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52:43

주한청국공사관

청국공사관에서 넘어옴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덴마크에서는 외교공관을 두지 않았다.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국-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중화권|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공통
한자문화권
외교 한국-대만 관계(2020년대),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주한국대만대표부, 재한 화교, 화교협회, 중국계 한국인,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bgcolor=#000> 사건사고 대만의 아시안 게임 반한 사태, 대만 택시기사 한국인 관광객 강간 사건,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외교 한중관계(2010년대, 2020년대), 한중일, 한중러관계,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주중대사, 주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한중국대사관, 6자회담, 한중일 정상회의
<bgcolor=#000> 사건사고 동북공정, 불법조업 문제, 한한령, 6.25 전쟁, 위장 한류, 박경조 경위 살해사건, 이청호 경사 살해사건, 허재 중국 기자 회견 사건, 수원 토막 살인 사건, 화웨이의 한국 내 통신장비 납품 관련 논란, 정동진 차이나드림시티 건설 논란, 박근혜 대통령 중국 전승절 참석 논란,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 송영선 의원 혐중 발언 논란, 한국 기자단 폭행사건, 2017년 중국의 김치 불매운동, 2.13 중국 네티즌 네이버 댓글 점령사태,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 비랩 역사왜곡 소설 수입 논란,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김치 왜곡, 샤이닝니키 한복 사태, 중국의 유튜브 허위 저작권 등록 사건, 중국 국수주의 네티즌의 한국 연예계 비방,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중국 관련 검열 논란, 조선구마사/논란 및 사건 사고/고증 오류 및 역사 왜곡, PUBG 파트너 리그 한중전 중국 선수 핵 사용 사건, 주한 벨기에 대사 아내의 옷가게 점원 폭행 사건, 2021년 요소수 대란, 강원도 중국복합문화타운 건설 논란, 신세계그룹 정용진 SNS 멸공 발언 게시 논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문화공정 논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국내 사례), 코로나19 확진 중국인 도주 사건, 이재명-싱하이밍 회동 논란 , BJ아영 사망 사건,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중국의 대한 여론 공작
한홍관계,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한국-마카오 관계
한국-티베트 관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티베트 방문 논란
한국-위구르 관계
기타
반한, 혐한/중국, 친한, 중뽕, 혐중(한국), 반중(한국), 친중(한국), 대한민국/외교,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대만/외교, 한국군 vs 중국군, 한국군 vs 대만군, 타이완 넘버원, 한국-만주 관계, 주한청국공사관, 중국발 미세먼지 논란
}}}}}}}}}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파일:청나라 국기.svg
주한청국공사관
駐韓淸國公使館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새 인영.svg
국기 국새
<colbgcolor=#00386a><colcolor=#fecd21>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상급기관 청국 외무부
한성상무공서 설치 1883년
공사관 설치 1899년
공사관 폐쇄 1905년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 있었던 청나라의 옛 공사관이다.

2. 역사

1882년 이전의 조선과 청나라의 관계에 대해서는 조청관계 문서 참조.

1882년(고종 19년)에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나라조선에 군대를 보내 군란을 진압했고, 흥선대원군을 납치한 다음,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했다. 이 장정은 여러모로 문제가 많았는데, 한마디로 조선을 청나라의 속방으로 못박아둔 장정 이었다.[1]

조항 내용을 간단히 말하면, '해금령을 풀어 바다로도 무역을 하게 할 것', '치외법권[2]', 그리고 '청나라 북양대신[A]이 조선에 상무위원을 파견하는 것'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문서 참조.
파일:/pds/200901/10/21/a0100221_496862f42e016.jpg
<colbgcolor=#fecd21> 청나라 북양대신이었던 이홍장
이중 주목할 것이 상무위원 파견이다. 상무위원은 영사급으로, 당시 북양대신[A]이었던 이홍장의 지시를 받는 위치에 있었다.[5] 즉, 상무위원의 조선 파견은 청나라가 노골적으로 조선 내정에 깊게 관여하겠다는 것을 뜻했다.

