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5:38:29

게키단 히토리

카와시마 쇼고에서 넘어옴
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56년 이케우치 준코, 이시하라 유지로, 카와구치 히로시, 쿠사나기 고지로, 시라카와 유미, 스기타 히로코, 타카쿠라 켄
1957년 단 레이코, 에하라 신지로, 키타자와 노리코, 나카다이 타츠야, 시라카와 유미, 모리 미키, 츠구바 히사코, 카와사키 케이조
1958년 아사오카 루리코, 카노 준코, 아사오카 루리코, 쿠와노 미유키, 오오조라 마유미, 사토 마코토, 치노 카쿠코
1959년 혼고 코지로, 호시 테루미, 미즈키 조, 나카타니 이치로, 나츠키 요스케, 시미즈 마유미, 야마모토 토요조 }}}}}}}}}
196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60년 아카기 케이이치로, 후지마키 준, 호시 유리코, 카와구치 토모코, 마츠카타 히로키, 미카미 신이치로, 요시다 테루오
1961년 이와시타 시마, 카야마 유조, 미타 요시코, 타미야 지로, 야마자키 츠토무, 요시나가 사유리
1962년 바이쇼 치에코, 하마 미에, 하마다 미츠오, 스가타 미치코, 치바 신이치, 야마모토 케이
1963년 이즈미 마사코, 카가 마리코, 키타오오지 킨야, 나카가와 유키, 나카오 미에, 타카다 미와, 타카하시 코지
1964년 후지무라 시호, 혼마 치요코, 마츠모토 하쿠오, 카토 고, 카야마 요시코, 마츠바라 치에코, 요시무라 지츠코
1965년 에나미 쿄코, 후지 스미코, 나이토 요코, 오가와 마유미, 타케와키 무가, 와타리 테츠야
1966년 구리주카 아사히, 구로사와 토시오, 오오하라 레이코, 야마구치 타카시, 야마모토 요코, 오오쿠스 미치요
1967년 아즈사 에이코, 쿠리하라 코마키, 나카야마 진, 오가와 토모코, 사카이 와카코, 스기 료타로
1968년 이쿠타 에츠코, 미네기시 토오루, 나카야마 마리, 오카 미츠코, 타카하시 에츠시, 타니 하야토
1969년 아츠미 마리, 오키 마사야, 오자키 나나, 타이치 키와코, 타카하시 노리코, 타치바나 마스미 }}}}}}}}}
197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70년 하라다 다이지로, 모리타 겐사쿠, 나츠 준코, 오카다 유스케, 오카모토 노부토, 사카이 마사아키, 사토 오리에, 타케하라 에이코, 우메다 토모코, 와타세 츠네히코, 야나미 에이코
1971년 미개최
1972년 이케 레이코, 콘도 마사오미, 사카키바라 루미, 타카하시 케이코, 미후네 시로, 야마구치 카린, 요시자와 쿄코
1973년 우츠노미야 마사요, 스기모토 미키, 시가키 타로, 마츠자카 케이코, 무라노 타케노리, 야마모토 센, 타나카 마리, 후지오카 히로시, 혼다 미치코, 마키 히로코
1974년 아사다 미요코, 코즈에 히토미, 시마다 요코, 세키네 세츠코, 니시나 아키코, 하기와라 켄이치,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다이몬 마사아키, 타카하시 요코, 나카지마 유타카
1975년 아키요시 쿠미코, 쿠사카리 마사오, 이케가미 키미코, 단 후미, 시호미 에츠코, 나카무라 마사토시, 하기오 미도리
1976년 히가시 테루미, 오카다 나나, 오오타케 시노부, 다나카 겐, 카타히라 나기사, 네즈 진파치, 미츠바야시 쿄코, 카츠노 히로시, 사오토메 아이, 타키가와 유미
1977년 아사지 요코, 이와키 코이치, 에토 준, 하라다 미에코, 마야 쿄코
1978년 아라이 하루미, 아사노 유코, 이노우에 준이치, 시미즈 켄타로, 나츠키 요코, 타케시타 케이코, 타케다 테츠야, 나가시마 에이코
1979년 쿠니히로 토미유키, 나가시마 토시유키, 후지 마리코, 모리시타 아이코, 유리 치카코 }}}}}}}}}
198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80년 쿠마가이 마미, 코테가와 유코, 시바타 쿄헤이, 마츠다이라 켄, 미야우치 준
1981년 카네다 켄이치, 칸자키 아이, 키시모토 카요코, 타키타 사카에, 히구치 카나코
1982년 카가 다케시, 사나다 히로유키, 다나카 유코, 나츠메 마사코, 후루오야 마사토
1983년 카자마 모리오, 콘노 미사코, 나카이 키이치, 나토리 유코, 류 다이스케
1984년 사토 코이치, 토키토 사부로, 나카이 키에, 하라다 토모요, 야쿠쇼 코지
1985년 이시하라 마리코, 에노키 타카아키, 와타나베 토루, 후지타니 미와코
1986년 키쿠치 모모코, 킷카와 코지, 사와구치 야스코, 야나기사와 신고
1987년 사이토 유키, 진나이 타카노리, 나카야마 미호, 야스다 나루미, 와타나베 켄
1988년 고쿠쇼 사유리, 토미타 야스코, 고토 쿠미코, 미나미노 요코, 나카무라 토오루
1989년 아소 유미, 오가타 나오토,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카미 히로시, 와카무라 마유미 }}}}}}}}}
199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90년 이모리 미유키, 스즈키 호나미, 미나미 카호, 모토키 마사히로, 야나기바 토시로
1991년 쿠도 유키, 타카시마 마사노부, 나카지마 토모코, 노무라 히로노부, 마키세 리호
