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7:37:34

조재토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제2야전군사령관
초대
강문봉
제2대
최영희
제3대
장도영
제4대
최경록
제5대
민기식
제6대
장창국
제7대
김용배
제8대
박경원
제9대
정래혁
제10대
문형태
제11대
한신
제12대
채명신
제13대
박원근
제14대
이병형
제15대
박희동
제16대
김종수
제17대
진종채
제18대
차규헌
제19대
이기백
제20대
김홍한
제21대
오자복
제22대
이종구
제23대
민경배
제24대
이필섭
제25대
김연각
제26대
김진선
제27대
박세환
제28대
조성태
제29대
김진호
제30대
조영길
제31대
김인종
제32대
홍순호
제33대
양우천
제34대
권영기
제35대
박영하
제2작전사령관
제36대
조재토
제37대
이철휘
제38대
조정환
제39대
김요환
제40대
이순진
제41대
박찬주
제42대
박한기
제43대
황인권
제44대
김정수
제45대
신희현
제46대
고창준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e5d>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e5d>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나중배
2대
박재화
3대
이택형
4대
표순배
5대
곽동도
6대
안성용
7대
선영제
8대
조영호
9대
박승춘
10대
조재토
11대
박창명
→ 부대 해체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제36대 제2작전사령관
조재토
趙在土 | Jo Jae-to
파일:external/www.jjan.kr/262087_42800_0207.jpg
출생 1947년 5월 24일[1] ([age(1947-05-24)]세)
전라북도 군산부 (現 군산시)[2]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김제 조씨 (金堤 趙氏)[3]
학력 군산영명고등학교 (졸업)
전북대학교 (철학 65 / 학사)
가족 아내 김점례[4], 슬하 1남 1녀
군사 경력
임관 학군사관 (9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1년 ~ 2009년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제2작전사령관
주요 보직 제3야전군사령부 군수처장
제25보병사단 사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
제9군단장
합동참모본부 인사군수본부장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제3야전군사령부 군수처장, 제25보병사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 제9군단장, 제2야전군 부사령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인사군수본부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후 제36대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관 (2008년 3월 21일 ~ 2009년 9월 18일)으로 진급하여 ROTC 출신 4번째로 대장 자리에 올랐다.

직능은 군수로, 전형적인 군수 직능 보직들을 준장 ~ 소장 시절에 거쳤다. 2004년에 중장으로 진급하여 9군단장과 합동참모본부 인사군수본부장(現 군사지원본부장)을 역임했다.[5] 그럼에도 대장까지 진급한 인간승리의 표본이다.[6]

2. 생애

1947년 5월 24일 전라북도 군산부(現 군산시)에서 아버지 조귀섭(趙貴燮, 1909. 8. 14 ~ 1992. 2. 18)[7]과 어머니 김제 김씨(金堤 金氏, 1908. 11. 28 ~ ?)[8] 사이에서 1남 2녀 중 아들로 태어났다. 고조부 조현철(趙鉉喆, 1809. 6. 21 ~ 1874. 6. 25)[9]은 1863년(철종 14) 10월 2일 경희궁 위장(慶熙宮衛將) 및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에 임명된 무관이었다. 아버지 조귀섭은 사무관으로 전라북도청과 운수부 인천항무서 군산출장소(現 해양수산부 군산지방해양수산청) 등지에서 근무했다.

군산영명고등학교(現 군산제일고등학교) 졸업 후 아버지의 고향인 김제시 용지면으로 이주했으며, 1965년 전북대학교 철학과(65학번)에 입학했다. 전북대학교 졸업 후인 1971년 ROTC 9기로 임관했다.

초급장교 시절 '정훈' 또는 '보병' 병과를 선택하는 갈림길에서 보병을 택해 결국 대장까지 오르게 됐다. 특히 대장 진급은 관운이 잘 따랐다는 평인데 중장의 연령정년인 61세에 걸려서 진급하지 않았더라면 2008년 6월에 전역했어야 할 운명이었기 때문.

3. 여담

전임 사령관인 35대 박영하 사령관은 육군3사관학교 1기로 3사 최초의 대장진급자이고 후임 사령관인 이철휘 사령관은 학군 13기이다.
조재토 대장은 9군단 재임시절, 부하들에게 매우 온화한 사람이었다. 군단장들 끼리의 화상회의중 훈련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조재토 군단장과 참모들의 군복에 아직 훈련띠가 달려 있자, 이를 지적하며 웃음을 터트리자 기분 나빠하지 않고 "아니야, 내가 지시를
안한거야. 내 잘못이야." 하고 웃음으로 얼어붙을뻔한 회의실 분위기를 바꾸었다.
조재토 대장은 이명박 정부의 첫번째 군 수뇌부 인사 단행시 진급했고, 당시 4성 장군 9명중 7명이 한방에 갈렸다.
조재토 대장은 가장 어려운 진급이 소령진급 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때 진급에 자신이 없어서, 당구장에서 당구치고 짜장면을 먹으면서
진급에서 탈락 했다고 예상했다" 라며, 우울한 마음을 달랬는데. 의외로 진급이 되서 놀랐다고 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첫번째로 임명된 군 수뇌부의 명단은 각각 이렇다.

공군참모총장 김은기 대장(공사 22기)과 합동참모차장 박인용 대장(해사 28기)[10] 두명은 당시 임명된지 얼마 안됐기 때문에 바뀌지 않았다.

조재토 사령관이 재임 시절 그 외손자가 외할아버지에 대한 일화를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한 적이 있었다.

당사자인 외손자가 결혼을 강남에서 하고 싶다고 했는데, 외할아버지인 조재토 장군은 예식장과 예식비용 모두 공짜로 처리해 주겠다며, 사돈댁을 설득해 용산 용사의 집에서 결혼식을 진행시켰다고 한다. 외손자 말로는 평소에도 굉장히 검소하신 분이라 골프를 집에서 퍼팅기로만 치시고 숙연하게 사시는 분이라고 글을 올렸다.


[1] 음력 4월 5일.[2] 전라북도 군산부(現 군산시)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 후 아버지를 따라 김제시 용지면으로 이주해 온 것이라 한다.[3] 첨지중추부사파(僉知中樞府事派) 21세 재○(在○) 항렬.(족보)[4] 金点禮.[5] 현재는 해체되었고 그 대신 동원전력사령부가 창설되었다. 요즘으로 따지자면 동원전력사령관이 대장 진급한 것과도 같다.[6] 일반적으로 작전 직능이 진급이 가장 잘 된다. 그 다음은 인사, 그 다음이 군수, 정보다.[7] 초명 조정섭(趙正燮).[8] 김성좌(金成佐)의 딸이다.[9] 이명 조판철(趙判喆).[10] 합동참모차장은 중장 보직인데 가끔 대장이 보임할 때도 있다. 합참차장이 중장일땐 전군에 대장이 7명이고, 합참차장이 대장일땐 전군에 대장이 8명이 된다.