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353B4><colcolor=#ff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0%, #1353B4 30%, #1353B4 70%, #001F7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조지 2세 | 조지 3세 | 조지 4세 | 윌리엄 4세 |
안스바흐의 카롤리네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 | 브라운슈바이크의 카롤리네 공녀 | 작센마이닝겐의 아델하이트 공녀 | |
에드워드 7세 | 조지 5세 | 조지 6세 | 찰스 3세 |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 테크의 메리 |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 카밀라 파커 보울스 | |
}}}}}}}}}}}}}}} |
<colbgcolor=#d4cdc7><colcolor=#000> 영국 찰스 3세의 왕비 카밀라 파커 보울스 Queen Camilla | |
| |
이름 | 카밀라 로즈마리 파커 보울스[1] (Camilla Rosemary Parker Bowles) |
출생 | 1947년 7월 17일 ([age(1947-07-17)]세) |
잉글랜드 런던 킹스 칼리지 병원 | |
학력 | 퀸즈 게이트 스쿨 (졸업) 몬 프로빌리 스쿨 (졸업) 런던 대학교 파리 캠퍼스 (프랑스어, 프랑스문학 / 중퇴) |
배우자 | 앤드루 파커 보울스 (1973년 결혼 / 1995년 이혼) |
찰스 3세 (2005년 결혼) | |
자녀 | 톰, 로라[2] |
아버지 | 브루스 섄드 |
어머니 | 로잘린드 큐빗 |
형제 | 애너벨[3], 마크 |
종교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서명 |
|
공식 초상화[4] |
1. 개요
현 영국 국왕 찰스 3세의 왕비.2. 작위
문장[5] | 모노그램[6] |
- 웨일스 공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Wales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체스터 백작부인 Countess of Chester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콘월 공작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Cornwall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로스시 공작부인 The Duchess of Rothesay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7]
- 캐릭 백작부인 Countess of Carrick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랜프루 남작부인 Baroness of Renfrew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아일스의 레이디 Lady of the Isles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스코틀랜드의 공비 Princess of Scotland (2005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에든버러 공작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Edinburgh (2021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8]
- 메리오너스 백작부인 Countess of Merioneth (2021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그리니치 남작부인 Baroness Greenwich (2021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2022년 9월 8일 ~ 현재)
웨일스 공비 작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웨일스 공비는 다이애나의 대표적인 작위였기 때문이다.[9] 따라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각각 콘월 공작부인과 로스시 공작부인이라고 불렸다.
2022년 9월 8일, 찰스 3세가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10] 그러나 선왕이 여왕이었던 관계로 왕비와 여왕을 구분하기 위해 왕의 배우자를 뜻하는 Consort를 붙여 'Queen Consort'로 불렸다. 2023년 5월 6일 대관식 이후로는 Consort를 붙이지 않는다.
가터 훈장의 여기사, 씨슬 훈장의 여기사, 로열 빅토리아 훈장의 대십자 여기사, 대영 제국 훈장의 기사단장이자 대십자 여기사,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왕실 훈장의 수훈자, 찰스 3세 국왕 왕실 훈장의 수훈자, 국왕 폐하의 가장 영광스러운 추밀원의 일원이신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Royal Lady of the Most Noble Order of the Garter(LG), Extra Lady of the Most Ancient and Most Noble Order of the Thistle(LT), Dame Grand Cross of the Royal Victorian Order(GCVO), Grand Master and First and Principal Dame Grand Cross of the Most Excellent Order of the British Empire(GBE), recipient of the Royal Family Order of Queen Elizabeth II, recipient of the Royal Family Order of King Charles III, and a member of the Privy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PC) 공식 칭호[11] |
보유하고 있는 군 명예 직함은 다음과 같다.