1992년 이시다 히카리, 센도 노부코, 와쿠이 에미, 나가세 마사토시, 요시오카 히데타카, 다나카 미노루
1993년 카토 마사야, 시미즈 미사, 아카이 히데카즈, 유키 나에, 카라사와 토시아키
1994년 사쿠라이 사치코, 와시오 이사코, 스미다 유키, 츠츠이 미치타카, 하기와라 마사토, 무라타 타케히로
1995년 야마구치 토모코, 스즈키 안즈, 하다 미치코, 키시타니 고로, 토요카와 에츠시, 기무라 타쿠야
1996년 토키와 타카코(대상), 츠루타 마유, 잇시키 사에, 나가사와 토시야, 타카하시 카츠노리, 시이나 킷페이
1997년 마츠 다카코(대상), 이이지마 나오코, 세토 아사카, 카미카와 타카야, 니시무라 마사히코
1998년 칸노 미호(대상), 키무라 요시노, 다나카 미사토, 아사노 타다노부, 우치노 세이요
1999년 마츠시마 나나코(대상), 카시와바라 타카시, 카네코 켄, 사카이 미키, 후카다 쿄코 }}}}}}}}}
200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00년 나카타니 미키(대상), 이케우치 히로유키, 이시이 마사노리, 카토 하루히코, 나카무라 슌스케
2001년 이토 히데아키, 쿠보즈카 요스케, 오이카와 미츠히로, 이케와키 치즈루, 카토 아이, 야다 아키코
2002년 쿠니나카 료코, 사카구치 켄지, 다케우치 유코, 츠마부키 사토시, 후지키 나오히토, 요네쿠라 료코
2003년 오자와 유키요시, 키쿠카와 레이, 시바사키 코우, 나카마 유키에, 후지와라 타츠야
2004년 우에토 아야, 오다기리 조, 코유키, 테라지마 시노부, 나카무라 시도, 야마다 타카유키
2005년 이시하라 사토미, 이토 미사키, 나가사와 마사미, 나리미야 히로키, 야마모토 코지
2006년 이토 아츠시, 우치야마 리나, 사와지리 에리카, 하야미 모코미치, 호리키타 마키
2007년 아오이 유우, 아야세 하루카, 우에노 주리, 게키단 히토리, 타마키 히로시, 마츠야마 켄이치
2008년 아라가키 유이, 오구리 슌, 칸지야 시호리, 단 레이, 오오모리 나오
2009년 에이타, 쿠로키 메이사, 토다 에리카, 마츠다 쇼타, 미우라 하루마, 미야자키 아오이 }}}}}}}}}
201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10년 에이쿠라 나나, 오카다 마사키, 시다 미라이, 타베 미카코, 마츠다 류헤이, 미즈시마 히로
2011년 키치세 미치코, 키리타니 켄타, 사토 타케루, 마츠시타 나오, 미츠시마 히카리, 무카이 오사무
2012년 코라 켄고, 이노우에 마오, , 하세가와 히로키, 요시타카 유리코
2013년 소메타니 쇼타, 오노 마치코, 마츠자카 토리, 타케이 에미, 모리야마 미라이, 마키 요코
2014년 아야노 고, 키무라 후미노, 히가시데 마사히로, 노넨 레나, 후쿠시 소타, 하시모토 아이
2015년 이케마츠 소스케, 키타가와 케이코, 사이토 타쿠미, 쿠로키 하루, 스즈키 료헤이, 니카이도 후미
2016년 에모토 타스쿠, 아리무라 카스미, 스다 마사키, 츠치야 타오, 타마야마 테츠지, 요시다 요
2017년 사카구치 켄타로, 타카하타 미츠키, 딘 후지오카, 하루, 호시노 겐, 히로세 스즈
2018년 타카하시 잇세이, 카도와키 무기, 타케우치 료마, 스기사키 하나, 무로 츠요시, 요시오카 리호
2019년 시손 쥰, 아오이 와카나, 다나카 케이, 나가노 메이, 나카무라 토모야, 마츠오카 마유 }}}}}}}}}
202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20년 카미키 류노스케, 안도 사쿠라, 요코하마 류세이, 키요하라 카야, 요시자와 료, 하시모토 칸나
2021년 카쿠 켄토, 이토 사이리, 키타무라 타쿠미, 카미시라이시 모네, 쿠보타 마사타카, 하마베 미나미, 나리타 료, 모리 나나
2022년 나카노 타이가, 에구치 노리코, 야기라 유야, 카와구치 하루나, 야마다 유키, 히로세 아리스
2023년 나카가와 타이시, 아시다 마나, 마츠시타 코헤이, 키시이 유키노, 마미야 쇼타로, 나오
2024년 이소무라 하야토, 이마다 미오, 마에다 고든, 코시바 후우카, 메구로 렌, 홋타 마유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게키단 히토리
[ruby(劇団, ruby=げきだん)] ひとり | Hitori Gekidan
파일:gekidan_pf.jpg
본명 카와시마 쇼고 ([ruby(川島, ruby=かわしま)] [ruby(省, ruby=しょう)][ruby(吾, ruby=ご)], Shogo Kawashima)
출생 1977년 2월 2일 ([age(1977-02-02)]세)
치바현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국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75cm, 73kg
배우자 오사와 아카네[1] (2009년 결혼)
직업 개그맨, 배우, 작가
소속사 오오타 프로덕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활동3.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인기 개그맨, MC, 배우, 작가이다. 한국에서는 카라의 일본 진출을 도와준 진성 카밀리아로 잘 알려져 있다.