장정 체결 후 처음으로 부임한 상무위원 진수당(陳樹棠)은 1883년(고종 20년)에 자신이 머물 공관인 한성상무공서(漢城常務公署)를 세웠다. 이것이 청국공사관의 시초로, 중국한국에 두었던 최초의 근대적 외교공관이었다.

처음에는 중국 사신들이 숙소로 사용했던 남별궁[6]에 임시로 입주했다. 그러다가 이듬해인 1884년(고종 21년)에 새로 공관을 짓기로 하고 낙동[7]에 부지를 사들였다. 《주한사관보존당》에 따르면, 저 때 진수당이 박씨 성을 가진 사람의 집을 매입했다고 나오나, 이외 대부분 자료에서는 이경하[8]의 집을 매입했다고 언급한다. 한성상무공서의 크기가 꽤 넓었기 때문에 어쩌면 두 집을 모두 사들였을 수도 있다.[9]

진수당은 옛 건물을 헐고 새로 건물을 지었는데 일부 쓸만한 자재들은 다시 재활용했다. 이후 12월에 공사를 끝내고 입주했다. 그렇게 되면서 당시 청나라의 서울 주재 공사관의 크기가 확장되었다.[10]

그리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체결 결과로 수많은 청나라 상인들과 주민들이 조선에 대거 들어왔는데, 한성상무공서가 주둔한 낙동 주변에 많이 모여들었고 그 일대는 청나라 사람들의 거류지, 일종의 차이나타운으로 변해갔다.

하지만 새 건물도 튼튼하지는 못했는지, 여러 번 수리를 했음에도 계속 균열이 생겼고 이에 1886년(고종 23년)과 1887년(고종 24년)에 걸쳐 새로 고쳐지었다. 개축하는 동안 한성상무공서는 인근에 있는 중화회관(中華會館)으로 잠시 자리를 옮겼다.[11]

1894년(고종 31년)에 청일전쟁이 발발했다. 한성에 주둔하던 일본군은 한성상무공서를 공격했고, 일본 측은 조선 정부에 압력을 넣어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폐기시켰다. 그러자 조선에 상무위원이 상주할 어떤 근거도 없어졌고, 한성상무공서는 그렇게 사라졌다.[12]

1895년(고종 32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일본에 패했다. 청나라는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완전히 포기했고, 이로써 병자호란 이후 260년 간 이어온 청나라와 조선의 관계는 끊어졌다.

다만, 청나라는 국가 대 국가로 주요 외교업무가 아닌 정치성 없는 업무를 담당하는 영사관을 '총영사서(總領事署)'란 이름으로 설치했다. 왜냐하면 조선에 머물고 있던 수많은 청나라 사람들의 보호, 대변 문제 때문이었다.
파일:한청통상조약.jpg
<colbgcolor=#fecd21> 대한제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대한국 · 대청국통상조약》
1897년(광무 원년)에 조선대한제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황제국을 선포했다. 대한제국은 청나라와 대등한 관계에서 조약을 맺길 지속적으로 요구했고, 청나라로서도 러시아일본 등 열강의 압력, 대한제국에 상주하던 자국 상인의 보호 문제 등으로 조약을 맺을 필요성을 느꼈다.

그리하여 1898년(광무 2년)에 청나라는 대한제국과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고, 논의를 위해 의약전권대신(議約全權大臣) 서수붕(徐壽朋)을 한성에 파견했다. 총 8차례 회담한 끝에 1899년(광무 3년)에 대한제국과 청나라는 《대한국 · 대청국통상조약(大韓國大淸國通商條約)》을 체결함으로써 외교관계를 다시 수립했다. 이때 청나라 공사관도 설치했으며 한성상무공서 시절 사용했던 낙동에 그대로 입주했다.

1905년(광무 9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여 한반도 점령의 걸림돌이 될 열강을 제거한 일본은 그해 11월에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시켰다. 이에 따라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해 수교하던 모든 나라와 단교했고, 청나라 공사관도 이때 철수했다.