- [ 펼치기 · 접기 ]
- * 호주군 왕립 군사 경찰대 대장 (2012년~)
- 캐나다 육군 여왕의 소총 연대 연대장 (2011년~)
- 영국 해군 의무 사령관 (2006년~)
- 영국 해군 HMS 애스터드 후원자 (2007년~)
- 영국 육군 제4소총연대 연대장 (2007년~)
- 영국 공군 RAF 할튼 명예 항공 준장 (2008년~)
- 영국 공군 RAF 리밍 명예 항공 준장 (2008년~)
- 영국 해군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의 후원자 (2017년~)
- 영국 육군 라이플스연대 연대장 (2020년~)
- 영국 육군 특수수색연대 연대장 (2020년~)
- 영국군 근위대 그레네디어 가드 연대장 (2022년~)
- 영국 육군 왕립 창기병 연대 연대장 (2023년~)
- 영국 육군 군목부 후원자 (2023년~)
3.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밀라 파커 보울스/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밀라 파커 보울스/생애#|]][[카밀라 파커 보울스/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가족관계
파일:20250408_181108.jpg |
결혼 20주년 기념 사진[12] |
4.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카밀라 파커 보울스 (Camilla Parker Bowles) | <colbgcolor=#fff3e4,#331c00> 브루스 섄드 (Bruce Shand) | <colbgcolor=#ffffe4,#323300> 필립 모턴 섄드 (Philip Morton Shand) | |
알렉산더 포크너 섄드 (Alexander Faulkner Shand) | |||
어거스타 메리 코츠 (Augusta Mary Coates) | |||
에디스 마거리트 해링턴 (Edith Marguerite Harrington) | |||
조지 우즈 해링턴 (George Woods Harrington) | |||
앨리스 에디스 스틸맨 (Alice Edith Stillman) | |||
로잘린드 큐빗 (Rosalind Cubitt) | |||
제3대 애쉬콤 남작 롤란드 큐빗 (Roland Cubitt, 3rd Baron Ashcombe) | |||
제2대 애쉬콤 남작 헨리 큐빗 (Henry Cubitt, 2nd Baron Ashcombe) | |||
모드 칼버트 (Maud Calvert) | |||
소니아 로즈마리 케펠 (Sonia Rosemary Keppel) | |||
조지 케펠 (George Keppel) | |||
앨리스 에드먼스톤 (Alice Edmonstone) |
4.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 / 자녀 |
앤드루 파커 보울스 (Andrew Parker Bowles) | |||
1남 | 톰 파커 보울스 (Tom Parker Bowles) | 1974년 12월 18일 ([age(1974-12-18)]세) | 슬하 1남 1녀 |
1녀 | 로라 로프스 (Laura Lopes) | 1978년 1월 1일 ([age(1978-01-01)]세) | 해리 로프스 슬하 2남 1녀 |
톰은 음식 평론가로 일하고 있다. 마스터 셰프의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한 적이 있었고, 유명한 고급 차 브랜드 포트넘 앤 메이슨와 합작하여 애프터눈 티 관련 책도 쓴 적이 있다. 그 밖에 영국의 요리 관련 TV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는 중이다. 카밀라가 재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결혼했으며, 톰은 1남 1녀를 낳았고, 그 중 장남 프레디 파커 보울스는 대관식에서 카밀라 왕비의 명예시동으로 참석했다. 2018년부터는 아내와 별거에 들어갔다.
로라는 큐레이터다. 톰과 마찬가지로 카밀라가 재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결혼했으며, 그때 착용한 티아라는 어머니가 친아버지와의 결혼식때 쓴 큐빗 가문의 티아라이다. 로라는 2남 1녀를 낳았다. 그 중 장녀 일라이자는 윌리엄의 결혼식에서 신부 화동을 섰다. 쌍둥이 형제 거스 로프스와 루이 로프스는 찰스 3세의 대관식에서 카밀라 왕비의 명예시동으로 참석했다. 로라의 남편 해리 로프스는 19세기에 손꼽히던 미국 재벌 가문이면서 영국에 귀족 작위도 있는 애스터 가문의 외손자이자 부동산 투자자이며, 소싯적 켈빈 클라인 모델을 했을 정도로 미남이다.
카밀라가 왕비로 즉위하자 왕비의 자녀들인 톰과 로라 역시 작위를 수여받을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오기도 했으나, 당사자들은 이를 완강히 부인했다. 따라서 카밀라의 왕비 즉위와는 관계 없이 앞으로도 평민으로 조용히 살아갈 것으로 보인다.