2. 활동

2.1. 카밀리아

국내에서는 열렬한 카밀리아이자 전도사로 그 이름을 널리 떨친 인물로, 전 모닝구무스메 멤버 야구치 마리와 진행했던 방송 'How To 몽키 베이비'에서 카라 찬양을 시작해 다양한 방송에서 팬심을 드러내고 다녔다. 한류팬인 아내가 이것 저것 찾아보라고 시켜서 넷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카라의 Pretty Girl 뮤직비디오를 보고 빠져버렸다고. 카라의 CD를 구매하다가 카라 1st는 이미 절판된 상황이라 인터넷 옥션에서 고가를 주고 낙찰받았으며, 아무리 찾아봐도 카라의 정보가 전부 한글이라 번역 프로그램까지 구매했다. 영상

일본 예능계에서는 선/후배 관계의 친분을 통한 홍보로 방송에 내보내는 경우가 잦은데, 이는 한국에서 프로그램에 꽂아주는거와 다르게 대놓고 프로모션하듯 거느리고 다닌다. 대표적인 예로 동방신기가 처음 일본 진출했을 때에는 한 거물 중년 탤런트가 "좋아하는 후배입니다"라고 하며 예능에 데리고 다녔지만, 곧 동방신기가 인기를 끌자 이 기믹은 사라졌다. 한국에서도 유재석개리데프콘 등 친한 후배들을 방송에 부르는 사례가 있지만, 이 '도제식 프로모션'은 한국에는 사례가 거의 없다. 굳이 비유하자면 이덕화, 최불암 정도의 배우들이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이라며 프로미스나인 등의 걸그룹을 데리고 예능에 출연하는 방식이다. 그렇기에 게키단 히토리 역시 프로모션 의혹이 생겼으나 꾸준한 행보가 이어지면서 의혹 역시 사라지게 됐다.

실제로 2014년 12월 11일 해피투게더에 출연한 한승연에 의하면 일본 진출에 게키단 히토리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영상 본래는 일본 진출 계획이 없었으나, 게키단 히토리의 열렬한 팬심 덕에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게 됐다고.

그가 이렇게 카라를 홍보한데엔 이호연 前 DSP 사장의 역할이 컸다. 카라의 일본 진출 훨씬 이전에 사적으로 DSP 사무실에 직접 찾아가서 멤버 전원의 친필 싸인 포스터를 받아왔다는 이야기다.[7] 관련 영상 사무실 앞에 어떤 경비원 같은 사람이 있었는데, 자기가 카라의 팬이라고 말하니 사무실로 친절하게 안내해서 멤버 전원의 친필 싸인이 있는 포스터를 줬다고 한다. 사람 좋아보이는 친절한 분이였다고 회상했다. 그리고 2010년 2월 도쿄 赤坂BLITZ에서 열린 카라의 라이브에 참가했는데 그 경비원 아저씨가 있길래 아는척 했더니 자신이 DSP 사장이였다고 말한다. 즉, 그 인물이 이호연 사장이였던거다! 카라가 일본에 진출도 하지를 않았던 시절이고 게다가 게키단 히토리가 누군지 알리도 없으니[8], 보통 사람 같으면 그냥 적당히 응대하고 말았겠지만 이호연 사장은 이 엉뚱한 일본인 방문객을 손수 친절히 대접했고 그 결과 상상 이상의 홍보효과를 냈다.

