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구과학을 연구·교육하는 학과
2000년대 이후부터 대기과학과(기상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 중 둘 이상의 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학교에서는 이들 학과를 단일한 학과 또는 학부로 묶어서 운영하기 시작했는데[1], 해당 학과/학부를 보통 지구환경과학과(부) 또는 지구시스템과학과(부)라고 한다.지구를 이루는 기권, 지권, 수권, 생물권, 외권 중 생물권은 생명과학과, 외권은 천문학과에서 연구하며 나머지 세 권역을 연구하는 곳이 바로 이 지구환경과학과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권은 대기과학과, 지권은 지질학과, 수권은 해양학과에서 연구한다.
1.1. 설치 대학
아래에서 보다시피 이 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매우 적고, 세부전공으로 학과가 분과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나의 학과/학부로 묶이지 않고,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대기과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1.1.1. 지구환경과학과
1학년 때 지구과학 전체에 대한 개론을 배운다. 그리고 2학년 때 대기과학, 해양학, 지질학 중 하나를 전공으로 택하는 경우다.-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해양학과, 대기환경과학과
-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천문대기학, 해양학)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세부전공[2]: 지구시스템학, 해양학, 대기과학)
-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대기과학, 해양학, 환경공학, 공간정보시스템공학)
-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해양학)
-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세부전공: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위성탐사, 수질학)
1.1.2. 세부전공
세부 전공이 독립학과로 분리된 경우는 아래의 문서들을 참조바란다.- 지질학전공: 지질학과 문서 참조.
- 대기과학전공: 대기과학과 문서 참조.
- 해양학전공: 해양학과 문서 참조.
2. 지질학과가 개명한 학과
지질학과가 학과의 명칭을 지구환경과학과로 바꾼 곳이 있다. 그런 곳은 사실상 지질학과와 큰 차이는 없다. 굳이 개명 전과 차이를 얘기하자면, 전공 커리큘럼에 환경과학 관련 과목이 추가 또는 강화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질학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질학과#|]][[지질학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Earth Scienc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458,#2d2f34><colcolor=#fff,#fff>대기과학 Metorology | 기상학 · 기단 · 기압(고기압, 저기압, 기압계, 기압골) · 기후학 · 나비 효과 · 날씨 · 대기권(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 대기 대순환(편서풍) · 열대성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 제트기류 · 토네이도 · 용오름 · 푄 현상 · 쾨펜의 기후 구분((A)열대 기후, (B)건조 기후, (C)온대 기후, (D)냉대 기후, (E)한대 기후 · 고산 기후) |
지질학 Geology | 지질학자 · 고생물학 · 광물학 · 지구의 구조(지각, 맨틀, 외핵, 내핵) · 대륙이동설 · 암석학 · 층서학 · 지사학 · 지구물리학 · (지진, 지진파) · 판 구조론 · (화산, 마그마, 용암) · 지질학 관련 정보 | |
해양학 Oceanography | 균형조석론 · 기조력 · 바다 · 음향 측심법 · 조석 · 파도 · 해류(난류, 한류) · 해일 및 쓰나미 · 세부 분과(물리해양, 화학해양, 생물해양, 지질해양, 외계해양) | |
지구과학 연구 | 지구환경과학과(대기과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 · 한국지구과학연합회(한국기상학회, 한국우주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질과학협의회, 한국천문학회, 한국해양학회) · 기상청(대한민국 기상청, 미국 연방해양대기청, 일본 기상청, 중국기상국, 홍콩 천문대, 필리핀 기상청, 노르웨이 기상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
기타 | 지구를 연구하는 타 학문(자연지리학 · 생태학 · 환경과학) |
[1] 한때 일부 대학에서는 천문학과도 같이 묶어서 운영하기도 했으나, 현재 경북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들에서 천문학과는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애초 천문학은 지구과학이 아니다.[2] 행정상으로 현재 세부전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직 학과의 융합이 완전하게 이뤄지지 못해 사실상 나뉘어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