5. 대중매체
| |
- 드라마 더 크라운 시즌 3~4에서는 에메랄드 페넬, 시즌 5~6에서는 올리비아 윌리엄스가 카밀라를 연기했다. 두 사람 모두 실제 카밀라와 비슷한 외모 싱크로율을 보여주어 화제가 되었다. 극중 찰스 3세와 불륜하는 모습으로 주로 등장하며, 찰스의 연설문을 고쳐주거나 개인적인 고민 상담을 해주고 끊임없이 조언과 격려를 해주는 등 지성과 사려깊음을 갖춘 정신적 버팀목이자 잘 맞는 단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3] 시즌 5에서는 다이애나의 폭로로 이혼 스캔들에 휩싸이자, 차기 왕비 자리에 대한 야망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시즌 6에서는 결국 여왕으로부터 찰스와의 관계를 인정받고, 최종회에서 결혼식을 올린다. 찰스 3세와 카밀라의 관계가 가장 실제와 가깝게 묘사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카밀라는 <더 크라운>을 즐겨 본 것으로 알려졌으며 2022년 3월, 국제 여성의 날 행사를 통해 에메랄드 페넬을 만났다.
- 영화 스펜서에서는 배우 엠마 다르웰 스미스가 연기했다. 그러나 작중에서 대사는 없었으며, 단역으로 얼굴만 잠깐 지나갔다.
6. 여담
- 역대 영국 왕비들 중 군주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낳지 않은 유일한 왕비다.
- 찰스보다 1살 연상으로, 왕비가 국왕보다 나이가 많은 것은 조지 2세의 왕비 안스바흐의 카롤리네 이후 처음이다.
- 대학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최초의 왕비이다. 그 이전까지는 학교를 다니지 않고 가정교사로부터 개인 교습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밀라 역시 본교가 아닌 타 국가의 분교에 입학한 후 졸업은 하지 못해 학위는 없다.[14]
- 카밀라의 친구들과 가족들은 카밀라를 '로레인(Lorraine)'이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왕비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라 레인(La Reine)에서 유래한 것으로, 카밀라는 이 별명을 상당히 마음에 들어했다고 한다. 반면 찰스는 이 별명을 그다지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15]#
- 측근들에 의하면 카밀라는 찰스 3세를 어떤 경우에도 진정시킬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부드러워 보이지만 대단히 강단있는 성격이다. 여우사냥 대회에서 사진기자가 귀찮게 따라다니면서 촬영을 하자 “조심하지 않으면 내가 채찍으로 후려칠 겁니다”라고 위협을 가해 물러나게 했다는 일화도 있다. 그래서 측근들은 찰스를 감당하고 성격을 눌러 앉힐 유일한 인물이 카밀라라고 평한다. 찰스가 국왕으로 즉위한 2022년 9월 13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인근 힐스버러성에서 즉위 선언문 서명 시 있었던 일화만 봐도 찰스가 카밀라에게 얼마나 의존하는지 알 수 있는데, 찰스가 서명을 하려고 할 때 탁자 위의 펜과 병 안의 잉크가 손에 묻었다. 이때 찰스가 짜증스러운 표정을 짓자 카밀라가 옆에서 아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사태를 수습해서 상황이 더 이상 번지지 않고 넘어갈 수 있었다. 당시 장면은 전 세계로 중계되면서 찰스와 카밀라의 관계를 잘 말해 주었다.#
- 2007년 3월에 자궁 적출수술을 받았다.
|
- 젊은 시절부터 계속 비슷한 헤어 스타일을 고수하고 있다.
- 다양한 자선사업을 주관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골다공증 연구 및 인식 개선 사업과 문해력 향상 운동, 강간 및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 여성 지원 사업, 여성교육 운동, 승마 후원 활동, 아시아 코끼리 구하기 운동, 예술가 후원 활동, 노인 여가 활동 지원 사업 등을 직접 주관하고 있다. # 후원자나 회장으로 이름을 올린 자선 단체만 90개 이상이었다.
- 잭 러셀 테리어의 견주이다. 2017년 초에 입양한 블루벨을 키우고 있다. 블루벨은 숲에서 피부병으로 인해 다 죽어가는 상태로 발견되었다가 구조된 후 극적으로 회복했다. 대관식 드레스에는 블루벨과 2024년 11월에 죽은 유기견 베스의 자수가 수놓아져 있다.