카라의 일본 진출 이후 열린 대규모 악수회에도 참여했는데, 게키단을 알아본 악수회 관계자가 "게키단 씨, 관계자 문으로 들어오세요." 라고 말하자 "아닙니다. 전 여기에 연예인이 아닌 카라의 팬으로 여기에 왔습니다"라고 말하고 길고 긴 일반인 줄에 서서 악수했다. 이 말을 들은 뒤쪽 팬들이 "게키단 씨, 멋있습니다."라고 말해줬다고 한다.

2016년에도 카라 사랑은 여전하며 9월 9일 NTV의 "超問!真実か?ウソか?" 프로그램에서 강지영의 사진집, CD도 전부 가지고 있으며 강지영의 설명이 잘됐다고 능청스럽게 칭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0년 6월 11일, 트위터에 11년 전 방문 당시의 사진을 올리며 카라를 추억했다.

3. 여담



[1] 자세한 내용은 상세 참고[2] 웃긴 노래를 진검으로 부르는 선수권. 심사위원들은 각 후보가 부를때마다 우유를 입안에 가득 채운 상태에서, 노래가 끝날때까지 뿜는걸 참아야 한다.[3] 예를 들면 타하라 토시히코와 그램린을 합친 토시무린, 시바타 리에사이렌을 합친 시바타리엔, 프랑켄슈타인과 앗토우 카이를 합친 개조인간[4] 섹드립에 충실한 히토리답게 시모네타 투성이인 가사의 노래다.[5] 2011년 현재 NHK를 포함해서 5개 방송국에 전부 레귤러 (고정출연)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특히 코미디언으로서는 드물게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스펙트럼이 넓은데, 교양 프로그램, 오전 와이드 프로그램에서부터 심야 오락 프로그램까지 맡을수 있으니 방송국에서 정말 좋아하는 MC다.[6] 소설가로서 성공했던 영향인지 2010년 3분기에 방영한 NHK 드라마, '10년 후에도 너를 사랑해'라는 작품에선 소설가인 캐릭터로 등장한다.[7] 풋스마 20110308 일자, 메렝게의 기분 20110204 일자, How to モンキーベイビー!2009년 11월 방송 등[8] 자신이 일본의 개그맨이라고 말은 했다지만, 일반적으로 한국에서의 일본 연예인의 인지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이상하게 생각하는게 보통일거다.[9] 카덕 + 일드 전차남에서의 이미지라든가...[10] 컬투정찬우, 임호, 주윤발과 상당히 닮은 외모로, 샤프한 정찬우의 느낌이 (?) 난다. 실제로 드라마에서 주윤발과 닮은 기믹으로 나오기도 하고, 예능계에서도 여러번 써먹었다. 정찬우를 닮아서 그런지 한때 컬투쇼 시청자 게시판에는 게키단의 사진이 자주 올라왔고 실제로 한 청취자가 올린 게키단의 피규어 사진이 과거 월요일 코너였던 '시청각 교실'에서 소개된 경우도 있었다.[11] 일본의 개그맨은 많은 경우 브레이크 이전에 무명 10년이 기본이다. 특히 '잇파츠야 게닌'이라는 말은 한가지 네타로 한번 폭발적으로 뜨고 나서 인기가 지고 나면 그 인기가 그다지 돌아오지 않는 코미디언을 의미하는데, 아리요시는 이 잇파츠야 생활을 어렵게 극복한 케이스. 게키단은 1992년 콤비로 데뷔 이후 12년 동안 인기가 없다가 2000년에 독립을 하고 2004년부터 방송출연이 많아지기 시작하며 브레이크했다.[12] 서쪽에 켄코바가 있다면 동쪽엔 게키단이 있다. 실제로 켄코바를 카라 팬으로 만든것도 게키단이라고 한다.[13] 게키단 히토리는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다.[14] 직접 꺼내든건 아니고 일본 인기 프로 <와랏떼 이이토모>에 출연한 국내 아이돌 그룹 티아라가 해당 프로의 고정 패널인 게키단 히토리와 닮은꼴이라며 현장에서 꺼내든게 정찬우 사진이였던것. 너무나도 닮은 모습에 현장 출연자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게키단 히토리 曰 "이거 나 아니야? (これ, 俺じゃないの~?)"[15] 재미있게도 한국에서도 성우가 아닌 개그맨인 이수근이 연기를 했는데, 꽤 잘 어울린다는 평.[16] 1화에서 꽤 초반부터 등장하는데 아둔하고 소극적이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