 일했고 바이든 정부에서 무역대표부 대표로 임명되었다.

3. 여담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카멀라 해리스
국무장관 대니얼 베넷 스미스 (직무대행)토니 블링컨
재무장관 앤디 바우콜 (직무대행)재닛 옐런
국방장관 데이비드 노키스트 (직무대행)로이드 오스틴
법무장관 존 데머스 (직무대행)몬티 윌킨슨 (직무대행)메릭 갈랜드
내무장관 스콧 드 라 베가 (직무대행)데브 할런드
농무장관 케빈 시어 (직무대행)톰 빌색
상무장관 윈 코긴스 (직무대행)지나 레이먼도
노동장관 마티 월시줄리 수 (직무대행)
보건사회복지장관 노리스 코크란 (직무대행)하비에르 베세라
주택도시개발장관 매트 암몬 (직무대행)마르시아 퍼지아드리안 토드먼 (직무대행)
운수장관 라나 허들 (직무대행)피트 부티지지
에너지장관 데이비드 후이젠가 (직무대행)제니퍼 그랜홈
교육장관 필 로젠펠 (직무대행)미켈 카르도나
제대군인장관 닷 트란 (직무대행)제임스 맥도너
국토안보장관 데이비드 페코스케 (직무대행)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환경보호청장 샤를로트 베르트랑 (직무대행)제인 니시다 (직무대행)마이클 S. 리건
관리예산실장 롭 페어웨더 (직무대행)샬란다 영
국가정보장 로라 시아오 (직무대행)에이브릴 헤인스
중앙정보국장 데이비드 코헨 (직무대행)윌리엄 번스
무역대표부 대표 마리아 페이건 (직무대행)캐서린 타이
주유엔대사 리처드 M. 밀스 주니어 (직무대행)린다 토머스그린필드
경제자문위원장 세실리아 로우스재러드 번스타인
연방중소기업청장 타미 페리엘로 (직무대행)이사벨 구즈만
과학기술정책실장 케이 고이즈미 (직무대행)에릭 랜더프랜시스 콜린스 (직무대행)아라티 프라바카르
백악관 비서실장 론 클레인제프 자이언츠 }}}
}}}}}}}}}

[[중화권|
파일:중국 국기.svg
]] 중화권 상호관계 관련 문서 [[중화권|
파일:대만 국기.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국·대만·홍콩·마카오와의 공통
중화권(중화권/상호 왕래) · 화교 · 한자문화권
정치관계 대만/외교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관계(2020년대) · 중화 타이베이
정치성향·정체성 범람연맹(친중화민국 · 중화민국빠) · 범록연맹(친대파 · 대만빠) · 친중공파 · 대만인(본성인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 반대만
관련 운동 타이완 독립운동(해바라기 운동) · 화독 · 양안통일
관련 사례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기타 타이완성(중국) · 타이완 넘버원 · ECFA · 하나의 중국 · 두 개의 중국(화독) · 중국 본토
정치관계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일국일제 · 홍콩 내셔널리즘
정치성향·정체성 홍콩인(민주파 · 본토파 · 중간파 · 건제파)
관련 운동 홍콩 시위 · 홍콩 독립운동 · 홍콩 민주화 운동(2014년 · 2019년)
대만-홍콩 관계
마카오인 · 마카오-본토 관계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망명정부 · 중국-티베트 관계 · 대만-티베트 관계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중화권-위구르 관계
중국-내몽골 관계
기타
중국/정치(중국공산당 · 홍콩/정치 · 마카오/정치) · 대만/정치(중국국민당 · 민주진보당)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국수주의/행태/중국 · 대만민국 · 중뽕 ·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 대만/외교 · 중국 대륙 · 타이완 섬 · 중화민족(중화사상) · 중국/경제(홍콩/경제 · 마카오/경제) · 대만/경제 · 중국몽 · 민주당파(중국민주당) · 신중국연방 · 중화권-러시아-만주 관계 · 위구르-티베트 관계 · 제하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