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14 10:38:35

진번군

한사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666> BC 108 진번군1 낙랑군 임둔군 현도군2
BC 82 낙랑군3 현도군4
BC 75 남부도위 동부도위 (흥경 이현)
AD 30 폐지 (무순 이현)
AD 204 대방군
AD 314 (낙랑군 313년, 대방군 314년, 현도군 315년 요서 이현)
1 삼국유사에서는 평나군
2 현도군은 기원전 107년 설치되었음.
3 삼국유사에서는 평주도독부
4 삼국유사에서는 동부도위부
※둘러보기 : 틀:원삼국시대 한반도 세력 }}}}}}}}}


파일:한사군.jpg

1. 개요2. 둘러보기

1. 개요

眞番郡

애초 고조선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고조선 멸망(BC 108) 이후 설치된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이다. 전한 세종 무황제 유철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기원전 108년에 세워졌으나 얼마 못 가 기원전 82년에 폐지되었고 이후 낙랑군에 흡수됐다.

명칭은《사기》(史記) <조선전>(朝鮮傳) 등에 보이는 진번국에서 유래했다. 기록이 워낙에 없기 때문에 기원전 3세기 이전의 고조선과의 관계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3세기경에는 고조선의 영향권 밖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에 위만이 고조선의 왕으로 등극하여 영토 확장 정책을 펴자 고조선에 복속했다.

치소는 잡현(霅縣)[1][2]이었고 15개 현이 있었다. 하지만 낙랑군에 흡수된 이후 낙랑군 남부도위가 관리한 현이 소명(昭明)·대방(帶方)·함자(含資)·열구(列口)·장잠(長岑)·제해(提奚)·해명(海冥) 7개뿐이었던 것을 보면, 잡현을 포함한 나머지 8현은 귀속을 알 수 없지만 폐지된 걸로 보인다. 이후 서기 204년 진번군의 옛 자리에는 대방군이 설치되어 314년 고구려 제15대 미천왕에 의하여 정복될 때까지 1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대방군이 분리되면서 낙랑군이 맡고 있던 삼한의 내속업무를 포괄하게 된 것을 보면 진번군 또한 삼한과 왜와의 교섭을 담당하거나 직접 통할했던 것 같다.

위치 비정은 황해도설, 요동설, 고구려 지역설, 숙신 지역설 등이 있다. 대략 낙랑군 남쪽, 임둔군 서쪽인 현 황해도에 위치한 걸로 보는 게 유력하며, 남쪽 경계는 경기도 북부인 예성강 또는 임진강으로 파악된다.

2. 둘러보기

원삼국시대 한국사 세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번국 고조선
단군조선
예맥
구려국
동옥저 임둔국 부여 / 주호국
고조선
위만조선
진번군 낙랑군 예맥계 소국
비류국
현도군 임둔군 마한 변한 진한
낙랑군 현도군
남부도위 동부도위
고구려 옥저
낙랑국
동예
위말갈
대방군 고구려 }}}}}}}}}


[1] 여기서 거리 기록이 좀 이상한데, 현대 위치 비정상 임둔군보다 더 중원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치소의 위치가 낙양을 기준으로 1,500리 가량 더 떨어진 것으로 나온다. 해당 구절을 그대로 신뢰한다면 현도군으로부터 낙랑군이 떨어진 것 만큼 낙랑군으로부터 임둔군이 떨어져 있으며, 이 거리의 1.5배가 임둔군으로부터 진번군이 떨어진 거리와 같으므로 치소는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것 같으며, 음운상으로는 접도국이 가장 가까운 편이다. 낙랑군 남부도위에 포함되지 못한 8개 현 또한 그 인근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여담으로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 잡현이 서울특별시 인근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 근거는 "잡"이라는 지명이 현재의 "서울"이라는 지명과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기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