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166, #004a99 20%, #004a99 80%, #003166); color: #fcc3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클렌부르크 왕조 | |||
아돌프 프리드리히 2세 | 아돌프 프리드리히 3세 | 아돌프 프리드리히 4세 | 카를 2세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166, #004a99 20%, #004a99 80%, #003166); color: #fcc3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클렌부르크 왕조 | |||
카를 2세 | 게오르크 | 프리드리히 빌헬름 | 아돌프 프리드리히 5세 | |
아돌프 프리드리히 6세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 | }}}}}}}}} |
<colbgcolor=#004398>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 Karl II., Großherzog von Mecklenburg-Strelitz | |
| |
<colcolor=#ffc723> 이름 | 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Karl Ludwig Friedrich) |
출생 | 1741년 10월 10일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 미로 | |
사망 | 1816년 11월 6일 (향년 75세)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노이슈트렐리츠 | |
재위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공작 |
1794년 6월 2일 ~ 1815년 6월 28일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 | |
1815년 6월 28일 ~ 1816년 11월 6일 | |
배우자 |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공녀 (1768년 결혼 / 1782년 사망) |
헤센다름슈타트의 샤를로테 공녀[1] (1784년 결혼 / 1785년 사망) | |
자녀 | 샤를로테 게오르기네,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게오르크 카를, 테레제,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루이제, 프리데리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카를, 아우구스테 알베르티네, 카를 |
아버지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공작 |
어머니 |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티네 공녀 |
형제 | 큰 누나 크리스티아네, 작은 누나 카롤리네, 형 아돌프 프리드리히 4세, 셋째 누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넷째 누나 조피 루이제, 큰 남동생 에른스트 고틀로프, 여동생 샤를로테, 작은 남동생 고트헬프, 막내 남동생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
종교 | 루터교회 |
1. 개요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 조지 3세의 왕비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의 오빠이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의 아버지, 프로이센의 샤를로테의 외할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의 외증조부이다.2. 생애
1794년 6월 형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 아돌프 프리드리히 4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공작위를 물려받았다. 1815년 빈 회의에 의해 대공으로 승격되었다.3. 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카를 2세 (Karl II) | <colbgcolor=#fff3e4,#331c00>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공작 (Karl Ludwig Friedrich von Mecklenburg-Strelitz) | <colbgcolor=#ffffe4,#323300>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 아돌프 프리드리히 2세 (Adolf Friedrich II von Mecklenburg-Strelitz)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 아돌프 프리드리히 1세 (Adolf Friedrich I von Mecklenburg-Strelitz) | |||
브룬스뷔크단넨부르크의 마리 카타리나 (Marie Katharina von Brunswick-Dannenberg) | |||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의 크리스티나 에밀리에 (Christiane Emilie von Schwarzburg-Sondershausen) | |||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 공작 크리스티안 빌헬름 1세 (Christian Wilhelm I von Schwarzburg-Sondershausen) | |||
바르비뮐링겐의 안토니에 실비아 (Antonie Sibylle von Barby-Mühlingen) | |||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티네 (Elisabeth Albertine von Saxe-Hildburghausen) | |||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 공작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1세 (Ernst Friedrich I von Saxe-Hildburghausen) | |||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 공작 에른스트 (Ernst von Saxe-Hildburghausen) | |||
발데크의 조피 헨리에테 (Sophie Henriette von Waldeck) | |||
에르바흐에르바흐의 소피아 알베르티네 (Sophia Albertine von Erbach-Erbach) | |||
에르바흐에르바흐 백작 게오르크 루트비히 1세 (Georg Ludwig I von Erbach-Erbach) | |||
발데크아이젠베르크의 아말리아 카타리나 (Amalia Katharina von Waldeck-Eisenberg)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공녀 (Frederike von Hessen-Darmstadt) | ||||
1녀 |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 공작부인 샤를로테 게오르기네 (Charlotte Georgine, Duchess of Saxe-Hildburghausen) | 1769년 11월 17일 | 1818년 5월 14일 | 작센알텐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1세 슬하 7남 5녀 |
2녀 |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여공작 (Duchess Karoline Auguste) | 1771년 2월 17일 | 1773년 1월 11일 | |
1남 | 게오르크 카를 공작 (Duke Georg Karl) | 1772년 3월 4일 | 1773년 5월 21일 | |
3녀 | 투른운트탁시스 공비 테레제 (Therese, Princess of Thurn and Taxis) | 1773년 4월 5일 | 1839년 2월 12일 | 제5대 투른운트탁시스 공 카를 알렉산더 슬하 3남 4녀 |
2남 |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공작 (Duke Friedrich Georg) | 1774년 9월 1일 | 1774년 11월 5일 | |
4녀 | 프로이센의 왕비 루이제 (Louise, Queen of Prussia) | 1776년 3월 10일 | 1810년 7월 19일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슬하 5남 4녀[2] |
5녀 | 하노버의 왕비 프레데리케 (Frederica, Queen of Hanover) | 1778년 3월 3일 | 1841년 6월 29일 | 프로이센 왕자 루트비히 카를 슬하 2남 1녀 |
졸름스브라운펠스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공자 슬하 4남 2녀 |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슬하 1남 1녀[3] | ||||
3남 | 게오르크 1세 (Georg, Großherzog von Mecklenburg-Strelitz) | 1779년 8월 12일 | 1860년 9월 6일 | 헤센카셀의 마리 슬하 2남 2녀[4] |
4남 | 프리드리히 카를 (Friedrich Karl) | 1781년 1월 7일 | 1783년 3월 24일 | |
헤센다름슈타트의 샤를로테 공녀 (Charlotte von Hessen-Darmstadt) | ||||
5남 | 카를 (Karl) | 1785년 11월 30일 | 1837년 9월 21일 |
[1] 첫 아내인 프리데리케 공녀의 여동생이다.[2]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빌헬름 1세, 러시아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등.[3] 게오르크 5세 등.[4]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프리드리히 빌헬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