1906년(광무 10년)에는 다시 영사관을 설치했는데 이 때는 이름을 '총영사부(總領事府)'라 했다. 1910년(융희 4년) 8월에 경술국치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일본식민지가 된 이후에도 청나라 총영사부는 그대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1년 여 뒤인 1912년 2월에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들어서면서 청나라 영사관은 '주일중화민국공사관(駐日中華民國公使館) 소속 재 경성 총영사관(在 京城 總領事館)'으로 바뀌었다.

중일전쟁이 발발한 후인 1940년에 왕징웨이가 이끄는 일본의 괴뢰정권인 왕징웨이 정권이 들어서자 왕징웨이 정권의 영사관으로 쓰이기도 했다. 당시 중화민국(국민정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직접적인 교류를 하는 것으로 갈음했다.

1945년 8.15 광복으로 주일중화민국대사관 경성 총영사관은 기능을 정지했고, 1947년에는 이 자리에 중화민국 임시 영사관이 들어섰다.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전인 1948년 8월 13일에 초대 중화민국 대사 류위완(劉馭萬)이 방한해 친서를 전달했고, 정부 수립 이후 한국중화민국이 수교하면서 1949년 1월에 중화민국 임시 영사관은 주 대한민국 중화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파일:external/iybrb.com/20140124162643.jpg
<colbgcolor=#fecd21> 청나라 시절부터 지금까지 같은 자리에 있는 주한중국대사관의 현재 모습
그러나 1992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중화민국과 단교했고, 주한중화민국대사관 자리에 주한중국대사관이 들어섰다.

그리고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의 후신인 주한국타이베이대표부광화문 쪽 동아면세점 건물로 이전했고 추가로 기존 주 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은 주 부산 타이베이대표부 판사처로 개편되었다.

일련의 과정과 그 이후는 한국-대만 관계 문서의 3.3 단락주한국타이베이대표부 문서 참조.


[1] 단, 당시에는 양측 모두 정식으로 《중조상민수륙무역장정(中朝商民水陸貿易章程)》이라 불렀고, 장정 본문에서도 청나라를 '청'이 아닌 '중국'으로만 표기하고 있다. 1899년(광무 3년) 《대한국 · 대청국통상조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외교 문서에는 '청(淸)'이란 표현이 일절 쓰이지 않았다.[2] 청나라 사람이 조선에서 죄를 저지를 시, 청나라 법으로 처벌하는 것. 반대의 경우는 인정되지 않았다.(즉, 조선인이 청나라에서 죄를 저지르면 청나라 법으로 처벌하겠다는 것.)[A] 청나라의 외교통상을 담당하던 직책.[A] [5] 정문경(2020), 《19 ~ 20세기 한성부 내 청국 공관 영역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주한사관보존당』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5.[6] 1897년(광무 원년)에 원구단이 들어섰고, 경술국치 후에는 조선호텔이 들어섰다. 현재 웨스틴조선호텔 자리이다.[7] 현재 회현동, 충무로, 명동 일부.[8] 흥선대원군의 심복이었던 무관. 이범윤, 이범진의 아버지이자 헤이그 특사 이위종의 할아버지이다. 청나라에서 한성상무공서를 설치할 당시에는, 임오군란 때 무위대장으로서 궁궐을 못 지켰다는 책임을 지고 고금도로 유배 간 상태였다.[9] 정문경(2020), 《19 ~ 20세기 한성부 내 청국 공관 영역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주한사관보존당』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6 ~ 20.[10] 정문경(2020), 《19 ~ 20세기 한성부 내 청국 공관 영역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주한사관보존당』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4.[11] 중화회관 자리는 원래 이경하의 조카인 이범대, 7촌 조카 이범조의 집터였다. (출처: 정문경(2020), 《19 ~ 20세기 한성부 내 청국 공관 영역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주한사관보존당』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1, 45 ~ 47.)[12] 정동연(2020), 《淸의 駐韓公館과 韓淸 近代外交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5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 (이전 역사)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