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1:41:28

반야월(작곡가)

진방남에서 넘어옴
파일:화관문화훈장 약장.png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87
손목인
작곡가
1988
이봉수
바이올리니스트
1988
정윤주
작곡가
1988
황문평
작곡가
1991
박창오[1]
가수
1992
이경모
사진작가
1995
이미자
가수
1996
김혜자[2]
가수
1997
김덕용[3]
배우, 희극인
1997
임성기
언론인
1998
코리아나
가수, 1988 서울 올림픽 주제가 《손에 손 잡고》를 부름
1999
김용걸
발레리노
1999
김지영
발레리나
1999
현동주[4]
가수
2000
한명숙
가수
2001
강명보
문화원장
2001
김병학
문화원장
2001
문호근†
뮤지컬 연출가
2001
민형근
문화원장
2001
송해
희극인
2001
장수봉
문화원장
2001
황용주
국악인
2002
김진원
문화원장
2002
박광태
극단대표
2002
백기현
오페라 단장
2002
이은임[5]
한복 디자이너
2002
이창교
문화원장
2002
정호돈
문화원장
2002
최종규
문화원장
2002
허종성
문화원장
2003
김영임
국악인
2003
노상준
문화원장
2003
변훈†
작곡가
2003
양중해
시인
2003
이영철
문화원장
2003
이칠용
공예가
2003
정영삼
한국민속촌회장
2003
정지옥
문화원장
2004
김상희
가수
2004
김직승
출판가
2004
김태환
한국영상박물관장
2004
서현석
지휘자
2004
송춘희
대중예술가
2004
신정교
문화원장
2004
윤수옥
문화원장
2004
윤통웅
한국예술실연자단체연합회장
2004
이춘희
국악인
2004
최용문
문화원장
2005
남선우
문화원장
2005
신영희
국악인
2005
정광태
코미디언, 가수
2005
정범태
사진작가
2005
조규돈
강릉문화원 사무국장
2005
홍성덕
국악인
2006
김세윤
문화원장
2006
김인배
작곡가
2006
김인수[6]
국극배우
2006
서진길
사진작가
2006
이인숙
박물관장
2006
이춘화
출판가
2006
임규흥[7]
무용인
2006
장영
문화원장
2006
장주원
공예가
2007
김성환
연기자
2007
김영섭
문화원장
2007
류복현
문화원장
2007
이순희
한국음악재단 회장
2007
진태옥
패션디자이너
2007
최성준[8]
가수
2008
구자흥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08
김계담
문화원장
2008
김현
시각디자이너
2008
박공서
기업인
2008
박영수
청주문화원 고문
2008
배용준
배우
2008
이영춘[9]
가수
2009
이케다 다이사쿠
창가학회 회장
2010
박두식[10]
희극인
2017
임영주
문화원장
2018
강봉식
이와테 현립대학 교수, 일본한국어교육학회 설립 유공
2018
방탄소년단[11]
가수
2018
천한봉
도예가
2020
장상호
전국문화원연합회 국장

[1] 예명 반야월[2] 예명 패티김[3] 예명 남보원[4] 예명 현인[5] 예명 이리자[6] 예명 김진진[7] 예명 임이조[8] 예명 최희준[9] 예명 설운도[10] 예명 백남봉[11] 수훈자: 김석진, 김남준, 민윤기, 정호석, 박지민, 김태형, 전정국
}}}}}}}}} ||
반야월
半夜月
파일:싱어송라이터 반야월.jpg
본명 박창오(朴昌吾)
예명 반야월(半夜月), 진방남(秦芳男), 추미림(秋美林), 박남포(朴南蒲), 남궁려(南宮麗),
금동선(琴桐線), 고향초(高香草), 옥단춘(玉丹春), 백구몽(白鷗夢) , 허구(許久)
출생 1917년 8월 1일
경상남도 마산부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사망 2012년 3월 26일 (향년 94세)
서울특별시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직업 가수, 작사가,
장르 트로트
데뷔 1939년 태평레코드社 콩쿠르 대회
가족 부인 윤경분, 슬하 2남 4녀[1]
종교 불교

1. 개요2. 상세3. 대표곡4. 여담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후반 ~ 대한민국 정부수립 초창기에 활동한 한반도의 작사가/, 가수. 당시 대부분의 대중가요들은 이 사람의 손을 거쳐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대중가요 역사의 레전드.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전쟁을 선동하는 가요를 만드는 친일행각을 저질렀다는 오명도 갖고 있으며 본인도 이를 평생 후회했다.

2. 상세

어린 시절에는 집안이 제법 유복했으나, 고등학생 때 집안의 형편이 어려워져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양복점을 하는 숙부를 찾아가 제단 등을 배우며 생계를 유지해 나갔다.

어린 시절에도 제법 가창력이 뛰어났는지 당시 청주 시내에서 '노래하는 양복쟁이'로 통했다고 한다.

당시 청주 지역에서 노래대회 등이 열리면 모조리 상을 휩쓸고 1939년조선일보와 태평레코드가 주최하는 '전국 콩쿠르 대회'에서 입상하여 가수로 데뷔하였다.

활동 시에 예명도 많이 보유하고 있었는데, 평소에는 반야월이라는 예명을 사용했고, 가수 활동 시에는 '진방남'이라는 예명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추미림', '박남포', '남궁려', '금동선', '허구', '고향초', '옥단춘', '백구몽' 등 여러 예명들도 썼다. 예명을 여러개나 쓴 이유는 작사를 너무 독식하는 느낌을 피하려고 그랬다고 한다.

작사가 활동 시의 대표작들로는 소양강 처녀, 울고 넘는 박달재, 단장의 미아리 고개, 산장의 여인, 산유화, 만리포사랑, 무너진 사랑탑, 아빠의 청춘, 열아홉 순정 등이 있다. 가수 활동 시의 대표작들로는 불효자는 웁니다, 잘 있거라 항구야, 마상일기, 꽃마차 등이 있다.

일본 제국 시절에 작사한 것도 있긴 하나,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노래를 작사하고 가장 많은 히트곡을 낸 작사가이면서, 가장 많은 노래비를 보유한 작사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현재 청년층 사이에서도 이 사람이 제작하거나 직접 부른 멜로디나 노래 제목을 한 번 이상 쯤은 들어봤을 정도로 대중가요의 한 획을 그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2010년에는 일제강점기 일본군을 선전하는 가요를 만들었던 자신의 친일 행적에 대해 후회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 이 때문에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기도 했다.

3. 대표곡

4. 여담

파일:FF67550C-5E07-4A3D-BB50-A4BC03021FB6.jpg 파일:작사가 반야월.jpg
파일:8E5EB43D-0247-4F94-AED9-4B718BB73BC1.jpg


[1] 이 중에 차남 박인호도 작곡가, 작사가, 가수, 기타 연주자, 프로듀서, 음악 평론가, 작가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참고로, 간혹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독도는 우리땅의 작사와 작곡을 맡은 박인호를 반야월의 아들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반야월의 아들 박인호와 그 박인호는 서로 전혀 다른 사람이다. 게다가 독도는 우리땅의 박인호는 본명이 박문영에 강원도 원주시 출신이며, 반야월의 아들 박인호는 박인호가 그대로 본명이다.[2] 당시 반야월은 백선엽 등과 함께 인명사전에 수록된 이들 중 생존해있는 몇 안 되는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