- 친정이 상당히 부유했던 덕분에 찰스 3세와 결혼하기 전부터 상당한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결혼 이전 개인 순자산은 500만 달러 이상이었으며, 애쉬컴 남작이었던 외조부모로부터 66만 3천 달러의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았다.
- 젊은 시절에는 하루에 담배를 10개비씩 피우는 애연가였으나, 2001년에 담배를 끊었다.
- 왕비가 되기 전에는 개인 스타일리스트의 도움을 받아 스타일링을 했으나, 왕비가 된 후에는 헤어와 메이크업, 의상을 모두 본인이 직접 해결하고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d4cdc7> | 카밀라 왕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b6ada4,#b6ada4>역임 지위 | <colbgcolor=#fff,#1f2023>영국 왕비 · 영연방 왕국 왕비(캐나다 왕비 · 호주 왕비 · 뉴질랜드 왕비) · 콘월 공작부인 · 웨일스 공비 · 애버딘 대학교 총장 | |
생애 | 생애 · 왕비 시절 | ||
재위 시기 | 왕비 시절 (대관식) | ||
가족 관계 | 가족관계 아버지 브루스 섄드 · 어머니 로잘린드 큐빗 · 배우자 찰스 3세 (의붓아들 웨일스 공 윌리엄 · 서식스 공작 해리 왕자) · 전 배우자 앤드루 파커 보울스 · 장남 톰 파커 보울스 · 장녀 로라 로프스 | ||
대중매체 | 더 크라운 · 스펜서 | ||
기타 | 영국 · 윈저 왕조 · 다이애나 스펜서 |
[1] 앤드류 파커 보울스와 결혼하기 전의 성씨는 Shand로, 이혼 후에도 전 남편의 성을 그대로 유지했다.[2] 모두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이다.[3] 인테리어 디자이너이자 골동품 딜러이다.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며, 인테리어와 골동품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 데일리 텔레그래프에서 선정한 영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테리어 디자이너 순위에서 5위로 꼽히기도 했으며, 친분을 바탕으로 여러 왕실 거주지의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애너벨의 아들 벤 엘리엇은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국 보수당의 후원회장을 역임했다. 대관식에 카밀라의 시녀였다.[4] 2024년 찰스 3세의 공식 초상화를 그린 화가 조너선 여의 작품이다.[5] 왕비 즉위 후 성 에드워드 왕관이 튜더 왕관으로 변경되는 등 문장에 변화가 생겼으며, 왕비로서의 상징이 추가되었다.[6] Camilla Regina(카밀라 왕비)라는 의미다. 공교롭게도 남편 찰스 3세의 모노그램 (Charles Rex III)과 이니셜이 같다.[7] 스코틀랜드에서 사용한 작위이다.[8] 2021년 시아버지 필립 공의 사망으로 인해 찰스 3세가 에든버러 공작 작위를 받게 되면서, 카밀라 역시 에든버러 공작부인의 지위를 겸했다.[9] 다이애나는 테크의 메리 이후 약 80년 만에 웨일스 공비 작위를 받은 사람이었기 때문에 당시 대부분의 영국인이 기억하는 웨일스 공비는 다이애나였다.[10] 당초 찰스의 즉위 이후 카밀라가 받을 작위로는 한 단계 낮은 'Princess Consort'가 내정되어 있었으나, 2022년 2월 엘리자베스 2세가 즉위 70주년 공식 성명문을 통해 카밀라가 왕비가 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고 이후 최종적으로 왕비 작위를 받았다.[11] 위의 칭호가 모두 언급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왕비 폐하'로만 지칭된다.[12] 2025년 4월 공개되었다.[13] 카밀라가 줄곧 찰스의 사랑을 받았던 것도 그녀의 교양, 학식, 사근사근함 때문이었다.[14] 현 왕세자비 캐서린 미들턴이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미술사 학사 학위가 있으므로, 웨일스 공 윌리엄이 즉위하면 대학 학위를 보유한 최초의 왕비가 되게 될 것이다.[15] 2022년 이전까지 찰스는 자신이 즉위하더라도 카밀라는 'Princess Consort'에 책봉한다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었다. 그런데 이런 찰스의 입장과는 관계없이 카밀라의 지인들이 카밀라에게 왕비라는 별명을 붙여준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